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해군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해군경은 1771년 설치된 직책으로, 1868년 제1해군경(First Sea Lord)으로 개칭되었지만 역할은 동일하다. 1917년 이후에는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First Sea Lord and Chief of the Naval Staff)으로 불리며, 영국 해군의 최고위직 중 하나이다. 역대 제1해군경으로는 어거스터스 허비, 존 피셔 경, 루이스 마운트배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해군경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 제1해군경 - 마운트배튼 경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행정안전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국무회의 서무, 지방자치제도, 선거, 국민투표 지원, 안전 및 재난 관련 정책 수립 등을 관장한다.
제1해군경 | |
---|---|
직책 정보 | |
직책 |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 (1SL/CNS) |
소속 기관 | 국방부 |
임명권자 | 총리 |
추천권자 | 국방장관 |
웹사이트 | 공식 사이트 |
군사 정보 | |
군기 | [[파일:Naval Ensign of the United Kingdom.svg|150px|영국 왕립해군기]] |
군기 설명 | 영국 왕립해군기 |
현직 | |
현직자 | 서 벤 키 해군 대장 |
취임일 | 2021년 11월 |
역대 | |
초대 | 존 아버스넛 피셔 해군 원수 |
설립 | 1904년 |
2. 명칭
1771년에 설치된 페르스트 네이벌 로드(First Naval Lord)는 1868년에 페르스트 시 로드(First Sea Lord)로 개칭되었지만, 역할은 동일하며, 일본어로는 모두 '''제1해군경'''으로 번역된다.[5]
제1해군경은 시대에 따라 역할과 명칭이 변화했다. 1771년부터 1868년까지는 '제1해군경'(First Naval Lord)으로 불렸으며, 해군 위원회의 고위 해군 장교였다. 1868년부터는 '제1해군경'(First Sea Lord)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04년부터는 해군 참모총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1917년 이후의 공식 명칭인 ''First Sea Lord and Chief of the Naval Staff''는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 번역된다.[3] '''퍼스트 로드''' (First Lord of the Admiralty)는 '''영국 해군성'''(''Admiralty, 영국 해군을 총괄·관리하는 기관'') '''내의 정치적 직책'''이며, 「'''해군장관'''」 또는 「'''해군경'''」으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역사
1771년 어거스터스 허비가 초대 제1해군경으로 임명된 이후, 여러 인물들이 이 직책을 거쳐갔다. 조지 코크번 경은 1828년부터 1830년, 1834년부터 1835년, 그리고 1841년부터 1846년까지 세 차례나 제1해군경을 역임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2] 토머스 하디 경은 1830년부터 1834년까지 제1해군경을 역임했다.[12][13]
1904년 존 애버노트 피셔 경이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하면서, 제1해군경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 이후 커닝햄 자작, 버마 마운트배튼 백작 등 20세기 주요 해군 지휘관들이 이 직책을 맡았다.
2021년 11월부터는 벤 키 경이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 직을 수행하고 있다.
3. 1. 1771년 ~ 1868년 제1해군경(First Naval Lord)
3. 2. 1868년 ~ 1964년 제1해군경(First Sea Lord)

3. 3. 1904년 ~ 현재 제1해군경(First Sea Lord) 겸 해군참모총장
취임일 | 이름 | 비고 |
---|---|---|
1904년 | 해군 원수 존 애버노트 피셔 경 | 1910년까지 재직[11] |
1910년 | 해군 원수 아서 니베트 윌슨 경 | 1911년까지 재직[14] |
1911년 | 해군 대장 프랜시스 브릿지먼 경 | 1912년까지 재직[8] |
1912년 | 해군 대장 바텐버그의 루이 대공 | 1914년까지 재직[9] |
1914년 | 해군 원수 존 애버노트 피셔 경 | 1915년까지 재직 |
1915년 | 해군 대장 헨리 잭슨 경 | 1916년까지 재직 |
1916년 | 해군 원수 제리코 백작 | 1917년까지 재직 |
1917년 | 해군 원수 웨스터웨미스 경 | 1919년까지 재직 |
1919년 | 해군 원수 비디 백작 | 1927년까지 재직 |
1927년 | 해군 원수 찰스 매든 경 | 1930년까지 재직 |
1930년 | 해군 원수 프레데릭 필드 경 | 1933년까지 재직 |
1933년 | 해군 원수 챗필드 경 | 1938년까지 재직 |
1938년 | 해군 대장 로저 백하우스 경 | 1939년까지 재직 |
1939년 | 해군 원수 두들리 파운드 경 | 1943년까지 재직 |
1943년 | 해군 원수 커닝햄 자작 | 1946년까지 재직 |
1946년 | 해군 원수 존 커닝햄 경 | 1948년까지 재직 |
1948년 | 해군 원수 노스케이프 남작 프레이저 경 | 1951년까지 재직 |
1951년 | 해군 원수 로드릭 맥그리거 경 | 1955년까지 재직 |
1955년 | 해군 원수 버마 마운트배튼 백작 | 1959년까지 재직 |
1959년 | 해군 원수 찰스 레임브 경 | 1960년까지 재직 |
1960년 | 해군 원수 캐스퍼 존 경 | 1963년까지 재직 |
1963년 | 해군 대장 데이비드 루스 경 | 1966년까지 재직 |
1966년 | 해군 원수 바일 베그 경 | 1968년까지 재직 |
1968년 | 해군 원수 마이클 르 파누 경 | 1970년까지 재직 |
1970년 | 해군 원수 힐노턴 경 | 1971년까지 재직 |
1971년 | 해군 원수 마이클 폴록 경 | 1974년까지 재직 |
1974년 | 해군 원수 에드워드 애쉬모어 경 | 1977년까지 재직 |
1977년 | 해군 원수 르윈 경 | 1979년까지 재직 |
1979년 | 해군 원수 헨리 리치 경 | 1982년까지 재직 |
1982년 | 해군 원수 필드하우스 경 | 1985년까지 재직 |
1985년 | 해군 원수 윌리엄 스테이블리 경 | 1989년까지 재직 |
1989년 | 해군 원수 줄리언 오스왈드 경 | 1993년까지 재직 |
1993년 | 해군 원수 벤자민 배서스트 경 | 1995년까지 재직 |
1995년 | 해군 대장 쟉 슬레이터 경 | 1998년까지 재직 |
1998년 | 해군 대장 보이스 경 | 2001년까지 재직 |
2001년 | 해군 대장 나이젤 에센하이 경 | 2002년까지 재직 |
2002년 | 해군 대장 앨런 웨스트 경 | 2006년까지 재직 |
2006년 | 해군 대장 조나톤 밴드 경 | 2009년까지 재직[15] |
2009년 | 해군 대장 마크 스탠호프 경 | 2013년까지 재직[16] |
2013년 | 해군 대장 조지 잠벨라스 경 | 2016년까지 재직 |
2016년 | 해군 대장 필립 존스 경 | 2019년까지 재직 |
2019년 | 해군 대장 토니 라다킨 경 | 2021년까지 재직 |
2021년 | 해군 대장 벤 키 경 | 현직 |
4. 현대 영국 해군의 시니어 네이벌 스태프
2020년 현재, 제1해군경을 필두로 하는 영국 해군의 시니어 네이벌 스태프(Senior Naval Staff)는 다음과 같다.[4]
-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First Sea Lord and Chief of Naval Staff)
- '''제2해군경 겸 해군참모차장'''(Second Sea Lord and Deputy Chief of Naval Staff): 인사, 장비, 인프라를 관할
- '''함대사령관'''(Fleet Commander): 함선의 건조 및 수리를 관할
참조
[1]
웹사이트
Admiralty: Office of the First Sea Lord, later First Sea Lord and Chief of the Naval Staff: Correspondence and Papers
http://discovery.nat[...]
The National Archives. UK
2017-02-06
[2]
위키
영국군 최고의 무관직책인 국방참모총장에 임명될 수도 있다.
[3]
웹사이트
英国第1海軍卿兼海軍参謀長 来訪(平成30年2月28日 )
https://www.mod.go.j[...]
자위함대
2024-10-01
[4]
웹사이트
SENIOR NAVAL STAFF
https://www.royalnav[...]
영국해군
2020-12-13
[5]
서적
小林
[6]
웹사이트
First Sea Lord and Chief of Naval Staff
http://www.mod.uk/de[...]
영국국방부
2012-04-08
[7]
뉴스
Admiral Sir Mark Stanhope In Farewell To The Royal Navy
http://www.royalnavy[...]
영국해군
2013-04-28
[8]
서적
A companion to the Royal Navy
Harrap
1988
[9]
서적
The Navy List, 1992
HMSO
1992-03-31
[10]
웹사이트
Organisation: How the Royal Navy is Managed
http://www.royalnavy[...]
Ministry of Defence
[11]
웹인용
Senior Royal Navy Appointments
http://www.gulabin.c[...]
2013-02-16
[12]
웹인용
Sainty, JC, '''Lord High Admiral and Commissioners of the Admiralty 1660-1870',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4: Admiralty Officials 1660-1870'' (1975), pp. 18-31.
http://british-histo[...]
2009-09-04
[13]
웹사이트
The Commissioners ("Lords") of the Admiralty 1828 – 1895
http://www.pdavis.nl[...]
[14]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ume I: To Ar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5]
웹사이트
Defence Lecture: A Winning Strategy: Preparing the Royal Navy for Future Operations
http://www.ncl.ac.uk[...]
2009-05-19
[16]
웹사이트
people - First Sea Lord and Chief of Naval Staff
http://www.mod.uk/de[...]
2013-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