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야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야강은 러시아의 강으로, 스타노보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투쿠링그라 산맥과 자그디 산맥 사이의 제야 저수지를 거쳐 블라고베시첸스크 인근에서 아무르강과 합류한다. 제야 수력 발전소의 댐은 강 수위 변동을 조절하며, 주요 지류로는 톡강, 물무가, 브리안타, 길류이, 우르칸강, 쿠푸리, 아르기강, 데프강, 셀렘자, 톰강 등이 있다. 11월부터 5월까지는 결빙되며,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가 주요 항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무르주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아무르주 - 아무르스코제이스카야 평원
아무르스코제이스카야 평원은 러시아 아무르주의 남동부, 아무르강과 제야강 사이에 위치하며 평원, 능선, 구릉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노라강과 오를로프카강이 셀렘자강으로 합류하며, 낙엽송, 소나무, 자작나무 숲과 남쪽의 참나무 관목 숲, 늪, 습지가 특징이다. - 아무르주 - 강동육십사둔
강동육십사둔은 아이훈 조약으로 청나라가 러시아에 할양한 아무르강 북쪽 지역의 64개 촌락으로, 조약에도 불구하고 청나라 백성들의 영구 거주가 허용되었으나, 1900년 러시아의 강제 추방과 학살로 청나라 거류민이 사라지고 현재는 중화민국이 주권을 주장하고 있다.
제야강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제야강 |
기타 이름 | 해당 없음 |
어원 | 해당 없음 |
로마자 표기 | Zeya |
만주어 이름 | }} |
지리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아무르주 |
발원지 | 토키이스키 스타노비크 |
하구 | 아무르강 |
수문학적 정보 | |
길이 | 1,242km |
유역 면적 | 233,000km2 |
블라고베셴스크 지점 | 최소: "1.5m3/s" 평균: "1,810m3/s" 최대: "14,200m3/s" |
지류 | |
왼쪽 지류 | 해당 없음 |
오른쪽 지류 | 해당 없음 |
댐과 저수지 | |
댐 | 제야 댐 |
기타 정보 | |
관련 지형 | 제야, 크라스노야로보 |
주요 지류 | 토크강 물림가강 브랸타강 길류이강 우르칸강 쿠푸리강 알기강 데프강 셀렘자강 톰강 |
2. 역사
바실리 포야르코프는 이 지역에 들어간 최초의 러시아인으로 기록되었다.
2. 1. 러시아의 탐사
바실리 포야르코프는 이 지역에 들어간 최초의 러시아인으로 기록되었다.3. 지리
제야강은 11월부터 5월까지 얼어붙는다. 강이 얼지 않을 때는 항해가 가능하며, 주요 강 항구는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이다.[7]
3. 1. 발원지 및 유로
스타노보이 산맥의 일부인 토코-스타노비크 산맥에서 발원한다.제야강은 투쿠링그라 산맥과 자그디 산맥의 교차점에 있는 제야 저수지를 통과하여 블라고베시첸스크 근처, 중국과의 국경에서 아무르강과 합류한다. 제야 댐에 의한 유량 조절은 강 수위의 극단적인 변동을 5000m3/s까지 완화시킨다. 제야강은 유량 조절로 인해 아무르강의 평균 유량과 최대 유량의 약 16%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제야강이 아무르강 최대 유량의 거의 50%(약 30000m3/s)까지 기여할 수 있었다.
제야강의 주요 지류는 오른쪽에는 톡, 물무가, 브리안타, 길류이, 우르칸이 있고, 왼쪽에는 쿠푸리, 아르기, 데프, 셀렘자, 톰이 있다.[7]
이 강은 11월부터 5월까지 얼어붙는다. 강이 얼지 않을 때는 항해가 가능하며, 주요 강 항구는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이다.
3. 2. 수량 조절
제야 댐에 의한 유량 조절은 강 수위의 극단적인 변동을 5000m3/s까지 완화시킨다. 제야강은 유량 조절로 인해 아무르강의 평균 유량과 최대 유량의 약 16%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제야강이 아무르강 최대 유량의 거의 50%(약 30000m3/s)까지 기여할 수 있었다.[7]3. 3. 지류
스타노보이 산맥의 일부인 토코-스타노비크 산맥에서 발원한다.제야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7]
방향 | 지류 |
---|---|
오른쪽 | 톡, 물무가, 브리안타, 길류이, 우르칸 |
왼쪽 | 쿠푸리, 아르기, 데프, 셀렘자, 톰 |
3. 4. 결빙 및 항해
제야강은 11월부터 5월까지 얼어붙는다. 강이 얼지 않을 때는 항해가 가능하며, 주요 강 항구는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이다.[7]4. 환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5. 경제
제야강은 11월부터 5월까지 얼어붙는다. 강이 얼지 않을 때는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를 잇는 주요 항로로 이용된다.
5. 1. 수력 발전
제야 댐에 의한 유량 조절은 강 수위의 극단적인 변동을 5000m3/s까지 완화시킨다. 제야강은 유량 조절로 인해 아무르강의 평균 유량과 최대 유량의 약 16%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제야강이 아무르강 최대 유량의 거의 50%(약 30000m3/s)까지 기여할 수 있었다.[7]5. 2. 수운
스타노보이 산맥의 일부인 토코-스타노비크 산맥에서 발원한다.제야강은 투쿠링그라 산맥과 자그디 산맥의 교차점에 있는 제야 저수지를 통과하여 블라고베시첸스크 근처, 중국과의 국경에서 아무르강과 합류한다. 제야 댐에 의한 유량 조절은 강 수위의 극단적인 변동을 5000m3/s까지 완화시킨다. 제야강은 유량 조절로 인해 아무르강의 평균 유량과 최대 유량의 약 16%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제야강이 아무르강 최대 유량의 거의 50%(약 30000m3/s)까지 기여할 수 있었다.
제야강의 주요 지류는 오른쪽에는 톡, 물무가, 브리안타, 길류이, 우르칸이 있고, 왼쪽에는 쿠푸리, 아르기, 데프, 셀렘자, 톰이 있다.[7]
이 강은 11월부터 5월까지 얼어붙는다. 강이 얼지 않을 때는 항해가 가능하며, 주요 강 항구는 제야, 스보보드니, 블라고베시첸스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2]
웹사이트
Far East
http://www.abratsev.[...]
Sokolov
[3]
웹사이트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4]
웹사이트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5]
GVR
Река ЗЕЯ
[6]
웹사이트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7]
Great Soviet Encyclopedia
Зея (река в Амурской обл.)
http://bse.sci-lib.c[...]
[8]
웹사이트
Zeya-Bureya Plains
https://rsis.ramsar.[...]
1997-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