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고자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고자산은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거나, 판매를 목적으로 현재 제조 중인 자산, 또는 판매를 위해 소비될 자산을 의미한다. 재고자산은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미착품, 소모품 등으로 분류되며,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정상적인 판매 목적 재고자산과 매매 목적 재고자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재고자산의 평가는 개별법, 선입선출법, 평균법, 원가환원법 등을 사용하며, 한국 법인세법에서는 원가법과 저가법 중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재고 자산 감모는 장부상 자산 수량 감소에 따른 재고자산의 감소를 의미하며, 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판관비, 영업외비용, 특별손실 등으로 분류된다. 재고자산의 회계처리는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규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정 과목 - 자본
    자본은 경제학에서 생산의 3요소 중 하나이며 회계학에서는 순자산을, 법학에서는 출자액을 의미하고, 잉여가치 창출 및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이다.
  • 계정 과목 - 매출액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로 얻은 수익을 나타내는 경영 지표로, 순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등으로 구분되며 손익계산서에 기록되어 재무상태 분석에 활용된다.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재고자산
개요
재고 관리 범주
재고 관리 범주
정의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생산 과정에 투입될 원자재, 재공품, 제품, 저장품 등의 자산
회계 처리자산으로 분류, 판매 시 비용으로 처리
유형별 분류
상품 (Merchandise inventory)외부에서 구매하여 재판매하는 상품
제품 (Finished goods inventory)제조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한 제품
재공품 (Work-in-process inventory)생산 과정 중에 있는 제품
원재료 (Raw materials inventory)제품 생산에 사용될 재료
저장품 (Supplies inventory)생산에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소모품
재고 관리
목적적정 재고 유지
재고 부족 방지
재고 과다 방지
방법경제적 주문량 (EOQ)
정기 발주 시스템
자재 소요 계획 (MRP)
재고 평가 방법
선입선출법 (FIFO)먼저 입고된 재고가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후입선출법 (LIFO)가장 최근에 입고된 재고가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가중평균법 (Weighted-average method)전체 재고의 평균 단가를 계산하여 적용
개별법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각 재고의 실제 원가를 추적하여 적용
참고
관련 항목재고 조사
재고 관리 시스템
물류
공급망 관리 (SCM)

2. 종류

재고자산은 그 성격과 보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재고자산은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미착품, 소모품 등으로 분류된다.[1] 재고액은 재고평가액과 동의어이다.[2]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재화/용역 (상품, 제품)
  • 판매를 목적으로 현재 제조 중인 재화/용역 (반제품, 시가품)
  • 판매 목적의 재화/용역 생산에 단기간 소비될 재화 (원재료, 저장품)
  • 판매 및 일반 관리 활동에서 단기간 소비될 재화 (소모품)
  • 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자산 (가공/판매가 아닌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이익 획득 목적, 예: 원재료/소매 상품으로 사용하지 않는 금괴)[3]


매매목적 재고자산은 성격상 매매목적 유가증권 취급에 준하여 처리된다.

2. 1. 일반적인 분류

재고자산은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미착품, 소모품 등으로 분류된다.

재고자산은 재고조사를 통해 잔액이 확정되는 비용성 자산이며, 재고액은 재고평가액과 동의어이다.[1][2]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재화/용역 (상품, 제품)
  • 판매를 목적으로 현재 제조 중인 재화/용역 (반제품, 시가품)
  • 판매 목적의 재화/용역 생산에 단기간 소비될 재화 (원재료, 저장품)
  • 판매 및 일반 관리 활동에서 단기간 소비될 재화 (소모품)
  • 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자산 (가공/판매가 아닌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이익 획득 목적, 예: 원재료/소매 상품으로 사용하지 않는 금괴)


매매목적 재고자산은 성격상 매매목적 유가증권 취급에 준하여 처리된다.[3]

2. 2. 기업회계기준 상의 분류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재고자산 분류를 정의하고 있다.

  • 정상적인 판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자산
  • 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자산


'''매매목적 재고자산'''은 가공이나 판매가 아닌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이익 획득(매매)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자산이다.[3] 예를 들어 원재료나 소매 상품으로 사용하지 않는 금괴를 들 수 있다.

본 자산은 그 성격상 매매목적 유가증권에 준하여 처리된다.

3. 평가

재고자산의 평가는 기업의 이익과 재무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고자산은 그 성격에 따라 평가 방법이 달라진다.


  • 매매 목적: 시가로 평가하며, 이는 금융상품 중 매매 목적 유가증권 회계에 준한다.[4]
  • 시장 판매 목적의 소프트웨어: 연구개발비 회계 기준에 준한다.[4]
  • 일반적인 판매 목적(상기 이외): 일반적인 평가 방법을 따른다.

3. 1. 평가 방법

대한민국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재고자산 평가 방법으로 다음을 제시하고 있다.[4]

재고자산 평가 방법
방법설명
개별법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각각의 재고자산에 개별적인 원가를 부여하여 평가.
선입선출법 (First-in, First-out method)먼저 매입한 재고자산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총평균법 (Weighted-Average method)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원가를 계산하여 재고자산을 평가.
이동평균법 (Moving-average method)재고자산을 매입할 때마다 평균 원가를 다시 계산.
매출원가환원법기말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원가를 추정.
매출원가환원평균원가법매출원가환원법의 일종으로, 평균 원가를 이용해 계산.
매출원가환원저가법매출원가환원법의 일종으로, 저가 기준을 적용.
최종매입원가법가장 마지막에 매입한 재고자산의 원가를 기준으로 평가 (중소기업 회계지침 및 회계요령에서 인정).


법인세법 상의 평가: 한국 법인세법에서는 원가법(취득가액 기준)과 저가법 중 선택 적용할 수 있다. 평가 방법을 선택하지 않거나 선택한 방법대로 평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매입원가법에 따른 원가법으로 평가한다.

3. 2. 평가 시 고려사항

재고자산 평가는 다음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 매매 목적: 시가 평가. 금융상품 중 매매 목적 유가증권 회계에 준한다.
  • 시장 판매 목적의 소프트웨어: 연구개발비 회계 기준에 준한다.
  • 일반적인 판매 목적(상기 이외): 아래 참조


개별법(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은 재고자산의 원가를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판매 목적으로 구입한 상품이 기말에 남았을 경우, 미리 기록해 둔 각 상품의 개별 구입 단가를 사용하여 매출원가(Cost of Goods Sold)와 기말재고자산(Ending Inventory)을 평가한다. 일종의 단품관리이다.

개별법은 계산이 지나치게 복잡해져 고가의 상품이 소수일 경우에만 사실상 사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별법은 이익 조작이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익 조작이란, 회사가 의도적으로 이익 금액을 변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실제보다 원가가 낮은 상품을 판매한 것으로 하면 매출원가가 줄어들어 이익을 크게 만들 수 있다. 반대로, 실제보다 원가가 높은 상품을 판매한 것으로 하면 매출원가가 늘어나 이익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각 기의 납세액을 의도적으로 변경하여 부당하게 세금을 탈루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외부에서 간파하기는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계산 예시

기초재고자산(Beginning Inventory)은 수량 200개, 500만이었다. 당기매입(Purchases)은 6월 20일에 2만짜리 200개, 10월 18일에 2.9만짜리 250개를 구입하여 총 1125만이었다.

(2만×200+2.9만×250=1125만)

매출은 400개이며, 판매된 상품의 구입 당시 기록을 조사해보니 6월 20일에 2만짜리 200개, 10월 18일에 2.9만짜리 200개였다.

'''매출원가''' 2만×200+2.9만×200=980.0000000000001만

'''기말재고자산''' =기초재고자산+매입-매출원가

=500만+1125만-980.0000000000001만

=645만

수량
기초재고자산200
400매출원가
매입450
250기말재고자산



금액
기초재고자산500만
980.0000000000001만매출원가
매입1125만
645만기말재고자산


4. 재고자산 감모

'''재고자산 감모'''는 장부상 자산 수량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재고자산의 손실을 의미한다. inventory depletion|인벤토리 디플리션영어이라고도 한다. 실제 재고 조사를 통해 자산 수량을 파악하여 인식한다.

4. 1. 재고자산 감모손실

재고자산 감모손실은 재고자산 감모에 대응하는 계정과목이다. '재고자산 감모비'라고도 불린다.

손익계산서에서 재고자산 감모손실은 그 성격(예: 원가성·영업성)에 따라 매출원가, 판관비, 영업외비용, 특별손실 중 하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잘못된 주문으로 인한 식품 로스는 주문량에 비례하여 불가피하게 발생하므로 원가성이 있으며 매출원가에 계상될 수 있고, 태풍으로 인한 창고 붕괴로 재고가 전멸한 경우에는 영업과 무관하게 발생한 사건으로 인한 큰 손실이므로 특별손실에 계상될 수 있다.

5. 회계기준

한국에서의 재고자산 회계처리는 '''기업회계기준 제9호 「재고자산의 평가에 관한 회계기준」'''에 따라 규정된다.

참조

[1] 간행물 連続意見書四 大蔵省企業会計審議会 1962-08-07
[2] 웹사이트 棚卸資産とは?棚卸資産の評価方法と実地棚卸の実務 https://keiriplus.jp[...] 2022-03-10
[3] 논문 企業会計基準第 9 号 棚卸資産の評価に関する会計基準 https://www.asb.or.j[...] 企業会計基準委員会 2020-03-31
[4] 문서 後入先出法廃止 2008-09-26
[5] 문서 300社以上
[6] 서적 決算開示トレンド平成17年版 日本公認会計士協会 2008-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