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 중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다. 수도권, 영남, 호남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 1993년 엑스포 개최 등 굵직한 행사를 유치했다. 행정기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과학 기술 도시로 발전했으며, 146개 초등학교, 88개 중학교, 62개 고등학교, 11개 대학교 등 교육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약 144만 명으로, 과학, 교육,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는 한반도 남동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로, 신라 시대부터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섬유, 금속, 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미래형 자동차, 의료 등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고, 삼성 라이온즈 등 프로 스포츠 구단을 보유하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축제 -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는 청소년들이 직접 인기 영화인들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영화제로, 감독상, 배우상, 신인배우상, 원로배우상 등을 시상한다.
  • 대전광역시의 축제 - 미스코리아 대전-충남
    미스코리아 대전-충남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미스코리아를 선발하는 대회로, 1971년부터 미스 충남으로 개최되다가 1989년부터 통합하여 선발하며, 입상자 명단을 제공한다.
  • 대전광역시의 공원 - 엑스포과학공원
    엑스포과학공원은 1993년 대전 엑스포 개최 후 과학기술 테마공원으로 조성되었지만 재개발을 거쳐 엑스포기념구역을 중심으로 일부 시설만 남았으며, 엑스포 재창조 사업으로 과학 및 문화 시설이 들어서고 한빛탑 등 일부 기념 시설이 보존되어 엑스포의 상징성을 유지하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공원 - 구봉산 (대전)
    구봉산은 대전광역시에 있는 아홉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으로, 대전 시가지와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다.
대전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전천
대전천
대전역 서광장 입구
대전역
공식 명칭대전광역시
한글 표기대전광역시
한자 표기大田廣域市
로마자 표기Daejeon-gwangyeoksi
맥큔-라이샤워 표기Taejŏn-gwangyŏksi
지역호서
하위 행정 구역5개 구
면적539.85 km²
인구1,469,543명 (2022년 1월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충청 방언
ISO 코드KR-30
웹사이트daejeon.go.kr
백목련
나무소나무
까치
행정 및 정치
행정 체제시장-의회제
시장이장우 (국민의힘)
의회대전광역시의회
경제
GDP50조 원 (2022년)
GDP (미국 달러)400억 달러 (2022년)
위치 및 지리
위치대한민국 중앙
위도36.350
경도127.385
거리 (서울)약 170km
거리 (부산)약 290km
거리 (광주)약 70km
기타
마스코트한꿈이, 꿈돌이
지역 번호042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우술군(雨述郡)이었으며, 계족산성이 유적으로 남아 있다. 이후 신라에서는 비풍군(比豐郡)으로, 고려에서는 회덕현(懷德縣)으로 명칭이 바뀌며 공주목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공주목(公州牧) 직할의 일부와 회덕현, 진잠현(鎭岑縣)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이 시기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박팽년, 송준길, 송시열, 권시, 윤휴기호학파 학자들이 활동하였다.[97] '한밭'이라는 고유 지명을 한자로 표기한 대전(大田)이라는 명칭은 1481년 동국여지승람에 처음 등장한다.[12]

근대 도시로서의 발전은 1905년 경부선 대전역이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 1913년 호남선 철도가 완공되면서 교통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1914년에는 회덕군, 진잠군과 공주군 일부를 통합하여 대전군이 설치되었고, 군청 소재지도 대전으로 이전되었다.

구 충청남도청 청사


1932년 충청남도청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충청남도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산업 시설도 들어서기 시작했다.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면서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대전부를 대전시로 개칭하였다.[98]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시 약 3개월간 임시 수도 역할을 하였으나, 교통의 요지였던 탓에 대전 전투 등 치열한 전투가 벌어져 큰 피해를 입었다. 전쟁 이후 피난민 정착과 복구 사업으로 인구가 증가하였다.

1970년 경부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99]가 개통되면서 교통 및 물류 중심 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였다. 1973년부터 대덕연구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여 과학기술 도시로 발전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100]

1989년 1월 1일 대전시와 대덕군[101]이 통합되어 대전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93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 공인 엑스포인 대전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과학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였다.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대전광역시로 개칭되었다.

1998년 둔산동정부대전청사가 개청되어 관세청, 특허청, 통계청, 조달청 등 다수의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하였다. 같은 해, 대전광역시 주도로 국제협력기구인 세계과학도시연합(WTA)이 창설되었다. 1999년에는 시청이 중구 원도심에서 둔산 신도심으로 이전하였다. 2011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로 지정되어 과학 중심 도시로서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대전 지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된다. 대덕구 용호동 유적은 약 10만 년 전 중기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 공주시석장리 유적과 함께 이 지역의 오랜 거주 역사를 보여준다.[13]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기 유물, 주거지 터, 토기 등이 발견되어 지속적인 인류 거주 사실을 뒷받침한다.[13]

삼한 시대에는 마한의 영역이었으며, 마한을 이루던 소국 중 하나인 신흥국(臣釁國)의 땅으로 추정된다. 다만 신흥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충청남도 서산시예산군이라는 다른 견해도 있다.[14] 현재의 유성구 지역은 마한의 내비리국(內卑離國) 영역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삼국시대 지명인 노사지(奴斯只)/내사지(內斯只)와 이름의 유사성 때문이다.[15][16]

삼국 시대에 들어서 이 지역은 백제의 중요한 영토가 되었다. 대덕구 읍내동과 회덕동 일대를 중심으로 우술군(雨述郡)이 설치되었다. 우술이라는 이름은 고유어 지명 '비술' 또는 '비수리'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17] 대덕구 장동 계족산에는 백제 시대에 쌓은 계족산성(우술성) 유적이 남아 있으며[17], 가뭄 때 산이 울면 비가 온다는 전설과 관련하여 '비수리'(비 오는 봉우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8][19][20][21][22] 우술군 아래에는 여러 현이 속해 있었다. 유성구 구성동 일대는 노사지현(奴斯只縣)[23], 덕진동 일대는 소비포현(所比浦縣), 서구 봉곡동 일대는 진현현(眞峴縣)이었다. 특이하게 진현현은 우술군이 아닌 논산시 연산면 일대의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에 속했다.[24]

삼국 시대 대전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각축장이었다. 특히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로 백제가 위례성을 빼앗기고 웅진(현재의 공주시)으로 천도했을 때, 고구려군이 대전 지역까지 진출하여 백제를 압박했다.[27] 서구 월평동 등지에서 고구려 유물이 발견되기도 한다.[28] 이후 백제 동성왕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군을 몰아내고 대전 지역 대부분을 회복했지만, 대덕구 북부 등 일부 지역은 신라에게 넘어가기도 했다.[29] 660년 황산벌 전투 당시에는 신라군이 유성구의 노사지현으로 추정되는 노수리산(怒受利山)에 주둔했다는 기록이 있다.[30]

백제 멸망 후에는 백제 부흥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661년 부흥군이 신라군의 공격을 막아낸 옹산성(甕山城)은 계족산성으로 추정된다. 옹산성이 함락된 후, 신라군은 우술군마저 점령했다.[31] 662년에는 부흥군 잔여 세력이 유성구 지역의 내사지성(內斯只城, 노사지현의 성)에서 저항하다 토벌되기도 했다.[31]

통일 신라 시대에는 웅천주(나중에 웅주)에 속했다. 757년 경덕왕 때 행정구역 명칭이 한자식으로 변경되면서, 우술군은 비풍군(比豊郡)으로, 노사지현은 유성현(儒城縣)으로, 소비포현은 적조현(赤鳥縣)으로, 진현현은 진령현(鎭嶺縣)으로 각각 이름이 바뀌었다. 유성현이라는 이름은 현재 유성구 지명의 직접적인 기원이 된다.[32][23][33]

후삼국 시대에는 후백제의 영토가 되었다. 후백제는 과거 신라가 점령했던 대덕구 북부 지역까지 되찾아, 대전 지역 전체가 936년 멸망 때까지 후백제에 속했다.[34]

고려 시대에 들어서 대전 지역은 공주목(公州牧)에 속하게 되었다. 비풍군은 회덕현(懷德縣)으로, 진령현은 진잠현(鎭岑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유성현(儒城縣)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적조현은 덕진현(德津縣)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까지 대전은 여전히 공주에 속한 지역이었다.

2. 2. 근대

고려 시대 이전부터 인근의 유성 온천이 알려져 있었지만, 큰 도시는 없었고 공주에 속한 농촌 지역에 불과했다. 이 지역은 "큰 "을 뜻하는 고유어인 한밭(Hanbat)으로 불렸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 1905년 경부선 대전역이 들어서면서 근대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1913년에 대전에서 분기하는 호남선 철도가 완공되면서 교통의 중심도시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의 행정 구역 통폐합 과정에서 "대전"이라는 한자 이름이 붙여졌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합에 따라 회덕군, 진잠군 및 공주군 유성면 지역을 합쳐 '''대전군'''이 설치되었고,[91] 회덕면 읍내리(현 대덕구 읍내동)에 있던 회덕군청을 산내면 대전리(현 동구 중앙동)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3월 22일에는 호남선 철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철도 건설 이후 일본과의 관계가 깊어졌는데, 1910년과 1925년 당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지역 주민의 절반 이상이 일본인이었으며, 특히 나고야 출신 거주자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926년 3월 1일에는 외남면 일부(외천리·소제리 각 일부 및 대동리·신대리·연효리)가 대전면에 편입되었고, 1928년 6월 20일에는 대전역 신축 준공식이 열렸다. 1931년 4월 1일에는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되었다.[92]

1932년 충청남도청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충청남도 행정의 중심이 되었고, 각종 산업시설이 들어섰다. 1934년에는 상수도 공급이 시작되었다. 1935년 10월 1일에는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기존의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에는 대전-서울 간 복선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1940년 11월 1일에는 대덕군 외남면과 유천면의 각 일부가 대전부에 편입되었다.

2. 3. 현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대전부를 대전시로 개칭하였다.[98]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약 3개월간 임시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교통의 요지였기 때문에 대전 전투 등 치열한 격전이 벌어졌고, 전쟁으로 인해 도시 전체가 폐허가 되었다. 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대전에 정착하고 전후 복구 사업이 진행되면서 전국 각지에서 인구가 유입되어 도시가 빠르게 회복되었다.

1970년 회덕 분기점에서 갈라지는 경부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99]가 개통되면서 대전은 다시 한번 교통 및 물류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1973년부터는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과학기술 도시로 발전하는 기반을 마련했다.[100]

1989년 1월 1일에는 기존 대전시에 대덕군[101] 전역을 통합하여 대전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는 도시의 외연 확장과 함께 행정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993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BIE) 공인 엑스포인 대전 세계박람회(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 박람회에는 108개 국가, 33개 국제기구, 200여 개 기업이 참가하였고, 약 1,450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여 과학도시로서 대전의 위상을 확립했다.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대전직할시는 대전광역시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8년에는 둔산동정부대전청사가 문을 열었다. 이로써 관세청, 특허청, 통계청, 조달청, 병무청, 산림청, 대한민국 국가유산청, 국가기록원 등 다수의 중앙행정기관이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며 행정 기능의 분산을 이루었다. (구 철도청, 구 중소기업청 포함) 같은 해, 대전광역시는 주도적으로 국제협력기구인 세계과학도시연합(WTA)을 창설하여 과학 분야 국제 협력을 주도했다.

1999년에는 시청사를 중구 원도심에서 서구 둔산 신도심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도시 중심지의 발전을 이끌었다. 2011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도시로 지정되어 미래 과학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 특허청, 통계청 등 주요 정부 기관 및 한국수자원공사(K-water), 한국철도공사(KORAIL) 본사가 위치하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 및 행정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3. 지리

계족산에서 본 대전 전경 파노라마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2조에 따라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충청북도 청주시, 보은군, 옥천군대전권으로 규정된다.[108]

대전의 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사계절이 뚜렷하며, 습윤 아열대 기후와 습윤 대륙성 기후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쾨펜 기후 분류 상 ''Cwa'' 또는 ''Dwa''). 서울에 비해 기온 변화가 다소 완만한 편이다.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1월 평균 기온은 -1°C이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8월 평균 기온은 25.6°C이다. 연 강수량의 상당 부분은 7월과 8월의 장마철에 집중된다.[42]

'''대전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91–2020 평년값)'''[43][44][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기온 (°C)-1°C1.4°C6.6°C13°C18.5°C22.7°C25.5°C26°C21.2°C14.6°C7.7°C1°C13.1°C
평균 최고 기온 (°C)4.1°C7°C12.7°C19.4°C24.5°C27.9°C29.6°C30.3°C26.3°C20.8°C13.5°C6.2°C18.5°C
평균 최저 기온 (°C)-5.5°C-3.6°C1.1°C6.9°C12.8°C18.1°C22.2°C22.5°C17°C9.4°C2.8°C-3.4°C8.4°C
강수량 (mm)25.537.251.681.691.8167.3306.9299.8152.559.348.029.71351.2



3. 1. 위치

대전은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중도(中都)라고도 불린다. 수도권영남·호남을 잇는 삼남의 관문이며, 고속도로, 철도, 국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시청을 기준으로 직선거리는 서울까지 139km, 부산까지 200km, 대구까지 121km, 광주까지 140km이다.

인접한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3. 2. 강 / 하천

목척교


금강 유역의 주요 국가 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이 대전광역시를 흐른다. 이 세 개의 하천은 도시 중심부를 관통하며 대체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 합류한 뒤, 북쪽의 금강 본류로 흘러 들어간다.[41] 하천 주변으로는 넓은 평야가 발달해 있다.

유등천대전천탄방동오정동 부근에서 합류하고, 이 합쳐진 물길은 대화동과 도룡동에서 갑천과 만난다. 서쪽에서는 진잠천, 유성천, 반석천, 탄동천, 관평천 등이 갑천으로 흘러든다. 대전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갑천은 신탄진에서 최종적으로 금강과 합류한다.

금강은 대전의 동부에서 북부 경계를 따라 흐른다. 금강은 대전을 벗어난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군산 인근에서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41] 갑천, 유등천, 대전천 연변에는 해발고도 40m 정도의 넓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변으로는 경사가 완만한 산록완사면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충적지와 구릉지는 대전의 농경, 거주, 산업 활동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또한, 대전 동부의 금강 유역에는 대한민국 3대 인공호수 중 하나인 대청호가 위치하여 수자원이 풍부하다.

3. 3. 지형





4. 지질

대전 동구 하소동 만인산휴양림 내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함우라늄 탄질점판암 노두


대전의 동쪽 산지에는 옥천 누층군규암변성암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서쪽 산지 지역은 중생대 화강암류, 맥암류, 반암류가 밀집 분포되어 있어 풍화 및 침식에 강하다. 대전 중앙부의 화강암 지역은 풍화 및 침식 작용으로 넓은 평야 지대가 형성되었다.[103]

5.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냉대 동계 소우 기후(Dwa)와 온대 하우 기후(Cwa)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104],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뚜렷한 사계절 기후를 보인다.[42] 내륙 분지 지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 나타나며[104], 서울에 비해 온도 변화가 다소 완만하다.[42]

연평균 기온은 13.1°C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26°C,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1°C이다. 연교차는 27°C이다. 여름철 8월 평균 기온은 대구, 부산, 광주, 서울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서늘하며, 겨울철 1월 평균 기온은 서울보다 높아 비교적 온화하다. 역대 최고 기온은 39.4°C(2018년 8월 15일)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C(1969년 2월 6일)이다.[104][42]

연평균 강수량은 1351.2mm이며, 계절적으로 연강수량의 50~60%가 여름철(특히 7~8월 장마)에 집중되고, 겨울철에는 5~10% 정도가 내린다.[104][42] 일강수량 최댓값은 303.3mm(1987년 7월 22일)이었다.[104] 과거 최심 적설 기록은 49cm(2004년 3월 5일)이다.

바람은 일반적으로 북서계절풍이 남서계절풍보다 강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주로 분다. 운량은 7월에 많고 10월에는 적게 나타난다. 평균적으로 첫서리는 10월 5일경, 첫얼음은 10월 12일경, 첫눈은 10월 23일경에 관측된다.[104]

대전의 대기질은 미세먼지 농도 44㎍/m3로, 대한민국의 7대 도시 중 오염도가 가장 낮고 공기가 가장 깨끗한 도시로 보고되었다.[104]

'''대전광역시의 월별 기후 (대전지방기상청, 유성구 구성동[105],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69년~현재)'''[106][107][43][44][45][93][9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C)16.622.626.130.433.335.737.739.436.031.226.319.839.4
평균 최고 기온(°C)4.17.012.719.424.527.929.630.326.320.813.56.218.5
일평균 기온(°C)-1.01.46.613.018.522.725.526.021.214.67.71.013.1
평균 최저 기온(°C)-5.5-3.61.16.912.818.122.222.517.09.42.8-3.48.4
역대 최저 기온(°C)-18.6-19.0-10.7-2.93.18.113.012.34.2-2.9-11.4-17.7-19.0
강수량(mm)25.537.251.681.691.8167.3306.9299.8152.559.348.029.71351.2
평균 강수일수(0.1 mm 이상)8.07.08.38.38.29.916.414.89.16.18.59.3113.9
평균 강설일수9.86.02.80.20.00.00.00.00.00.12.17.928.9
평균 상대 습도(%)65.360.357.956.962.469.879.178.275.371.869.367.967.9
월평균 일조 시간(시간)168.2176.2207.7220.5239.8198.5155.5177.0180.3205.1162.4162.52253.7


6. 행정 구역

대전광역시의 행정구역 지도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5개의 자치구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대전천, 유등천, 갑천 등 3대 하천의 물길을 따라 구획되어 있다. 대전천의 동쪽은 동구대덕구, 대전천유등천 사이는 중구, 유등천갑천 사이는 서구, 갑천의 서쪽은 유성구, 갑천의 동쪽은 대덕구이다.[47]

2014년 9월 30일 기준 행정 구역 현황은 다음과 같다.

자치구한자세대인구면적(km²)법정동행정동
동구東區101,982251,209136.64km24516
중구中區104,004264,52962.13km22617
서구西區187,227499,14395.48km22724
유성구儒城區121,225332,418177.23km25313
대덕구大德區77,537204,63268.66km22612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591,9751,551,931540.15km217782


  • '''시장''':이장우(李莊雨, 2022년 7월 1일 ~ ) (역대 시장은 대전광역시장 참조)
  • '''의회''':총 22석 (지역구 19 + 비례대표 3)으로 구성되며, 지역구는 소선거구제로 선출한다. 아래는 과거 제5기 시의회 정당별 의석수 현황이다.

제5기 대전시의회 정당별 의석수
colspan=2 rowspan=2|합계내역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합계22418
내역지역구19316
비례대표312



7. 인구

2024년 10월 기준 인구수는 1,440,094명이다. 2021년 11월 22일 기준으로는 591,975세대에 1,454,228명이었다.[109] 인구를 기준으로 서울, 부산, 인천, 대구에 이어 대한민국 5대 도시이다.

세대 당 인구는 2.59명(2021년 기준)이다. 성별 인구는 남성 725,742명, 여성 728,486명으로 균형 성비를 이루고 있으며, 등록 외국인은 16,116명이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지난 5년간 대전의 인구증가율은 4.1%로 전국 평균 인구증가율인 2.8%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가 31.8% 늘어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110] 고령인구 비중은 8.8%(2010년 기준)로 전국 평균 11.3%에 비해 매우 낮으며, 평균 연령은 36.1세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젊은 도시였다.[111] 2011년 대전의 출생아수 증가율은 3.4%로, 전국 평균(0.2%)을 크게 웃돌며 전국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112]

2010년 다른 지역으로부터 대전으로 전입한 인구는 충남(21,341명), 경기(16,368명), 서울(13,819명), 충북(8,853명)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의 순유입이 가장 많았다. 2011년에는 3,344명이 순유입(전입-전출)되었고, 인구이동률은 전국 시·도 중 세 번째로 활발했다. 2014년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의 전국 거주지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시민들의 94.3%가 대전이 살기 좋다고 대답하여 거주지 만족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113]

1997년 정부대전청사 개청 등 중앙행정기관 이전으로 대전의 인구는 급증하였다.[40] 그러나 2013년 수도 기능 분산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대전 북쪽에 세종특별자치시가 건설되면서, 대전으로 이전했던 공공기관 중 상당수가 세종으로 다시 이전하였고, 서울의 많은 공공기관들도 세종으로 이전하였다. 세종시 출범과 함께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면서 대전 시민들의 세종시 유출이 시작되었다. 2020년 7월 기준 대전에서 세종으로 순유출된 인구는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전광역시 인구의 21.8%는 불교를, 31.2%는 기독교(개신교 20.5%, 천주교 10.7%)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52]

대전광역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 (1986년~2018년)[114]
연도인구 (명)증감률 (%)세대 수인구 밀도면적 (km²)비고
1986년893,6423.11195,9334,375204.25
1987년922,0473.18204,1494,511204.42
1988년937,1191.64213,0314,498208.35
1989년1,051,79512.24243,7201,958537.25직할시 승격, 대덕군 통합
1990년1,049,578-0.21262,3481,954537.19감소
1991년1,091,2003.97277,9232,031537.27
1992년1,136,6214.16327,0492,116537.13
1993년1,191,1874.80348,6192,219536.86
1994년1,235,3783.71365,4122,288539.85
1995년1,268,4322.68379,1212,349539.87광역시 개칭
1996년1,387,8842.32394,8692,404539.98
1997년1,323,0091.94411,8672,451539.71
1998년1,345,6841.71417,5232,492539.79
1999년1,368,2871.68427,1522,535539.73
2000년1,390,5101.62439,3122,576539.83
2001년1,408,8091.32450,4892,609539.84
2002년1,424,8441.14463,2702,640539.71
2003년1,438,7780.98479,9162,666539.64
2004년1,450,7500.83492,0682,689539.59
2005년1,462,5350.81505,6502,709539.78
2006년1,475,9610.92518,0392,734539.79
2007년1,487,8360.80525,8802,757539.64
2008년1,495,0480.48531,6822,769539.84
2009년1,498,6650.24538,1002,776539.86
2010년1,518,5401.33555,7682,813539.90
2011년1,530,6500.80566,3242,835539.97
2012년1,539,1540.56575,6002,849540.14
2013년1,547,6090.55584,8772,865540.24
2014년1,531,807감소, 세종시 출범 영향
2015년1,518,775
2016년1,514,370
2017년1,502,227
2018년1,489,936


8. 주요 기관

대전은 정부대전청사특허법원 등 국가 중앙행정기관이 입지한 행정도시이며,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특구인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조성된 과학기술 도시이다. 수도권 기능 분산 정책에 따라 특허청과 통계청 등 일부 중앙행정기관 본청이 이전하였으며,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본사와 한국철도공사(KORAIL) 본사도 대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성구 자운대에는 육군교육사령부와 각 군 대학, 국방과학연구소, 군수사령부 등 국방 관련 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육·해·공군 통합 본부인 계룡대가 있는 계룡시와도 인접해 있다.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이후 과학기술 도시로서의 위상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한 다수의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가 집적되어 원자력, 우주 개발, 생명공학 등 첨단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8. 1. 정부대전청사

정부대전청사는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며, 대지 면적 518338m2, 20층 건물 4개동 및 부속건물 연면적 226502m2 규모로 건립되었다. 1997년 12월 준공되어 1998년 7월 개청하였으며, 총 14곳의 국가기관 공무원 및 직원 6,6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대전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정부대전청사 파급효과는 직·간접 생산을 포함한 총 생산유발효과는 5862억, 지역 내 실질 부가가치는 2882억으로 분석되었다.[123]

청사 내 주요 입주 기관은 다음과 같다.

8. 2. 기타 국가 기관

대전은 정부대전청사특허법원 등 국가 중앙행정기관이 입지한 행정도시이다. 수도권 기능 분산 정책에 따라 특허청과 통계청 등 일부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해 왔으며,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본사와 한국철도공사(KORAIL) 본사도 대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성구 자운대에는 육군교육사령부를 비롯하여 육군, 해군, 공군 각 군의 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 인근에는 국방과학연구소와 군수사령부가 위치하여 국방 관련 기관이 집중되어 있으며, 계룡시에 위치한 계룡대(육·해·공군 통합본부) 역시 유성구와 인접해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특구로, 관련 특별법[125]에 따라 대전광역시 유성구대덕구 일대에 지정된 지역이다. 1973년 계획이 수립되어 1992년 준공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입주하기 시작했다.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공식 출범하였고[127][128], 2011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129]

2022년 기준으로 특구 내에는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 27개를 포함하여 총 2,454개의 기관 및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약 9만 2천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130] 주요 연구 분야는 원자력, 우주 개발, 생명공학 등 다양하며, KSTAR와 같은 대형 연구 시설도 운영 중이다. 2022년 총 연구개발비는 약 7.943조에 달하며, 누적 특허등록은 국내특허 159,713건, 해외특허 83,284건이다.[131]


8. 3. 대덕연구개발특구

대전은 한국의 연구개발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그 핵심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이다.[56][57] 1973년 연구학원도시로 지정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주로 유성구 갑천 북쪽에 위치하며, KAISTIBS을 비롯한 20여 개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그리고 다수의 민간 기업 연구소들이 집적되어 있다.[56][57]

이곳에서는 통신, 나노공정, 생명공학, 수자원, 원자력, 수력, 핵융합, 설계, 측정 기술, 기계 공학, 연료전지, 항공우주, 신소재, 로봇공학, 신약, 환경 기술 등 매우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ETRICDMA, WIBRO, DMB 이동통신 기술, KRIBB의 나노 바이오칩, KARIKOMPSAT 위성, KFE의 KSTAR 핵융합 실험로 등이 대덕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이다.[58]

갑천 너머에서 본 KAIST 캠퍼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산학연 간의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기업 연구소뿐만 아니라 연구소기업과 벤처기업들도 다수 자리 잡고 있다.

2013년 5월 16일, 대전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중심지로 선정되어 기초과학 연구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59]

8. 3. 1. 정부출연기관

대전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기초과학연구원 외에도 20개 이상의 정부 연구기관과 다양한 기업 연구소들이 대부분 유성구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위치하여 한국의 연구개발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56][57]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도기관 공동사옥 (한국철도공사 본사, 국가철도공단 본부)


대전에는 중앙 정부 부처 산하의 여러 공공기관 본사 및 본부가 위치해 있다. 특히 대한민국 정부대전청사와 더불어 다수의 공공기관이 이전해 오거나 신설되었다.

기관명소속 부처 / 기관 유형위치비고
한국철도공사 (KORAIL)국토교통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철도기관 공동사옥
국가철도공단 (KR)국토교통부 산하 준정부 기관철도기관 공동사옥
한국수자원공사 (K-water)환경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대덕구 연축동
한국조폐공사 (KOMSCO)기획재정부 산하 준시장형 공기업유성구 가정동
한전원자력연료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유성구 덕진동
한국가스기술공사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준시장형 공기업유성구 봉산동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유성구 도룡동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산림청 산하 기관대덕구 비래동
한국산림복지진흥원산림청 산하 준정부 기관서구 둔산동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준정부 기관유성구 지족동2014년 이전·통합 출범[132]
한국특허정보원특허청 산하 기관서구 둔산동2016년 서울에서 이전[133]
한국특허기술진흥원특허청 산하 기관서구 탄방동
한국특허전략개발원특허청 산하 기관중구 선화동2022년 서울에서 이전[134]
한국기상산업기술원기상청 산하 기관동구 가양동2022년 서울에서 이전[135]
한국통계정보원통계청 산하 기관서구 만년동
코레일테크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중구 은행동



또한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다수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다.

기관명약칭비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나노 바이오칩 등 개발[58]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CDMA, WIBRO, DMB 등 개발[58]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KOMPSAT 위성 등 개발[58]
한국천문연구원KASI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KSTAR 핵융합 실험로 운영[58]
나노종합기술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기계연구원KIMM
한국화학연구원KRIC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원본에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A)로 표기됨. 현재 기관명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ADD
안전성평가연구소KIT원본에는 한국독성학연구소(KIT)로 표기됨.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중이온가속기연구소RISP원본에는 희귀동위원소과학연구소(RISP)로 표기됨.
한국연구재단NRF
국가보안기술연구소국가정보원 산하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공공기관 부설 연구소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공공기관 부설 연구소



대전에서 수행되는 연구 분야는 통신, 나노공정, 생명공학, 수자원, 원자력, 수력, 핵융합, 설계, 측정 기술, 기계 공학, 연료전지, 항공우주, 신소재, 로봇공학, 신약, 환경 기술 등을 포함한다.

2013년 5월 16일, 대전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중심지로 선정되었다.[59]

8. 3. 2. 민간 연구소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 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 연구소와 연구소기업,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업 연구소와 다수의 중소기업 연구소가 자리 잡고 있다.

다음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주요 민간 연구소 목록이다.

연구소명연구소명연구소명
DL케미칼 대덕연구소SK C&C 대덕 데이터 센터풍산 방산기술연구원
DL이앤씨 건축환경연구센터골프존 대전사무소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테크노돔 (중앙 R&D센터)[60]
GS칼텍스 기술연구소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한솔제지 중앙연구소
IDIS 본사금호폴리켐 대전연구소한온시스템 본사
KT OSP이노베이션센터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R&D캠퍼스
KT 대덕2연구센터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 본사한화솔루션 중앙연구소
KT&G R&D본부롯데케미칼 기초화학연구소휴비스 R&D센터
LG화학 기술연구원머크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센터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삼성중공업 대덕연구센터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삼양사 화학연구소
LG유플러스 대전R&D센터쎄트렉아이 본사
LIG넥스원 대전하우스알테오젠 본사
LX세미콘 대전캠퍼스 (본사)애경산업 종합기술원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제일사료 하림중앙연구소
SK온 연구원태광산업 중앙연구소



주목할 만한 기업 연구소로는 GS칼텍스 기술연구소(친환경 제품 연구), 한화솔루션 중앙연구소(생명공학, 전자재료, 촉매, 나노기술 연구), LG화학 기술연구원(리튬 이온 전지, 폴리머 전지 개발), 삼양사 화학연구소(의료 연구 및 전자),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석유 관련 연구) 등이 있다. 또한, 한국타이어는 타이어 생산 시설 외에도 대전에 주요 R&D 센터인 테크노돔을 운영하고 있다.[60]

8. 4. 공공기관

신용협동조합중앙회 (NACUFOK)

  • 신용협동조합중앙회 (신협중앙회, NACUFOK) (금융위원회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 (연협중앙회, KTGO) (기획재정부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과학기술시설관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한국산림기술인회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한국산림토석협회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중구 안영동)
  •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서구 탄방동)
  • 연초생산안정화재단 (기획재정부 유관 특수법인, 유성구 관평동)
  • 한국발전인재개발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비영리법인, 서구 관저동)
  • 케이워터기술 (환경부 산하 법인, 서구 둔산동)
  • 케이워터운영관리 (환경부 산하 법인, 유성구 용산동)
  • 백제세계유산센터 (국가유산청 유관 재단법인, 서구 둔산동)


'''주요 기관 지역 사무소'''

대전도시공사

8. 5. 관공서

정부대전청사는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며, 대지 면적 518338m2, 20층 건물 4개 동 및 부속 건물 연면적 226502m2 규모로 1997년 12월 준공되었고, 1998년 7월 개청하였다. 총 14곳의 국가기관 공무원 및 직원 6,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대전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정부대전청사의 파급 효과는 직·간접 생산을 포함한 총 생산유발효과가 5862억, 지역 내 실질 부가가치는 2882억로 분석되었다.[123]

정부대전청사에 입주한 주요 기관은 다음과 같다.

8. 5. 1. 기타 기관


  • 신용협동조합중앙회 (신협중앙회, NACUFOK) - 금융위원회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 (연협중앙회, KTGO) - 기획재정부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과학기술시설관리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한국산림기술인회 -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서구 둔산동)
  • 한국산림토석협회 -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중구 안영동)
  • 한국산지보전협회 - 산림청 유관 특수법인. (서구 탄방동)
  • 연초생산안정화재단 - 기획재정부 유관 특수법인. (유성구 관평동)
  • 한국발전인재개발원 -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비영리법인. (서구 관저동)
  • 케이워터기술 - 환경부 산하 법인. (서구 둔산동)
  • 케이워터운영관리 - 환경부 산하 법인. (유성구 용산동)
  • 백제세계유산센터 - 국가유산청 유관 재단법인. (서구 둔산동)


'''주요 기관 지역 사무소'''

9. 교통

대전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등 주요 고속도로와 경부선, 호남선 철도 노선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KTX 고속철도를 이용하면 대전과 서울 사이를 약 5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북쪽으로 약 30분 거리에 있는 청주국제공항이며,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직행 버스 노선도 운행되고 있다.

시내 교통으로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 중이며,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또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인 타슈가 운영되어 시민들의 근거리 이동을 돕고 있다.

9. 1. 철도

대전역


대전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경부선호남선 철도 노선이 분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KTX 고속철도를 이용하면 서울까지 약 5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운영하는 주요 철도 노선과 역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시내에는 한국철도공사의 대전차량사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대전광역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9. 2.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시청역


대전에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어 운행 중이다. 2006년 3월 16일 부분 개통을 시작으로 2007년 4월 17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대전의 남동쪽인 판암역부터 북서쪽인 반석역까지 22.6km 구간에 걸쳐 22개 역을 모두 지하철로 운행하고 있다. 원도심의 대전역과 시청 및 정부청사가 위치한 신도심 둔산 지역을 연결한다.

통과 역은 판암(대전대) - 신흥 - 대동(우송대) - 대전역 - 중앙로 - 중구청 - 서대전네거리 - 오룡 - 용문(가톨릭병원) - 탄방(다빈치병원) - 시청(법무법인 대륜) - 정부청사(신협중앙회) - 갈마 - 월평(한국과학기술원)(방위사업청) - 갑천 - 유성온천(충남대•목원대) - 구암 - 현충원(한밭대) - 월드컵경기장(노은도매시장) - 노은 - 지족(침신대) - 반석(칠성대)이다. 종점 간 운행 시간은 40분이며, 평상시 10분, 출퇴근 시간에는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2013년 기준 연간 승차인원은 39,868,883명, 하루 평균 승차인원은 109,230명이다.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 도시철도는 서울 지하철과 비교했을 때 차량 폭이 좁고, 차량 간 연결 통로가 없으며, 열차당 4량 편성(서울은 최대 10량)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는 좌석 아래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83] 초기에는 플라스틱 토큰을 이용한 요금 지불 방식을 사용했으나[84], 현재는 티머니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충전식 교통카드 및 기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국토교통부의 사업 승인을 받고 국비를 확보한 상태이다. 2014년 12월 4일, 당시 권선택 시장은 2호선 건설 방식을 노면전차(트램)로 변경하겠다고 발표하였다. 2호선은 2024년 9월 착공될 예정이다.[137]

9. 2. 1. 광역철도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의 주요 철도 교통 중심지 중 하나로, 여러 한국철도공사(KORAIL) 노선이 경유한다.

대전역에는 경부고속선KTX와 SRT가 정차하며, 동대구역·부산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ITX-새마을·무궁화호 열차도 이용할 수 있다. 서대전역에는 일부 호남고속선 열차와 호남선·전라선 방면의 ITX-새마을·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또한, 충북선을 경유하여 청주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 대부분이 대전역에서 출발한다.

시내에는 한국철도공사의 대전차량사업소가 위치해 있으며, 경부선호남선이 분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대전선은 대전역과 서대전역을 연결하지만, 현재 여객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9. 3. 도로

2011년 기준 대전광역시의 도로 총 연장은 2267km에 달하며, 도로는 격자형 구조로 되어 있어 시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등 주요 고속도로가 교차하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32호선 등 다수의 국도가 통과하여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잘 정비된 시내 간선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9. 3. 1. 고속도로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 중 하나로,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등 여러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9. 3. 2. 일반도로

2011년 기준 대전광역시의 도로 총 연장은 2267km이며, 격자형 구조로 되어 있어 시내 교통이 편리하다.

대전광역시를 통과하여 시외로 연결되는 주요 국도는 다음과 같다.

주요 지방도는 다음과 같다.

시내 주요 간선 도로로는 다음 도로들이 있다.

갑천에는 대덕대교, 둔산대교, 갑천대교 등이 건설되었으며, KAIST 인근의 카이스트교는 2014년에 준공되었다.[141] 또한, 둔산 도심사이언스콤플렉스가 위치한 도룡동을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제2엑스포교도 건설되었다.

9. 4. 버스

(내용 없음)

9. 4. 1. 고속·시외버스

대전복합터미널 전경


대전복합터미널, 유성시외버스터미널, 유성고속버스터미널, 대전서남부터미널, 대전청사버스정류장 등에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대전고속버스터미널과 대전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하여 2011년 12월 16일 동구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이 개장했다. 대전역에서 북쪽으로 2km, 서대전역에서 북동쪽으로 4km 지점에 위치한다. 터미널 내에는 신세계 스타일 마켓과 이마트, CGV 영화관, 영풍문고 등이 입점하여 복합 쇼핑 및 문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유성구 구암동의 구암역 인근에는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이 계획되어 있다. 지하 4층, 지상 10층 규모에 건물 면적 244000m2로 지어질 예정이며, 지하 1층은 고속버스터미널, 지상 1층은 시외버스터미널, 지상 2~3층은 상업 시설로 구성된다.[142] 또한, 시내버스 및 급행버스 기점지, 환승주차장, 화물차고지 기능도 포함하며, 정부세종청사까지 20분 내외로 연결하는 BRT 노선 신설도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9. 4. 2. 시내버스

(내용 없음)

9. 5. 자전거

대전광역시 공용 자전거 타슈


시민 공용자전거 무인대여 시스템인 '''타슈'''를 시행하고 있다. 타슈는 충청 방언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2008년부터 운영되었으며[85], 교통카드 또는 휴대폰으로 인증 후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대여하고 사용 후 반납할 수 있다. 기본 대여료는 500KRW이며, 1일권을 구매하면 그날 1시간 이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85]

2012년 확대되어 103곳의 대여소와 1000대의 자전거로 운영된다. 타슈 대여소 설치 지역은 5개 권역으로 구분된다.

타슈 대여소 권역별 분포 (2012년 기준)
권역대여소 수
둔산·유성·연구단지권56곳
도안 신도시권11곳
태평동11곳
판암동·가오동10곳
중리동·송촌동12곳



간선도로와 하천 주변에 자전거 전용도로 960km를 개설하였다. 갑천 39.07km, 유등천 16.68km, 금강 8.81km 등 강변을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가 조성되어 있고, 유성에서 세종특별자치시까지 총연장 20km의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었다. 금강 수변공원에서 유성온천 족욕장까지 용수천 강변길을 따라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서 오갈 수 있다. 대전광역시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자전거책임보험에 가입하였다.[146] 향후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충하고, 대여소와 자전거를 확대 보급하여, 자전거 타기 좋은 녹색교통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9. 6. 공항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공항이 없다. 대전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청주국제공항이다. 한국 항공 시간표에서는 종종 '''청주/대전'''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 공항에는 중국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국제선 노선이 있으나, 운항 편수와 노선 수가 많지 않아 대전 시민들은 주로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147] 등을 이용하는 편이다.

정부청사 시외버스 정류장이나 도룡동 고속시외버스 정류장에서 김포국제공항 또는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으로는 공항버스나 충북선 철도[148]를 이용해 갈 수 있다. 청주국제공항까지는 버스나 자동차로 약 40분이 소요되며, 인천국제공항까지는 약 2시간 정도 걸린다.

10. 교육

조선 시대 대전 지역의 교육은 관 주도의 향교와 사설 교육기관인 서원, 서당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관학으로는 대덕구 읍내동의 회덕향교와 유성구 교촌동의 진잠향교가 있었다. 사설 교육기관으로는 숭현서원(崇賢書院), 도산서원, 정절서원(靖節書院) 등이 있었는데, 숭현서원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년) 송남수(宋柟壽)가 중건하였으며 현재 원촌동에 터가 남아있다. 정절서원은 1684년(숙종 10년) 계양동에, 도산서원은 1711년 단방동에 세워져 지역 유생 교육에 기여했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모두 폐지되었다. 이 외에도 1585년(선조 18년) 석교동에 남분봉(南奮鵬)의 봉소재(鳳巢齋)가 세워졌고, 인조 대에는 김경여(金慶餘)가 회덕2동에 송애당을, 숙종 대에는 송시열이 남간정사(南澗精舍)를, 조선 후기에는 송병선이 성남동에 석남재(石南齋)를 세우는 등 사설 서당과 강학당을 통한 교육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현재 대전광역시에는 초등학교 146개교, 중학교 88개교, 고등학교 62개교, 특수학교 5개교, 전문대학 5개교, 대학교 11개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다.[11] 주요 교육기관에 대한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10. 1. 초·중등 교육기관

대전광역시교육청서구 둔산동에 위치하며, 산하에는 중구 선화동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과 서구 도마동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이 있다.

2013년 기준으로 대전에는 유치원 269개, 초등학교 150개교, 중학교 88개교, 고등학교 62개교가 있었다. 당시 학생 수는 초등학교 91,599명, 중학교 56,765명이었고, 고등학교는 일반계 38,838명, 특수목적 고등학교 3,010명, 특성화 고등학교 10,272명, 자율고등학교 8,879명이었다. 교원은 초등학교 5,976명, 중학교 3,624명, 고등학교 4,244명이었으며,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5.0명이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대전에는 초등학교 146개교, 중학교 88개교, 고등학교 62개교, 특수학교 5개교가 있다.[11]

주요 특수목적고등학교로는 대전과학고등학교대전외국어고등학교가 있다. 대전외국어고등학교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 7개 전공 언어 교육을 제공한다. 대전과학고등학교는 과학 교육에 중점을 둔다.[55] 2014년에는 과학영재학교가 개교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 따라 외국인 및 연구원 자녀 교육과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해 유성구 상대동 도안신도시의 옛 유성중학교 부지에 국제중학교와 국제고등학교 설립이 추진되기도 했다.[149]

기타 학교로는 비영리 국제학교인 대전크리스천국제학교와 사립학교인 보문고등학교 등이 있다.

10. 2. 고등 교육기관

2013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대학생 수는 91,772명, 대학원생 수는 18,024명이며, 전문대학 학생 수는 20,424명이었다. 당시 대학교 교원은 3,670명, 전문대학 교원은 558명으로 집계되었다.[150] 현재 대전에는 11개의 대학교와 5개의 전문대학이 운영되고 있다. 주요 국공립대학, 사립대학, 전문대학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 2. 1. 국공립대학

충남대학교 정문


국립한밭대학교 정문


KAIST 캠퍼스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건물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주요 '''국공립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10. 2. 2. 사립대학

상공에서 바라본 목원대학교 전경


우송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서캠퍼스 전경


대전의 주요 사립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10. 2. 3. 2년제 대학

2013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전문대학 학생 수는 20,424명이고, 교원은 558명이다.[150] 현재 대전에는 5개의 전문대학이 있다.

10. 3. 도서관

한밭도서관


대전에는 22개의 공공 도서관과 185개의 민간 도서관이 있다. 시에서 운영하는 한밭도서관은 가장 규모가 큰 도서관으로, 중구 문화동에 위치하며 3,700여 석의 좌석과 54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하루 평균 약 4,600명이 이용한다.

중구에는 한밭도서관 외에도 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대전평생학습관대전학생교육문화원이 있다. 대전평생학습관에 부속되었던 테미도서관은 1961년에 개관한 가장 오래된 도서관이었으나, 2013년 산성동으로 이전하면서 산성도서관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각 구에서 운영하는 지역 도서관은 다음과 같다.

자치구도서관 목록
동구가오도서관, 용운도서관, 성남도서관, 판암도서관, 홍도도서관, 문화정보관
중구산성도서관 (구 테미도서관)
서구둔산도서관, 가수원도서관, 갈마도서관, 어린이도서관
유성구유성도서관, 노은도서관, 구즉도서관, 진잠도서관
대덕구안산평생학습도서관, 신탄진도서관



이 외에도 점자도서관 등이 운영되고 있다.[11]

신탄진도서관은 약 1,200석, 중구 목동에 위치한 대전학생교육문화원은 약 1,100석 규모를 갖추고 있다.[152]

11. 경제

대전은 대한민국의 주요 경제 도시 중 하나로, 안정적인 경제 지표와 함께 연구개발 중심지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2018년 기준 대전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41조 1,880억원이며,[154] 2020년 1인당 개인소득은 2,135만원으로 서울, 울산에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했다.[153] 이는 경기도 및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115] 또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116] 및 2016년 기준 1인당 민간소비[155] 역시 전국 최상위권에 속한다.

산업 구조는 서비스업이 7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 18.2%, 건설업 3.9% 순이다. 특히 제조업 비중은 2010년 16.5%에서 2012년 18.2%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155]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과 같은 창조산업 관련 사업체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2013년에는 벤처기업 수가 1천개를 돌파하고 인구 10만명당 벤처기업 집적도에서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157]

경제 안정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2013년 11월 기준 실업률은 2.4%로 전국 평균보다 낮고 특별·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158] 물가상승률 역시 2012년 이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연간 일자리 증가율은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158] 일자리의 질 또한 서울에 이어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61]

대외적으로는 2010년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으며, 2011년에는 대한민국 지방정부 최초로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로부터 국가 신용등급과 동일한 'A1 등급'을 획득하여 외자 유치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했다.[159][160]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도시로 지정되어[59] 과학 기술 기반의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건립[166]신세계의 지역 법인 설립[167] 등이 추진되었다.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는 2017년 대전을 한국 기초과학의 중심으로 평가하며 연구개발 역량을 주목하기도 했다.[168] 또한 SK그룹은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 육성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는 등[165] 대기업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11. 1. 농업

대전의 농업 인구와 경지 면적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농업은 주로 동구유성구에서 이루어지며, 배와 포도가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동구의 산내동, 판암동, 산성동 일대에서는 포도가 많이 재배되며, 이는 전국 포도 생산량의 약 8.4%를 차지한다. 또한 대전은 1969년에 대한민국 최초로 와인이 생산된 지역이기도 하다. 유성구에서는 맛과 향이 뛰어난 배가 주로 생산된다.

이 외에도 고구마, 상추, 수박, 오이, 버섯, 앵두, 딸기, 방울토마토, , 들깨 등 다양한 작물이 재배된다. 2011년 기준으로 대전의 경지 면적은 4732ha이며, 농가 수는 9,130호이다.

11. 2. 제조업

대전의 산업 구조에서 서비스업이 7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제조업 역시 18.2%를 차지하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제조업 비중은 2010년 16.5%, 2011년 17.9%, 2012년 18.2%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155] 2012년 초 기준 대전의 제조업체 수는 2,085개로, 이 중 대기업(300인 이상)은 16개, 중기업(50인 이상 300인 미만)은 149개, 소기업(50인 미만)은 1,920개로 집계되었다.

주요 산업단지로는 대덕구 갑천변에 위치한 제1·2·3·4공업단지와 유성구 탑립동의 대덕테크노밸리 등이 있으며, 약 38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 대전 제1·2공업단지: 대덕구 대화동, 읍내동 일대에 위치하며 금속, 석유화학, 섬유, 식품, 제지 등 137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 대전 제3공업단지: 대덕구 문평동, 신대동 일대에 위치하며 기계금속, 섬유, 화학, 제지 등 66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 대전 제4공업단지: 대덕구 신일동, 목상동, 문평동 일대에 위치하며 기계, 전자, 자동차 등 177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전의 주력 산업으로 무선통신융합, 로봇자동화, 금속가공, 메디바이오, 지식재산서비스를 선정했으며, 협력 산업으로는 기능성화학소재, 광전자융합, 지능형기계산업을 확정했다.[164] (각 산업 분야에 대한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대전에는 다수의 주요 기업들이 본사 또는 생산 시설, 연구소를 두고 있다.

기업명주요 사업 분야
KT&G담배, 인삼
한국타이어타이어 제조 (주요 R&D 센터 위치[60])
한라공조 (현 한온시스템)자동차 공조 시스템
계룡건설산업건설
아트라스BX (현 한국앤컴퍼니 ES사업본부)축전지
실리콘웍스 (현 LX세미콘)반도체 설계
웅진에너지태양광 소재
동양강철 (현 알루코)알루미늄 압출
금성백조주택건설
우성사료사료
라이온켐텍인조대리석, 합성왁스
골프존스크린골프
더맥키스컴퍼니주류 (소주)
보쉬 코리아자동차 부품, 전동공구
애경 (현 애경케미칼 등)화학
한솔제지제지
아모레퍼시픽화장품
유한킴벌리위생용품
LG화학화학, 배터리 (연구단지 위치)
한화방산, 화학 (대전사업장, 국방연구소 위치)



대전의 제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1~3분기 광공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자부품, 담배, 화학제품 등의 생산 호조에 힘입은 결과이다.[174][175] 수출 역시 증가세를 보여, 2014년 2월 대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했다. 특히 냉방기, 펌프류, 무선통신기기 부품 등의 수출이 크게 늘었다.[176]

제조업 기반 확충을 위해 신규 산업단지 조성도 추진되고 있다. 서구 평촌·용촌·매노동 일대에는 858000m2 규모의 평촌일반산업단지가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되었으며, 100여 개 기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유성구 안산동 일대에는 224000m2 규모의 안산첨단국방산단이 2022년 준공 예정으로, 국방 벤처기업 20여 개를 유치할 계획이다.[177] 서구 평촌동과 동구 하소동 등에도 친환경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추진된 바 있다.[171]

11. 2. 1. 로봇 산업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중심도시로서 로봇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전을 로봇 자동화 산업의 주요 지역으로 선정했으며[164], 대전 내에는 367개의 로봇 자동화 관련 기업체가 자리 잡고 약 1,300여 명이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164]

대전의 로봇 산업 관련 기업들은 신기술 및 제품 개발을 위한 정부 공모사업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9개 기업이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사업비를 지원받았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78]

  • 자율비행로봇 시범사업
  • 4D 스노보드 시뮬레이터 개발
  • 고가반하중 모듈형 로봇 개발
  • 수직 이착륙 비행로봇 시스템 개발
  • 로봇 지능 모듈 기술 개발
  • 동력 기계용 초음파 센서 모듈 개발
  • 자동·무인화 실내 자동 항법 기술 개발
  • 골프장 캐디 로봇 상용화 사업
  • 호텔 서비스용 지능형 로봇 통합 솔루션 상용화 사업


이러한 정부의 지원과 지역 기업들의 기술 개발 노력을 통해 대전은 국내 로봇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1. 2. 2. 항공우주 산업

대전은 한국의 연구개발 중심지 중 하나로,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공우주 분야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56][57] 대전에서 수행되는 주요 연구 분야에는 통신, 나노공정, 생명공학, 수자원, 원자력, 수력, 핵융합, 설계, 측정 기술, 기계 공학, 연료전지, 항공우주, 신소재, 로봇공학, 신약, 환경 기술 등이 포함된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위치하고 있으며,[58] 이 연구원은 KOMPSAT 위성 개발과 같은 중요한 국가적 성과를 내고 있다.[58] 또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연구소도 대덕에 자리하여 항공우주 설계, 위성 개발, 발사체 기술 등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항공우주 관련 기업인 루맥스에어로스페이스 등도 대전으로 본사와 연구소, 생산기지를 이전할 계획이다.[173]

11. 2. 3. 바이오 메디컬 산업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전의 주력 산업 중 하나로 메디바이오 분야를 선정하였다.[164] 이 분야는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등을 포함하며, 217개 사업체에 약 3,200여 명이 종사하고 있다.[164] 정부와 대전시는 이 주력 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까지 국비와 시비를 집중 투입할 계획이었다.[164]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생명공학 연구가 활발하다. 특구 내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동부첨단연구소(생명공학, 미생물 및 농약), 한화케미칼 연구소(생명공학, 전자재료, 촉매 및 나노기술), LG화학 연구단지, 삼양R&D센터(의료 연구 및 전자) 등 다수의 기업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국내 주요 시약 제조업체인 대정화금 등이 본사, 연구소, 생산기지를 대전으로 이전할 계획을 밝히는 등 관련 기업 유치도 진행 중이다.[173]

11. 2. 4.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과학공원 일원에는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될 예정이다.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 규모의 초고층 건축물로, 과학과 문화, 쇼핑과 여가 콘텐츠가 융합된 복합엔터테인먼트시설로 조성된다.[166] 신세계는 지역법인 ㈜'''대전신세계'''를 설립하였고, 이곳을 대전의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167]

2013년 5월 16일, 대전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중심지로 공식 선정되었다.[59] 이러한 지정은 대전의 과학 기술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 Natureeng )는 2017년 발간한 특별판 《2017 과학도시(Science Cities)》에서 대전을 한국 기초과학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LG화학 기술연구소 등 기업 연구소와 10,000명이 넘는 연구 인력이 집적되어 있어 시너지 창출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168]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확정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민선 5기 이후 웅진에너지, 한화국방연구소 등 당초 세종시 이전 예정이었던 기업을 포함해 344여 개의 기업을 유치했으며, 외국계 기업들의 투자 문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총 투자 유치 금액은 5.32억달러에 달하며, 약 15,300여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구체적인 외국인 투자 사례로는 독일 보쉬코리아의 디젤 자동차 부품 제조 시설 증축(향후 3년간 1억달러 투자), 영국 블루앤의 생산 공장 설립 협의(약 3000만달러 규모) 등이 있다. 일본계 기업인 한국SMC공압은 제3공장(16000m2, 260억)과 아시아기술센터(1000억, 연구인력 300~400명) 설립을 검토 중이며, 일본 NDK는 국내 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태양광 부품 제조 관련 양해각서 체결을 협의하고 있다. 중국 이메텍 역시 휴대폰 반도체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 협의를 진행 중이다. 외국인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한 빌딩형 외국인 전용 인큐베이터센터 건립도 추진되고 있다.[170]

아랍에미리트(UAE)의 '알 만할 그룹(AI Manhal International LLC)'은 대전 기업 ㈜에코그린과 협력하여 남대전에 연구개발센터 및 생산 공장 건립을 위해 1.5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172] 국내 기업들의 대전 이전도 활발하다. 국내 3대 시약 제조업체인 대정화금을 비롯해 루맥스에어로스페이스, 엠쏘텍, HMG, 코노바코리아 등이 본사, 연구소, 생산 기지를 대전으로 이전할 계획이다.[173]

11. 3. 서비스업

대전의 산업 구조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6.6%로 가장 높다.[155] 서비스업 중에서도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과 법무∙회계∙세무, 경영컨설팅, 디자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창조산업 관련 사업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1. 3. 1. 산업 현황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인당 개인소득은 2,135만원으로 서울, 울산에 이어 전국 3위이며, 경기도 및 전국 평균보다 높다.[115][153] 국세청이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을 토대로 분석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 역시 대전이 전국 3위이다.[116] 2018년 대전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41조 1,880억원이며, 1인당 지역총소득은 30,735,000원이다.[154] 2016년 1인당 민간소비는 1,564만원으로 서울, 울산에 이어 전국 3위이다. 2014년 가구금융 조사 결과 시도별 소득규모에서 대전은 평균 가구소득 4,799만원으로 울산, 경기, 서울에 이어 전국 4위를 차지했으며, 전국 평균보다 높고 인천(4,249만원), 부산(4,219만원), 대구(4,346만원) 등 다른 광역시보다도 훨씬 높게 조사되었다.[163] 물가상승률은 2012년 이후 2년 동안 0%대의 등락률을 보이며 전국에서 가장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산업 구조별 비중은 서비스업이 76.6%를 차지하고, 제조업 18.2%, 건설업 3.9%,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 1.1%, 농림어업 0.1%이다. 제조업 비중은 2010년 16.5%, 2011년 17.9%, 2012년 18.2%로 증가하는 추세이다.[155]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과 법무∙회계∙세무, 경영컨설팅, 디자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창조산업 관련 사업체는 7,440개로, 전체 사업체의 8%를 차지한다.

국세청이 공개한 2012년 대전 소재 기업의 평균 소득은 전국 4위로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보다 높다.[156] 2013년 1월 대전의 벤처기업은 1천개를 돌파하였으며, 매년 10% 이상 성장하여 인구 10만명당 벤처기업 집적도는 65개로 서울(60개)을 제치고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157] 2013년 11월말 기준 대전의 실업률은 2.4%로 전국 평균보다 낮으며, 특별·광역시(평균 3.0%) 중에서도 가장 낮다. 연간 일자리 증가율은 6.45%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158] 2014년 산업연구원이 작성한 '지역별 일자리 질의 현황 및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은 서울에 이어 지역별 일자리 질 2위를 차지했다.[161] 2013년 대전에 소재하는 31개 상장기업 직원의 평균 연봉은 5,421만원으로 서울(5,312만원)보다 높은 수준이다.[162]

2011년 대전에서 투자되는 연구개발비는 6조 8173억원이다. 2007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연구개발비는 서울(1조 7057억원), 경기(1조 1096억원), 인천(3151억원) 등 수도권을 합한 것보다 많고, 수도권과 대전을 뺀 지방 전체의 연구비를 합한 것(2조 1668억원)보다 많다.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ET(환경·에너지기술), CT(문화기술) 등 미래유망 신기술 6T(6Technology)에 대한 연구비도 수도권과 12개 지자체를 합한 것보다 높은 수치이다. 네이처(Nature)는 2017년 발간한 특별판 《2017 과학도시(Science Cities)》에서 대전이 한국 기초과학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LG화학 기술연구소 등 기업부설 연구소, 10,000명이 넘는 연구원이 모여 있어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평가했다.[168]

산업통상자원부는 '2014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대전의 주력 산업과 협력 산업을 선정하고 육성 계획을 밝혔다. 정부와 대전시는 이들 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까지 국비와 시비를 집중적으로 투입하기로 했다.[164]

'''대전광역시 주력 및 협력 산업 현황 (2014년 기준)'''[164]
구분산업 분야주요 내용사업체 수종사자 수
주력 산업무선통신융합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방송장비 제조 등435개1,800여 명
로봇자동화367개1,300여 명
금속가공381개2,700여 명
메디바이오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등217개3,200여 명
지식재산서비스278개2,200여 명
협력 산업기능성화학소재156개2,800여 명
광·전자 융합242개4,300여 명
지능형기계261개2,300여 명



SK그룹은 대전 창조경제 조성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에너지 사업 등 8000억여원,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벤처육성 펀드 4500억을 투자할 계획이며,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를 한국형 실리콘밸리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165]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과학공원 일원에는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될 예정이다.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 규모의 초고층 건축물로, 과학과 문화, 쇼핑과 여가 콘텐츠가 융합된 복합엔터테인먼트시설로 조성된다.[166] 신세계는 지역법인 ㈜'''대전신세계'''를 설립하여 대전의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167]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2011년 5월 16일 대덕연구개발특구가 거점지구 및 기능지구로 확정되면서 본격화되었다.[183] 거점지구인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 기능지구로는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되어 산업·금융·교육·연구 측면에서 거점지구를 뒷받침하게 된다.[184] 대전광역시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대덕연구개발특구정부출연연구기관이 중심이 되며, 연구단 수는 대덕연구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가 배정될 예정이다.[185] 기초과학연구원의 위치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으로 결정되었고,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신동·둔곡지구에서 도룡동 일원까지 확대되었다. 유성구 신동에 들어설 950000m2 중이온가속기 부지는 국고로 매입하기로 하였고, 둔곡국가산업단지에 대기업을 유치하여 R&D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한 첨단 산업단지와 주거 단지를 조성하기로 하였다. 2015년 8월 26일 정부는 사업기간을 2021년까지 4년 연장하고, 1단계(2012∼2017년)와 2단계(2018∼2021년)로 나누어 추진하기로 하였다.[186] 1단계에서는 부지조성과 인프라 구축,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의 1차 준공, 중이온가속기 설계 완료와 시제품 제작을 목표로 하였고, 2단계에서는 공사를 완료하고 정주 여건을 갖추며 기초과학연구원의 2차 준공 및 캠퍼스 설립, 중이온가속기 사업 완료와 과학기반 비즈니스 환경에 기반한 성과 도출을 포함한다.[186] 2018년 11월 대전테크노파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가스기술공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수소특화단지인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를 유치하였다. 2021년까지 신동연구단지에 2100억(국비 105억원·시비 105억원)을 투입해 시험동과 관련 시험설비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187]

중국 사회과학원과 미국 벅넬(Bucknell)대학교 등이 공동 작성한 ‘2008년 세계 도시경쟁력 보고서’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도시 중에는 서울(12위), 울산(162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203위를 기록했다. 이는 인천(221위), 부산(242위), 대구(287위), 광주(295위) 등 다른 광역시보다 높은 도시경쟁력이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1997년 세계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서울(19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세계 25위의 도시경쟁력을 차지했다. 2006년 산업정책연구원이 국내 7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 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대전이 서울(2위)을 제치고 미래 경쟁력 1위 도시라는 평가를 얻었다.[122]

2010년 대전의 수출은 35.46억달러이고, 수입은 27.76억달러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2011년 대한민국 지방정부 최초로 대전광역시가 국제신용 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로부터 대한민국 국가 신용등급과 동일한 'A1등급'을 받아 외자차입 및 외국인투자기업 유치에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159][160]

11. 3. 2. 시장

(내용 없음)

11. 3. 3. 백화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엑스포과학공원 일원에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 규모의 초고층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인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되었다.[166]신세계는 2017년 4월 대전 현지법인 ㈜'''대전신세계'''를 설립하였고,[167][197] 2017년 12월 19일 기공식을 거쳐 2021년 쇼핑, 문화, 과학, 여가를 아우르는 시설로 문을 열었다.[198] 193m 높이의 피라미드형 사이언스 타워 상층부에는 전망대, 식당, 놀이시설 등이 들어섰으며, 5성급 호텔, 병원 등 힐링센터, 과학문화시설도 입주했다. 옥상에는 테마공원과 야외수영장이 조성되었다.[199]

11. 3. 4. 아울렛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유성구 용산동)
  • 패션월드 (서구 월평동)
  • 로데오타운 (서구 탄방동)
  • 모다아울렛 대전점 (유성구 대정동)
  • 패션아일랜드 (동구 가오동)
  • 골든하이

11. 3. 5. 대형마트

wikitext

유통업체매장 수지점명
홈플러스4개유성점 (유성구 봉명동) / 문화점 (중구 문화동) / 대전가오점 (동구 가오동) / 서대전점 (유성구 대정동)
롯데마트3개서대전점 (유성구 원내동) / 대덕테크노밸리점 (유성구 관평동) / 노은점 (유성구 하기동)
이마트3개둔산점 (서구 둔산동) / 대전터미널점 (동구 용전동) / 이마트 트레이더스 월평점 (서구 월평동)
코스트코1개대전점 (중구 오류동)
농협 하나로클럽1개대전점 (중구 안영동)
세이브존1개대전점 (서구 둔산동)


11. 3. 6. 영화관

영화관지점 수지점명
CGV7개대전 (중구 문화동) / 대전가수원 (서구 가수원동) / 대전가오 (동구 가오동) / 대전탄방 (서구 탄방동) / 대전터미널 (동구 용전동) / 유성노은 (유성구 지족동) / 유성온천 (유성구 봉명동)
롯데시네마4개대전 (서구 괴정동) / 대전관저 (서구 관저동) / 대전둔산 (서구 월평동) / 대전센트럴 (서구 둔산동)
메가박스3개대전 (서구 탄방동) / 대전중앙로 (중구 대흥동) /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유성구 도룡동)


11. 4. MICE산업

국제협회연합(UIA)이 발표한 2012년 국제회의 개최 순위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내 4위, 세계 47위를 차지했다.[200] 이는 2008년 대전컨벤션센터(DCC) 개관과 2006년 국제회의 유치 전담기구인 대전컨벤션뷰로(현 대전마케팅공사) 발족 이후 꾸준히 성과를 거둔 결과이다.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행사는 개관 당시인 2008년 222건에서 2011년 654건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참가자(전시회 관람객 제외) 역시 같은 기간 2배 이상 늘어난 21만 9,000명을 기록했다. 국제회의 유치 건수도 2007년 27건에서 2011년 54건으로 증가했다.[201] 대전은 일반 과학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기초과학, 로봇, 원자력, 항공우주,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대회를 유치하고 있다.

주요 국제 행사 유치 및 개최 실적은 다음과 같다.

  • 2009년: '국제우주대회',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21 컨퍼런스[201]
  • 2010년: 국제원자력기구 핵융합에너지 컨퍼런스(IAEA FEC)[201]
  • 2011년: '아시아사이언스캠프', '세계화학엑스포', '환황해 경제기술교류회의' 등 48건의 국제행사를 포함한 총 654건의 행사를 개최하여 1193억의 경제파급효과를 거두었다.[202]
  • 2012년: 대한약사회 주최 '2012 팜 엑스포(Pharm Expo Korea)', 세계조리사대회, 국제소믈리에대회 (약 40만 명 참석)[203], '세계산업자산운용총회', '인조시스템 국제콘퍼런스(ICHS 2012)', '아시아컴퓨터비전총회(ACCV 2012)', '유비쿼터스지능로봇국제학술대회(URAI 2012)' 등 약 60건의 국제회의 개최[201]
  • 2013년: '제36회 아시아태평양첨단네트워크 워크샵'[204], '국제치과기공학술대회'(1만 6천여 명 참가)[205], '아태물협회총회', '인공생명 및 로봇국제심포지엄(AROB 2013)', '세계햅틱스대회(World Haptics 2013)', '아시아건강심리학회총회' 등 개최[201]
  • 2014년: '국제천문연맹아태총회', '자동 로봇시스템 총회'[207], 유네스코(UNESCO)와 공동으로 [https://web.archive.org/web/20141023145101/http://daejeongif.org/ 대전세계혁신포럼] 격년 개최 시작[208]
  • 2015년: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대전 선언문' 채택)[209][210], '세계양봉대회', '국제자유전자레이저 총회'[206], '세계컴퓨터총회(IFIP WCC 2015)' 개최 및 '2018년 국제낙농연맹(IDF) 연차총회' 유치[210]
  • 2016년: '세계가정학회총회'[207], IEEE '세계지능형로봇시스템총회'[211], '국제항공공학협회총회(2016 ICAS Congress)'[212], 제14회 국제우주운영 컨퍼런스(SpaceOps 2016, 경제파급효과 27억)[213]
  • 2017년: '국제중성자학회', '국제전자기장측정총회'[214], 아시아 태평양 도시 정상회의(APCS, 120여 개 도시 1,500여 명 참석)[215]
  • 2020년: 세계미생물학회연합총회(IUMS, 최대 5,000명 참가 예상) 유치[216][217]
  • 2022년: 제7회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총회 유치 (세계 140개국 1,000여 도시 정상 참여, 대전컨벤션센터(DCC) 및 대전국제전시컨벤션센터(DICC)에서 개최)[218]

12. 의료 기관

2011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 내 의료기관은 총 1,990개이며, 의사 3,089명, 치과의사 630명, 한의사 604명이 활동하고 있다. 대전시는 의료 관광 사업 육성에도 힘쓰고 있는데, 국토해양부의 중부첨단산업권 발전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메티컬스트리트'와 '유성온천 건강거리' 등을 조성할 계획을 세웠다.[219] 또한, 2015년에는 보건복지부의 '해외환자유치 지역 선도의료기술 육성사업' 공모에서 '건강검진과 지역의 우수한 특화의료기술, 관광 등을 연계한 의료관광 융복합 모델 구축사업'으로 '의료관광 해외환자 유치' 선도 기관으로 선정되었다.[220]

대전광역시의 주요 의료기관은 다음과 같다.

병원명등급소재지
충남대학교병원상급종합병원(중구 대사동)
건양대학교병원종합병원(서구 가수원동)
대전을지대학교병원종합병원(서구 둔산동)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종합병원(중구 대흥동)
대전선병원종합병원(중구 목동)
유성선병원종합병원(유성구 지족동)
대전보훈병원종합병원(대덕구 신탄진동)
대전한국병원종합병원(동구 성남동)
대청병원종합병원(서구 정림동)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치과병원(서구 둔산동)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한방병원(서구 둔산동)


13. 문화

대전은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과학 기술 인프라가 발달하여 관련 문화 시설이 풍부하다. 대표적으로 국립중앙과학관, 지질박물관, 대전시민천문대 등이 있으며, 이들 시설은 과학 교육과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64][65][66][67][68][69] 또한, 옛 대전엑스포 '93 부지에 조성된 엑스포과학공원은 다양한 과학 관련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예술 분야에서는 대전예술의전당이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선보이며 지역 문화 예술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대전시립미술관은 현대 미술 작품을 전시하며, 건축가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이 설계한 이응노미술관은 한국의 대표적인 화가 이응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다.[61][62][63] 이 외에도 화폐박물관, 대전선사박물관, 대전시립박물관 등 다양한 주제의 박물관이 운영되어 시민들에게 폭넓은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221]

대전은 역사적으로 '한밭'(한밭한국어)이라 불리던 지역으로, 조선 시대 유학자 송시열과 같은 인물들의 활동 무대이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우암사적공원, 동춘당 등 시내 곳곳에 남아있는 문화 유적과 관련 축제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13. 1. 박물관 및 미술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대전현충원


2007년 엑스포 과학공원


대전문화예술의전당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의 수집·보존·연구·전시 및 교육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대표 과학관이다. 1990년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되었으며, 엑스포과학공원 내에 위치한다. 자연, 인간, 기술의 조화를 강조하는 주요 전시관과 자연사, 미래 기술, 생물권 관련 건물, 어린이 과학관, 천문대 등을 갖추고 있다.[64][65][66][67] 상설전시관, 옥외전시관, 우주체험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자기부상열차, 첨단과학관, 사이언스홀, 창의나래관 등이 있으며, 리니어 모터카가 운행되고 있다[96]. (유성구 대덕대로 481)
  • 화폐박물관: 한국조폐공사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화폐전문박물관이다. 13872m2의 부지에 2026m2의 2층 건물로 4개의 상설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공익적 목적으로 무료로 개방한다. (유성구 과학로 80-67)
  • 지질박물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속으로 한국 유일의 지질 전문 박물관이다. 연면적 2500m2에 5천여 점의 화석, 광물 등 2,000여 점의 지질 표본을 전시한다. 대형 지구본과 공룡, 한국 유일의 석질운석인 두원운석 등이 전시되어 있다. (유성구 과학로 124)
  • 대전선사박물관: 1997년 발굴된 노은동 유적지(기념물 제38호)에 위치하며, 대전의 구석기 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총 5개의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다. 야외 체험장과 자료실을 갖추고 있다. (유성구 노은동로 126)
  • 대전시립박물관: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는 상설전시실, 기증유물실, 기획전시실, 도시홍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0월 16일 상대동에 개관하였다.[221] (유성구 도안대로 398)
  • 대전시립미술관: 주로 기술 중심의 현대 및 현대 미술 전시를 개최한다. (서구 둔산대로 155)
  • 이응노미술관: 건축가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이 설계하였으며, 한국의 저명한 예술가 이응노의 작품 및 관련 작품을 대량으로 소장한 상설 전시관이다.[61][62][63] (서구 만년동)
  • 대청호자연생태관: 대청호에 서식하는 어류와 대청호 주변의 동물·식물 등 자연생태 체험 학습장이자 휴식공간이다. (동구 천개동로 41)
  • 대전시민천문대: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천문대이다. 제1관측실에 설치된 10인치 굴절망원경은 한국 최대 구경을 지니고 있다.[68][69] 1층의 천체투영관에는 천체투영기를 이용하여 9.5m의 돔스크린에 가상의 별을 투영하며, 2층은 우주에 관한 전시실이 있다. 3층 관측실에는 25cm의 초저분산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어 태양, 달, 행성, 성운, 성단, 은하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보조관측실에도 다수의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유성구 과학로 213-48)
  • 천연기념물센터: (서구 만년동)
  • 대청댐물문화관: (대덕구 미호동)
  • 대전문학관: (동구 용전동)
  • 한국법문화진흥센터: (유성구 원촌동)

13. 2. 시립예술단

13. 3. 문화재, 문화행사



우암사적공원


대전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유적, 그리고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있다.
주요 문화 시설 및 기관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 및 교육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대표 과학관이다. 1990년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했으며, 상설전시관, 옥외전시관, 우주체험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자기부상열차, 첨단과학관, 사이언스홀, 창의나래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유성구 대덕대로 481) 옛 국제 박람회 부지에 건설된 엑스포과학공원 내에 위치하며, 자연, 인간, 기술의 조화를 강조하는 전시와 자연사, 미래 기술, 생물권 관련 건물, 어린이 과학관, 천문대 등을 포함한다.[64][65][66][67]
  • 대전예술의전당: 모든 장르의 공연을 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공연장이다. 아트홀(1546석), 앙상블홀(651석), 야외원형극장(1000여석), 컨벤션홀(100석) 등을 갖추고 있으며, 대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지역 음악 및 연극 단체의 본거지이다. (서구 둔산대로 135)
  • 화폐박물관: 한국조폐공사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화폐 전문 박물관이다. 13872m2 부지에 2026m2 규모의 2층 건물로 4개의 상설 전시실을 갖추고 있으며, 공익 목적으로 무료 개방한다. (유성구 과학로 80-67)
  • 지질박물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속으로 한국 유일의 지질 전문 박물관이다. 연면적 2500m2에 화석, 광물 등 5천여 점의 지질 표본 중 2,000여 점을 전시한다. 대형 지구본, 공룡 모형, 한국 유일의 석질 운석인 두원운석 등이 있다. (유성구 과학로 124)
  • 대전선사박물관: 1997년 발굴된 노은동 유적지(기념물 제38호)에 위치하며, 대전의 구석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까지 다루는 5개의 전시실, 야외 체험장, 자료실을 갖추고 있다. (유성구 노은동로 126)
  • 대전컨벤션센터: 2000석의 그랜드 볼룸과 2600석 규모의 전시홀을 갖춘 컨벤션 센터이다. (유성구 엑스포로 107)
  • 대전시립박물관: 문화재가 전시된 상설전시실, 기증유물실, 기획전시실, 도시홍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0월 16일 상대동에 개관했다.[221] (유성구 도안대로 398)
  • 대청호자연생태관: 대청호에 서식하는 어류와 주변 동식물을 볼 수 있는 자연생태 체험 학습장이자 휴식 공간이다. (동구 천개동로 41)
  • 대전시민천문대: 대한민국 최초의 시민 천문대이다. 제1관측실에는 한국 최대 구경인 10인치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1층 천체투영관에서는 9.5m 돔 스크린에 가상의 별을 투영하며, 2층에는 우주 전시실이 있다. 3층 주관측실에는 25cm 초저분산 굴절망원경이 있어 태양, 달, 행성, 성운, 성단, 은하 등을 관측할 수 있으며, 홍염 필터를 통해 태양 홍염도 관찰 가능하다. 보조관측실에도 13대의 망원경이 있다.[68][69] (유성구 과학로 213-48)
  • 대전시립미술관: 주로 기술 중심의 현대 미술 전시를 개최한다. (서구 둔산대로 155)
  • 이응노미술관: 건축가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이 설계했으며, 한국의 저명한 예술가 이응노의 작품과 관련 작품을 소장한 상설 전시관이다.[61][62][63] (서구 만년동)
  • 한국법문화진흥센터 (유성구 원촌동)
  • 대전전통나래관 (동구 소제동)
  • 연정국악문화회관 (중구 문화동)
  • 천연기념물센터 (서구 만년동)
  • 대청댐물문화관 (대덕구 미호동)
  • 대전문학관 (동구 용전동)
  • 대전예술가의집: 6층 규모의 공연 예술 센터이다.[70][71]

문화재 및 유적

  • 우암사적공원: 동구 가양동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유학자 송시열이 흥농서당과 남간정사를 세워 학문을 연구하고 북벌책을 강구하던 곳이다.
  • 신채호 생가: 중구 어남동에 위치한 대전 출신 독립운동가 신채호의 생가이다.
  • 무수동 고택군: 중구 무수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 건축물인 유회당(有懷堂), 여경암(餘慶菴), 거업재(居業齋) 등에서 대전의 역사를 느낄 수 있다.
  • 동춘당: 대덕구 송촌동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유학자 송준길이 살던 건축물이다. (보물 제209호) 매년 이곳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동춘당문화제가 열린다.
  • 회덕향교: 대덕구 읍내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 향교이다.
  • 진잠향교: 유성구 교촌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 향교이다. 산림청은 진잠향교마을숲을 전통마을숲 복원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224]

문화 행사 및 거리

  • 갑천 수상스포츠 체험교실: 갑천 둔산대교 인근에서 드래곤보트, 카약, 카누, 페달보트, 래프팅, 수상자전거 등 수상 기구를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매년 9월경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이 열린다.[222]
  • 대흥동 문화·예술의 거리: 중구 대흥동 일대에 화랑, 갤러리, 소극장 등 다양한 문화·예술 공간이 밀집해 있다. 야외 공연장이 있는 우리들공원에서는 '대전프린지페스티벌' 등 각종 문화·예술 행사가 열린다.
  • 동춘당문화제: 매년 동춘당에서 열리는 전통문화 체험 행사이다.

전통 민속놀이부사칠석놀이, 문창동엿장수놀이, 버드내보싸움놀이 등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223]
기타

  • 대동 하늘동네: 동구 대동에 위치하며, 아름다운 거리 벽화로 유명하다.

13. 4. 영상 산업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다목적 영상종합시설을 갖춘 스튜디오 큐브가 2017년 9월 25일 엑스포과학공원에 개관했다.[225] 건물은 66115m2의 대지면적에 연면적 32040m2,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지어졌다. 국책사업으로 조성되어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영한다.

13. 5. 축제

대전에서는 전통 민속 축제와 현대 문화 축제가 다양하게 열린다.[78] 과학도시 대전을 상징하는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이 대표적인 축제이다. 그 외에도 효문화뿌리축제, 대전국제와인페어, 유성온천축제, 금강로하스축제, 디쿠페스티벌, 계족산맨발축제, 견우직녀축제 등이 열린다.[226][78]

각 자치구별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축제 목록
대덕구계족산맨발축제, 금강로하스축제, 대청호마라톤대회, 동춘당문화제, 해맞이행사
동구3.16 인동장터 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당산제, 대동장승제, 대청동 정월대보름, 동구단오마당, 물사랑 대청호 마라톤 대회, 비룡동장승제, 산내디딜방아뱅이, 용수골 대학로 연합축제, 우암문화제, 탑제, 흥룡마을 가마놀이 재연행사
서구견우직녀문화축제, 프리 페스티벌
유성구국화축제, 대전 국제 푸드&와인 페스티벌,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디쿠페스티벌, 아줌마축제, 유성온천문화축제, 호락호락페스티벌
중구대전오색빛축제, 대흥동립만세, 칼국수축제, 한밭나눔대축제, 효문화뿌리축제


13. 6. 스포츠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 한밭야구장


대전은 여러 프로 스포츠팀의 연고지이며, 다양한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스포츠 시설로는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했던 대전월드컵경기장과 대전 한밭종합운동장 등이 있다.

대전월드컵경기장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이탈리아의 16강전을 포함한 여러 경기를 개최했으며[79], 현재 K리그2 소속 프로축구단 대전 하나 시티즌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전 한밭종합운동장은 1964년에 건설되어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등 주요 국제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프로야구단 한화 이글스는 1985년 대전에서 창단하여 1986년부터 2024년까지 대전 한밭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64년 부사동에 지어진 이 야구장은 보문산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었으며, 2013년 개보수 및 확장을 통해 13,000석 규모를 갖추었다.[81] 2025년 시즌부터는 2만 명 수용 규모의 신축 구장인 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로 홈구장을 이전한다.[82]

프로배구 V-리그의 대전 삼성 블루팡스(남자부)와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여자부)는 충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종목리그창단년도홈 경기장
야구KBO 리그한화 이글스1985년대전 베이스볼 드림파크
배구V-리그 (남자)대전 삼성 블루팡스1995년충무체육관
V-리그 (여자)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1988년
축구K리그2대전 하나 시티즌1997년대전월드컵경기장
K3리그대전 코레일 FC1943년대전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이 외에도 갑천 둔산대교 인근에서는 갑천 수상스포츠 체험교실이 운영되어 드래곤보트, 카약, 카누 등 다양한 수상 기구를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매년 9월경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이 열린다.[222]

대전은 LPGA 골퍼 박세리장정, 그리고 전 뉴욕 메츠 좌완 구원 투수 구대성과 같은 유명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한 도시이기도 하다.[80]

13. 7. 공원

2010년 기준으로 대전시내에는 전체 581개소의 공원이 있다. 생활권공원(근린공원, 소공원, 어린이공원)이 524개소, 주제공원(체육공원과 수변공원 각각 14곳과 문화공원 5곳 등) 49개소이다. 동구에 93개소, 중구에 96개소, 서구에 132개소, 유성구에 170개소, 대덕구에 90개소가 있다.[227]

둔산대공원은 대전광역시에서 1993년 1월 16일 토지공사로부터 569000m2에 달하는 부지를 인수받아 산림청 등과 함께 공원 조성에 착수하여 오늘날에 이르렀으며, 공원에는 한밭수목원, 시민광장 등의 부대시설도 있다.[228] 한밭수목원은 2001년부터 3단계에 걸쳐 시설을 조성, 순차적으로 개관하고, 2011년 열대식물원의 준공과 함께 공립수목원(제33호)으로 등록되었다.[229]

공원 목록
대덕구동춘당공원
문평공원
새일공원
쌍천공원
을미기공원
응봉공원
중리공원
동구가양비래공원
가오근린공원
만인산자연휴양림
샘골공원
세천공원
용운공원
우암사적공원
판암공원
서구가수원공원
갈마공원
남선공원
둔지미공원
변동공원
보라매공원
샘머리공원
시애틀공원
신선암공원
월평공원
은평공원
장갓길공원
정부대전청사도시숲
한밭수목원
유성구갑천공원
갑천호수공원
궁동근린공원
금성공원
동화울 수변공원
성두산 근린공원
솔로몬로파크
송림공원
신성공원
안산공원
왕골근린공원
유림공원
유성명물공원
은구비공원
장배기공원
진잠공원
한샘공원
중구대전보훈공원
대전 오-월드
버드내조폐공원
뿌리공원
서대전공원
테미공원


13. 8. 종교

대전에는 대전·세종·충남 지역을 관할하는 천주교 대전교구가 있다. 교황 프란치스코천주교 대전교구유흥식 주교의 초청으로,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2014년 한국을 방문했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8월 15일 대한민국 대전에서 만나자”라며 대전 방문을 공식 발표했다.[230] 교황이 한국을 방문한 것은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 이후 25년 만이었다. 2014년 8월 15일 교황 프란치스코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성모승천 대축일 미사를 봉헌했으며, 이후 성 김대건 신부의 생가터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와 서산 해미읍성 등 대전교구 지역을 방문했다.[231][232]

불교 2대 종단 중 하나인 천태종은 중앙 종무행정기관인 총무원을 단양 구인사에서 대전으로 옮길 계획이다. 천태종 총무원장은 2014년 1월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대전 유성구 계산동 광수사 인근에 99000m2의 부지를 확보해 천태문화전승관을 짓고 총무원을 이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천태종 중창조인 상월원각 대조사가 구상했던 방안으로, 대전 총무원을 국제 포교와 행정의 중심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233] 총무원 청사 건립 공사비는 정부가 절반을 부담한다.[234]

200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전광역시 인구의 21.8%는 불교를, 31.2%는 기독교(개신교 20.5%, 천주교 10.7%)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52]

14. 방송·언론

대전은 텔레비전, 신문, 출판 산업의 지역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KBS와 MBC와 같은 주요 방송사들이 대전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대전방송(TJB)은 대전에 본사를 둔 지역 민영 방송사이다.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케이블 TV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TV(DMB) 8개 채널과 디지털 라디오 채널도 제공된다. 여러 FM 라디오 방송국에서 뉴스와 음악을 방송하고 있다. KBS, MBC, TJB는 각각 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FEBC, CBS와 같은 기독교 방송 채널과 교통 전문 방송 채널인 TBN도 있다. 지역 신문으로는 충청남도 지역까지 담당하는 대전일보 등이 있다.

KBS대전방송총국(KBS대전)


대전문화방송(대전MBC)


대전방송(TJB)](모기업: 우성사료) (SBS 네트워크 민영방송사)


방송사 및 언론사
구분방송사/언론사소재지
텔레비전/라디오KBS대전방송총국 (KBS대전)서구 만년동
대전문화방송 (대전MBC)유성구 도룡동
대전방송 (TJB)유성구 도룡동
CMB대전방송중구 선화동
STB 상생방송대덕구 중리동
라디오대전교통방송서구 내동
대전극동방송유성구 지족동
CBS기독교대전방송중구 문화동
대전가톨릭평화방송중구 대흥동
대전국악방송동구 효동
신문대전일보 등 (대전광역시의 신문 참고)-



광역시 중 유일하게 불교방송이 없다.

15. 정치·행정


제5기 대전시의회 정당별 의석수
colspan=2 rowspan=2|합계내역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합계22418
내역지역구19316
비례대표312



:출처:“대전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2023년 12월 9일 확인).


  • '''구'''
  • *동구
  • *중구
  • *서구
  • *유성구
  • *대덕구

:읽는 법은 대한민국의 지방 행정 구역을 참조하십시오.

15. 1. 국회의원

14대 대통령 선거부터 19대 대통령 선거까지 대전광역시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모두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대전은 대한민국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는 주요 지역, 이른바 '캐스팅보트'로 여겨지기도 한다.

현재 대전광역시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총 7개이다. 제22대 국회 기준으로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대전광역시 국회의원 선거구 (제22대 국회 기준)'''
선거구 명칭
동구
중구
서구 갑
서구 을
유성구 갑
유성구 을
대덕구


15. 2. 역대 시장


  • '''시장''':이장우(李莊雨, 2022년 7월 1일 ~ )

: 역대 시장 목록은 대전광역시장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5. 3. 재정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인당 개인소득은 2,135만원으로 서울, 울산에 이어 전국 3위이며, 경기도 및 전국 평균보다 높다.[115] 자치구별로는 유성구의 소득이 가장 높다. 국세청이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을 토대로 분석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는 대전이 전국 3위이다.[116]

2011년 대전에서 투자되는 연구개발비는 6.8173조이다. 2007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연구개발비는 서울(1.7057조), 경기(1.1096조), 인천(3151억) 등 수도권을 합한 것보다 많고, 수도권과 대전을 뺀 지방 전체의 연구비를 합한 것(2.1668000000000003조)보다 많다.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ET(환경·에너지기술), CT(문화기술) 등 미래유망 신기술 6T(6Technology)에 대한 연구비도 수도권과 12개 지자체를 합한 것보다 높은 수치이다.

중국 사회과학원과 미국 벅넬(Bucknell)대학교 등이 공동 작성한 ‘2008년 세계 도시경쟁력 보고서’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도시 중에는 서울(12위), 울산(162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20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대도시 중에는 인천(221위), 부산(242위), 대구(287위), 광주(295위) 등 다른 광역시보다 높은 도시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1997년 세계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평가한 결과에서 대전은 서울(19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세계 25위의 도시경쟁력을 차지했다. 2006년 산업정책연구원이 국내 7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 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대전이 서울(2위)을 제치고 미래 경쟁력 1위 도시라는 평가를 얻었다.[122]

16. 관광


  • 유성온천: 오랜 역사를 지닌 온천 지역.
  • 국립중앙과학관: 자연과 인간, 과학의 조화를 주제로 산업, 기술, 자연사, 과학기술사 등에 관한 자료를 전시하는 박물관[95]. 1926년 서울에 개관했던 국립과학박물관을 이전하여 확장한 곳으로, 공식적으로는 대전이 본관이고 서울이 분관이다. 자기부상열차가 운행되고 있다[96].
  • 엑스포과학공원: 1993년 대전엑스포가 개최되었던 장소.
  • 대전 아쿠아리움: 엑스포과학공원 내에 위치했던 수족관.
  • 오월드: 동물원과 놀이공원이 결합된 테마파크.
  • 계족산 황톳길: 맨발로 걸을 수 있는 황톳길로 유명한 하이킹 코스.
  • 대청호: 대전과 충청북도에 걸쳐 있는 인공 호수.
  • 대전 둘레산길: 대전 시내와 주변 산들을 잇는 하이킹 코스.
  • 동춘당: 조선 시대의 관리이자 유학자인 송준길의 별당으로 사용되었던 건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대전예술의전당: 다양한 공연이 열리는 복합 문화 예술 공간.
  • 대전시립미술관: 현대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하는 미술관.
  • 이응노미술관: 화가 이응노의 작품을 전시하는 미술관.
  • 현대갤러리: 대전 지역의 미술 갤러리 중 하나.

17. 국제 교류


18.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2] 웹사이트 Timelines Explorer – Data Commons https://datacommons.[...] 2021-11-18
[3] 웹사이트 12 Attractions of Daejeon https://www.daejeon.[...] 2021-11-18
[4] 웹사이트 KTX Train Schedule From Seoul to Daejeon http://www.ktxtrains[...] 2021-03-26
[5] 웹사이트 Welcome to Daejeon Metropolitan City https://web.archive.[...] 2006-11-18
[6] 서적 The Road to Korea – Science & Technology Park Korea Innovation Foundation
[7] 웹사이트 Government Buildings Management Office https://gbmo.go.kr/e[...] 2022-10-03
[8] 학술지 Scientific-industrial and nucleus administrative city, Daejeon http://www.dbpia.co.[...] 2000-07
[9] 웹사이트 현대의대전 https://www.daejeon.[...] 2022-10-03
[10] 웹사이트 위치 대전광역시청 https://daejeon.go.k[...] 2022-07-11
[11]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https://encykorea.ak[...]
[12] 웹사이트 [우리고장 대전(大田) 이야기] 대전 역사가 고작 100년? 조선 초기에도 '한밭'으로 불려 https://www.goodmorn[...] 2017-03-01
[13] 박물관 Nonggyeongmun Bronze Artifact https://www.museum.g[...]
[14] 웹사이트 신흔국 (臣釁國) https://encykorea.ak[...]
[15] 웹사이트 내비리국 (內卑離國) https://encykorea.ak[...]
[16] 백과사전 내비리국 (內卑離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17] 웹사이트 우술성 (雨述城) https://encykorea.ak[...]
[18] 웹사이트 '산이 울면 비가 온다'… 명당 품은 대전 계족산 https://www.cctoday.[...] 2022-05-27
[19] 웹사이트 대전 대덕구, 공정·생태관광 특화 프로그램 운영 https://www.joongdo.[...] 2020-11-17
[20] 웹사이트 공원관리사업소 https://www.daejeon.[...]
[2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
[22]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3] 웹사이트 유성 (儒城) https://encykorea.ak[...]
[24] 웹사이트 성왕 (聖王) https://encykorea.ak[...]
[25] 웹사이트 [오늘과내일] 대전 식장산 효행 설화와 중국 제남의 효당산 https://www.joongdo.[...] 2024-09-22
[26] 웹사이트 대전광역시의 성 목록 https://ko.wikipedia[...] 2023-09-25
[27] 웹사이트 개로왕 (蓋鹵王) https://encykorea.ak[...]
[28] 웹사이트 월평동산성 (月坪洞山城) https://encykorea.ak[...]
[29] 웹사이트 동성왕 (東城王) https://encykorea.ak[...]
[30] 웹사이트 황산벌전투 (黃山伐戰鬪) https://encykorea.ak[...]
[31] 백과사전 백제 부흥운동 (百濟 復興運動)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32] 웹사이트 유성 (儒城) https://encykorea.ak[...]
[33] 웹사이트 웅천주 (熊川州) https://encykorea.ak[...]
[34] 웹사이트 후백제 (後百濟) https://encykorea.ak[...]
[35] 웹사이트 대전은 어떤 도시인가 https://monthly.chos[...]
[36]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37]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38] 웹사이트 https://www.ohmynews[...] 2019-05-17
[39]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40] 뉴스 Daejeon, Larger Population than Gwangju http://www.prometheu[...] 2006-03-22
[41] 웹사이트 https://www.daejeon.[...] 2022-08-08
[4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data.kma.go.[...] 2022-01-29
[4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44]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4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46] 웹사이트 Daejeon,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47] 웹사이트 https://daejeon.go.k[...] 2022-09-06
[48]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49]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50] 웹사이트 https://www.daejeon.[...] Daejeon Metropolitan City Policy Planning Department 2023-04-19
[51] 웹사이트 Daejeon Population statistics https://www.daejeon.[...]
[52] 웹아카이브 200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web.archive.[...] 2015-09-04
[53] 뉴스 Asia's Best Universities 2000 http://www.asiaweek.[...] 2000-06-30
[54] 웹사이트 KAIST College of Business https://www.business[...]
[55] 웹사이트 Daejeon Science High School http://www.djs.hs.kr[...]
[56] 웹사이트 Korea's Largest R&D Hub {{!}} Daejeon https://www.investko[...]
[57] 웹사이트 Research Centers https://www.ibs.re.k[...]
[58] 웹사이트 NFRI Index https://www.nfri.re.[...]
[59] 논문 Management Division International Science and Business Belt implementation plan, 2012 http://www.korea.kr/[...] 2012-03-21
[60] 웹사이트 Hankook Tire Review – Enfren Tires http://www.trucktren[...] Trucktrend.com 2008-12-17
[61]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62] 웹사이트 Daejeon Arts and Culture Center https://www.daejeon.[...]
[63] 웹사이트 Lee Ungno Museum, Daejeon, South Korea https://artsandcultu[...]
[6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cience.g[...]
[65] 웹사이트 Exhibition Guide https://www.science.[...]
[66] 웹사이트 Campus Map https://www.science.[...]
[67] 웹사이트 Information on Relocation of IBS HQ https://www.ibs.re.k[...] HQ Relocation Team 2017-12-21
[6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useum.kigam.[...] 2006-05-06
[69] 웹사이트 http://djstar.kr/
[70] 웹사이트 https://dcaf.or.kr/w[...]
[71]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동구 관광문화축제 https://www.donggu.g[...] 2022-05-10
[72] 서적 Hanbit Tower and A Song of Asterism: A Literary Anthology For the Taejon EXPO'93 Moonkyoung Publishing
[73] 웹사이트 8 good places http://tour.daejeon.[...]
[74] 웹사이트 9일 개장 국내 최대 인공 '대전 한밭수목원' 가보니 https://www.seoul.co[...] 2009-05-12
[75] 웹사이트 보문산 > 중구 10경 > 가보고 싶은 그 곳, 중구 > https://www.djjunggu[...] 2022-10-03
[76] 웹사이트 Bomunsan Forest Trail (보문산 행복 숲 둘레길) https://english.visi[...] 2022-10-03
[77] 웹사이트 대전 오월드 https://www.oworld.k[...] 2022-05-10
[78] 웹사이트 대전관광 https://www.daejeon.[...] 2019-05-31
[79] 웹사이트 South Korea – Italy 2:1 (World Cup 2002 Japan/South Korea, Round of 16) https://www.worldfoo[...] 2022-10-29
[80] 웹사이트 Dae-Sung Koo –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https://sabr.org/bio[...] 2024-03-31
[81] 웹사이트 한밭야구장 https://www.daejeon.[...] 2022-05-03
[82] 뉴스 New stadium in Daejeon to host 2025 KBO All-Star Game https://www.koreatim[...] 2024-12-18
[83] 웹사이트 Riding Daejeon Subway http://myiris.egloos[...] 2006-05-08
[84] 웹사이트 Visiting Daejeon Subway http://kfaction.eglo[...] 2006-03-17
[85] 웹사이트 What is Tashu? https://www.daejeon.[...] 2021-10-25
[86] 웹사이트 Korean 'samulnori' master Kim Duk-soo stars in biographical musical https://en.yna.co.kr[...] 2020-05-11
[87] 일반
[88] 웹사이트 Sister Cities, Public Relations http://www.guadalaja[...] Guadalajara municipal government
[89] 웹사이트 Xi'an {{!}} Montgomery County Sister Cities https://www.montgome[...] 2024-08-02
[9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91] 법령
[92] 법령
[9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전(133)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9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전(133)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95] 웹사이트 国立中央科学館 http://japanese.visi[...] 韓国観光公社 2020-06-15
[96] 웹사이트 国立中央科学館(大田)リニアモーターカー http://www.2427junct[...] 2427junction.com 2020-06-15
[97] 뉴스 돈암서원… 윤증고택… 연산향교… 등 대전·충청권 기호유교문화 재조명한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98] 법령 지방자치법 http://www.law.go.kr[...] 1949-07-04
[99] 일반
[100] 서적 대덕연구단지 30년사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101] 일반
[102] 간행물 지형을 중심으로 한 대전 지역의 이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웹사이트 한반도 지질 현황 http://nationalatlas[...]
[104] 뉴스 공기가 가장 깨끗한 도시는 대전 http://economy.hanko[...] 한국일보
[105] 일반
[106]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전(13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07]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전(13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08] 간행물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http://www.law.go.kr[...]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03-31
[109] 웹사이트 대전의 통계 > 인구 통계 > 2021년 4분기 주민등록인구 통계 https://kosis.kr/sta[...]
[110] 뉴스 대전 인구증가율 특별·광역시 중 2위 http://www.ggilbo.co[...] 금강일보
[111] 뉴스 젊은 도시 광주,대전,울산,경기, '부산·대구·서울'은 고령화 심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3-03-13
[112] 뉴스 대전 출생아수 증가율 전국 1위 http://www.cctoday.c[...] 중도일보
[113] 뉴스 국민 78% "지금 사는 市·道 좋다"… 대전(94.3%)·울산(90.9%)·경기(87.5%) 만족도 높아 http://premium.chosu[...] 프리미엄조선 2014-01-30
[114] 서적 2014 대전광역시 통계연보 p.58 - Ⅲ.인구 1.인구추이
[115] 뉴스 작년 12개 시·도 경제 역성장…서울, 1인당 개인소득 1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12-27
[116] 뉴스 근로자 평균 급여 대전 3위 http://news.nate.com[...] 연합뉴스
[117] 뉴스 세계에서 인터넷 속도가 가장 빠른 도시는 대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10-25
[118] 뉴스 전국에서 범죄 발생률 가장 낮은 안전한 도시는 대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10-25
[119] 뉴스 대전시민 건강수명 72세 … 전국 2위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2-07-03
[120] 뉴스 대한민국 경제적 행복지수 조사 결과 경제적으로 가장 행복한 지역은 대전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7-08
[121] 뉴스 전국 시·도별 어린이 행복종합지수 대전 1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5-02
[122] 간행물 통계로 보는 대전의 힘. 오늘보다 내일이 더 밝은 도시 대전 https://monthly.chos[...] 월간조선 2009-04-10
[123] 뉴스 과학·행정·철도… 대전, 대한민국 중심에 서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10-31
[124] 뉴스 방사청 대전 시대 막 올려…1차 238명 이전 완료(종합)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3-07-03
[125] 법률 법률 제7363호. 대덕연구개발특구등의육성에관한특별법 http://www.law.go.kr[...] 2005-01-27
[126] 기타 대덕연구단지 27.8km2, 대덕테크노밸리 4.3km2, 대덕산업단지 3.2km2, 북부 그린벨트 지역 28.6km2, 국방과학연구소 일원 3.9km2
[12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28] 서적 『대덕연구단지 30년사』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2003
[129] 뉴스 국제 과학벨트, 대전 대덕지구 최종 확정 http://imnews.imbc.c[...] MBC 2011-05-16
[130] 웹사이트 대덕연구개발특구 통계현황 https://www.innopoli[...]
[131] 웹사이트 대덕연구개발특구 통계현황 https://www.innopoli[...]
[132] 뉴스 대전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설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0-12
[133] 뉴스 창조경제 핵심 특허기관 '특허정보원' 대전에 둥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0-24
[134] 뉴스 한국특허전략개발원 2027년 대전 이전 완료… ‘특허 메카’ 탄력 https://m.joongdo.co[...] 중도일보 2022-10-28
[135] 뉴스 한국기상산업기술원, 1차 대전 이전 완료 https://tjmbc.co.kr/[...] 연합뉴스
[136] 뉴스 대전 효(孝)문화진흥원 건립 본격화…내달 용역발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1-29
[137] 뉴스 대전도시철도 2호선 9월 첫삽…총사업비 1조5천69억원(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8-29
[138] 뉴스 충청권 광역鐵 1단계 착공...2026년 개통 목표 https://www.redaily.[...] 철도경제
[139] 뉴스 충청권 광역철도, 계룡~신탄진 40분대 달린다 http://www.tjb.co.kr[...] 대전방송
[140] 기타 일부 구간 유료
[141] 뉴스 카이스트대교 2014년 조기완공 추진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42] 뉴스인용 우여곡절 끝 본궤도 오른 대전 유성복합터미널…사업자와 협약 http://www.yonhapnew[...] 2018-05-21
[143] 뉴스 시내버스 정류장에 GiGa WiFi 설치 http://www.ccdailyne[...] 연합뉴스 2014-10-19
[144] 뉴스 대전 도안신도시 중앙버스전용차로 효과 속도 2배 빨라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45] 뉴스 대전 유성~세종시~오송역 BRT 운행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146] 뉴스 대전 공용자전거 '타슈', 자전거 명품 도시로 http://www.ytn.co.kr[...] YTN
[147] 일반
[148] 일반
[149] 뉴스 대전 국제중·고등학교 설립 탄력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150] 웹사이트 2014 대전통계연보 http://www.daejeon.g[...]
[151] 뉴스 KAIST ICU 통합 내달 새 출발 http://news.dongasci[...] 동아사이언스 2016-03-04
[152] 뉴스 책읽기 좋은 도시 대전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53] 뉴스인용 작년 12개 시·도 경제 역성장…서울, 1인당 개인소득 1위 https://www.yna.co.k[...] 2021-12-27
[154] 뉴스인용 1인당 개인소득 서울 2,326만원 2년째 1위 https://www.yna.co.k[...] 2019-12-23
[155] 뉴스 커지는 대전 지역내 총생산… 올해 30兆 돌파 전망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4-01-13
[156] 뉴스 기업 소득..대전 4위, 충남 6위, 세종 7위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 2013-02-08
[157] 뉴스 대전시 벤처기업 1천개 돌파…벤처집적도 전국 1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58] 뉴스 대전 일자리 증가율 전국 1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159] 뉴스 대전시 외국인 투자기업 유치 탄력 받을 전망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60] 뉴스 교통 물류 여건 좋고 인센티브 많아 기업하기 좋은 도시 대전 http://news.mk.co.kr[...] 매일경제
[161] 뉴스 국내 지역별 일자리 질, 서울-대전-경기 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7-11
[162] 뉴스 상장기업 소재지별 직장인 평균 연봉 http://news.mk.co.kr[...] 매일경제
[163] 웹사이트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http://www.kostat.go[...] 통계청 2014-11-29
[164] 뉴스 대전시, 지역 5대 주력산업 선정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4-07
[165] 뉴스 SK 창조경제호 출항, SK 그리는 창조경제 지원 모델은?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4-11-18
[166] 뉴스인용 초고층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 급물쌀 http://www.cnews.co.[...] 2016-04-28
[167] 뉴스인용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건립 본격 시동! http://www.wikitree.[...] 2016-08-06
[168] 뉴스인용 네이처 "한국 기초과학 중심, 서울서 대전으로 이동" http://www.yonhapnew[...] 2017-10-31
[169] 뉴스 글로벌 강소기업 꿈꾸는 벤처 지원군 대전테크노파크 http://news.mk.co.kr[...] 매일경제
[170] 뉴스 독일과 일본 기업 유치하여 경제 우등생으로 변신한 대전 http://news.mk.co.kr[...] 매일경제
[171] 뉴스 대전 565만m2 산업 단지 잇단 개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172] 뉴스 대전시, UAE 알 만할 그룹 1억5천만달러 투자 유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73] 뉴스 세계 1등 기업 2015년까지 대전으로 본사 이전한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174] 뉴스 광공업생산 지역간 희비…대전↑ 부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75] 뉴스 불황 모르는 대전·울산… 광공업생산지수 10% 넘어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176] 뉴스 2014년 2월 수출 대전 16% 증가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177] 뉴스인용 국방 중소기업 6곳 대전 안산국방산단에 486억 투자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1-22
[178] 뉴스 대전 로봇산업 육성 탄력…내년 174억 확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79] 뉴스 대전 '날아오른 나로호' 대덕특구 기술 찾기 http://news.sbs.co.k[...] SBS뉴스
[180] 뉴스 과학위성 3호 대전 지상국과 교신 성공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81] 뉴스 대전시, 메디 바이오 산업 지역경제 '큰 몫' http://www.daejeonto[...] 대전투데이
[182] 뉴스인용 중기부, 대전 등 7개 지자체 제2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19-11-12
[183] 뉴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일지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11-05-16
[184] 뉴스 대전 대덕지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선정… 2조3천억 ‘투하’ http://www.housingne[...] 한국주택신문 2011-05-16
[185] 뉴스 국제 과학벨트, 대전 대덕지구 최종 확정 http://imnews.imbc.c[...] MBC 2011-05-16
[186] 뉴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2021년까지 4년 연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8-26
[187] 뉴스인용 대전시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유치 성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1-22
[188] 뉴스 대기업 콜센터는 왜 대전에 갔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89] 뉴스 대전에 콜센터 몰리는 이유는? http://news.kbs.co.k[...] KBS News
[190] 뉴스 삼성화재보험 TM센터 대전에 신설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191] 뉴스 금융위원회 1397 서민금융 통합 콜센터 대전에 출범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192] 뉴스 삼성화재보험 TM센터 대전에 신설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2014-06-19
[193] 뉴스 대전·충청권 무역 활성화 전진기지 대전무역회관, 대전 랜드마크 꿈꾼다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194] 뉴스 KOTRA, 글로벌역량강화지원센터 대전에 개설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195] 기타
[196] 뉴스 대전 재발견 - 중앙시장 (下)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97] 뉴스인용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연내 기공…신세계 "명품건물 만들겠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8-29
[198] 뉴스인용 대전 신세계 백화점 건축 디자인 공개…19일 첫 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2-14
[199] 뉴스인용 베일 벗은 사이언스콤플렉스, 19일 첫 삽 http://www.tjb.co.kr[...] TJB 2017-12-14
[200] 뉴스 대전 국제회의 개최, 세계 도시 순위 급상승 쾌거···UIA 통계에서 세계 47위 달성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 뉴스 컨벤션산업 메카 대전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2] 뉴스 대전, 과학 첨단기술 관련 국제행사 도시 급부상 http://biz.heraldm.c[...] 해럴드경제
[203] 뉴스 국내 최대 약(藥) 박람회 3월 대전에서 열린다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4] 기타
[205] 뉴스 2013년 국제치과기공학술대회 대전 개최 확정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
[206] 뉴스 대전 2015년 국제자유전자레이저총회 유치··과학도시 위상 재확인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7] 뉴스 과학도시 대전, 로봇 국제회의 중심도시로 급부상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208] 뉴스 대전시-유네스코 '세계혁신포럼' 올해부터 공동개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10
[209] 뉴스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내년 10월 대전에서 개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03
[210] 뉴스인용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대전선언문' 전문-1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0-21
[211] 뉴스 2016년 세계지능형로봇시스템총회 대전 개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12] 뉴스 대전시 '2016년 국제항공공학협회총회' 유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13] 뉴스 2016년 '국제우주운영회의' 대전 개최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14] 뉴스 과학도시 대전, 국제과학행사 잇따라 유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15] 뉴스인용 2017 아시아 태평양 도시정상회의 대전서 개막 http://www.yonhapnew[...] 2017-09-10
[216] 학회 2020 International Un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 Congress
[217] 뉴스 세계미생물학회연합총회, 2020년 대전에서 열린다 http://www.ggilbo.co[...] 금강일보 2014-07-31
[218] 뉴스인용 2022년 대전서 UCLG 세계총회…"93 엑스포 이후 최대 규모 행사" https://www.yna.co.k[...] 2019-11-16
[219] 뉴스 대전 의료관광사업 국토해양부 중부첨단산업권 발전 시범사업에 선정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20] 뉴스 대전시 '의료관광 해외환자 유치' 선도 기관 선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3-31
[221] 기타 기존 "대전역사박물관"에서 명칭 변경
[222] 뉴스 대전 갑천 수상스포츠 체험장에서 드래곤 보트 대회 개최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23] 뉴스 新택리지 한국의 중심 대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24] 뉴스 산림청, 대전 진잠향교숲 등 6곳 2013년 전통마을숲 복원 http://www.korea.kr/[...] 공감코리아
[225] 뉴스인용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 영상종합시설을 갖춘 대전 스튜디오 큐브 http://www.ytn.co.kr[...] 2017-11-22
[226] 웹인용 대전관광 테마축제 http://www.daejeon.g[...]
[227] 웹사이트 대전의통계 http://www.daejeon.g[...] 2016-02-21
[228]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2014 환경백서 http://www.daejeon.g[...] 2016-02-21
[229]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2014 환경백서 http://www.daejeon.g[...] 2016-02-21
[230] 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8월 15일 대한민국 대전에서 만나자”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4-04-15
[231] 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대전에 온다. 아시아청년대회 참석… 대전교구민 위한 미사 봉헌 http://www.goodmorni[...] 충청투데이
[232] 뉴스 천주교 대전교구장 "교황 방문에 젊은이들 하나되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3-11
[233] 뉴스 천태종 총무원 2018년 대전으로 옮긴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01-15
[234] 뉴스 천태종 단양 구인사 총무원, 대전 광수사로 옮길 것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4-01-16
[235] 뉴스인용 대전시, 내년도 예산안 5조7530억 편성 http://www.enewstoda[...] 2018-11-12
[236] 뉴스 대전 재정건전성 광역시 중 최고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4-04-04
[237] 웹사이트 대전광역시청 관광명소 12선 http://www.daejeon.g[...]
[238] 웹인용 오월드 소개 http://www.oworld.kr[...]
[239] 웹인용 뿌리공원 소개 http://djjunggu.go.k[...] 2018-09-03
[240] 웹사이트 대전 아쿠아리움 http://www.djaquariu[...]
[241] 웹인용 엑스포 과학공원 http://www.expopark.[...] 2018-09-03
[242] 웹사이트 한밭수목원 http://www.daejeon.g[...]
[243] 웹인용 천연기념물센터 http://www.nhc.go.kr[...] 2018-09-04
[244] 뉴스 2014년 대전시의 국제화 시간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45] 웹사이트 자매도시 https://www.daejeon.[...]
[246] 간행물 # 또는 다른 적절한 type으로 변경 Communauté urbaine Nice Côte d'Azur
[247] 백과사전 # 또는 다른 적절한 type으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