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적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운은 대기 대류를 통해 형성되는 구름의 한 종류이다. 표면이 따뜻해진 공기가 상승하면서 온도가 떨어지고 상대 습도가 높아져 수증기가 응축되어 특징적인 뭉게뭉게한 모양을 갖는다. 적운은 낮적운, 중적운, 탑상적운, 파편적운으로 구분되며, 갓, 베일, 버가, 강수, 아커스, 파누스, 토바 등의 부가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적운은 층적운, 고적운, 권적운, 적란운 등 다른 구름들과 관련이 있으며, 화재나 화산 분화,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름 - 모루구름
    모루구름은 적란운이 상승 기류를 타고 대류권 계면에 도달하여 옆으로 퍼지면서 형성되는 구름으로, 뇌우, 우박, 폭우, 강풍, 토네이도 등의 위험 기상 현상을 동반하며, 뇌우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 구름 - 버섯 구름
    버섯 구름은 대규모 폭발, 특히 핵폭발 시 고온 기체가 상승하며 주변 공기를 끌어당겨 형성되는 특징적인 구름 형태로, 핵무기의 파괴력을 상징하며 화산 폭발 시에도 유사한 형태가 나타난다.
적운
구름 정보
속명적운 (堆積雲)
약어Cu
기호[[파일:CL 1.png|CL1]]
[[파일:CL 2.png|CL2]]
[[파일:CL 7.png|CL7]]
[[파일:CL 8.png|CL8]]
Fractus (해면운)
Humilis (층적운)
Mediocris (중적운)
Congestus (웅대적운)
변종Radiatuse (방사상운)
고도200 ~ 2,000m
낮음
외형낮고 솜과 같은 뭉게구름 형태
강수드물게 , , 또는 싸락눈
두께알 수 없음
빙정 함량알 수 없음

2. 형성

콩고강 분지 상공에 형성된 적운


적운은 표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상승하면서 대기 대류를 통해 형성된다.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져(온도 감률에 따라), 상대 습도(RH)가 상승한다. 대류가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RH는 100%에 도달하고 "습윤 단열" 단계가 시작된다. 이 시점에서 정(+)의 피드백이 발생한다. RH가 100%를 초과하므로 수증기가 응축되어 잠열을 방출하고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추가적인 대류를 촉진한다.

이 단계에서 수증기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핵에 응축되어 적운을 형성한다. 이것은 적운과 관련된 특징적인 평평한 바닥과 뭉게뭉게한 모양을 만든다.[3][4] 구름의 높이(바닥에서 꼭대기까지)는 대기의 온도 프로파일과 역전의 존재에 따라 달라진다.[5] 대류 과정에서 주변 공기가 열기둥과 동화 (혼합)되어 상승하는 공기의 전체 질량이 증가한다.[6]

비는 적운 내에서 두 개의 비연속적 단계를 포함하는 구름 물리학을 통해 형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액적이 다양한 핵에 합쳐진 후에 발생한다. 랭뮤어(Langmuir)는 물방울의 표면 장력이 액적에 약간 더 높은 압력을 제공하여 증기압을 약간 높인다고 기술했다. 증가된 압력은 이러한 액적을 증발시키고, 그 결과 발생한 수증기는 더 큰 액적에 응축된다. 증발하는 물방울의 극도로 작은 크기로 인해, 이 과정은 더 큰 액적이 약 20~30 마이크로미터까지 자란 후에는 대부분 의미가 없어지고 두 번째 단계가 시작된다.[6] 부착 단계에서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다른 액적이 충돌하여 결합하여 빗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랭뮤어는 액적의 반경이 특정 기간 내에 무한정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공식을 개발할 수 있었다.[7][8]

2. 1. 형성 과정

적운은 주로 표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상승하면서 대기 대류를 통해 형성된다.[60]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지고(온도 감률에 따라), 상대 습도(RH)가 상승한다. 대류가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RH는 100%에 도달하고 "습윤 단열" 단계가 시작된다. 이 시점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잠열을 방출하고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추가적인 대류를 촉진한다.[3][4]

수증기는 공기 중의 다양한 핵에 응축되어 적운을 형성하며, 이것은 적운과 관련된 특징적인 평평한 바닥과 뭉게뭉게한 모양을 만든다.[3][4] 구름의 높이는 대기의 온도 프로파일과 역전의 존재에 따라 달라진다.[5]

적운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는 주로 다음 세 가지가 있다.[60]

  • 일사 가열: 낮 동안의 일사로 데워진 지표나 수면에 접한 공기가 데워져 상승한다.[60]
  • 한기 이류 및 대기 불안정: 상층의 기온이 낮아지거나 한기가 유입되면서 대기 불안정이 증가하여 대류가 촉진된다.[60]
  • 공기의 상승: 지형이나 이에 기인하는 산악파 등에 의한 강제 상승, 하층의 수평 이류의 수렴 등에 의해 공기가 상승한다.[60]


상승한 공기는 상승 응결 고도 (LCL)나 대류 응결 고도 (CCL)에 도달하여 구름 형성이 시작된다.[60]

대류 과정에서 주변 공기가 열기둥과 동화 (혼합)되어 상승하는 공기의 전체 질량이 증가한다.[6]

구름 바닥이 같은 적운


적운이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성장하는지는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자유 대류층(FCL)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불안정층이 얇거나 중간 정도면 적운, 두꺼우면 웅대적운, 더 진행되면 적란운이 된다. 열대 지역에서는 이 고도 차이가 상당히 커서 적운은 보통 웅대적운으로 성장한다.[60]

안정층이 얇으면 강한 대류가 이를 뚫고 올라가 평평한 구름 상단의 일부가 솟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두꺼운 안정층이나 강한 역전층은 대류를 차단하여 적운이 옆으로 퍼져 층적운이나 고적운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가 얇거나 중간 정도일 때 층적운이나 고적운이 될 수 있다. 얇을 때의 적운은 윗부분이 평평한 편평운이 된다.[60]

특히 일사 가열에 의한 것은 낮에 구름 형성이 시작되어 오후에 절정에 달하고 저녁에 사라지는 경과를 보인다. 습도가 높을 때는 이른 아침부터 구름이 생기고, 낮을 때는 더 늦은 시간부터 생긴다.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가 얇을 때, 승온에 따라 구름 바닥의 고도(LCL이나 CCL)가 점차 올라가 안정층을 넘어 낮 동안 구름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해륙풍이 있는 연안에서는 낮에는 해풍이 들어오는 연안의 육지에서, 밤에는 육풍이 들어오는 근해의 해상에서 적운이 발생하기 쉽다. 트인 해양 상에서는 적운의 형성이 약하고, 활동의 절정이 밤이 될 수 있다.[60][62]

적운이 보일 때는 구름 바닥의 높이로부터 상승 응결 고도 (LCL)나 대류 응결 고도 (CCL)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적란운으로부터의 냉기 외출류는 종종 하층에 수렴을 만들어 적운을 발생시킨다. 이 메커니즘이 순환이 되어 계속되는 메소 대류계가 형성되면 적란운이 잇따라 생겨나 호우가 장시간에 걸쳐 내린다.

산불이나 화산 분화의 열을 기원으로 발생하는 예(화재적운・열대류운)나, 인간 활동에 따른 배열을 기원으로 발생하는 예도 있다.[60]

2. 2. 성장

적운이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성장하는지는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자유 대류층(FCL)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60] 불안정층이 얇거나 중간 정도면 적운, 두꺼우면 웅대적운, 더 진행되면 적란운이 된다.[60] 열대 지역에서는 이 고도 차이가 상당히 커서 적운은 보통 웅대적운으로 성장한다.[60]

안정층이 얇으면 강한 대류가 이를 뚫고 올라가 평평한 구름 상단의 일부가 솟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두꺼운 안정층이나 강한 역전층은 대류를 차단하여 적운이 옆으로 퍼져 층적운이나 고적운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60]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가 얇거나 중간 정도일 때 층적운이나 고적운이 될 수 있다. 얇을 때의 적운은 윗부분이 평평한 편평운이 된다.[60]

특히 일사 가열에 의한 것은 낮에 구름 형성이 시작되어 오후에 절정에 달하고 저녁에 사라지는 경과를 보인다.[60] 습도가 높을 때는 이른 아침부터 구름이 생기고, 낮을 때는 더 늦은 시간부터 생긴다.[60] 구름 바닥에서 안정층까지의 고도 차이가 얇을 때, 승온에 따라 구름 바닥의 고도(LCL이나 CCL)가 점차 올라가 안정층을 넘어 낮 동안 구름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60] 해륙풍이 있는 연안에서는 낮에는 해풍이 들어오는 연안의 육지에서, 밤에는 육풍이 들어오는 근해의 해상에서 적운이 발생하기 쉽다.[60][62] 트인 해양 상에서는 적운의 형성이 약하고, 활동의 절정이 밤이 될 수 있다.[60][62]

적운이 보일 때는 구름 바닥의 높이로부터 상승 응결 고도 (LCL)나 대류 응결 고도 (CCL)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적란운으로부터의 냉기 외출류는 종종 하층에 수렴을 만들어 적운을 발생시킨다.

산불이나 화산 분화의 열을 기원으로 발생하는 예(화재적운・열대류운)나, 인간 활동에 따른 배열을 기원으로 발생하는 예도 있다.[60]

3. 형태 및 특징

적운은 개개의 덩어리가 서로 융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으며, 밑면은 평평하고 수직으로 발달하여 윗부분은 돔 모양으로 솟아오른다. 구름의 윤곽은 뚜렷하고 밝은 부분은 하얗게 빛나며, 그림자 부분은 어두운 검은색을 띤다.

발달하는 적운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상공에서 본 적운


브르타뉴 상공의 적운


르완다 키갈리에 흩어져 있는 적운


몇몇 ''적운 mediocris'' 구름


적운 내의 액체 물 밀도는 구름 전체에서 거의 일정하지 않고 구름 밑면 위 높이에 따라 변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농도는 구름 밑면에서 0이며,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름 중간 부근에서 최대 농도(공기 1kg당 최대 1.25g의 물)로 빠르게 증가했다가, 구름 상단 높이까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다시 0으로 떨어진다.[9]

적운은 구름 거리라고 불리는 480km 이상 뻗어 있는 줄을 형성할 수 있다.[10] 이 구름 거리는 광대한 지역을 덮을 수 있으며 끊어지거나 연속적일 수 있는데, 풍속 시어가 대기에서 수평 순환을 일으켜 길고 관 모양의 구름 거리를 생성할 때 형성된다.[10] 일반적으로 고기압과 같은 고기압 시스템 동안 형성된다.[11]

구름이 형성되는 높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열 속의 수분량에 따라 달라진다. 습한 공기는 일반적으로 구름 밑면이 낮아진다. 온대 지역에서 적운 구름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지상 550m 아래에 있지만, 최대 2400m까지 올라갈 수 있다. 건조하고 산악 지역에서는 구름 밑면이 6100m를 초과할 수 있다.[44]

적운은 얼음 결정, 물방울, 과냉각수 방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12] 온대 지역에서 연구된 바에 따르면, 구름 밑면은 지상 500~1500m였고, 온도는 25°C 이상이었으며, 방울 농도는 23~1300개/cm3였다. 이 데이터는 강수하지 않는 성장하는 고립된 적운 구름에서 얻은 것으로, 방울은 직경이 약 5µm까지 매우 작았다.[13] 가장 작은 방울은 구름 하부에서 발견되었으며, 큰 방울(약 20~30µm)의 비율은 구름 상부에서 극적으로 증가했다. 방울 크기 분포는 약간 이중 모드였으며, 왜도는 대략 중립적이었다.[15] 큰 방울 크기는 공기 단위 부피당 방울 농도에 대략 반비례한다.[16]

어떤 곳에서는 적운에 물방울이 없는 "구멍"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바람이 구름을 찢어 환경 공기를 통합하거나 강한 하강 기류가 물을 증발시킬 때 발생할 수 있다.[17][18]

3. 1. 형태

적운은 개개의 덩어리가 서로 융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으며, 밑면은 평평하고 수직으로 발달하여 윗부분은 돔 모양으로 솟아오른다. 구름의 윤곽은 뚜렷하고 밝은 부분은 하얗게 빛나며, 그림자 부분은 어두운 검은색을 띤다.

적운 내의 액체 물 밀도는 구름 전체에서 거의 일정하지 않고 구름 밑면 위 높이에 따라 변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농도는 구름 밑면에서 0이며,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름 중간 부근에서 최대 농도(공기 1kg당 최대 1.25g의 물)로 빠르게 증가했다가, 구름 상단 높이까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다시 0으로 떨어진다.[9]

적운은 구름 거리라고 불리는 480km 이상 뻗어 있는 줄을 형성할 수 있다.[10] 이 구름 거리는 광대한 지역을 덮을 수 있으며 끊어지거나 연속적일 수 있는데, 풍속 시어가 대기에서 수평 순환을 일으켜 길고 관 모양의 구름 거리를 생성할 때 형성된다.[10] 일반적으로 고기압과 같은 고기압 시스템 동안 형성된다.[11]

구름이 형성되는 높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열 속의 수분량에 따라 달라진다. 습한 공기는 일반적으로 구름 밑면이 낮아진다. 온대 지역에서 적운 구름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지상 550m 아래에 있지만, 최대 2400m까지 올라갈 수 있다. 건조하고 산악 지역에서는 구름 밑면이 6100m를 초과할 수 있다.[44]

적운은 얼음 결정, 물방울, 과냉각수 방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12] 온대 지역에서 연구된 바에 따르면, 구름 밑면은 지상 500~1500m였고, 온도는 25°C 이상이었으며, 방울 농도는 23~1300개/cm3였다. 이 데이터는 강수하지 않는 성장하는 고립된 적운 구름에서 얻은 것으로, 방울은 직경이 약 5µm까지 매우 작았다.[13] 가장 작은 방울은 구름 하부에서 발견되었으며, 큰 방울(약 20~30µm)의 비율은 구름 상부에서 극적으로 증가했다. 방울 크기 분포는 약간 이중 모드였으며, 왜도는 대략 중립적이었다.[15] 큰 방울 크기는 공기 단위 부피당 방울 농도에 대략 반비례한다.[16]

어떤 곳에서는 적운에 물방울이 없는 "구멍"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바람이 구름을 찢어 환경 공기를 통합하거나 강한 하강 기류가 물을 증발시킬 때 발생할 수 있다.[17][18]

적운의 밑면은 지표면에서 고도 2km 부근의 하층운 높이에 있지만, 윗부분은 고도 2km를 크게 넘어 10km 이상이 되기도 한다. 적운은 수직 방향의 대류에 의해 생기며, 대류가 강하면 크게 발달한다. 발달하는 것의 경우 구름 내의 상승기류는 수 m/s에 달한다. 소나기나 눈보라, 우박 등의 소나기성 강수를 동반하기도 한다.

운종은 4가지가 있다. 대류가 낮은 고도에서 억제되어 윗부분이 평평한 것을 편평운이라고 부른다. 윗부분이 불룩불룩 솟아오른 것은 뭉게구름이라고 하며, 더 성장하여 운정(雲頂)이 고도 10km 이상에 달하면 '''웅대적운'''(입도운)이라고 불린다. 웅대적운이 더 발달하면 '''적란운'''이 되어 뇌우를 동반한 큰 를 내리며, 때로는 우박이나 토네이도를 가져오기도 한다. 적운은 (관측상으로는) 뇌우를 동반하지 않으며, 뇌우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적란운으로 한다. 또한, 적운의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온 구름이나, 악천후일 때 어두운 구름층 아래로 흐르는 구름 조각을 조각구름이라고 부른다.

3. 2. 높이



적운의 밑면은 지표면에서 고도 2km 부근의 하층운 높이에 있지만, 윗부분은 고도 2km를 훨씬 넘어 10km 이상이 되기도 한다. 습한 공기는 일반적으로 구름 밑면이 낮아지게 한다. 온대 지역에서 적운 구름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지상 550m 아래에 있지만, 건조하거나 산악 지역에서는 6100m를 초과할 수 있다.[44]

적운 내의 액체 물 밀도는 구름 전체에서 거의 일정하지 않고 구름 밑면 위 높이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특정 연구에서 농도는 구름 밑면에서 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는 구름 중간 부근에서 최대 농도로 빠르게 증가했다. 최대 농도는 공기 1kg당 최대 1.25g의 물이었다. 고도가 구름 상단 높이까지 증가함에 따라 농도는 서서히 감소했으며, 그 지점에서 다시 0으로 즉시 떨어졌다.[9]

온대 지역에서 연구된 구름 밑면은 지상 500m에서 1500m 사이였다. 이 구름은 일반적으로 25°C 이상이었으며, 방울의 농도는 23에서 1300개/cm3였다. 이 데이터는 강수하지 않는 성장하는 고립된 적운 구름에서 얻었다.[13]

3. 3. 구성

적운은 얼음 결정, 물방울, 과냉각수 방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12] 온대 지역에서 연구된 적운 구름의 밑면은 지상 500~1500m였으며, 구름 온도는 섭씨 25도 이상이었다. 방울의 농도는 23~1300개/cm³였다.[13] 방울은 직경이 약 5 마이크로미터까지 매우 작았으며, 더 작은 방울이 존재했을 수 있지만 측정 장비가 감지할 만큼 충분히 민감하지 않았다.[14] 가장 작은 방울은 구름의 하부에서 발견되었으며, 큰 방울(약 20~30 마이크로미터)의 비율은 구름의 상부에서 극적으로 증가했다. 방울 크기 분포는 약간 이중 모드였으며, 왜도는 중립적이었다.[15] 큰 방울 크기는 공기 단위 부피당 방울 농도에 대략 반비례한다.[16]

적운 내의 액체 물 밀도는 구름 전체에서 거의 일정하지 않고 구름 밑면 위 높이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연구에서 농도는 구름 밑면에서 0이었고,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름 중간 부근에서 최대 농도(공기 1kg당 최대 1.25g의 물)로 빠르게 증가했다. 고도가 구름 상단 높이까지 증가함에 따라 농도는 서서히 감소했으며, 그 지점에서 다시 0으로 즉시 떨어졌다.[9]

적운은 구름 거리라고 불리는 480km 이상 뻗어 있는 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름 거리는 광대한 지역을 덮고 있을 수 있으며 끊어지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 이것은 풍속 시어가 대기에서 수평 순환을 일으켜 길고 관 모양의 구름 거리를 생성할 때 형성된다.[10] 일반적으로 고기압과 같은 고기압 시스템 동안 형성된다.[11] 구름이 형성되는 높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열 속의 수분량에 따라 달라진다. 습한 공기는 일반적으로 구름 밑면이 낮아진다. 온대 지역에서 적운 구름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지상 550m 아래에 있지만 고도는 최대 2400m까지 올라갈 수 있다. 건조하고 산악 지역에서는 구름 밑면이 6100m를 초과할 수 있다.[44] 어떤 곳에서는 적운에 물방울이 없는 "구멍"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바람이 구름을 찢어 환경 공기를 통합하거나 강한 하강 기류가 물을 증발시킬 때 발생할 수 있다.[17][18]

4. 종류

적운은 4가지 종, 즉 낮적운/cumulus humilisla, 중적운/cumulus mediocrisla, 탑상적운/cumulus congestusla, 파편적운/cumulus fractusla으로 구분된다.[27][19] 이 종들은 변종인 방사적운/cumulus radiatusla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최대 7개의 부가적인 특징, 즉 적운 갓/cumulus pileusla, 베일/velumla, 버가/virgala, 강수/praecipitatiola, 아커스/arcusla, 파누스/pannusla, 토바/tubala가 동반될 수 있다.[27][19]

파편적운/Fractusla은 찢어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맑은 공기 중에서 낮적운이나 더 큰 적운 종의 전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수 현상에서 부가적인 특징인 파누스/pannusla(스커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악천후의 층운 파편도 포함될 수 있다.[20][21] 낮적운/Humilisla은 푹신하고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다. 중적운/Mediocrisla은 수직 발달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비슷하게 보인다. 탑상적운/Congestusla은 꽃양배추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기 중으로 높이 솟아오르기 때문에 "탑상 적운"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29] 변종인 방사적운/radiatusla은 구름 거리라고 불리는 방사형 띠를 형성하며 4가지 적운 종 중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22]

적운의 부가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탑상적운 종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적운 버가/Cumulus virgala는 버가 (상공에서 증발하는 강수)를 생성하는 적운이며, 적운 강수/cumulus praecipitatiola는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강수를 생성한다.[23] 적운 파누스/Cumulus pannusla는 강수 동안 부모 적운 아래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찢어진 구름을 포함한다. 적운 아커스/Cumulus arcusla 구름은 돌풍 전선을 가지고 있으며,[24] 적운 토바/Cumulus tubala 구름은 깔때기 구름 또는 토네이도를 가지고 있다.[25] 적운 갓/Cumulus pileusla 구름은 구름이 너무 빠르게 성장하여 구름 상단에 파일러스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26] 적운 베일/Cumulus velumla 구름은 구름이 성장하는 상단에 얼음 결정 베일을 가지고 있다.[27] 또한 폭포에 의해 형성되는 적운 카타라게니투스도 있다.[28]

5. 다른 구름과의 관계

적운은 자유 대류 저층운의 한 속이며, 관련 제한 대류운인 층적운과 관련이 있다.[44] 이 구름들은 모든 위도에서 지면에서 2,000m까지 형성된다. 층운 또한 저층운이다. 중층에는 제한 대류성 층적운형 구름인 고적운과 층상운인 고층운으로 구성된 고층운이 있다. 중층운은 극지방에서 2,000m에서, 온대 지역에서 7,000m까지, 열대 지역에서 7,600m까지 형성된다. 고층운인 권적운은 제한된 대류의 층적운형 구름이다. 고층운은 고위도에서 3,000~7,600m, 온대 위도에서 5,000~12,000m, 저위도, 열대 위도에서 6,100~18,000m에서 형성된다.[44]

A large field of cirrocumulus clouds in a blue sky, beginning to merge near the upper left.
권적운


권적운은 덩어리 형태로 형성되며[36] 그림자를 드리우지 않는다. 흔히 규칙적인 물결 모양[37] 또는 구름 행렬 사이의 맑은 구역으로 나타난다.[38] 권적운은 대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39] 이 덩어리의 현저한 증가는 고고도 불안정을 나타내며 더 나쁜 날씨가 다가옴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다.[42][43]

적운


고층운은 강수를 동반할 수 있으며, 온대 위도에서는 얼음 결정, 과냉각 물방울, 물방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45][46]

|thumb|층적운]]

층적운은 적운과 마찬가지로 낮은 고도에서[38] 대류를 통해 형성되지만, 강한 기온 역전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어 층운처럼 평평한 층상 외관을 보인다.

적란운은 뭉게적운이 강한 상승기류를 발달시켜 상층부가 대류권계면(고도 18,000m)에 도달할 때 형성된다.[29][35][50] 흔히 뇌운이라고 불리는 적란운은 강풍, 폭우, 번개, 돌풍 전선, 용오름, 깔때기 구름, 그리고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6. 기타

적운은 화재화산 분화의 열, 인간 활동에 따른 배열을 기원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다른 태양계 행성에서도 적운형 구름이 발견되었다. 화성에서는 바이킹 궤도선이 주로 극지방 얼음 덮개 근처에서 대류를 통해 형성되는 권적운과 층적운을 감지했다.[52] 목성의 대적반 근처에서 거대한 적란운이 발견되었고,[53] 토성에서도 적운형 구름이 감지되었다.[54] 켁 천문대는 천왕성에서 흰색 적운을 발견했으며,[55] 해왕성에는 메탄 적운이 있다.[56] 금성에는 적운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57]

구름은 반사율 때문에 지구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방출된 복사를 반사하여 지구를 데우는 효과도 있다.[32] 적운은 지구 표면의 온난화에 가변적인 영향을 미친다.[33]

참조

[1] 웹사이트 The identification of cloud types in LANDSAT MSS images http://www.ntis.gov/[...] NASA 2012-08-22
[2] 웹사이트 Cumuliform Clouds: Some Examples http://www-das.uwyo.[...] University of Wyoming College of Atmospheric Sciences 2013-02-11
[3] 뉴스 Cumulus clouds http://usatoday30.us[...] 2012-10-16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문서 The formula was t={18\eta \over Egwr_0}, with t being the time to infinite radius, \eta being the viscosity of air, E being the fractional percentage of water droplets accreted per unit volume of air that the drop falls through, w being the concentration of water in the cloud in grams per cubic metre, and r_0 being the initial radius of the droplet.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http://www.crh.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0-18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웹사이트 L7 Clouds: Stratus fractus (StFra) and/or Cumulus fractus (CuFra) bad weather http://www.s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2013-02-11
[21] 백과사전 Pannus Oxford University Press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웹사이트 WMO classification of clouds http://www.weathera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10-18
[28] 웹사이트 Cataractagenitus https://cloudatlas.w[...] International Cloud Atlas
[29] 웹사이트 Weather Glossary http://www.weather.c[...] The Weather Channel 2012-10-18
[30] 서적 Weather https://archive.org/[...] Time Inc.
[31] 논문
[32] 웹사이트 Cloud Climatology http://isccp.giss.n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1-07-12
[33] 웹사이트 Will Clouds Speed or Slow Global Warming?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2-10-23
[34] 논문
[35] 웹사이트 Cumulonimbus Incus http://epod.usra.edu[...] Universities Space Research Association 2012-10-23
[36] 논문
[37] 논문
[38]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https://web.archiv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0-19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웹사이트 Common Cloud Names, Shapes, and Altitudes https://web.archiv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1-02-12
[43] 논문
[44]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s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2014-07-21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뉴스 An incredibly rare 'horseshoe cloud' was spotted in Nevada and it kept the meme-makers busy https://www.independ[...] 2018-03-12
[52] 웹사이트 NASA SP-441: Viking Orbiter Views of Mars https://history.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3-01-26
[53] 웹사이트 Thunderheads on Jupiter http://photojournal.[...]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3-01-26
[54] 뉴스 Mysterious Cyclones Seen at Both of Saturn's Poles https://web.archive.[...] 2008-10-14
[55] 잡지 Check Out The Most Richly Detailed Image Ever Taken Of Uranus http://www.popsci.co[...] 2012-10-18
[56] 논문
[57] 논문
[58] 서적 雲・空
[59] 서적 気象観測の手引き
[60] 웹사이트 Cumulus (Cu) > Explanatory remarks and special clouds https://cloudatlas.w[...] WMO 2021-01-10
[61] 웹사이트 Appendix 1 - Etymology of latin names of clouds https://cloudatlas.w[...] WMO 2021-01-10
[62] 웹사이트 お天気豆知識 No.87 積雲 https://www.bioweath[...] バイオウェザー 2023-02-23
[63] 서적 雲・空
[64] 서적 気象観測の手引き
[65] 웹사이트 Hydrometeors > Associated cloud forms table https://cloudatlas.w[...] WMO 2021-01-10
[66] 서적 雲・空
[67] 서적 雲・空
[68] 서적 雲・空
[69] 서적 雲・空
[70] 서적 雲・空
[71] 서적 雲・空
[72]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 summary https://cloudatlas.w[...] WMO 2017-00-00
[73] 문서 波頭雲 (はとうう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