잎문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잎문착은 문착속에 속하는 작은 사슴으로, 미얀마와 인도 북동부의 숲에 주로 서식한다. 어깨높이 약 50cm, 몸무게 11kg 이하이며, 옅은 갈색 털을 가지고 있다. 수컷은 2.5cm 정도의 뿔을 가지며, 암수 모두 송곳니가 발달했다. 잎문착은 주로 미얀마 후카웅 계곡,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등 해발 450~600m의 열대림과 온대림 전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는 자료 부족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현지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 감소가 우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착속 - 아기사슴
아기사슴은 사슴과에 속하는 작은 포유류로, 중국 남동부와 타이완에 주로 분포하며 풀, 꽃, 열매 등을 먹고 가죽과 고기로 이용되기도 한다. - 문착속 - 궁산문착
- 1999년 기재된 포유류 - 도그라마시밭쥐
- 1999년 기재된 포유류 - 코임브라필료티티
코임브라필료티티는 브라질 북동부 해안에 서식하며 검은 이마와 얼룩말 무늬, 작은 두개골, U자형 치아를 가진 멸종 위기 종으로, 서식지 감소로 위협받아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인도의 포유류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인도의 포유류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잎문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untiacus putaoensis |
명명 | Amato, Egan & 라비노위츠, 1999 |
IUCN 적색 목록 | 취약근접 |
IUCN 참고 | IUCN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 반추아목 |
과 | 사슴과 |
아과 | 사슴아과 |
족 | 문착족 |
속 | 문착속 |
종 | 잎문착 |
설명 | |
참고 문헌 | 리처드 엘리스,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arper Perennial, New York, 2004, p. 260 |
2. 분포 및 서식지
잎문착은 미얀마 후카웅 계곡부터 푸타오 북동쪽 지역, 마이카 강의 남 타마이 지류 남쪽의 울창한 숲에서만 발견된다.[15][5] 해발 450~600m의 열대림과 온대림의 전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인도에서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동부 로히트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5][5] 2002년에는 아루나찰프라데시의 남다파 호랑이 보호구역에서도 보고되었고,[16][6] 로히트와 창랑 지역, 나갈랜드 주 노크락 인근 지역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17][7] 파트카이 붐과 쿠몬 타웅단 산맥의 교차점에 걸쳐 적합한 서식지에 살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8년과 2009년에는 아루나찰프라데시의 여러 새로운 지역에서 그 존재가 보고되었다.[8][9]
2. 1. 미얀마
잎문착은 미얀마 후카웅 계곡부터 푸타오 북동쪽 지역, 마이카 강의 남 타마이 지류 남쪽의 울창한 숲에서만 발견된다.[15][5] 해발 450~600m의 열대림과 온대림의 전이 지역에서 발견된다.2. 2. 인도
인도에서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동부 로히트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5] 2002년에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동부 남다파 국립공원에서도 보고되었고,[16] 로히트와 창랑 지역, 나갈랜드 주 노크락 인근 지역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17] 파트카이 지역과 쿠몬 타웅단 지역이 겹치는 지역이 최적의 서식지로 추정된다. 2008년과 2009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여러 곳에서 추가로 보고되었다.[18][19]2. 3. 서식 환경
잎문착은 주로 미얀마 후쾅계곡부터 푸타오 동북부 지역, 마이카 강의 남 타마이 지류 남쪽의 울창한 숲에서 발견된다.[15] 해발 450~600m 높이의 열대림과 온대림 전이 지대에 주로 서식한다.[15] 인도에서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동부 로히트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15] 2002년에는 남다파 국립공원에서도 보고되었다.[16] 로히트와 챙글랑, 그리고 나갈랜드 주 노크락 인근 지역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17] 최적의 서식지는 파트카이 지역과 쿠몬 타웅단 지역이 완전히 겹치는 지역으로 추정된다.[17] 2008년과 2009년에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여러 곳에서 추가로 보고되었다.[18][19]3. 특징
잎문착은 문착속 중에서도 몸집이 작은 편에 속한다. 성체의 어깨높이는 약 50cm, 몸무게는 11kg 이하이다.[14][4] 몸은 옅은 갈색을 띤다.[14][4] 수컷은 약 2.5cm 길이의 가지가 없는 뿔을 가지고 있다.[14][4] 수컷과 암컷 모두 눈에 띄는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4] 다른 문착과 다르게 새끼는 반점이 없다.[4] 잎문착은 작고, 혼자 돌아다니는 것을 선호하며, 산의 울창한 숲에 서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고대 사슴 종의 특징과 유사하다.
3. 1. 외형
성체의 어깨높이는 약 50cm, 몸무게는 11kg 이하이다.[14][4] 몸은 옅은 갈색을 띤다.[14][4] 수컷은 약 2.5cm 길이의 가지가 없는 뿔을 가지고 있다.[14][4] 수컷과 암컷 모두 눈에 띄는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4] 다른 문착과 다르게 새끼는 반점이 없다.[4] 잎문착은 작고, 혼자 돌아다니는 것을 선호하며, 산의 울창한 숲에 서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고대 사슴 종의 특징과 유사하다.3. 2. 생태
잎문착은 다 자란 뒤에도 어깨높이가 50cm, 몸무게는 11kg 이하이다. 몸은 연한 갈색을 띤다. 수컷은 가지가 나뉘지 않는 약 2.5cm 정도의 뿔이 자라지만, 이를 제외하면 암컷과 수컷은 거의 같다.[14]잎문착의 행동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유사한 사슴들은 땅거미가 질 무렵이나 야간, 주간 등 다양한 시간대에 활동한다.[3][10][11]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3][10][11] 암컷의 임신 기간에는 수컷 짝과 함께 지내기도 한다.[6] 부검 결과 과일과 잎의 흔적이 발견되어, 이들의 식단이 지역의 씨앗 확산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4.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잎문착은 형태, 분포, 분류 및 생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자료 부족으로 분류된다. 현지인들의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Muntiacus putaoensis
2016
[2]
학술지
A new species of muntjac, Muntiacus putaoensis (Artiodactyla: Cervidae) from northern Myanmar
https://citeseerx.is[...]
1999
[3]
학술지
Description of the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a new species of muntjac from northern Myanmar
https://zslpublicati[...]
1999
[4]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2004
[5]
문서
The mammals of Arunachal Pradesh
Regency Publications, New Delhi
2003
[6]
학술지
Discovery of the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in Arunachal Pradesh: An addition to the large mammals of India
https://www.currents[...]
2003
[7]
학술지
Discovery of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Rabinowitz et al. in Nagaland with a new northerly record from Arunachal Pradesh
https://www.biodiver[...]
2007
[8]
문서
Survey of mammals and birds in Dihang–Dibang Biosphere Reserve, Arunachal Pradesh
Final Report to Ministry of Environment & Forests, Government of India. The Rhino Foundation for Nature in North East India, Guwahati, India
2008
[9]
학술지
Records and distribution of Gongshan and leaf muntjacs in India
https://www.deerspec[...]
[10]
학술지
Molecular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the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in Arunachal Pradesh, north-east India
https://www.research[...]
2007
[11]
학술지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leaf muntjac (Muntiacus putaoensis) and phylogenetics of the genus Muntiacus
2017
[12]
간행물
Muntiacus putaoensis
[13]
문서
Description of the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a new species of muntjac from northern Myanmar
1999
[14]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arper Perennial
2004
[15]
문서
The mammals of Arunachal Pradesh
Regency Publications, New Delhi
2003
[16]
문서
Discovery of the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in Arunachal Pradesh: an addition to the large mammals of India
http://www.ias.ac.in[...]
2003
[17]
문서
Discovery of Leaf Deer Muntiacus putaoensis Rabinowitz et al. in Nagaland with a new northerly record from Arunachal Pradesh
2007
[18]
문서
Survey of mammals and birds in Dihang–Dibang Biosphere Reserve, Arunachal Pradesh
Final Report to Ministry of Environment & Forests, Government of India. The Rhino Foundation for Nature in North East India, Guwahati, India
2008
[19]
문서
Records and distribution of Gongshan and leaf muntjacs in India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