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엽은 1956년 전라남도 영암 출생으로, 1977년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재학 중 군에 입대하여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했다. 1979년 12월 13일, 12.12 군사 반란 당시 국방부 점령을 시도한 제1공수특전여단 병력에 저항하다 사망했다. 1980년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2022년 전사자로 재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반란 진압 전사자 - 김오랑
김오랑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특전사에서 복무하며 12.12 군사 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군인으로, 사후 중령으로 추서되었고 그의 군인 정신을 기리는 추모비가 건립되었으며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병사 - 병사 (군사)
병사는 장교의 지휘를 받아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군대 구성원으로, 징집 여부, 군 경력, 병종 등에 따라 분류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징집병인 이등병, 일등병, 상등병, 병장을 의미한다. - 병사 - 콰우틀리
콰우틀리는 아즈텍 사회에서 태양을 상징하는 독수리의 이미지를 따온 최고위 전사 계급으로, 엘리트 훈련을 통해 용맹을 떨치며 귀족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와 특권을 누렸다. - 광주동신고등학교 동문 - 안도걸
안도걸은 서울대학교,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기획재정부 제2차관을 역임한 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더불어민주당 국가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광주동신고등학교 동문 - 김성제 (1960년)
김성제는 1960년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민주당 소속으로 의왕시장에 당선, 연임했으며, 현재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제11대 의왕시장으로 재임 중이다.
정선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선엽 |
출생일 | 1956년 6월 21일 |
사망일 | 1979년 12월 13일 |
태어난 곳 |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 |
죽은 곳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방부 청사 |
국적 | 대한민국 |
부모 | 아버지: 정순남, 어머니: 한점순 |
군 복무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77년 ~ 1979년 |
최종 계급 | 병장 |
근무 | 국방부 50헌병대 |
참고 |
2. 생애
정선엽은 1956년 6월 21일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태어나 광주동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에 재학 중 군에 입대하였다.[2][3][4]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하던 중,[5][6][7] 1979년 12.12 군사 반란 당시 제1공수특전여단 병력에 맞서 싸우다 사망하였다.[9][10][11][12][8][6] 이후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14] 2022년 '순직'에서 '전사'로 재분류되었다.[15]
2. 1. 출생과 성장
1956년 6월 21일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에서 아버지 정순남과 어머니 한점순 사이에서 3남 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2][3] 광주동신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4] 1977년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2학년 재학 중 군에 입대하여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했다.[5][6][7]2. 2. 군 복무와 12.12 군사반란
1977년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2학년 재학 중 군에 입대하여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했다.[5][6][7] 1979년 12월 13일, 제대를 3개월 앞두고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연결하는 지하벙커에서 다른 병사 한 명과 함께 초병 근무를 서고 있었다. 같은 날 2시 10분 경,[8][6] 전두환이 주도한 12.12 군사 반란 당시 국방부 점령 임무를 받고 진입하던 제1공수특전여단 병력[9]에 맞서 저항하다 총탄을 맞고 사망하였다.[10][11][12] 당일 1공수여단 일지에는 “벙커 출입구 헌병 근무자 2명 중 1명 체포, 1명은 반항 사격과 함께 벙커로 도주 사살됨”이라고 기록되어 있다.[6][13]2. 3. 사후 재평가
1980년 3월 26일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당시 군부였던 신군부는 「반혁명군이므로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 없다」고 현충원 안장을 거부하다 유족들의 탄원을 받고 안장을 허락했다.[14]2022년 12월 7일, 정선엽 병장은 같은 해 3월 대통령 소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가 국방부에 요청한 '전사 재심사' 결과에 따라 '순직'에서 전사자로 재분류되었다.[15]
참조
[1]
뉴스
그날 밤 무슨 일 있었나…12·12사태 결정적 장면 6가지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7-12-12
[2]
뉴스
오늘 12·12 16돌… 순직 정선엽 병장 모친 한점순씨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1995-12-12
[3]
뉴스
43년 만에 받은 ‘전사 확인서’
http://kwangju.co.kr[...]
광주일보
2022-12-11
[4]
뉴스
[휴먼 人] ‘잊혀진 죽음’ 정선엽 사병을 아시나요
http://ilyo.co.kr/?a[...]
일요신문
2017-05-12
[5]
뉴스
[유족들의 회한]"12·12고통 아직 끝나지 않아"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1-12-11
[6]
웹사이트
정선엽 병장의 근무당시 사진과 제1공수여단 일지 기록
http://cafe.daum.net[...]
[7]
뉴스
<인터뷰>국방부청사 지키다 숨진 鄭善燁병장 어머니 韓点順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5-12-12
[8]
뉴스
全(전)-盧(노)전 대통령 「12.12」 공소장(요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5-12-22
[9]
문서
준장 박희도 휘하의 제1공수특전여단 제5대대 15지역대
[10]
뉴스
12.12 당시 신군부에 의해 희생된 어느 초병의 죽음[송요훈]
https://imnews.imbc.[...]
문화방송
1995-12-04
[11]
뉴스
12·12 쿠데타가 역사에 남긴 것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5-06-21
[12]
뉴스
12 12때 피살 국방부초병 정선엽 병장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5-12-12
[13]
뉴스
잊혀진 죽음, 정선엽·박윤관 두 사병도 기억하라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3-05-21
[14]
뉴스
"歷史(역사)의 심판은 엄정할 것"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4-10-30
[15]
뉴스
12·12반란군 맞서다 숨진 병장, 43년 만에 '전사' 인정
https://newsis.com/v[...]
뉴시스
2022-12-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