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요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민요술》은 6세기 전반 북위 시대의 가사협이 저술한 농업 기술 서적으로,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경, 작물 재배, 과수, 수목, 축산, 양조, 조미료 제조, 육류 및 채소 저장, 외국 물산 등 농업 생산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기술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북위 시대의 농업 기술과 북방 유목 민족의 영향을 반영하며, 고대 농업 기술 연구와 중국 요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책 - 농사직설
농사직설은 조선 초 세종의 명에 의해 편찬된 한국 최초의 독자적인 농서로,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에 맞는 다양한 작물의 재배법과 농업 기술을 상세히 제시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 농업 책 - 산림경제
산림경제는 17세기 홍만선이 저술한 농업, 임업, 의학, 생활 전반을 다룬 백과사전식 저술로, 조선 시대의 다양한 지식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중국의 경제사상사 - 농본주의
농본주의는 농업을 사회의 근본으로 삼고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중시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제한적인 경제 규모와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철학으로 재조명되기도 한다. - 중국의 경제사상사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 중국의 농업사 - 두장옌
두장옌은 기원전 3세기 진나라 시대에 이빙과 그의 아들에 의해 건설된 고대 관개 시설로, 민강의 홍수를 막고 농업 용수를 공급하며 쓰촨성을 풍요롭게 만들었으며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중국의 농업사 - 정국거
정국거는 전국시대 말 진나라의 국력 강화에 기여한 수리 시설로, 관중 지역의 농업 생산량을 증대시켜 진나라의 천하통일 기반을 마련했으며, 중국 3대 수리 시설이자 세계 관개 시설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제민요술 | |
|---|---|
| 기본 정보 | |
| 제목 (한자) | 齊民要術 |
| 제목 (간체) | 齐民要术 |
| 로마자 표기 | Qímín Yàoshù |
| 영문 제목 | Essential Techniques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
| 다른 이름 | 식경 (食經) |
| 개요 | |
| 종류 | 농서 |
| 저자 | 가사협 |
| 저술 시기 | 6세기 |
| 시대 | 남북조 시대 |
| 언어 | 한문 |
| 권수 | 10권 |
| 내용 | 중국 농업, 원예, 임업, 어업, 축산, 상업, 요리에 대한 정보 수록 |
| 역사적 중요성 | |
| 내용의 가치 | 6세기 이전 중국 북부의 농업 관행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 |
| 인용 |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서 인용 |
2. 내용 구성
《제민요술》은 북위 시대 농학자 가사협이 편찬한 종합 농업 기술서로, 당시까지의 농서를 집대성한 것이다. 범승지서나 사민월령 등 이미 흩어져 없어진 옛 농서의 내용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생산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기술을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권 | 제목 | 주요 내용 |
|---|---|---|
| 1 | 경종총설(耕種総説) | 농업 전반 |
| 2 | 경포작물(耕圃作物) | 밭작물 재배법 |
| 3 | 원포작물(園圃作物) | 텃밭 작물 재배법 |
| 4 | 과수(果樹) | 과일나무 재배 기술 |
| 5 | 수목(樹木) | 유실수 및 목재 나무 재배법 |
| 6 | 축산(畜産) | 목축 관련 기술 (북방 유목 사회 기술 포함) |
| 7 | 양주(醸酒) | 술 빚는 방법 |
| 8 | 조미료양조(調味料醸造) | 장, 초 등 조미료 제조 방법 |
| 9 | 장육장채(蔵肉蔵菜) | 육류 및 채소 저장법 |
| 10 | 외국물산(外国物産) | 외국 물품 |
이 책은 곡물, 채소, 과수, 뽕나무, 삼 등의 재배법에서 축산, 국, 술, 장, 초, 건락 등의 양조법, 식품 가공법, 외국 물산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중국 고대 농학 발전과 중국 요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다만, 잡설 부분에는 후세 사람의 가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1. 1권: 경종총설(耕種総説)
6세기 전반까지의 농서를 집대성한 것으로 여겨지는 총 10권으로 구성된 『제민요술』의 첫 번째 권으로, 농경의 기본 원리와 기술, 토지 관리, 종자 선택 등 농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2. 2. 2권: 경포작물(耕圃作物)
6세기 전반에 쓰여진 이 책의 2권에서는 곡물, 채소 등 밭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재배법을 설명한다.2. 3. 3권: 원포작물(園圃作物)
6세기 전반 북위 시대에 쓰여진 『제민요술』의 3권은 텃밭에서 재배하는 채소, 과일 등의 작물 재배법을 설명한다.2. 4. 4권: 과수(果樹)
6세기 전반에 쓰여진 농업 기술서인 《제민요술》의 4권은 과일나무 재배 기술을 다룬다.2. 5. 5권: 수목(樹木)
樹木|수목중국어에서는 뽕나무, 삼나무 등 유실수 및 목재로 사용되는 나무의 재배법을 설명한다.2. 6. 6권: 축산(畜産)
6세기 전반 북위 시대는 중세 한랭기로 인해 농경과 목축의 북방한계선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화북 농경민들이 무장 난민화되어 강남으로 이주하고 몽골 고원 등지의 목축민들이 화북으로 이주해 오던 시기였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제민요술에는 한대까지의 화북 농경 사회 전통에 북방 목축 사회의 기술과 식문화가 대규모로 유입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현재 몽골의 유제품 가공 기술과 유사한 다양한 유제품 제조법이 상세히 기록되는 등 목축 관련 기술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2. 7. 7권: 양주(醸酒)
醸酒중국어는 술 빚는 방법을 설명한다.2. 8. 8권: 조미료양조(調味料醸造)
調味料醸造|조미료양조중국어는 제민요술의 8권에 해당하며, 장, 초 등 조미료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2. 9. 9권: 장육장채(蔵肉蔵菜)
6세기에 쓰여진 농서인 『제민요술』의 9권 장육장채(蔵肉蔵菜)는 육류 및 채소 저장법을 다룬다.2. 10. 10권: 외국물산(外国物産)
6세기 호탄국의 왕이 비단을 얻기 위해 왕녀를 중국으로 시집보낼 때 비단 만드는 법을 몰래 들여왔다는 전설이 있다.[1] 그 경위는 당의 현장이 쓴 《대당서역기》에 실려 있다.[1] 뽕나무 종자와 누에 씨앗을 모자 속에 숨겨 들여왔다고 한다.[1]3. 역사적 의의
《제민요술》은 북위 시대까지의 농서를 집대성한 책으로, 흩어져 없어진 옛 농서의 내용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고대 농업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체계적이고 엄밀한 서술 방식으로 농업 기술을 상세히 기록하여, 중국 고대 농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 특히 북방 유목 민족의 목축 기술과 식문화가 화북 농경 사회에 유입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중세 한랭기에 따른 농경과 목축의 변화, 화북 지역의 정치 경제적 안정기에 따른 농업 기술 발전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1] 중국 요리사 연구에도 중요한 문헌으로 활용된다.[1]
4. 번역서
참조
[1]
논문
City profile – Shouguang
https://doi.org/10.1[...]
2014-10
[2]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na Between Empires: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gro-Ecological Farming Systems in Chin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6]
서적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D. Appleton and Company
[7]
논문
A Chinese renaissance
https://www.nature.c[...]
2017-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