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력연구원은 한국전력공사 및 전력그룹사의 중앙연구소로서, 1961년 전기시험소로 시작하여 199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전력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대한민국 전력산업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2016년 기초전력연구원을 흡수하여 기초전력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 기준 기획관리실, 연구전략실, 신재생에너지연구소 등 8개의 연구소와 기초전력연구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국제공인시험기관 및 조정기관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외 기술 교류 및 협력을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전력연구원 조직은 다음과 같다.
2. 연혁
3. 조직
연구소/실 세 부 조 직 기획관리실 전략경영부, 경영지원부, 시설운영부, ICT운영팀 R&D홍보팀 연구전략실 R&D기획팀, R&D운영팀, Global Biz팀, 에너지밸리연구센터, 고창전력시험센터 신재생에너지연구소 재생에너지연구실, 전력신소재연구실, 에너지 저장연구실 디지털솔루션연구소 SW플랫폼연구실, ICT융합연구실, 디지털제어연구실 기후환경연구소 기후대응연구실, 대체에너지연구실, 저녁환경연구실 발전기술연구소 지능형발전연구실, 신발전시스템연구실, 터보시스템연구실, 전문기술센터 차세대송변전연구소 전력망신기술연구실, 송전기술연구실, 변전기술연구실, 구조내진연구실 스마트배전연구소 신배전망연구실, 전력IoT연구실, 배전시스템연구실, 에너지솔루션연구실 기초전력연구센터 연구기획팀, 연구관리실, 성과활용팀
[http://www.kepri.re.kr/intro/int_system.php?p_me_seq=18&p_me_parent=7 전력연구원 조직도]
3. 1. 기획관리실
2019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하위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3. 2. 연구전략실
2019년 기준 연구전략실은 R&D기획팀, R&D운영팀, Global Biz팀, 에너지밸리연구센터, 고창전력시험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3. 3. 신재생에너지연구소
2019년 기준 조직도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세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3. 4. 디지털솔루션연구소
2019년 기준 조직도에 따르면 디지털솔루션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세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3. 5. 기후환경연구소
2019년 기준 조직도에 따르면 기후환경연구소의 세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세부 조직 |
---|
기후대응연구실 |
대체에너지연구실 |
저녁환경연구실 |
3. 6. 발전기술연구소
발전기술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세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능형발전연구실
- 신발전시스템연구실
- 터보시스템연구실
- 전문기술센터
3. 7. 차세대송변전연구소
2019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력망신기술연구실
- 송전기술연구실
- 변전기술연구실
- 구조내진연구실
3. 8. 스마트배전연구소
2019년 기준 스마트배전연구소의 하위 조직은 다음과 같다.- 신배전망연구실
- 전력IoT연구실
- 배전시스템연구실
- 에너지솔루션연구실
3. 9. 기초전력연구센터
- 연구기획팀
- 연구관리실
- 성과활용팀
4. 위상과 역할
전력연구원은 한국전력공사의 비전인 'Smart Energy Creator, KEPCO'와 자체 비전 '전력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세계 정상의 연구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전의 미래창조 발전전략의 10대 신성장동력사업 기술가치 창출'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최고의 기술력, 최상의 고객 만족, 최적의 연구 문화를 구축해왔다.
한국전력공사와 6개 발전자회사, 한전KDN,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한전원자력연료로 구성된 전력그룹사의 중앙연구소로서, 지난 50여 년간 새로운 전력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며 대한민국 전력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국민에게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데 기여해왔다. 현재 전력연구원은 '나주 빛가람 새시대에 창조와 융합으로 새로운 미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개방·창조·도전·변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전력에너지 R&D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전력그룹사 기술수요 충족,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 국내 전력산업의 지속발전 선도'라는 본연의 임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력연구원의 역할은 여러 차원에서 정의될 수 있다.
- 국가적 차원: 중장기 전력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고, 에너지 신산업 기술 개발을 선도한다.
- 한국전력공사 부설연구소 차원: 기술 혁신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회사 경영에 필요한 최적의 기술 수단을 제공한다.
- 전력그룹사 중앙연구소 차원: 전력설비의 최적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자문을 수행하고, 전력사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지원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역할을 통해 'Global KEPRI'를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제공인시험기관 및 국제공인조정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기술 개발 기반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환경 문제 해결과 전기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기술 지원, 국내외 전력 기술의 구심점으로서 해외 기술 마케팅 및 해외 사업 지원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또한, 전력 기술의 종합 연구소로서 회사의 미래창조 발전 전략과 이를 뒷받침하는 전력기술발전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실천 계획인 전력사 공동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 전력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기술 개발 체제를 확립하였다. 전력기술발전기본계획은 전력 관련 핵심 요소 기술 약 120개를 선정하여 이를 확보하기 위한 기본 전략을 제공하며, 전력기술개발 로드맵은 이를 위한 중장기 연구개발 및 투자 계획을 제시한다. 전력사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은 전력그룹사의 기술 현안 해결을 지향하는 동시에, 전력 산업 구조 개편으로 분리된 각 회사의 사업 운영과 미래 성장 동력 제공을 목표로 삼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원 달성을 위해 미국의 EPRI, 일본의 CRIEPI, 네덜란드의 KEMA 등 선진 전력 기술 연구원과 활발한 기술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KE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과 연구 협력 협정을 체결하여 기술 교류를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