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대한민국 공공 부문의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개발된 JAVA 플랫폼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개발을 거쳐 1.0 버전이 발표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2.0, 3.x, 4.x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 프레임워크는 특정 업체 종속성 심화와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개방형 표준, 상용 솔루션 연계, 표준화, 변화 유연성, 개발 편의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환경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 - IBM 웹스피어
    IBM 웹스피어는 IBM에서 출시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제품군 브랜드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 정보 통합 및 개발 도구를 포함한다.
  •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 - 자카르타 서버 페이지
    자카르타 서버 페이지(JSP)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서버 측 스크립팅 기술로,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실행되고 HTML 형태로 결과를 반환하며, 지시어, 스크립틀릿, 표현식, 액션 등의 문법 요소, 표현 언어(EL), JSTL을 통해 동적인 웹 페이지를 구현하고 개발 편의성을 높였다.
  • 웹 프레임워크 - 드루팔
    드루팔은 드리스 바이테르트가 개발하여 2001년 공개된 PHP 기반의 오픈 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 모듈과 테마를 통해 기능 확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되고 활발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
  • 웹 프레임워크 - 실버스트라이프 CMS
    실버스트라이프 CMS는 PHP로 제작된 오픈 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 웹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MVC 패턴과 Sapphire ORM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이고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 국기
국가대한민국
수도서울
공용어한국어
역사
건국단군 (기원전 233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년 4월 13일
광복1945년 8월 15일
정부 수립1948년 8월 15일
정치
정치 체제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대통령윤석열
국무총리한덕수
국회 의장김진표
인구 통계
총 인구 (2023년)약 5175만 명
경제
통화원 (KRW)
기타 정보
국가 코드KR
ISO 3166-1 alpha-3KOR
국가 도메인.kr
전화 코드+82

2. 역사

2009년 대한민국 안전행정부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표준을 정립하고 응용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품질 및 재사용성 향상을 목표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아파치 라이선스 2.0으로 배포하였다.[1]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2007년 12월 ~ 2008년 6월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
2008년 11월 ~ 2009년 11월1, 2단계 구축사업 추진, 표준프레임워크 실행/개발/관리환경 및 공통 컴포넌트 172종 개발, 1.0 버전 발표
2010년 4월 ~ 11월3단계 구축사업, 공통 컴포넌트 47종 구축, CMMI 인증 획득
2011년 4월 ~ 11월4단계 구축사업, 오픈소스 버전 업그레이드, 경량화, 모바일 프레임워크 등 구축, 2.0 버전 발표
2012년5단계 구축사업, 배치 프레임워크 포함
2017년 3월 22일표준프레임워크 3.6.0 버전 배포[2]
2017년 11월 1일표준프레임워크 3.7.0 버전 발표
2023년 1월표준프레임워크 4.1 베타버전 발표 (Spring Boot 기반 개발 지원)
2023년 12월표준프레임워크 4.2 베타버전 발표



4.0 버전부터 시민 개발자들도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2. 1. 개발 배경

2009년 대한민국 안전행정부(현 행정안전부)는 국내 공공부문 국가정보화사업(전자정부)을 JAVA 플랫폼 기반으로 추진할 때 개발 프레임워크의 표준을 정립하여 응용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품질 및 재사용성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1] 또한 특정 업체의 종속성 심화와 사업별 공통 컴포넌트 중복 개발을 막기 위해 표준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아파치 라이선스 2.0으로 배포하고 있다.[1]

2007년 12월에서 2008년 6월까지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하였고,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1, 2단계 구축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에는 대기업(삼성 SDS, LG CNS, SK C&C) 및 중소기업(티맥스소프트 등 6개)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JAVA 플랫폼 기반의 표준프레임워크 실행/개발/관리환경 및 공통 컴포넌트 172종을 개발하여 1.0 버전을 발표하였다.

2. 2. 개발 과정

2007년 1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하였고,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1, 2단계 구축사업을 추진하여 대기업(삼성 SDS, LG CNS, SK C&C) 및 중소기업(티맥스소프트 등 6개)이 공동으로 JAVA 플랫폼 기반의 표준프레임워크 실행/개발/관리환경 및 공통 컴포넌트 172종을 개발하여 1.0 버전을 발표하였다.[2]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3단계 구축사업을 통해 공통 컴포넌트 47종을 구축하고 CMMI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4단계 구축사업을 통해 오픈소스의 버전 업그레이드, 경량화, 모바일 프레임워크 등을 구축하고 2.0 버전을 발표하였고, 배치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2012년 5단계 구축사업이 완료되었다.[2] 2017년 3월 22일 표준프레임워크 3.6.0 버전이 배포되었고,[2] 2017년 11월 1일에는 3.7.0 버전이 발표되었다.

2023년 1월에는 표준프레임워크 4.1 베타버전이 발표되었는데, 이 버전에서는 Spring Boot 기반 개발을 지원한다. 4.0 버전부터는 시민들도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2023년 12월에는 4.2 베타버전이 발표되었으며, 2024년에 정식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2. 3. 시민 참여

4.0 버전부터 시민 개발자들도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1] 이는 개방형 혁신을 통해 프레임워크의 발전과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특징

배포 중인 JAVA 플랫폼의 표준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1]


  • 개방형 표준 준수: 오픈 소스 기반의 범용화되고 공개된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사업자에 대한 종속성을 배제한다.
  • 상용 솔루션 연계: 상용 솔루션과 연계가 가능한 표준을 제시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 표준화 지향: 민·관·학계로 구성된 자문협의회를 통해 표준화를 수행한다.
  • 변화 유연성: 각 서비스의 모듈화로 교체가 용이하며 인터페이스 기반 연동으로 모듈간 변경 영향 최소화한다.
  • 개발 편의성: 이클립스 기반의 모델링(UML, ERD), 에디팅, 컴파일링, 디버깅 환경을 제공한다.
  • 템플릿 지원: 4.1버전부터 react 템플릿, MSA를 지원한다.

3. 1. 개방형 표준 준수

오픈 소스 기반의 범용화되고 공개된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사업자에 대한 종속성을 배제하고, 기술 혁신과 유연성을 확보한다.[1] 상용 솔루션과 연계가 가능한 표준을 제시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1]

3. 2. 상용 솔루션 연계

표준프레임워크는 상용 솔루션과 연계 가능한 표준을 제시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1]

3. 3. 표준화 지향

민·관·학계로 구성된 자문협의회를 통해 표준화를 수행하여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1]

3. 4. 변화 유연성

각 서비스는 모듈화되어 교체가 용이하며, 인터페이스 기반 연동으로 모듈 간 변경 영향을 최소화한다.[1]

3. 5. 개발 편의성

이클립스 기반의 모델링(UML, ERD), 에디팅, 컴파일링, 디버깅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1] 간단한 웹페이지 생성 템플릿, 4.1버전부터는 react 템플릿, MSA를 지원한다.

3. 6. 템플릿 지원

간단한 웹페이지 생성을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4.1 버전부터 React 템플릿 및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를 지원하여 다양한 개발 요구사항을 충족한다.[1]

4. 관련 법률 및 아키텍처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대한민국의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관련 법률에 기반한다. 이러한 법률은 정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EA와의 연동을 통해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4. 1.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EA)

대한민국 법률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정부, 공공기관, 법인, 단체 등)은 EA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이러한 EA 환경과 연동하여 효율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한다.

참조

[1] 웹인용 표준프레임워크 소개 http://www.egovframe[...] 2023-07-07
[2] 문서 오픈커뮤니티 6차 기술 세미나 자료 http://open.egovfr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