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우람은 대한민국 前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경남상업고등학교(현 부경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4년 SK 와이번스에 입단하여 2012년까지 활약했으며, 군 복무 후 2015년에 복귀했다. 이후 2015년 말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여 2024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통산 1005경기에 등판했으며, 2024년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하다 은퇴했다. KBO 통산 최연소 500경기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8년에는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 세이브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100홀드 클럽 - 류택현
류택현은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코치이며, 투수로서 1994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활동하며 통산 100홀드를 달성했고, 2007년 홀드왕을 차지했으며, 현재는 SSG 랜더스 코치로 활동한다. - 한국 프로 야구 100홀드 클럽 - 안지만
안지만은 삼성 라이온즈 투수로서 2002년 입단하여 2016년 계약 해지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으며, 불법 도박 혐의로 KBO 무기한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 하단초등학교 동문 - 진갑용
진갑용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자 현 KIA 타이거즈의 수석코치로, 삼성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로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하단초등학교 동문 - 송승준
송승준은 경남고등학교 시절부터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롯데 자이언츠의 전 플레잉 코치로,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마이너 리그를 거쳐 2007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KBO 리그에서 MVP, 골든글러브 수상 및 3연속 완봉승 기록, 국가대표 활동, 100승 달성 후 2021년 은퇴했다. - KBO 홀드상 수상자 - 노경은
노경은은 두산, 롯데, SSG를 거치며 18시즌 동안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2012년 두산에서 12승을 거두며 재기에 성공했고, 2024년 SSG에서 홀드왕을 차지했으며, '노카트'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KBO 홀드상 수상자 - 김상수 (1988년)
김상수(1988년)는 2006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넥센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를 거쳐 2021년 SSG 랜더스로 이적한 후 2022년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여 현재 롯데 소속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정우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선수 정보 | |
![]() | |
| 팀 | 한화 이글스 |
| 등번호 | 57 |
| 포지션 | 구원 투수 |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 타석 | 좌투좌타 |
| 투구 | 좌투 |
| KBO 리그 데뷔 | 2004년 4월 23일 |
| 데뷔 팀 | SK 와이번스 |
| 통계 (2023 시즌 종료 기준) | |
| 리그 | KBO |
| 승패 | 64승 47패 |
| 평균자책점 | 3.18 |
| 탈삼진 | 937 |
| 홀드 | 145 |
| 세이브 | 197 |
| 소속 팀 | |
| 선수 | SK 와이번스 (2004–2012, 2015) 한화 이글스 (2016–현재) |
| 코치 | 한화 이글스 (2024–) |
| 수상 경력 | |
| 주요 성과 | KBO 세이브왕 (2018) |
| 국가대표 경력 | |
| 2015 WBSC 프리미어 12 | 금메달 |
| 기타 정보 | |
| 한글 이름 | 정우람 |
| 한자 이름 | 鄭○○ |
| 로마자 표기 | Jeong Uram |
| 지도 이력 | |
| 역할 | 육성군 투수코치 |
2. 선수 시절
2001년 경남상업고등학교(현 부경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각종 대회에 참가했다.
2004년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SK 와이번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계약 조건은 계약금 8500만원, 연봉 2000만원이었다. 2년차인 2005년부터 좌완 중간 계투 투수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2008년에는 류택현과 함께 KBO 시즌 최다 등판 타이 기록인 85경기에 등판했다. 2012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잠실 야구장)에서 이혜천의 기록을 넘어 KBO 사상 최연소(27세 6일)로 통산 500경기 등판을 달성했다. 2012년 시즌 후 병역 의무를 위해 잠시 팀을 떠났고, 제대 후 2015년에 복귀했다.
2015년 11월 30일 FA 계약을 통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했으며, 계약 조건은 4년 총액 840억원이었다. 이후 주로 마무리 투수로 기용되었으며, 2018년 시즌에는 35세이브를 기록하며 세이브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9년 시즌 후 다시 FA 자격을 얻었으나, 4년 총액 390억원의 조건으로 한화에 잔류했다.
2021년 6월 30일, 개인 통산 902번째 경기에 등판하여 류택현이 보유했던 한국 프로 야구 개인 통산 등판 경기 수 기록을 경신했다.
2024년부터 코치 겸 선수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9월 29일 은퇴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나서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2001년 경남상업고등학교(현 부경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각종 대회에 참가했다.2. 2. SK 와이번스 시절
2004년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계약금 8500만원, 연봉 20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부산광역시의 경남상업고등학교|부경고등학교한국어 재학 중, SK 와이번스에 지명되었다. 2년차인 2005년부터 좌완 중간 계투 투수로 두각을 나타냈다. 2008년에는 류택현과 함께 KBO 시즌 최다 등판 타이 기록인 85경기에 등판했다.2004년부터 2012년 시즌까지 9시즌 동안, 두 번의 시즌 80경기 이상 등판(2006년 82경기, 2008년 85경기)하는 등 통산 531경기에 등판했고, 2012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잠실 야구장)에서 이혜천의 기록을 넘어 KBO 사상 최연소(27세 6일)로 통산 500경기 등판을 달성했다. 2012년 시즌 후 병역 의무를 위해 잠시 팀을 떠났고, 제대 후 2015년에 복귀했다.
2. 2. 1. 2004년~2008년
경남상고를 졸업하고 2004년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SK 와이번스에 지명되어, 계약금 8500만원, 연봉 20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입단 후 첫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냈고, 1군에는 2경기에 등판했다.[1] 2005년에 중간 계투로 59경기에 등판해 1점대 평균자책점, 13홀드를 기록했다.[1] 2008년에는 팀 불펜진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여 85경기에 출전해 2점대 평균자책점, 25홀드로 홀드 1위를 차지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1] 특히 2008년에는 류택현과 함께 KBO 시즌 최다 등판 타이 기록인 85경기에 등판하여 9승 2패 5세이브, 평균자책점 2.78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2. 2. 2. 2010년~2012년
2010년에 중간 계투로 75경기에 등판해 102이닝을 던지며, 선발 투수를 제외하고 전 세계 프로 야구 리그에서 가장 많은 경기와 이닝에 등판했다. 2011년에는 팀 내에서 가장 많은 64경기에 등판해 94.1이닝을 던졌고, 4승 7세이브 25홀드, 1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단 한 번의 패전도 기록하지 않았다. 25홀드를 기록하며 홀드 1위를 차지했다. 2012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역대 최연소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012년 시즌 후 입대해 상근 예비역으로 복무했다.2. 2. 3. 2015년
복귀 후 셋업맨과 마무리 투수 역할을 잘 수행했고, WBSC 프리미어 12 대회에 출전했다. 복귀 첫 해부터 69경기에 등판하여 3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는 등 실력은 여전했고, 같은 해 시즌 오프에는 대한민국 대표팀에도 선출되어, 대한민국 대표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4]2. 3. 한화 이글스 시절
2015년 11월 30일 FA 계약을 통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했으며, 계약 조건은 4년 총액 840억원이었다. 정우람의 보상 선수로는 조영우가 지명되었다.[7] 이후 주로 마무리 투수로 기용되었으며, 2018년 시즌에는 35세이브를 기록하며 세이브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9년 시즌 후 다시 FA 자격을 얻었으나, 4년 총액 390억원의 조건으로 한화에 잔류했다.2. 3. 1. 2016년 시즌
4월에는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5월 27일에 교통사고를 당하며 부진이 시작됐다. 전반기가 끝날 때 즈음 블론 세이브를 6개나 기록하며 리그 최다 블론 세이브를 기록했다.2. 3. 2. 2017년 시즌
56경기에 등판해 59이닝 6승 4패, 26세이브, 2점대 평균자책점, 조정방어율 ERA+ 187.0, 볼삼비 4.11, 이닝당 탈삼진 11.90, Swar 2.87로 2016년 시즌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였다.2. 3. 3. 2018년 시즌
5월에 월간 최다 세이브에 하나 부족한 11세이브를 올리는 등 시즌 초반 엄청난 활약을 보여줬으나 여름이 되며 갑자기 무너졌다. 그러나 35세이브를 올리며 세이브 1위를 차지했다.2. 3. 4. 2019년 시즌
57경기에 등판해 4승 3패, 26세이브,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FA 자격을 취득해 4년 총액 390억원에 잔류했다.[8]2. 3. 5. 2020년 시즌
2020년 시즌 50경기에 등판해 3승 5패, 16세이브,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1]2. 3. 6. 2021년~2024년
2021년 6월 30일, 개인 통산 902번째 경기에 등판하여 류택현이 보유했던 한국 프로 야구 개인 통산 등판 경기 수 기록을 경신했다.2024년부터 코치 겸 선수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9월 29일 은퇴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나서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3. 별명
데뷔 초에 볼을 많이 던져 '볼우람'이라고 불렸다. 부상을 잘 당하지 않아 '고무팔'이라고 불린다. 머리숱이 적어 '대머리'라고 불린다.
4. 출신 학교
5. 주요 기록
정우람은 한국 프로 야구에서 여러 최초 기록을 세웠다.
KBO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 2004 | SK | 6.75 | 2 | 0 | 0 | 0 | 0 | 0 | 0 | - | 12 | 2.2 | 3 | 0 | 2 | 0 | 0 | 2 | 2 |
| 2005 | 1.69 | 59 | 0 | 0 | 3 | 1 | 1 | 13 | 0.750 | 165 | 42.2 | 28 | 3 | 17 | 1 | 32 | 11 | 8 | |
| 2006 | 4.24 | 82 | 0 | 0 | 3 | 3 | 0 | 20 | 0.500 | 195 | 46.2 | 36 | 5 | 27 | 1 | 47 | 23 | 22 | |
| 2007 | 4.28 | 45 | 0 | 0 | 0 | 1 | 0 | 14 | 0.000 | 126 | 27.1 | 25 | 5 | 21 | 0 | 22 | 13 | 13 | |
| 2008 | 2.09 | 85 | 0 | 0 | 9 | 2 | 5 | 25 | 0.818 | 314 | 77.2 | 49 | 4 | 32 | 6 | 64 | 24 | 18 | |
| 2009 | 3.38 | 62 | 0 | 0 | 1 | 1 | 1 | 2 | 0.500 | 248 | 56 | 56 | 5 | 29 | 3 | 46 | 23 | 21 | |
| 2010 | 3.53 | 75 | 0 | 0 | 8 | 4 | 2 | 18 | 0.667 | 428 | 102 | 80 | 7 | 44 | 4 | 111 | 41 | 40 | |
| 2011 | 1.81 | 68 | 0 | 0 | 4 | 0 | 7 | 25 | 1.000 | 358 | 94.1 | 61 | 3 | 23 | 2 | 68 | 21 | 19 | |
| 2012 | 2.20 | 53 | 0 | 0 | 2 | 4 | 30 | 0 | 0.333 | 193 | 49 | 33 | 0 | 9 | 4 | 55 | 12 | 12 | |
| 2015 | 3.21 | 69 | 0 | 0 | 7 | 5 | 16 | 11 | 0.583 | 287 | 70 | 52 | 3 | 28 | 1 | 90 | 25 | 25 | |
| 2016 | 한화 | 3.33 | 61 | 0 | 0 | 8 | 5 | 16 | 1 | 0.615 | 331 | 81 | 64 | 7 | 26 | 4 | 85 | 33 | 30 |
| 2017 | 2.75 | 56 | 0 | 0 | 6 | 4 | 26 | 0 | 0.600 | 247 | 59 | 47 | 5 | 19 | 4 | 78 | 20 | 18 | |
| 2018 | 3.40 | 55 | 0 | 0 | 5 | 3 | 35 | 0 | 0.625 | 220 | 53 | 49 | 6 | 13 | 1 | 56 | 22 | 20 | |
| 2019 | 1.54 | 57 | 0 | 0 | 4 | 3 | 26 | 0 | 0.571 | 237 | 58.1 | 57 | 4 | 16 | 1 | 48 | 11 | 10 | |
| 2020 | 4.80 | 50 | 0 | 0 | 3 | 5 | 16 | 0 | 0.375 | 230 | 54.1 | 58 | 4 | 12 | 5 | 53 | 29 | 29 | |
| 2021 | 5.64 | 50 | 0 | 0 | 1 | 4 | 15 | 1 | 0.200 | 199 | 43.2 | 47 | 5 | 20 | 5 | 32 | 29 | 28 | |
| 2022 | 2.95 | 23 | 0 | 0 | 0 | 1 | 1 | 2 | 0.000 | 184 | 19.1 | 23 | 1 | 6 | 0 | 20 | 8 | 6 | |
| 2023 | 5.36 | 52 | 0 | 0 | 0 | 1 | 0 | 8 | 0.000 | 183 | 40.1 | 45 | 3 | 17 | 2 | 30 | 24 | 24 | |
| 2024 | - | 1 | 0 | 0 | 0 | 0 | 0 | 0 | - | 1 | 0 | 1 | 0 | 0 | 0 | 0 | 0 | 0 | |
| 통산 | 19시즌 | 3.18 | 1005 | 0 | 0 | 64 | 47 | 197 | 145 | 0.577 | 4058 | 977.1 | 814 | 70 | 360 | 45 | 937 | 371 | 345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이다.
5. 1. KBO
종전 : 류택현(LG) 37세 8개월 13일 / 777경기종전 : 이혜천(두산) 27세 1개월 7일 / 500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