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형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형민은 대한민국의 줄기세포 연구 분야의 권위자이다. 건국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차바이오텍 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간 유래 성체 및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개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망막색소세포를 이용한 스타가르트병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또한, 주요 연구 업적과 함께 국제 학술대회 수상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 양정원 (필라테스)
    양정원은 선화예술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한 대한민국의 필라테스 강사이자 배우로서, 드라마와 영화 출연은 물론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활동하며 필라테스 전문가로도 활약하고 있다.
  •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 이시형 (의료인)
    이시형은 대한민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저술가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예일 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연구원을 지냈으며, 강북삼성병원 원장,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세로토닌문화원 원장, 한국자연의학종합연구원 원장, 힐리언스 선마을 촌장, 서울사이버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하며 '세로토닌'을 강조, 정신 건강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 1964년 출생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1964년 출생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정형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형민
출생1964년
국적대한민국
분야줄기 세포 연구
소속차의과학대학교 CHA 줄기세포연구소
모교건국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정길생
알려진 업적동물 생명 공학 & 줄기 세포 연구
수상2004년: 보조 생식 기술 학회 (SART) 우수 논문상
2009년: 지식 경제부 "차세대 CEO" (생명 공학 부문)
학력
학력건국대학교
주요 업적
주요 업적세계 최초 유리화 난자 동결법 개발
인간 배아 줄기세포 확립,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개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실명증 세포 치료제 개발
97편의 국외 SCI급 논문 및 95편의 국내 논문과 11권의 국내외 저서
수상 내역
수상1998년 세계불임학회 및 미국생식의학회(IFFS/ASRM)우수논문상
2000년 미국 생식의학회 최우수 논문상
2004년 미국 생식의학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2009년 대한민국 차세대 CEO 대상 수상

2. 학력 및 경력


  • 1987년 건국대학교 축산생명공학과를 졸업했다.(전공: 동물생명공학)
  • 1993년 건국대학교 축산생명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전공: 동물생명공학)
  • 1998년 컬럼비아 대학교 산부인과 방문 과학자였다.

학위취득 후 1997년 차의과학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줄기세포치료 연구소 소장, (주)차바이오텍 대표이사를 지냈다. 교육과학기술부 국가 LMO 평가위원, 지식경제부 산하 국가 기술 자문 위원회 자문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줄기세포교실 교수이다.

정형민 박사는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 갖고 있는 리더이다. 그의 연구는 인간유래 성체 및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유래로 하여 생산된 망막세포, 인공 혈액, 심혈관 세포 등을 이용한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임상 적용에 집중 하고 있다. 2011년 차병원그룹 소속 당시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분화유도된 망막색소세포를 이용한 희귀난치병(orphan disease)인 스타가르트병( Stargardt's macular dystrophy) 에 대한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2. 1. 학력


  • 1987년 건국대학교 축산생명공학과를 졸업했다.(전공: 동물생명공학)
  • 1993년 건국대학교 축산생명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전공: 동물생명공학)
  • 1998년 컬럼비아 대학교 산부인과 방문 과학자였다.

2. 2. 경력

학위취득 후 1997년 차의과학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줄기세포치료 연구소 소장, (주)차바이오텍 대표이사를 지냈다. 교육과학기술부 국가 LMO 평가위원, 지식경제부 산하 국가 기술 자문 위원회 자문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줄기세포교실 교수이다.

정형민 박사는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 갖고 있는 리더이다. 그의 연구는 인간유래 성체 및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유래로 하여 생산된 망막세포, 인공 혈액, 심혈관 세포 등을 이용한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임상 적용에 집중 하고 있다. 2011년 차병원그룹 소속 당시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분화유도된 망막색소세포를 이용한 희귀난치병(orphan disease)인 스타가르트병( Stargardt's macular dystrophy) 에 대한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3. 주요 연구 업적

Lee MJ, Kim J, Lee KI, Shin JM, Chae JI, Chung HM은 2011년 논문에서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유래 내피 전구 세포의 분비 인자에 의한 상처 치유 증진에 대해 연구하였다. Kim MJ, Park JS, Kim S, Moon SH, Yang HN, Park KH, Chung HM은 2011년 Cbfa1 과발현 골형성 세포를 하이드로젤에 캡슐화하여 골 조직 재생을 가속화하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Kim EY, Jeon K, Park HY, Han YJ, Yang BC, Park SB, Chung HM, Park SP는 2010년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유도된 만능 줄기 세포의 세포 및 분자 프로파일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Moon SH, Kim JS, Park SJ, Lim JJ, Lee HJ, Lee SM, Chung HM은 2011년 생체 외 및 생체 내 인간 배아 줄기 세포의 유지 및 분화에 대한 염색체 불안정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Park SW, Jun Koh Y, Jeon J, Cho YH, Jang MJ, Kang Y, Kim MJ, Choi C, Sook Cho Y는 2010년 MEK/ERK 및 BMP4 신호 전달 경로의 결합된 조절에 의해 기능적 CD34+ 전구 세포로 인간 만능 줄기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화시키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3. 1.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 개발

3. 2. 줄기세포 연구 관련 수상 경력

정형민은 1998년 10월 3일 국제생식학회(IFFS) 제16차 세계 생식 및 불임 학술대회 및 미국 생식 의학회(ASRM) 제54차 연례 학술대회에서 "미성숙, 성숙 또는 성숙 단계에서 급속 냉동된 인간 난자의 시험관 내 배반포 형성"이라는 논문으로 2위 상을 수상했다. 2000년 10월 21일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제56차 미국 생식 의학회(ASRM) 연례 학술대회에서 "급속 냉동된 난자에서 발달한 아기의 출생"이라는 비디오로 상을 받았다. 2004년 10월 16일에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미국 생식 의학회(ASRM) 제60차 연례 학술대회에서 "cDNA 마이크로어레이로 원시, 일차 및 이차 난포에서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라는 논문으로 2004년 보조 생식 기술 학회(SART) 논문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 지식경제부로부터 생명 공학 분야 "차세대 CEO"로 선정되었다.

4.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

5. 출판물

Lee MJ, Kim J, Lee KI, Shin JM, Chae JI, Chung HM는 2011년에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유래 내피 전구 세포의 분비 인자에 의한 상처 치유 증진"이라는 논문을 《세포 치료(Cytotherapy)》 13권 2호에 165-78쪽에 게재했다. Kim MJ, Park JS, Kim S, Moon SH, Yang HN, Park KH, Chung HM는 2011년에 "Cbfa1 과발현 골형성 세포를 하이드로젤에 캡슐화하여 골 조직 재생을 가속화"라는 논문을 《줄기 세포와 발달(Stem Cells and Development)》 20권 8호에 1349-58쪽에 게재했다. Kim EY, Jeon K, Park HY, Han YJ, Yang BC, Park SB, Chung HM, Park SP는 2010년에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유도된 만능 줄기 세포의 세포 및 분자 프로파일의 차이"라는 논문을 《세포 재프로그래밍(Cellular Reprogramming)》 12권 6호에 627-39쪽에 게재했다. Moon SH, Kim JS, Park SJ, Lim JJ, Lee HJ, Lee SM, Chung HM는 2011년에 "생체 외 및 생체 내 인간 배아 줄기 세포의 유지 및 분화에 대한 염색체 불안정성의 영향"이라는 논문을 《줄기 세포 연구(Stem Cell Research)》 6권 1호에 50-9쪽에 게재했다. Park SW, Jun Koh Y, Jeon J, Cho YH, Jang MJ, Kang Y, Kim MJ, Choi C, Sook Cho Y는 2010년에 "MEK/ERK 및 BMP4 신호 전달 경로의 결합된 조절에 의해 기능적 CD34+ 전구 세포로의 인간 만능 줄기 세포의 효율적인 분화"라는 논문을 《혈액(Blood)》 116권 25호에 5762-72쪽에 게재했다.

참조

[1] 뉴스 Stem cells bring life to biotech industry http://koreajoongang[...] JoongAng Ilbo 2012-01-25
[2] 뉴스 Bioethics body approves first embryonic stem cell test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1-04-27
[3] 뉴스 South Korea to Lift Ban On Human Stem Cell Research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