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생은 특정 지역에서 원래부터 서식해 온 동식물 종을 의미하며, 외래종, 귀화식물, 재배 품종 등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자생종을 자연 분포역 내에 존재하는 종으로 정의하며,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부터 서식해 온 종을 자생종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재배되어 온 작물 중 현대적 품종 개량을 거치지 않은 고정종을 자생종으로 보기도 한다. 자생종은 생태계 내에서 다른 종들과 상호작용하며 안정적인 생물 군집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자생종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생태 복원 프로젝트에서 자생종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식지 -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 감소, 내부 면적 감소 및 주변 효과 증가, 서식지 격리, 패치 분할, 평균 패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생물종 이동 제한, 생물 다양성 감소, 개체군 유지 어려움 등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며, 주요 원인은 개발, 벌목, 농업 확장과 같은 인간 활동이다. - 서식지 - 운무림
운무림은 고지대에서 지속적인 안개로 형성되어 안개 물방울로 수분을 공급받는 독특한 숲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지만 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온대 지역의 숲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 생태 복원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생태 복원 - 경관생태학
경관생태학은 이질적인 토지 영역에서 상호작용하는 생태계 집합을 연구하며 공간 패턴이 생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패치, 주변, 생태축, 서식지 단편화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인간의 영향 또한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다. - 생물지리학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생물지리학 - 삼림한계선
삼림한계선은 수목 생장의 한계선으로, 기온, 강수량 등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기후 변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자생 |
---|
2. 정의
자생종은 외래종, 귀화식물, F1 품종, 재배 품종 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특정 지역에서 인간의 영향 없이 자연적으로 서식하고 진화해 온 생물종을 의미한다. '자생'이라는 단어가 가리키는 지역이나 시간 범위는 명확하게 통일되어 있지 않다. 넓은 의미로는 특정 지역에서 인간의 영향을 받기 이전부터 번식해 온 생물을, 좁은 의미로는 특정 지역의 플로라를 예로부터 구성해 온 종을 가리킨다.[17]
2. 1. 국제적 정의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자생종을 "(과거 또는 현재) 자연 분포역과 분산 능력역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종, 아종, 또는 그 이하의 분류군(즉, 자연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서식지 내에 존재하거나, 인간에 의한 직접적, 간접적인 도입, 혹은 관리 없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13] 이는 '''자생종''', '''야생종''' (wild species), '''자연 분포종'''의 의미와 가깝다.2. 2. 한국의 정의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이지 시대 이전부터 서식해 온 종을 자생종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14]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용어집에서는 "어떤 지역에 이전부터 서식·생육하고 있는 고유의 동식물종"을 자생종으로 정의하며, 자연 복원에는 기후 풍토에 맞는 자생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한다.[15] 농림축산식품부는 특정 외래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 방지 등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원래 그 지역에 자연 분포했던 생물"이나 "원래 일본 열도에 서식했던 생물들"을 자생종으로 설명한다.[16]2. 3. 농업 분야에서의 정의
농업 분야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재배되어 온 작물 중, 유전자 조작 등의 현대적인 품종 개량을 거치지 않은 품종을 자생종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는 F1 품종이나 재배 품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고정종이라고도 불린다.[18] 고정종은 "여러 세대에 걸쳐 선발, 도태되어 온 유전적으로 안정된 품종"[18]을 가리킨다.3. 생태
자생종은 다른 자생 식물, 동물, 곰팡이 등과 함께 군집을 이루고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식물 종은 특정 동물의 지속적인 상호주의적 상호 작용을 통해서만 번식할 수 있으며, 꽃가루 매개 동물 또한 해당 식물 종에 음식 공급원으로 의존할 수 있다.[4] 많은 종은 추운 기후나 빈번한 산불과 같은 매우 제한적이고 특이하거나 가혹한 조건에 적응해 왔다. 다른 종은 다양한 지역에서 살거나 다른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
고립된 섬의 토착 생물 군집은 외래종에 의해 궤멸되는 경우가 많다.
4. 인간의 영향과 개입
인류는 전례 없는 속도로 종을 전 세계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이는 토착종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이 재배를 위해 새로운 지역에 종을 도입하거나 사고로 운송하면서, 그중 일부는 침입종이 되어 토착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침입종은 생태계 구조, 기능, 종 풍부도 및 군집 구성을 변화시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이러한 종은 생태학적 피해 외에도 농업, 기반 시설 및 문화 자산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
4. 1. 한국의 상황
한국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자생종 서식지가 파괴되고 외래종이 유입되면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귀화 식물의 비율이 매우 높아, 오히려 토착종을 보려면 교외로 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습지나 늪 등 정수역(停水域)의 생물 군집에서 토착종이 대규모로 소멸하고 있는 사례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정부 기관과 환경 단체는 이러한 종을 해결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5][12]5. 보전 및 복원
생태 복원 협회, 자생 식물 협회,[6] 와일드 원스(Wild Ones), 레이디 버드 존슨 야생화 센터[7]와 같은 단체들이 자생 식물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자생 식물을 정원에 심는 것에 관한 많은 책들이 쓰여졌으며, 자생종에서 파생된 재배 품종의 사용은 자생 식물 옹호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되고 있다.[8]
5. 1. 보전에서의 자생종 중요성
경제 개발이나 기타 사건으로 인해 훼손된 자생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생태 복원 프로젝트는 역사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할 수 있으며, 생태형 정확성 또는 유형 변환에 거의 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수 있다.[9] 자생종의 역사적 분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프로젝트의 생태적 완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예를 들어, 엘 세군도 푸른 나비 ''(Euphilotes battoides allyni)''는 멸종 위기종이었으나, 침입종 캘리포니아 메밀 ''(Eriogonum fasciculatum)''이 제거되고 원래 자생 식물 숙주인 사구 메밀 ''(Eriogonum parvifolium)''이 복원되자 개체군이 회복되기 시작했다.[11]5. 2. 한국의 노력
정부는 자생종 보호 및 복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생태계 교란 생물 관리 종합 대책을 수립하여 외래종 관리 및 토착식물 보전에 힘쓰고 있다. 산림청은 산림 생태계 복원 사업을 통해 훼손된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고 자생종을 증식, 복원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자생 식물 심기 캠페인, 도입종 제거 활동 등을 통해 자생종 보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4대강 복원 사업과 같은 대규모 생태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자생종 복원 및 생물 다양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생태계 보전 노력이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13112
https://web.archive.[...]
2008-05-15
[2]
웹사이트
Introduced species
https://www.scienced[...]
2017-12-26
[3]
논문
Nativeness is not binary—a graduated terminology for native and non‐native species in the Anthropocene
https://onlinelibrar[...]
2022-03-03
[4]
논문
Native plant species show evolutionary responses to invasion by Parthenium hysterophorus in an African savanna
https://nph.onlineli[...]
2022
[5]
간행물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Drakes Estero, A Sheltered Wilderness Estuary
http://www.sealwatch[...]
National Park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6]
웹사이트
Native Plant Societies
http://nanps.org/nat[...]
nanps.org
2018-09-23
[7]
웹사이트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
http://www.wildflowe[...]
Wildflower.org
2012-07-09
[8]
웹사이트
"Nativars" Courtesy of Watermarkwoods.com
https://web.archive.[...]
2014-07-09
[9]
문서
Travis Longcore, Rudi Mattoni, Gordon Pratt, and Catherine Rich, "On the perils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the El Segundo blue butterfly", in press, for '2nd Interface Between Ecology and Land Development in California.' Occidental College, April 18-19, 1997 Online.
http://www.urbanwild[...]
[10]
웹사이트
Black, S. H., and D. M. Vaughan, "Species profile: Euphilotes battoides allyni, El Segundo Blue", 'Red List of Pollinator Insects of North America.' CD - ROM Version 1 (May 2005). Portland, OR: The Xerces Society for Invertebrate Conservation. (2005)
https://web.archive.[...]
2013-09-29
[11]
웹사이트
"California's butterflies: The El Segundo Blue", Quino Checkerspot Captive Breeding Program, Vista Murrieta High School. O line.
https://web.archive.[...]
2013-09-29
[12]
논문
外来生物法の概略
https://cir.nii.ac.j[...]
[13]
서적
外来種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14]
서적
外来生物事典
東京書籍
[15]
문서
환경성 >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 네트워크 > 환경아세스먼트용어집
http://www.env.go.jp[...]
[16]
문서
농림수산성 > 조직・정책 > 생산 > 조수피해대책코너 > 야생조수피해방지 매뉴얼-아라이구마, 누토리아, 쿈, 몽구스, 타이완리스(특정외래생물편)- > 제Ⅰ장 특정외래생물이란 무엇인가?
http://www.maff.go.j[...]
[17]
서적
생태학사전 증보개정판
築地書館
[18]
서적
종에서 종으로 잇다
創森社
[19]
문서
Executive Order 13112
https://web.archive.[...]
CEQ
1999
[20]
웹인용
Introduced species
https://www.scienced[...]
2017-12-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