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성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성일은 영화 평론가이자 영화 감독이다. 독일 문화원 '동서 영화 연구회' 출신으로, 영화 평론과 저술 활동을 활발히 펼치며, 영화 월간지 편집장과 여러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위원을 역임했다. 2009년 영화 《카페 느와르》로 감독 데뷔했으며, 다큐멘터리 영화 《밤과 안개 속에서》, 《구름, 엔코르》 등을 연출했다. 2019년 제6회 들꽃영화상에서 감독상(다큐멘터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들꽃영화상 수상자 - 이민지 (1988년)
    대한민국의 배우 이민지(1988년)는 수원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후 다양한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아 《꿈의 제인》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과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들꽃영화상 수상자 - 강말금
    강말금은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에서 주연을 맡아 7관왕을 달성하며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 - 정찬우 (희극인)
    정찬우는 1994년 MBC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컬투의 리더로서 《두시탈출 컬투쇼》를 진행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18년 4월 공황장애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가수이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정성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성일
정성일
출생일1959년 7월 4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영화 평론가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학력성균관대학교
개인 정보
본관미상
배우자미상
영화 평론가 정보
활동 기간미상
한국어 이름
한글정성일
로마자 표기Jeong Seong-il
한국어 발음정성일

2. 경력

정성일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영화 평론가 중 한 명으로,[1][2][3] 임권택과 김기덕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1][2][3]

2009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고통》과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백야》를 바탕으로 한 로맨스 멜로 영화 《카페 느와르》로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여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2010년 코펜하겐 국제 영화제 뉴탤런트 그랑프리에 노미네이트되었다.[4]

2015년 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 왕빙에 대한 다큐멘터리 《밤과 안개 속에서》를 발표했다. 이 영화는 왕빙의 촬영 현장을 따라가며 그의 영화 제작 비결을 파헤치고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5]

2018년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의 다큐멘터리 《구름, 엔코르》를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했다. 이 영화는 임권택 감독이 102번째 장편 영화 《화장》(2014)을 촬영하는 과정을 담았다.[6]

2. 1. 영화 평론 및 저술 활동

독일 문화원에서 후원하는 대학생들의 모임인 '동서 영화 연구회'에서 활동을 시작한 문화원 세대[9] 또는 영화광 1세대[10]의 대표적 인물이다.

1992년부터 《말》지에 고정 칼럼을 연재하고, 라디오 프로그램 《정은임의 FM 영화 음악》을 진행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영화 월간지 《로드쇼》의 편집차장과 《키노》의 편집장을 역임했다.[1][2][3]

2. 2. 영화제 및 학계 활동

1992년부터 여러 영화제의 프로그래머와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영화아카데미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임하였다.[1][2][3] 2023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는 '뉴 커런츠상' 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았다.[8]

3. 영화 감독 활동

정성일은 2009년에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고통》과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백야》를 바탕으로 한 로맨스 멜로 영화 《카페 느와르》로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4]

3. 1. 장편 영화

《Café Noir영어》(2009)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고통》과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백야》를 바탕으로 한 로맨스 멜로 영화로, 정성일의 감독 데뷔작이다.[4] 이 영화는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2009년 제66회 베네치아 영화제 비평가 주간에 초청되었다.[9] 또한 2010년 코펜하겐 국제 영화제에서 뉴탤런트 그랑프리에 노미네이트되었다.[4]

두 번째 장편 영화는 중국의 유명 다큐멘터리 영화감독 왕빙에 대한 다큐멘터리 《밤과 안개 속에서》(2015)이다. 이 영화는 왕빙의 촬영 현장을 따라가며 그의 영화 제작 비결을 파헤치고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5]

세 번째 작품은 임권택 감독의 다큐멘터리 《구름, 엔코르》로, 임권택 감독이 그의 102번째 장편 영화 《화장》(2014)을 촬영하는 과정을 담았다. 이 영화는 2018년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되었다.[6]

3. 2. 다큐멘터리 영화

《밤과 안개 속에서》(2015)는 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 왕빙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왕빙은 9시간 분량의 다큐멘터리 《철서구》(2003)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영화는 왕빙의 촬영 현장을 따라가며 그의 영화 제작 비결을 파헤치고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5] 이 영화로 제6회 들꽃영화상 감독상(다큐멘터리)을 수상했다.[7]

《구름, 엔코르》(2018)는 임권택 감독의 영화 《화장》(2014) 촬영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는 2018년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되었다.[6]

《차의 중력》 (2018)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3. 3. 기타


  • 애란》(1989) - 각본
  • 넘버 3》(1997) - 배우
  • 《유령의 시간》(2007) - 기획
  • 파수꾼》(2010) - 제작부
  • 《아리 아리 코리아 시네마》(2012) - 배우
  • 《자, 이제 거기 없다》(2015) - 감독, 편집

4. 수상

2019년 제6회 들꽃영화상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상(《밤과 안개 속에서》)을 수상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20th BIFF (2015) - Night and Fog in Zona http://www.biff.kr/e[...] 2015-10-01
[2] 웹사이트 Share in a New Perspective on IM Kwon-taek's Career - Film Critic JUNG Sung-il's Reviews of IM Kwon-taek's Filmography on KMDb http://www.koreanfil[...] 2012-10-31
[3] 웹사이트 JUNG Sung-il http://www.koreanfil[...]
[4] 웹사이트 Documentary on IM Kwon-taek Seeks Crowdfunding Support http://www.koreanfil[...] 2017-02-22
[5] 웹사이트 Five Korean Indies to Screen in Rotterdam http://www.koreanfil[...] 2016-01-25
[6] 웹사이트 Cloud, Encore http://www.biff.kr/e[...] 2018-10-01
[7] 웹사이트 ''Remnants'' Documentary Wins Korea's Wildflower Awards https://variety.com/[...] Variety 2019-04-15
[8] 뉴스 Busan Festival Claims Best-Ever Selection, Sets 'Because I Hate Korea' as Opening Film https://variety.com/[...] 2023-09-04
[9] 간행물 70~'90 한국의 시네마테크/70년대 - 유럽고전에 탐닉한 문화원세대 http://www.hani.co.k[...] 씨네21 1998-08-18
[10] 간행물 김홍준 정성일의 정합 4담 - 영화의 황혼, 그러나 "살아라" http://www.cine21.co[...] 씨네21 2001-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