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시의회는 1995년에 치러진 지방선거의 결과를 담고 있다. 이 선거에서는 거제시의 각 읍면동별로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으며, 신현읍, 일운면, 동부면, 거제면, 사등면, 연초면, 하청면, 장목면, 남부면, 장승포동, 마전동, 능포동, 아주동, 옥포1동, 옥포2동 선거구의 결과를 상세히 보여준다. 둔덕면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이 이루어졌다.

2. 지역구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현읍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3,478명이었다. 무소속 반대식 후보가 3,014표(17.5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반용규 후보는 2,931표(17.05%)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주리 후보 2,307표(13.42%), 무소속 김일곤 후보 2,150표(12.50%), 무소속 천종완 후보 1,921표(11.17%), 무소속 조준식 후보 1,563표(9.09%), 무소속 천석봉 후보 1,489표(8.66%), 무소속 김원렬 후보 1,086표(6.31%), 무소속 이균호 후보 726표(4.22%)를 각각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17,18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운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529명이었다. 무소속 박명길 후보가 1,965표(57.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종원 후보는 1,388표(40.39%)를, 무소속 이무성 후보는 83표(2.41%)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544명이었다. 무소속 심광 후보가 1,722표(61.1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원종문 후보는 1,093표(38.82%)를 얻어 낙선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267명이었다. 무소속 김준의 후보가 1,845표(40.1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장섭 후보는 1,568표(34.13%)를, 무소속 진재진 후보는 1,181표(25.7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59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둔덕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득수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등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445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재 후보가 2,649표(53.7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용우 후보는 2,280표(46.25%)를 얻어 낙선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시의회 연초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876명이었다. 윤현수 후보가 1,645표(45.46%)를 얻어 당선되었다. 옥예표 후보는 1,329표(36.73%), 윤혜원 후보는 644표(17.79%)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청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146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성상진 후보가 1,956표(61.8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승희 후보는 1,208표(38.1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목면 선거구는 유권자 5,618명 중 4,000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김한윤 후보가 2,440표(61.0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성안 후보는 1,560표(39.0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38명이었다. 무소속 노영도 후보가 645표(39.0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영신 후보가 515표(31.21%), 무소속 강영수 후보가 490표(29.6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65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승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22명이었다. 무소속 주상진 후보가 1,154표(58.2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두환 후보는 828표(41.77%)를 얻었다. 두 후보 간 득표율 차이는 16.45%p였다. 총 투표수는 1,98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전동 선거구는 2,999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종길 후보가 1,090표(46.3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근택 후보는 1,003표(42.60%), 무소속 정영섭 후보는 261표(11.0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35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능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299명이었다. 무소속 장상훈 후보가 2,455표(43.8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순옥 후보는 1,696표(30.30%), 무소속 김봉주 후보는 939표(16.77%), 무소속 이춘식 후보는 507표(9.05%)를 얻었다. 전체 투표수는 5,59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아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272명이었다. 무소속 윤병찬 후보가 1,119표(60.4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덕 후보는 732표(39.54%)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포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096명이었다. 무소속 정성도 후보가 1,324표(35.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호 후보는 1,234표(33.05%), 무소속 도영만 후보는 1,175표(31.4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73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포2동 선거구는 유권자 13,908명 중 10,047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행규 후보가 2,997표(29.8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영환 후보가 1,833표(18.24%)를 얻었다. 무소속 임태성 후보는 1,092표(10.86%), 무소속 이정생 후보는 864표(8.59%), 무소속 김해진 후보는 759표(7.55%)를 기록했다. 그 외 무소속 박명규 후보는 630표(6.27%), 무소속 옥수민 후보는 615표(6.12%), 무소속 윤창원 후보는 607표(6.04%), 무소속 이양오 후보는 481표(4.78%), 무소속 김한상 후보는 169표(1.68%)를 얻는 데 그쳤다.

2. 1. 신현읍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현읍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3,478명이었다. 무소속 반대식 후보가 3,014표(17.5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반용규 후보는 2,931표(17.05%)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주리 후보 2,307표(13.42%), 무소속 김일곤 후보 2,150표(12.50%), 무소속 천종완 후보 1,921표(11.17%), 무소속 조준식 후보 1,563표(9.09%), 무소속 천석봉 후보 1,489표(8.66%), 무소속 김원렬 후보 1,086표(6.31%), 무소속 이균호 후보 726표(4.22%)를 각각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17,187표였다.

2. 2. 일운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운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529명이었다. 무소속 박명길 후보가 1,965표(57.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종원 후보는 1,388표(40.39%)를, 무소속 이무성 후보는 83표(2.41%)를 얻었다.

2. 3. 동부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544명이었다. 무소속 심광 후보가 1,722표(61.1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원종문 후보는 1,093표(38.82%)를 얻어 낙선하였다.

2. 4. 거제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267명이었다. 무소속 김준의 후보가 1,845표(40.1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장섭 후보는 1,568표(34.13%)를, 무소속 진재진 후보는 1,181표(25.7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594표였다.

2. 5. 둔덕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둔덕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득수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6. 사등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등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445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재 후보가 2,649표(53.7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용우 후보는 2,280표(46.25%)를 얻어 낙선하였다.

2. 7. 연초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거제시의회 연초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876명이었다. 윤현수 후보가 1,645표(45.46%)를 얻어 당선되었다. 옥예표 후보는 1,329표(36.73%), 윤혜원 후보는 644표(17.79%)를 얻었다.

2. 8. 하청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청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146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성상진 후보가 1,956표(61.8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승희 후보는 1,208표(38.17%)를 얻었다.

2. 9. 장목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목면 선거구는 유권자 5,618명 중 4,000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김한윤 후보가 2,440표(61.0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성안 후보는 1,560표(39.00%)를 얻었다.

2. 10. 남부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38명이었다. 무소속 노영도 후보가 645표(39.0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영신 후보가 515표(31.21%), 무소속 강영수 후보가 490표(29.6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650표였다.

2. 11. 장승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승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22명이었다. 무소속 주상진 후보가 1,154표(58.2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두환 후보는 828표(41.77%)를 얻었다. 두 후보 간 득표율 차이는 16.45%p였다. 총 투표수는 1,982표였다.

2. 12. 마전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전동 선거구는 2,999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종길 후보가 1,090표(46.3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근택 후보는 1,003표(42.60%), 무소속 정영섭 후보는 261표(11.0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354표였다.

2. 13. 능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능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299명이었다. 무소속 장상훈 후보가 2,455표(43.8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순옥 후보는 1,696표(30.30%), 무소속 김봉주 후보는 939표(16.77%), 무소속 이춘식 후보는 507표(9.05%)를 얻었다. 전체 투표수는 5,597표였다.

2. 14. 아주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아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272명이었다. 무소속 윤병찬 후보가 1,119표(60.4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덕 후보는 732표(39.54%)를 얻었다.

2. 15. 옥포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포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096명이었다. 무소속 정성도 후보가 1,324표(35.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호 후보는 1,234표(33.05%), 무소속 도영만 후보는 1,175표(31.4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733표였다.

2. 16. 옥포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포2동 선거구는 유권자 13,908명 중 10,047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행규 후보가 2,997표(29.8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영환 후보가 1,833표(18.24%)를 얻었다. 무소속 임태성 후보는 1,092표(10.86%), 무소속 이정생 후보는 864표(8.59%), 무소속 김해진 후보는 759표(7.55%)를 기록했다. 그 외 무소속 박명규 후보는 630표(6.27%), 무소속 옥수민 후보는 615표(6.12%), 무소속 윤창원 후보는 607표(6.04%), 무소속 이양오 후보는 481표(4.78%), 무소속 김한상 후보는 169표(1.68%)를 얻는 데 그쳤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