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보보드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보보드니는 러시아 아무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1912년 아무르 철도 건설과 함께 설립되었다. 원래는 알렉세예프스크로 불렸으나 1917년 자유를 뜻하는 스보보드니로 개명되었다.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자유시 참변이 발생했고, 스탈린 시대에는 굴라크 수용소인 BAMLag가 건설되어 강제 노동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기계, 가구, 광산 운영의 중심지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제야강의 하천 교통 요충지이다. 또한 스보보드니 발사장의 건설 예정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보보드니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은 1921년 러시아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소련 붉은 군대에 공격받아 와해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독립군 내부 갈등과 소련의 정책적 판단이 작용한 결과이며 한국 독립운동사에 큰 상흔을 남겼다.
  • 아무르주의 도시 - 자비틴스크
    자비틴스크는 자비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읍으로 통합되어 자비틴스키 지방 자치구의 일부이고, 자비틴스크 공군 기지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아무르주의 도시 - 라이치힌스크
    러시아 아무르주에 위치한 라이치힌스크는 19세기 후반 갈탄 매장지 발견 후 1913년부터 채굴이 시작되어 1932년 건설된 '라이치하' 정착촌에서 1944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갈탄 채굴 중심의 경제와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결 철도의 종착역으로서 기능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스보보드니
지도
일반 정보
스보보드니의 철도 대학
스보보드니의 철도 대학 (극동 국립 교통 대학교 참조)
공식 명칭(러시아어)
이전 명칭알렉세옙스크 (Alexeyevsk)
별칭없음
표어없음
행정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아무르 주
도시 구역스보보드니 도시 구역
행정 중심지스보보드넨스키 구
지리
면적225 제곱킬로미터
고도190 미터
위치아무르 주에서 떨어져 있음.
인구 통계
총 인구 (2020년 기준)54,017 명
인구 밀도240 명/제곱킬로미터
2010년 인구 조사58,778 명
2002년 인구 조사데이터 없음
1989년 인구 조사80,006 명
역사
설립 년도1912년
교통
철도아무르 철도
기타 정보
우편 번호676450
지역 번호+7 41643
웹사이트스보보드니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12년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지선인 아무르 철도 건설과 함께 도시가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황태자 알렉세이의 이름을 따 ''알렉세예프스크''(Алексеевскru)로 불렸으나, 1917년 "자유"를 뜻하는 스보보드니로 개명되었다.[3]

러시아 내전 중에는 일제강점기에 반대하는 한국 민병대와 정치 단체들이 이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다. 1921년 초 이들은 스보보드니로 이동했으나, 조선 공산당 내 파벌 갈등과 민족주의 운동의 분열로 인해 자유시 참변이 발생했다. 적군은 도시를 포위, 파괴하여 자신들이 지지하는 파벌의 승리를 이끌었다.[4][5]

스탈린 시대에는 굴라크 강제 노동 수용소인 BAMLag가 건설되어 바이칼-아무르 철도 건설에 강제 노동을 제공했다. BAMLag는 최대 201,000명(1938년)을 수용한 굴라크 최대 규모 수용소 중 하나였으며, 1938년 여러 수용소로 해체되었다.[6]

2. 1. 초기 역사

1912년, 아무르 철도(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우회" 노선) 건설과 함께 도시가 설립되었다. 원래 이름은 당시 황태자 알렉세이를 기려 ''알렉세예프스크''(Алексеевскru)였다.[3] 1917년, 이 도시는 "자유"를 뜻하는 스보보드니(Svobodny)로 개명되었다.[3]

러시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은 일본의 한국 식민지화에 반대하는 여러 한국 민병대와 정치 단체의 근거지가 되었다. 그들은 1921년 초 스보보드니로 이동했지만, 여름에 조선 공산당 내의 파벌 다툼과 더 넓은 한국 민족주의 운동이 공개적인 전쟁으로 번졌고, 이는 자유시 참변으로 이어졌다. 적군은 도시를 포위한 후 파괴하여 자신들이 선호하는 파벌의 승리를 확보했다.[4][5]

스탈린 시대 동안, 굴라크의 강제 노동 수용소인 BAMLag가 스보보드니에 건설되었으며, 이는 계획된 바이칼-아무르 철도 건설을 위한 강제 노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수용소는 굴라크 시스템에서 가장 큰 수용소 중 하나가 되었으며, 최대 수용 인원은 약 201,000명(1938년)이었다. 1938년에는 여러 수용소로 해체되었다.[6]

1910년, "아무르 철도"의 제야 강 철교 건설 공사를 위해, 슬라제프카(Суражевкаru) 마을 근처에 노동자 주택지가 건설되었다. 초기의 시베리아 횡단 철도청나라의 영토인 만주를 횡단하는 동청 철도 경유로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는 경로를 거쳤다. 이에 반해 1906년, 청나라 영토를 거치지 않고 러시아 영내만 통과하는 지선으로, 아무르 북안을 지나 하바롭스크로 향하는 "아무르 철도"가 건설되기로 결정되었다. 이것이 현재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본선이 되었다.

이 노동자 집락은 제야 강을 건너는 지점에 역 및 도시를 건설하려는 계획의 첫걸음이었다. 토지 정비가 진행되어, 1912년에는 시의 지위를 부여받아, 러시아 황태자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를 기념하여 '''알렉세예프스크'''라고 명명되었다. 1916년에 아무르 철도가 개통되었다. 1917년의 2월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자, 같은 해 4월, 시민들은 러시아어로 "자유"를 의미하는 스보보드니(스보보드니)로 시명을 변경하는 결정을 내렸다.

1921년에 독립군이 러시아의 적군과 이곳에서 충돌하여 괴멸되었다(자유시 참변).

스탈린 시대에는, 스보보드니에 밤라크(BAMLag)라는 이름의 굴라그 (강제 수용소)가 건설되었다. 이 수용소는 정치범 등을 제2의 시베리아 횡단 철도인 바이칼-아무르 철도(밤 철도)의 건설에 동원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1935년 10월에는 19만 300명의 수용자를 거느리는, 소련에서도 최대 규모의 굴라그로 확대되었고, 많은 수용자들이 여기서 목숨을 잃었다.

2. 2. 러시아 혁명과 자유시 참변

1917년 2월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자, 같은 해 4월 시민들은 스보보드니(러시아어로 "자유"를 의미)로 도시 이름을 바꾸는 결정을 내렸다.[3]

러시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은 일본한국 식민지화에 반대하는 여러 한국 민병대와 정치 단체의 근거지가 되었다. 1921년 초 이들은 스보보드니로 이동했지만, 여름에 조선 공산당 내 파벌 다툼과 더 넓은 한국 민족주의 운동이 공개적인 전쟁으로 번졌고, 이는 자유시 참변으로 이어졌다. 적군은 도시를 포위한 후 파괴하여 자신들이 선호하는 파벌의 승리를 확보했다.[4][5]

2. 3. 스탈린 시대와 굴라크

러시아 내전 당시, 일본한국 식민지화에 반대하는 여러 한국 민병대와 정치 단체들이 러시아 극동 지역에 근거지를 두었다. 1921년 초, 이들은 스보보드니로 이동했지만, 그해 여름 조선 공산당 내 파벌 다툼과 한국 민족주의 운동의 갈등이 자유시 참변으로 이어졌다. 적군은 도시를 포위하고 파괴하여 자신들이 선호하는 파벌을 지원했다.[4][5]

스탈린 시대에는 굴라크의 강제 노동 수용소인 BAMLag가 스보보드니에 건설되어, 바이칼-아무르 철도 건설을 위한 강제 노동을 제공했다. BAMLag는 굴라크 시스템에서 가장 큰 수용소 중 하나였으며, 1938년 최대 수용 인원은 약 201,000명에 달했다. 1938년, BAMLag는 여러 수용소로 해체되었다.[6]

3. 행정 구역 및 지위

러시아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스보보드니는 비록 그 일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스보보드닌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7] 행정 구역으로서 스보보드니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인 스보보드니 도시 구로 별도로 통합된다.[8] 지방 자치 구역으로서 이 행정 단위는 또한 도시 구의 지위를 갖는다.[9]

4. 경제

이 도시는 기계 및 가구 공장, 금광 회사인 아무르졸로토(Amurzoloto)를 포함한 지역 광산 운영의 행정 중심지이다. 기계, 경공업, 가구 제조, 식품 제조 등의 공장이 있으며, 아무르졸로토사의 탐광·지질 조사 부문 거점이기도 하다.[1]

4. 1. 교통

이 도시는 철도 및 하천 교통의 중요한 교통 요충지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2개의 기차역(차량 수리 시설 포함)과 제야강의 강 항구가 있다. 스보보드니 공항이 있으며, 오를로프카 요격기 기지 및 러시아 공군에서 관리하는 다른 지역과 가깝다. 1940년에 개통된 어린이 철도는 총 연장 11.6km로 세계 최장급 어린이 철도이다.

스보보드니는 제야강의 하천 교통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의 화물 환적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역에는 스보보드니역(모스크바에서 7807km)을 비롯한 두 개의 역이 있으며, 대형 화차·열차 수리 공장이 있다. 또한 제야강의 하천 항구와 스보보드니 공항도 있다.

5. 지리

스보보드니는 아무르주 행정 중심지인 블라고베시첸스크에서 북쪽으로 167km 떨어진 제야강 우안에 위치해 있다.

5. 1. 기후

스보보드니는 혹독하게 추운 매우 건조한 겨울과 매우 덥고 습한 여름을 보이는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b'')를 가지고 있다.[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2.1°C4.1°C16.4°C28.6°C34.3°C42°C38°C34.7°C29.8°C26.3°C11.5°C0°C
평균 최고 기온 (°C)-19.4°C-13.2°C-3.6°C8.6°C17.7°C24.2°C26.3°C23.8°C17.3°C7.1°C-8.2°C-18.4°C
평균 기온 (°C)-26°C-20.6°C-10.3°C2.5°C11.1°C17.8°C20.4°C17.8°C10.7°C0.4°C-14.2°C-24.3°C
평균 최저 기온 (°C)-32.4°C-28.5°C-19°C-4.7°C3.1°C10°C14°C11.5°C3.6°C-6.6°C-20.7°C-30.3°C
최저 기온 기록 (°C)-50°C-45°C-40°C-23.4°C-11.1°C-0.9°C3°C0°C-8°C-25.5°C-38.9°C-47.2°C
강수량 (mm)6mm13mm13mm32mm51mm82mm116mm113mm76mm23mm26mm11mm

[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0°C4.1°C16.4°C32.1°C35.2°C42°C38°C34.7°C29.8°C26.3°C11.6°C-0.2°C
평균 최고 기온 (°C)-17.4°C-11.4°C-2°C9.9°C18.9°C24.7°C26.9°C24.4°C18.2°C7.6°C-7.2°C-17.6°C
평균 기온 (°C)-24.4°C-19.3°C-9.1°C3.2°C11.7°C17.8°C20.7°C18.1°C11.1°C0.9°C-13.7°C-23.8°C
평균 최저 기온 (°C)-29.9°C-26.2°C-16.5°C-3.7°C4.1°C10.8°C14.9°C12.5°C4.8°C-4.9°C-19.1°C-28.8°C
최저 기온 기록 (°C)-50°C-45°C-40°C-23.4°C-11.8°C-0.9°C2.3°C0.2°C-8.3°C-25.5°C-52.1°C-47.2°C
강수량 (mm)6.9mm6mm11mm27mm63.5mm82.8mm143.8mm114.3mm66mm31.3mm16.7mm9.6mm

[10]

6. 인물

레오니트 가이다이는 소련의 희극 영화 감독이다.[1] 1923년 스보보드니에서 태어났으며, 2006년 9월에는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

7. 시설

스보보드니 시가지에는 박물관 및 지질 박물관이 있다. 1940년에 개통된 어린이 철도는 총 연장 11.6km로 세계 최장급 어린이 철도이다.

스보보드니는 제야강의 하천 교통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의 화물 환적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역에는 스보보드니역(모스크바에서 7807km 지점)을 비롯한 두 개의 역이 있으며, 대형 화차·열차 수리 공장이 있다. 또한 제야강의 하천 항구와 스보보드니 공항도 있다. 기계 공업, 경공업, 가구 제조, 식품 제조 등의 공장도 입지하고 있으며, 금 등을 채굴하는 아무르졸로토사의 탐광·지질 조사 부문의 거점이기도 하다.

8. 근교

스보보드니시 북쪽 50km 지점에는 도시형 집락인 치올콥스키(구 우글레고르스크)가 있다. 이 마을은 소련군 ICBM 기지 건설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1969년부터 1994년까지는 "스보보드니 18"이라는 비밀 도시였다. 이후 2015년 지명이 변경되기 전까지 우글레고르스크로 불렸다. 시에서 36km 떨어진 우크라인카에는 러시아 공군 극동 최대 규모의 전략 공군 기지가 있으며, 제37항공군 제326중폭격기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이 외에도 오를로프카 공군 기지 등 요격기 기지를 포함한 여러 공군 시설이 산재해 있다.

스보보드니시 북서쪽 20km 지점 숲 속에는 로켓 발사장인 스보보드니 발사장(보스토치니 우주 기지)이 있다. 이 기지는 2005년 폐쇄되었으나, 해당 부지에 러시아의 새로운 우주 개발 거점인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가 건설될 예정이다. 이 우주 기지는 스보보드니와 우글레고르스크에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 주민들은 기지 존재에 반대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ru-pop-ref
[2] 간행물 2002Census ru-pop-ref
[3] 문서 Pospelov
[4] 논문 The Origins of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I) https://www.jstor.or[...] 2024-04-24
[5] 서적 Koreans in Soviet Central Asia https://journal.fi/s[...] Finnish Oriental Society 2024-04-24
[6] 웹사이트 Байкало-Амурский исправительно-трудовой лагерь http://www.memo.ru/h[...] 2023-12-06
[7] 법률 Law #31-OZ
[8] 법률 Law #127-OZ
[9] 법률 Law #402-OZ
[10] 웹사이트 pogodaiklimat.ru http://www.pogodaikl[...] 2016-12-17
[11] 문서 極東国立交通大学 참조
[12] 문서 Pospelov
[13] 논문 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자유시 참변 서술 연구 http://www.riss4u.ne[...] 성신여자대학교
[14] 웹사이트 Байкало-Амурский исправительно-трудовой лагерь http://www.memo.ru/h[...]
[15] 웹인용 http://climatebase.r[...] 2016-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