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의원 선거는 1995년 6월 27일에 치러졌다. 총 20개의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하여, 서1동과 송암동 선거구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에서 투표가 진행되었다. 각 선거구별로 최다 득표를 한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서1동과 송암동에서는 무투표 당선자가 나왔다.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광주광역시 남구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의원 선거 결과
; 양림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716명이었다. 무소속 안원균 후보가 1,599표(37.2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길식 후보는 1,046표(24.38%), 무소속 안두경 후보는 1,005표(23.43%), 무소속 박용화 후보는 639표(14.89%)를 얻었다.
; 방림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림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679명이었다. 무소속 박장순 후보가 1,282표(35.9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군호 후보는 1,221표(34.24%)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위성관 후보는 712표(19.96%), 무소속 정태연 후보는 351표(9.84%)를 얻었다. 총 3,566표가 집계되었다.
; 방림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림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545명이었다. 무소속 강경구 후보가 5,377표(51.4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고재윤 후보는 3,631표(34.7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병주 후보는 1,047표(10.00%), 무소속 박랑규 후보는 405표(3.87%)를 얻었다.
; 봉선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선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714명이었다. 무소속 이창호 후보가 3,996표(56.6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위성삼 후보는 3,054표(43.31%)를 얻었다.
; 봉선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선2동 선거구는 12,64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유정심 후보가 3,510표(41.4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만수 후보는 2,220표(26.2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박상태 후보가 1,148표(13.54%), 무소속 고위환 후보가 1,017표(12.00%), 무소속 김영광 후보가 578표(6.82%)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8,473표였다.
; 사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구동 선거구는 유권자 2,6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최준휴 후보가 1,076표(61.76%)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형 후보는 666표(38.2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742표였다.
; 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1동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무소속 정재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3,409명이었다. 무소속 정범석 후보가 1,401표(63.9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황영 후보는 790표(36.05%)를 얻었다.
; 월산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월산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20명이었다.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 남광인 후보가 1,536표(57.42%)를 얻어 1,139표(42.57%)를 얻은 무소속 서의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2,67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 월산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월산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379명이었다. 무소속 유희경 후보가 1,673표(41.88%)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선문 후보는 1,057표(26.46%), 김용곤 후보는 1,019표(25.51%), 강성희 후보는 245표(6.1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994표였다.
; 월산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 월산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46명이었다. 무소속 장성규 후보가 1,523표(56.61%)를 얻어 1,167표(43.38%)를 얻은 무소속 정동기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 월산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월산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503명이었다. 무소속 서채원 후보가 5,230표(68.05%)를 얻어 2,455표(31.94%)를 얻은 무소속 김성경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 월산5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월산5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372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상근 후보가 2,038표(34.6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전복섭 후보가 1,605표(27.28%), 최행근 후보가 1,541표(26.19%), 성현출 후보가 698표(11.8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82표였다.
; 백운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운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8,774명이었다. 무소속 안재풍 후보가 2,701표(48.0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우중원 후보는 870표(15.47%), 무소속 조창선 후보는 816표(14.51%), 무소속 김재곤 후보는 633표(11.25%), 무소속 심양노 후보는 602표(10.70%)를 얻었다.
; 백운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운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64명이었다. 무소속 최홍규 후보가 2,883표(57.7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반정환 후보는 1,764표(35.33%), 무소속 이광 후보는 345표(6.91%)를 얻었다.
; 주월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월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110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이원창 후보가 5,422표(45.70%), 무소속 서용 후보가 3,486표(29.3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안병조 후보는 1,515표(12.77%), 무소속 정영수 후보는 1,440표(12.13%)를 얻었다. 투표수는 총 11,863표였다.
; 주월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월2동 선거구는 유권자 9,801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무소속 조영표 후보가 2,249표(36.0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최민순 후보가 1,563표(25.04%), 무소속 정해기 후보가 1,379표(22.09%), 무소속 김옥채 후보가 538표(8.62%), 무소속 김기택 후보가 511표(8.1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240표였다.
; 효덕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덕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403명이었다. 무소속 나종천 후보가 3,236표(40.4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양동섭 후보는 2,204표(27.5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백운범 후보는 1,572표(19.65%), 무소속 한왕석 후보는 987표(12.3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999표였다.
; 송암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암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홍춘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 대촌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촌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827명이었다. 무소속 최성춘 후보가 2,357표(51.48%)를 얻어 2,221표(48.51%)를 얻은 무소속 고영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2. 1. 양림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716명이었다. 무소속 안원균 후보가 1,599표(37.2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길식 후보는 1,046표(24.38%), 무소속 안두경 후보는 1,005표(23.43%), 무소속 박용화 후보는 639표(14.89%)를 얻었다.
2. 2. 방림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림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679명이었다. 무소속 박장순 후보가 1,282표(35.9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군호 후보는 1,221표(34.24%)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위성관 후보는 712표(19.96%), 무소속 정태연 후보는 351표(9.84%)를 얻었다. 총 3,566표가 집계되었다.
2. 3. 방림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림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545명이었다. 무소속 강경구 후보가 5,377표(51.4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고재윤 후보는 3,631표(34.7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병주 후보는 1,047표(10.00%), 무소속 박랑규 후보는 405표(3.87%)를 얻었다.
2. 4. 봉선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선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714명이었다. 무소속 이창호 후보가 3,996표(56.6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위성삼 후보는 3,054표(43.31%)를 얻었다.
2. 5. 봉선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선2동 선거구는 12,64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유정심 후보가 3,510표(41.4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만수 후보는 2,220표(26.2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박상태 후보가 1,148표(13.54%), 무소속 고위환 후보가 1,017표(12.00%), 무소속 김영광 후보가 578표(6.82%)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8,473표였다.
2. 6. 사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구동 선거구는 유권자 2,6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최준휴 후보가 1,076표(61.76%)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형 후보는 666표(38.2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742표였다.
2. 7. 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1동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무소속 정재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2. 8. 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3,409명이었다. 무소속 정범석 후보가 1,401표(63.9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황영 후보는 790표(36.05%)를 얻었다.
2. 9. 월산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월산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20명이었다.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 남광인 후보가 1,536표(57.42%)를 얻어 1,139표(42.57%)를 얻은 무소속 서의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2,67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2. 10. 월산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월산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379명이었다. 무소속 유희경 후보가 1,673표(41.88%)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선문 후보는 1,057표(26.46%), 김용곤 후보는 1,019표(25.51%), 강성희 후보는 245표(6.1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994표였다.
2. 11. 월산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 월산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46명이었다. 무소속 장성규 후보가 1,523표(56.61%)를 얻어 1,167표(43.38%)를 얻은 무소속 정동기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성규 | 무소속 | 1,523 | 56.61% |
정동기 | 무소속 | 1,167 | 43.38% |
합계 | 2,690 | 100% |
2. 12. 월산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월산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503명이었다. 무소속 서채원 후보가 5,230표(68.05%)를 얻어 2,455표(31.94%)를 얻은 무소속 김성경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2. 13. 월산5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남구의회 월산5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372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상근 후보가 2,038표(34.6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전복섭 후보가 1,605표(27.28%), 최행근 후보가 1,541표(26.19%), 성현출 후보가 698표(11.8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82표였다.2. 14. 백운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운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8,774명이었다. 무소속 안재풍 후보가 2,701표(48.0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우중원 후보는 870표(15.47%), 무소속 조창선 후보는 816표(14.51%), 무소속 김재곤 후보는 633표(11.25%), 무소속 심양노 후보는 602표(10.70%)를 얻었다.2. 15. 백운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운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64명이었다. 무소속 최홍규 후보가 2,883표(57.7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반정환 후보는 1,764표(35.33%), 무소속 이광 후보는 345표(6.91%)를 얻었다.2. 16. 주월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월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110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이원창 후보가 5,422표(45.70%), 무소속 서용 후보가 3,486표(29.3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안병조 후보는 1,515표(12.77%), 무소속 정영수 후보는 1,440표(12.13%)를 얻었다. 투표수는 총 11,863표였다.2. 17. 주월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월2동 선거구는 유권자 9,801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무소속 조영표 후보가 2,249표(36.0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최민순 후보가 1,563표(25.04%), 무소속 정해기 후보가 1,379표(22.09%), 무소속 김옥채 후보가 538표(8.62%), 무소속 김기택 후보가 511표(8.1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240표였다.2. 18. 효덕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덕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403명이었다. 무소속 나종천 후보가 3,236표(40.4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양동섭 후보는 2,204표(27.5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무소속 백운범 후보는 1,572표(19.65%), 무소속 한왕석 후보는 987표(12.3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999표였다.2. 19. 송암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암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홍춘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20. 대촌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촌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827명이었다. 무소속 최성춘 후보가 2,357표(51.48%)를 얻어 2,221표(48.51%)를 얻은 무소속 고영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