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본은 경제학에서 생산의 밑거름이 되는 부나 생산 수단을 의미하며, 회계학에서는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 즉 순자산 또는 자기자본을 뜻한다. 경제학에서는 토지, 노동과 함께 생산 요소로 간주되며, 금융 자본, 물적 자본, 인적 자본 등으로 분류된다.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잉여가치를 발생시키는 가치의 운동체로 정의하며, 산업 자본, 상업 자본, 이자 생성 자본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법학에서는 주식회사 설립 시 주주들이 출자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액수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본 - 금융자본
금융자본은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세 가지 개념으로 정의되며, 기업의 순자산 또는 자본금과 동의어이고, 자본 시장과 금융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거래되며, 주주와 사채권자의 권리와 이익, 자본 유형, 금융 상품의 역할, 중앙은행 정책, 사회 가치 체계 등과 연결된다. - 자본 - 사회 자본
사회 자본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관계망을 통해 얻는 유·무형 자원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미시경제학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경제학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 계정 과목 - 매출액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로 얻은 수익을 나타내는 경영 지표로, 순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등으로 구분되며 손익계산서에 기록되어 재무상태 분석에 활용된다. - 계정 과목 - 자기주식
자기주식이란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다시 취득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상법은 취득 가능 경우를 제한하며, 의결권이 없고 발행주식총수에도 산입되지 않으며,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회계상 자본 감소로 처리된다.
자본 | |
---|---|
기본 정보 | |
설명 | 재화나 용역 생산에 사용되는 내구재 |
구분 | 생산 요소 생산 수단 |
유형별 분류 | |
금융 자본 | 금융 자산의 형태로 존재하며, 생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음 |
경제 자본 |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자본재를 의미 |
역사적 관점 | |
마르크스 경제학 | 자본은 착취를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생산 관계를 의미 자본가 계급은 노동자 계급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이윤을 축적함 상품 생산과 화폐 유통의 체계 안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 관계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적인 생산 양식 |
경제학 관점 | |
자본의 역할 | 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인 투입 요소 기술 발전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 |
자본 축적 |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 |
자본의 형태 | 기계, 설비, 건물 등의 유형 자산 특허, 상표권 등의 무형 자산 |
인적 자본 | 노동자의 기술, 지식, 경험을 포함하는 자본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 |
사회적 자본 |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 네트워크, 규범 등을 포함하는 자본 경제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 |
자본의 종류 | |
고정 자본 | 건물, 설비, 기계 등 장기간 사용되는 자산 감가상각의 대상 |
유동 자본 | 원자재, 반제품 등 단기간 사용되는 자산 생산 과정에서 소모됨 |
자본과 관련된 다른 개념 | |
자본재 | 생산에 사용되는 내구재 |
자본 시장 | 자금 조달이 이루어지는 시장 |
자본 이득 | 자산 가치 상승으로 발생하는 이익 |
자본 유출 | 자금이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현상 |
추가 정보 | |
주의 | 자본은 단순히 돈이 아니라 생산에 사용되는 자원을 의미 생산 관계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 |
2. 경제학에서의 자본
경제학에서 '''자본'''은 축적된 부, 즉 많은 양의 화폐나 토지, 공장과 같이 생산의 밑거름이 되는 생산 수단을 말한다. 또, 자본은 더 많은 돈(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부(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23]
자본은 순환 과정에서 화폐자본, 생산자본, 상품자본의 세 가지 형태를 취하는데, 그 자체로는 독립된 자본이 아니다. 화폐자본은 생산 과정에 들어가기 전 유통 과정에서 화폐 형태로 존재하며, 생산 수단이나 노동력을 구매하는데 사용된다. 생산자본은 화폐자본이 생산 요소로 전환된 형태이며, 상품자본은 생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상품 형태이다. 이들은 다시 유통 과정에서 더 큰 화폐자본으로 회수된다.[24]
고전 경제학과 신고전 경제학에서는 자본을 토지, 노동과 함께 생산 요소 중 하나로 설명한다. 고전 경제학에서 생산에 투입되는 다른 모든 요소는 무형 자산으로 분류되며, 여기에는 조직, 기업가 정신, 지식, 영업권 또는 경영(일부는 재능, 사회적 자본 또는 교육 자본으로 특징지어짐)이 포함된다.
자본재는 일반적으로 많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독특한 자본 집약적인 제품으로, 제조 시스템이나 서비스 자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손도구, 공작 기계, 데이터센터, 석유 시추 장치, 반도체 제조 공장, 풍력 터빈 등이 있다. 이러한 자본재의 생산은 여러 당사자가 네트워크에서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구성되기도 한다.[12][11]
자본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산 요소이다.
- 원자재나 중간재와 달리 생산 과정에서 즉시 소모되지 않는다. (단, 감가상각비는 예외)
- 토지나 비재생 자원과 달리 생산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현대 경제 이론으로 이어졌다.[8][9] 애덤 스미스는 자본을 재고(stock)로 보았으며, 그 가치는 특정 시점에 추정될 수 있다. 반면, 자본 재고에 추가되는 생산인 투자는 시간 경과에 따라(연간) 발생하는 흐름(flow)으로 설명된다.
1960년대 이후 경제학자들은 인적 자본, 지식 자본, 지적 자본 등 더 넓은 범위의 자본 형태에 주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술 및 교육에 대한 투자는 인적 자본이나 지식 자본을, 지적 재산에 대한 투자는 지적 자본을 축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본재의 수명 주기는 일반적으로 입찰, 엔지니어링 및 조달, 제조, 시운전, 유지 보수, 그리고 때로는 폐기로 이어진다.[10][11][12][13] 자본재는 기술 혁신 과정에서 주요 요소이며,[14] 경제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2. 1. 자본의 종류
경제학에서 자본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축적된 부, 즉 많은 양의 화폐나 생산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자본은 더 많은 돈(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부(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자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자기자본: 기본자본과 부가자본을 합한 것으로, 법률(상법)상의 자본금에 해당한다.
- 타인자본 (외래자본): 장기차입금의 일부는 상법에서 사채로 규정하고 있다.[23]
- 화폐자본: 생산 과정에 들어가기 전 유통 과정에서 화폐 형태로 존재하는 자본이다. 이것으로 생산수단이나 노동력을 구매한다.[24]
- 생산자본: 화폐자본이 생산 요소로 전환된 형태이다.[24]
- 상품자본: 생산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상품 형태의 자본이다.[24]
고전 경제학과 신고전 경제학에서는 자본을 생산 요소(토지, 노동과 함께) 중 하나로 설명한다.
- 자본재: 생산에 사용되는 도구, 건물, 차량과 같은 물리적 항목이다. 1960년대 이후 경제학자들은 더 광범위한 형태의 자본에 주목하고 있다.
- 인적 자본/지식 자본: 기술 및 교육에 대한 투자를 통해 축적된다.
- 지적 자본: 지적 재산에 대한 투자를 통해 축적된다.
- 자연 자본: 지질, 토양, 공기, 물, 모든 생물 등 세계 천연 자원 재고이다.
자본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산 요소이다.
- 원자재나 중간재와 달리 생산 과정에서 즉시 소모되지 않는다. (단, 감가상각비는 예외)
- 토지와 비재생 자원과 달리 생산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자본재의 수명 주기는 일반적으로 입찰, 엔지니어링 및 조달, 제조, 시운전, 유지 보수, 폐기 순서로 이어진다.[10][11][12][13]
이론적 또는 응용적 용도에서 사용되는 자본의 세부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금융 자본: 채무를 나타내며, 무역을 위한 자금으로 현금화되고 법인이 소유한다.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본 자산의 형태를 가지며, 시장 가치는 투자된 자금의 과거 누적액이 아닌 시장의 예상 수익과 위험에 대한 인식에 기반한다.
- 사회 자본: 민간 기업에서는 부분적으로 기업가치 또는 브랜드 가치로 포착되지만, 인간 관계 사이의 더 일반적인 개념으로서 금전적 보상과 같은 동기를 부여하는 화폐적 가치를 지닌다.
- 교육 자본: 개인이나 사회적 관계에 내재하지 않고 이전될 수 있는 교육 및 지식 전달의 측면으로 정의된다. 지식 또는 지적 자본과 유사한 개념을 설명하지만, 학문적 정의처럼 엄격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며 널리 합의된 회계 처리 방법이 없다.
- 인적 자본: 사회적, 교육적, 개인적 인간 재능을 결합한 광범위한 용어이다. 기술 경제학에서는 경제 자본만큼 인적 자본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균형 성장"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공공 자본: 불분명하거나 제대로 집계되지 않는 방식으로 생산을 지원하는 물리적 자본으로 간주되는 인프라를 특징짓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이다. 고속도로, 철도, 공항, 수처리 시설, 통신, 전력망, 에너지 시설, 시립 건물, 공공 병원 및 학교, 경찰, 소방, 법원 등 민간 산업 생산성 증진에 사용되는 정부 소유 자산의 총합을 포함한다.
- 자연 또는 생태 자본: 지질, 토양, 공기, 물 및 모든 생물을 포함하는 세계의 천연 자원 재고이다. 일부 자연 자본 자산은 사람들에게 무료 상품과 서비스(종종 생태계 서비스라고 함)를 제공한다.
자연 자본과 사회 자본은 전통적인 산업 인프라 자본과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며, 자체적으로 다른 유형의 자본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지적 자본과 지적 재산권에 대한 문헌도 존재하며, 자본 투자 수단과 특허, 저작권(창의적 또는 개인 자본), 상표(사회적 신뢰 또는 사회 자본) 도구에 대한 잠재적 보상의 수집을 구분한다.
칼 마르크스는 가변자본과 불변자본을 구분했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가변자본은 노동력에 대한 자본가의 투자를 의미하며, 잉여가치의 유일한 원천으로 간주된다. 불변자본은 공장 및 기계와 같은 비인간적 생산 요소에 대한 투자를 의미한다.
인적 자본 이론은 인적 자본이 구별되는 사회적, 모방적, 창의적 요소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 사회 자본은 경제 내 개인 간의 신뢰할 수 있는 관계망의 가치이다.
- 개인 자본은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으며 사회에 의해 보호되고 노동을 신뢰 또는 돈과 교환하는 것이다.
- 학문적 의미에서의 교육 자본은 개인 또는 그들 사이의 사회적 유대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주류 경제학에서 자본은 토지와 노동과 함께 '''생산요소'''의 하나이다.[21] 자본은 공장이나 기계 등의 고정자본과 원재료·재고품·출하 전 제품 등의 유동자본으로 구성된다.[21]
자본은 많은 경우 금융자본, 물적 자본, 인적 자본(휴먼 캐피탈)의 세 가지로 나뉜다.
2. 2. 자본의 중요성
고전 경제학과 신고전 경제학에서 자본은 토지, 노동과 더불어 생산의 세 가지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된다.[21] 자본은 생산 과정에 투입되어 다른 재화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을 의미한다.자본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원자재나 중간재와 달리 생산 과정에서 즉시 소모되지 않는다. (단, 감가상각비는 예외적으로 중간재처럼 사업 비용으로 처리된다.)
- 토지나 비재생 자원과 달리 생산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현대 경제 이론의 발전으로 이어졌다.[8][9] 애덤 스미스는 자본을 재고(stock)로 명확히 정의했으며, 따라서 그 가치는 특정 시점에 추정될 수 있다. 반면, 자본 재고에 추가되는 생산인 투자는 시간 경과에 따라(연간) 발생하는 흐름(flow)으로 설명된다.
1960년대 이후 경제학자들은 인적 자본, 지식 자본, 지적 자본, 자연 자본 등 더 넓은 범위의 자본 형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자본재는 기술 혁신의 주요 요소이며,[14] 경제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사람들은 다른 재화를 생산하기 위한 정적인 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본재를 구매하는 반면, 소비재는 소비를 위해 구매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개인용으로 구매하면 소비재이지만, 덤프트럭은 건설에 사용되므로 자본재이다.
자본재는 기업이 상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생산 설비와 자재가 매우 비싼 산업에서는 자본재가 신규 기업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자본재는 생산자를 대신하여 상당한 투자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구매는 일반적으로 자본 지출로 간주된다. 이러한 재화는 고객을 위한 기능적인 재화를 생산하거나 소비자에게 귀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기업에 중요하다.
주류 경제학에서 자본은 토지, 노동과 함께 생산 요소 중 하나이다.[21] 과거의 생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생산 수단의 스톡(stock)이며, 공장이나 기계 등의 고정 자본과 원재료, 재고품, 출하 전 제품 등의 유동 자본으로 구성된다.[21] 자본 축적을 통해 생산 활동을 확대할 수 있다.
자본은 금융 자본(주식, 채권 등), 물적 자본(건물, 설비 등), 인적 자본(노동자의 교육 수준, 건강 상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3. 비물질적 자본
자본재는 지적 재산권의 형태를 취할 때 무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많은 생산 과정은 제품을 (합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지적 재산권을 필요로 한다. 유형 자본재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투자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각, 감가상각 및 자산 매각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2. 4. 다양한 자본 개념
경제학에서 '''자본'''(資本, capital)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개념인데, 일반적으로는 축적된 부, 즉 많은 양의 화폐나, 토지·공장과 같이 생산의 밑거름이 되는 생산 수단을 말한다. 경제학 상의 자본에는 기본자본 · 부가자본(기본자본과 부가자본을 합하여 자기자본이라 함) 및 외래자본(타인자본)이 있다. 이 중에서 법률(상법)상의 자본금에 해당하는 개념은 자기자본(순자산)만이다.[23] 부가자본은 대한민국 상법에서 준비금으로 규정하고 있으며(대한민국 상법 458조~461조), 외래자본 중 장기차입금의 일부는 상법에서 사채(社債)로 규정하고 있다(상 469조~516조의10).[23]자본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 금융 자본: 채무를 나타내며, 무역을 위한 자금으로 현금화되고 법인이 소유한다.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본 자산의 형태를 가지며, 시장 가치는 투자된 자금의 과거 누적액이 아닌 시장의 예상 수익과 위험에 대한 인식에 기반한다.
- 사회 자본: 민간 기업에서는 부분적으로 기업가치 또는 브랜드 가치로 포착되지만, 인간 관계 사이의 더 일반적인 개념으로서 금전적 보상과 같은 동기를 부여하는 화폐적 가치를 지닌다.
- 교육 자본: 학계에서 개인이나 사회적 관계에 내재하지 않고 이전될 수 있는 교육 및 지식 전달의 측면으로 정의되었다. 다양한 이론에서 지식 또는 지적 자본과 같은 이름을 사용하여 유사한 개념을 설명하지만, 학문적 정의처럼 엄격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며 널리 합의된 회계 처리 방법이 없다.
- 인적 자본: 사회적, 교육적, 개인적 인간 재능을 결합한 광범위한 용어다. 기술 경제학에서는 경제 자본만큼 인적 자본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균형 성장"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공공 자본: 불분명하거나 제대로 집계되지 않는 방식으로 생산을 지원하는 물리적 자본으로 간주되는 인프라를 특징짓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다. 고속도로, 철도, 공항, 수처리 시설, 통신, 전력망, 에너지 시설, 시립 건물, 공공 병원 및 학교, 경찰, 소방, 법원 등 민간 산업 생산성 증진에 사용되는 정부 소유 자산의 총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산의 많은 부분이 공공 또는 민간 소유일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용어다.
- 자연 또는 생태 자본: 지질, 토양, 공기, 물 및 모든 생물을 포함하는 세계의 천연 자원 재고다. 일부 자연 자본 자산은 사람들에게 무료 상품과 서비스(종종 생태계 서비스라고 함)를 제공한다. 이 중 두 가지(깨끗한 물과 비옥한 토양)는 우리의 경제와 사회를 뒷받침하고 인간의 삶을 가능하게 한다.
자연 자본과 사회 자본은 전통적인 산업 인프라 자본과 매우 유사하게 기능한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의 자본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특히, 다른 상품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생산 과정에서 즉시 소모되지 않으며, 인간의 노력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지적 자본과 지적 재산권에 대한 문헌도 존재한다. 이는 자본 투자 수단과 특허, 저작권(창의적 또는 개인 자본), 상표(사회적 신뢰 또는 사회 자본) 도구에 대한 잠재적 보상의 수집을 구분한다.
인적 자본 이론은 인적 자본이 구별되는 사회적, 모방적, 창의적 요소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 사회 자본은 경제 내 개인 간의 신뢰할 수 있는 관계망의 가치다.
- 개인 자본은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으며 사회에 의해 보호되고 노동을 신뢰 또는 돈과 교환하는 것이다.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으로는 "재능", "창의력", "리더십", "훈련된 신체" 등이 있다. 전통적인 경제 분석에서 개인 자본은 일반적으로 ''노동''이라고 한다.
- 학문적 의미에서의 교육 자본은 개인 또는 그들 사이의 사회적 유대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이 이론은 트리플 바텀 라인 회계의 기초이며 생태 경제학, 후생 경제학 및 다양한 녹색 경제학 이론에서 더욱 발전되었다.
일반적인 용법으로는 사업 활동을 위한 '''자본금'''을 의미한다.[21] 비유적으로 일이나 생활을 유지해 나가기 위한 수입, 또는 그 근원이 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21] 예를 들어 "장사를 시작하기 위해 장사 자본을 모은다", "샐러리맨은 몸이 자본이다" 등이 있다.[21]
주류 경제학에서 자본은 토지와 노동과 함께 '''생산요소'''의 하나이다.[21] 과거의 생산 활동이 만들어낸 생산 수단의 스톡(stock)이며, 공장이나 기계 등의 고정자본과 원재료·재고품·출하 전 제품 등의 유동자본으로 구성된다.[21] 자본의 축적에 의해 생산 활동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자본은 많은 경우, 다음의 세 가지로 나뉜다.
종류 | 설명 |
---|---|
금융자본 | 주식과 채권 등 |
물적 자본 | 건물과 설비 등 |
인적 자본(휴먼 캐피탈) | 노동자의 교육 수준과 건강 상태 등 |
회계학에서 자본은 문맥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3. 회계학에서의 자본
이처럼 회계학에서 자본은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되므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3. 1. 자본의 분류
자본은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을 말하며, 순자산 또는 자기자본이라고도 한다.[25]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에는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리는 것(부채)과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발행하는 것(자본)이 있다.[26] 일반적으로 채권자지분(부채)는 타인자본, 주주지분(자본)은 자기자본 또는 소유주지분이라고 한다. 회계등식으로는 '자본 = 자산 - 부채'로 표현된다.[27]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자본에 표시된 비지배지분, 지배기업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납입자본과 적립금 등을 언급하고 있으며, 납입자본과 적립금은 다시 납입자본, 주식발행초과금, 적립금 등으로 세분화된다.[28]
자본은 법률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성격 | 일반기업회계기준[31][32] | 세부 계정 |
---|---|---|
납입자본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잉여금(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등) | |
기타자본요소 | 자본조정 | ①차감계정: 자기주식, 감자차손, 자기주식처분손실, 주식할인발행차금, 배당건설이자 ②가산계정: 미교부주식배당금, 출자전환채무, 주식매수선택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재평가잉여금, 해외사업환산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파생상품평가손익 등 | |
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 | ①일반적립금(기처분이익잉여금): 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②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은 자본거래(기업과 소유주 간 거래)에 해당하고, 기타포괄손익누계액과 이익잉여금은 손익거래(자본거래를 제외한 거래)에 해당한다.[33]
4. 법학에서의 자본
상법학에서 자본 또는 자본금(stated capital영어, Grundkapitalde)은 주식회사 등의 기업을 설립할 때 투자자, 즉 주주들이 출자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일정한 액수를 말한다.
자본금은 주식회사의 영업을 위해 주주가 출자한 기금의 전부 또는 중요 부분을 나타내는 금액이다. 자본의 금액은 등기 또는 대차대조표에 의해 공시된다.[21]
5. 마르크스 경제학에서의 자본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자본은 잉여가치를 발생시켜 스스로 증식하는 가치의 운동체로 정의된다.[21]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은 주체로서 재생산을 반복하며 사회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자본은 크게 현실자본(기능자본)과 이자생성자본으로 분류된다. 현실자본은 다시 산업자본과 상업자본 등으로 나뉜다.
5. 1. 현실 자본 (기능 자본)
고전 경제학과 신고전 경제학에서 자본은 토지, 노동과 함께 생산의 3요소 중 하나이다. 조직, 기업가 정신, 지식, 영업권, 경영(일부는 재능, 사회적 자본, 교육 자본으로 특징지음) 등은 무형 자산으로 분류된다.[12][11]자본재는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자본 집약적인 제품으로, 제조 시스템이나 서비스 자체로 사용된다. 손도구, 공작 기계, 데이터센터, 석유 시추 장치, 반도체 제조 공장, 풍력 터빈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자본재 생산은 종종 여러 당사자가 협력하는 프로젝트 형태로 이루어진다.[12][11]
자본재가 생산 요소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원자재나 중간재와 달리 생산 과정에서 즉시 소모되지 않는다. (단, 감가상각비는 예외적으로 중간재처럼 사업 비용으로 처리된다.)
- 토지나 비재생 자원과 달리 생산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현대 경제 이론으로 이어졌다.[8][9] 애덤 스미스는 자본을 특정 시점에 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재고로 보았고, 투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흐름으로 설명했다.
1960년대 이후 경제학자들은 인적 자본, 지식 자본, 지적 자본, 자연 자본 등 더 넓은 범위의 자본 형태에 주목하고 있다.
자본재의 수명 주기는 보통 입찰, 엔지니어링 및 조달, 제조, 시운전, 유지 보수, 폐기 순으로 진행된다.[10][11][12][13]
자본재는 기술 혁신의 핵심 요소이다.[14] 나탄 로젠버그(Nathan Rosenberg)는 "모든 혁신은 새로운 제품 도입이든, 기존 제품을 더 저렴하게 생산하는 방법이든, 자본재 부문이 특정 사양에 따라 새로운 제품(기계 또는 공장)을 생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자본재는 자본 자산 재고 또는 고정 자본의 구성 요소이며, 성장, 생산, 소득 분배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5. 1. 1. 산업 자본
산업자본은 생산 과정에서 잉여가치를 창출하여 증식하는 자본으로, 제조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자본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변화한다.[15]- 화폐자본: 화폐 형태의 자본이다.
- 생산자본: 공장 시설 등 생산 수단이나 노동력 형태의 자본이다. 생산 수단과 노동력이 결합하여 생산 과정이 만들어지고 잉여가치가 발생한다.
- 상품자본: 생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상품 형태의 자본이다.
이 세 종류의 자본은 순환 과정을 거친다. 먼저 화폐자본으로 공장이나 노동력과 같은 생산자본을 구입하고, 생산자본으로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함으로써 다시 화폐를 얻는다. 즉, 화폐자본 → 생산자본 → 상품자본 → 화폐자본으로 순환한다. 이를 자본의 순환이라고 하며, 순환이 끝나 원래의 자본 형태로 돌아올 때까지의 과정을 자본의 회전이라고 한다. 이 순환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초기 투자가 회수되고 자본은 증식한다.[15]
생산 과정에서 가치가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본은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나뉜다.[15]
- 가변자본: 노동력을 구입하는 데 사용되는 자본이다. 노동력은 생산 과정에서 잉여가치를 창출하므로 가치가 변한다고 본다.
- 불변자본: 공장, 원재료비, 기계 등 생산 수단을 구입하는 데 사용되는 자본이다. 이러한 것들의 생산에 투입된 노동은 생산 시점에서 이미 종료되었으므로 "죽은 노동"으로 간주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5. 1. 2. 상업 자본
상업 자본은 산업 자본이 생산한 상품 자본의 유통을 매개하는 행위 자체를 상품으로 함으로써 이윤을 얻는 자본이다. 소매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5. 1. 3. 상인 자본
무역상인이 공간적인 가치 체계의 차이에서 잉여 가치를 창출하는 자본 형태이다(마르크스, 우노 히로쿠니, 가타야마 기요토는 산업 자본의 전구체로서 이에 주목했다[22]). 예를 들어, 온난 지역에서는 바나나가 구하기 쉽고 흔하기 때문에 저렴하지만, 한랭 지역에서는 귀하다. 온난 지대에서 싸게 사서 한랭 지대에서 비싸게 팔면, 불평등 교환이 아니더라도 상인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5. 2. 이자 생성 자본
이자를 낳는 자본이란, 자금 자체를 자본가에게 대여함으로써 이자를 매개로 이윤을 얻는 형태의 자본이다. 이자를 낳는 자본의 예로는 금융기관이나 투자펀드 등이 있다.이자를 낳는 자본은 어떠한 상품(물건·서비스)도 생산하지 않는 형태의 자본이며, 그 존재는 산업자본에 의존하는 것이다.
6. 전기적 자본
근대 자본주의(der Moderne Kapitalismus|현대 자본주의de, modern capitalism영어) 이전의 여러 경제에서, 자본이 되기 이전의 원자본을 전기적 자본(vorsintflutliche Kapital|de)이라고 한다. 직역하면 "노아의 대홍수 이전의 자본"이라는 의미이며, 원자본으로서 자본은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했다는 뜻이다. 근대 산업 자본(근대 자본주의의 자본)과 대비되는 용어이다. 전기적 자본은 상품 유통과 화폐 유통만 있으면 존립할 수 있었으나, 시장 관계가 미성숙하여 비합리성과 우연성을 띄었다. 따라서 투기적인 이데올로기(상략·기만·폭력)를 통해 거액을 얻는 것도 가능했다. 근대 자본주의와 달리 근면, 성실, 정직, 신용, 목적 합리적 경영, 성장을 위한 투자와 같은 원칙은 없었다.[1]
6. 1. 근대 자본주의로의 발전
근대 자본주의 이전의 경제에서, 자본이 되기 이전의 원자본은 전기적 자본(vorsintflutliche Kpapital)이라고 불렸다. 이는 "노아의 대홍수 이전의 자본"이라는 뜻으로, 원자본으로서의 자본이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전기적 자본은 상품 및 화폐 유통만 있으면 존립할 수 있었지만, 시장 관계가 미성숙하여 비합리성과 우연성이 컸다. 근대 자본주의와 달리 근면, 성실, 정직, 신용 등의 원칙은 없었다.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르도 등 영국 고전파와 칼 마르크스는 기술 진보, 자본 축적, 상업 발달이 이루어지면 자동적으로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막스 베버는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어도 근대 자본주의가 발생하지 않은 사례들을 발견하고, 근대 자본주의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4가지 조건, 즉 '자본주의 정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막스 베버가 제시한 4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이윤 추구를 정상적인 것으로 여기는 정신: 전기적 자본에서는 이윤 추구가 윤리적으로 악으로 간주되었지만, 근대 자본주의에서는 근면, 정직, 신용과 같은 미덕을 통해 얻은 이윤을 긍정적으로 본다.
2. 목적 합리성: 종교 의식이나 전통주의를 벗어나 복식부기, 자본주의 시장 법칙, 근대 과학적 발상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3. 노동을 존중하는 정신: 노동을 통해 인간의 가치가 결정되며, 이웃을 위해 금욕적으로 일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4. "시간은 화폐이며, 화폐는 신용이며, 신용은 태도이다":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신용을 통해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채권자에게 좋은 태도를 보여 신용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막스 베버는 이러한 정신 개혁을 촉진한 것이 기독교, 특히 프로테스탄트라고 보았다. 야마모토 시치페이는 일본인의 높은 노동 도덕을 지탱한 종교로 선종을 언급하기도 했다.
코무로 나오키는 일본 신화에서 아마테라스오미카미 등이 스스로 노동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일본인의 높은 노동 도덕은 일본 신화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아사미 케이사이, 야마자키 안사이, 야마가 소코 등의 사상이 메이지 유신과 일본 자본주의,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참조
[1]
서적
Economics
McGraw-Hill
[2]
서적
Economics
McGraw-Hill
[3]
간행물
Managing innovation in complex product systems (CoPS)
IEE Colloquium on EPSRC Technology Management Initiative (Engineering &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4]
백과사전
capital goods
https://link.springe[...]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5]
서적
Economics
McGraw-Hill
[6]
서적
Grunddragen i kritiken av den politska ekonomin i urval av Sven-Eric Liedman
[7]
웹사이트
Capital and interest
https://www.britanni[...]
2017-07-22
[8]
서적
Economics
[9]
웹사이트
Capital (capital goods, capital equipment)
http://www-personal.[...]
[10]
논문
An enhanced approach for implementing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i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11]
논문
An analysis of company structure and business processes in the capital goods industry in the UK
[12]
논문
Product complexity, innovation, and industrial organization and Engineering changes during the service phase
[13]
논문
Managing design variety, process variety, and engineering change: a case study of two capital good firms
[14]
논문
Capital goods, technology, and economic growth
[15]
웹사이트
The measurement of economic depreciation
http://econweb.umd.e[...]
Urban Institute
[16]
논문
EconomicJournal
[17]
서적
Culinary capital
https://www.worldcat[...]
Berg
[18]
웹사이트
Progress and Poverty, Chapter 2
http://www.henrygeor[...]
Bob Drake
2017-07-22
[19]
서적
Enterprise and Secular Change: Readings in Economic History
https://archive.org/[...]
R. D. Irwin
[20]
서적
Capital as Power: A Study of Order and Creorder
Routledge
[21]
사전
大辞林
三省堂
[22]
서적
「世界史の構造」を読む
インスクリプト刊
[23]
서적
상법강의(상)
박영사
[24]
웹인용
화폐자본
[25]
서적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26]
서적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27]
서적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28]
웹인용
K-IFRS 제1001호(재무제표 표시)
http://www.samili.co[...]
[29]
서적
2015 K-IFRS 재무회계
삼일인포마인
[30]
서적
IFRS 중급회계
경문사
[31]
서적
IFRS 중급회계
경문사
[32]
서적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33]
서적
IFRS 중급회계
경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