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선거는 1995년에 치러졌으며, 광명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를 담고 있다. 각 동별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으며, 득표율과 득표수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학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광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1동 선거구는 12,40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윤진영 후보가 2,667표(37.3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대용 후보는 2,393표(33.51%), 무소속 박영은 후보는 1,656표(23.19%), 무소속 정상도 후보는 424표(5.93%)를 얻었다.
2. 광명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9,597명이었다. 무소속 박명근 후보가 1,855표(33.62%)를 얻어 당선되었다. 득표율 2위는 1,848표(33.50%)를 얻은 무소속 나상성 후보였으며, 3위는 1,813표(32.86%)를 얻은 무소속 정재근 후보였다. 총 투표수는 5,51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3동 선거구는 9,956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방호현 후보가 2,730표(50.63%)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안병식 후보는 2,661표(49.36%)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4동 선거구에서는 8,550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최필원 후보가 2,509표(52.0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기동서 후보는 2,310표(47.93%)를 얻어 낙선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5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339명이었다. 무소속 조용호 후보가 2,910표(40.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김정길 후보가 2,572표(35.37%), 무소속 김재성 후보가 1,789표(24.6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6동 선거구는 11,626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재업 후보가 3,585표(54.1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오명환 후보는 3,033표(45.82%)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7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609명이었다. 무소속 주영하 후보가 2,745표(27.9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영환 후보는 2,339표(23.79%)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임무웅 후보는 2,135표(21.72%), 김군태 후보는 1,765표(17.95%), 강신재 후보는 844표(8.5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943명이었다. 투표 결과 무소속 문해석 후보가 2,448표(56.5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경렬 후보는 1,883표(43.4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92명이었다. 무소속 김경표 후보가 33.89%의 득표율(3,076표)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홍성섭 후보도 25.03%(2,272표)로 당선되었다. 이 외에 무소속 이춘기 후보는 20.04%(1,819표), 무소속 임희순 후보는 11.17%(1,014표), 무소속 최종석 후보는 9.85%(894표)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712명이었다. 무소속 유승희 후보가 7,853표(51.1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순원 후보가 3,505표(22.8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박한성 후보는 2,494표(16.25%), 무소속 지인구 후보는 1,493표(9.7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5,34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4동 선거구에서는 10,651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김강선 후보가 2,324표(36.60%)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강선 후보 외에도 서명동 후보가 1,883표(29.65%), 김문규 후보가 1,620표(25.51%), 권군자 후보가 522표(8.22%)를 득표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083명이었다. 무소속 최종선 후보가 3,804표(37.3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연욱 후보는 3,599표(35.3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용식 후보는 2,787표(27.35%)를 얻어 낙선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968명이었다. 무소속 허근 후보가 36.52%인 2,935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재흥 후보는 32.05%인 2,576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822명이었다. 무소속 김권천 후보가 4,437표(38.8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준헌 후보는 3,451표(30.22%)를 획득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김영완 후보는 2,708표(23.71%), 무소속 김용기 후보는 822표(7.19%)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831명이었다. 무소속 이승호 후보가 2,173표(34.1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흥국 후보는 2,119표(33.32%), 무소속 김양주 후보는 2,067표(32.50%)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소하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311명이었다. 무소속 한용등 후보가 2,622표(46.2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장섭 후보는 2,236표(39.44%), 무소속 남봉진 후보는 811표(14.3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소하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984명이었다. 무소속 최호진 후보가 34.28%의 득표율(3,195표)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강희원 후보는 25.51%(2,378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이종은 후보는 22.23%(2,072표), 무소속 여학연 후보는 17.97%(1,675표)를 득표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학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광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 광명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1동 선거구는 12,40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윤진영 후보가 2,667표(37.3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대용 후보는 2,393표(33.51%), 무소속 박영은 후보는 1,656표(23.19%), 무소속 정상도 후보는 424표(5.93%)를 얻었다.
2. 2. 광명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9,597명이었다. 무소속 박명근 후보가 1,855표(33.62%)를 얻어 당선되었다. 득표율 2위는 1,848표(33.50%)를 얻은 무소속 나상성 후보였으며, 3위는 1,813표(32.86%)를 얻은 무소속 정재근 후보였다. 총 투표수는 5,516표였다.
2. 3. 광명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3동 선거구는 9,956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방호현 후보가 2,730표(50.63%)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안병식 후보는 2,661표(49.36%)를 얻었다.
2. 4. 광명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4동 선거구에서는 8,550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최필원 후보가 2,509표(52.0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기동서 후보는 2,310표(47.93%)를 얻어 낙선하였다.
2. 5. 광명5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5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339명이었다. 무소속 조용호 후보가 2,910표(40.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김정길 후보가 2,572표(35.37%), 무소속 김재성 후보가 1,789표(24.60%)를 얻었다.
2. 6. 광명6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6동 선거구는 11,626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재업 후보가 3,585표(54.1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오명환 후보는 3,033표(45.82%)를 얻었다.
2. 7. 광명7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명시의회 광명7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609명이었다. 무소속 주영하 후보가 2,745표(27.9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영환 후보는 2,339표(23.79%)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임무웅 후보는 2,135표(21.72%), 김군태 후보는 1,765표(17.95%), 강신재 후보는 844표(8.58%)를 얻었다.
2. 8. 철산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943명이었다. 투표 결과 무소속 문해석 후보가 2,448표(56.5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경렬 후보는 1,883표(43.47%)를 얻었다.
2. 9. 철산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92명이었다. 무소속 김경표 후보가 33.89%의 득표율(3,076표)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홍성섭 후보도 25.03%(2,272표)로 당선되었다. 이 외에 무소속 이춘기 후보는 20.04%(1,819표), 무소속 임희순 후보는 11.17%(1,014표), 무소속 최종석 후보는 9.85%(894표)를 득표했다.
2. 10. 철산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712명이었다. 무소속 유승희 후보가 7,853표(51.1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순원 후보가 3,505표(22.8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박한성 후보는 2,494표(16.25%), 무소속 지인구 후보는 1,493표(9.7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5,345표였다.
2. 11. 철산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철산4동 선거구에서는 10,651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김강선 후보가 2,324표(36.60%)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강선 후보 외에도 서명동 후보가 1,883표(29.65%), 김문규 후보가 1,620표(25.51%), 권군자 후보가 522표(8.22%)를 득표하였다.
2. 12. 하안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083명이었다. 무소속 최종선 후보가 3,804표(37.3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연욱 후보는 3,599표(35.3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용식 후보는 2,787표(27.35%)를 얻어 낙선했다.
2. 13. 하안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968명이었다. 무소속 허근 후보가 36.52%인 2,935표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재흥 후보는 32.05%인 2,576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2. 14. 하안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822명이었다. 무소속 김권천 후보가 4,437표(38.8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준헌 후보는 3,451표(30.22%)를 획득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김영완 후보는 2,708표(23.71%), 무소속 김용기 후보는 822표(7.19%)를 얻었다.
2. 15. 하안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안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831명이었다. 무소속 이승호 후보가 2,173표(34.1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흥국 후보는 2,119표(33.32%), 무소속 김양주 후보는 2,067표(32.50%)를 득표했다.
2. 16. 소하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소하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311명이었다. 무소속 한용등 후보가 2,622표(46.2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장섭 후보는 2,236표(39.44%), 무소속 남봉진 후보는 811표(14.30%)를 얻었다.
2. 17. 소하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소하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984명이었다. 무소속 최호진 후보가 34.28%의 득표율(3,195표)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강희원 후보는 25.51%(2,378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이종은 후보는 22.23%(2,072표), 무소속 여학연 후보는 17.97%(1,675표)를 득표하였다.
2. 18. 학온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학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광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