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 개요
- 3. 지역구별 선거 결과
- 3.1. 아포읍 선거구
- 3.2. 농소면 선거구
- 3.3. 남면 선거구
- 3.4. 개령면 선거구
- 3.5. 감문면 선거구
- 3.6. 어모면 선거구
- 3.7. 봉산면 선거구
- 3.8. 대항면 선거구
- 3.9. 감천면 선거구
- 3.10. 조마면 선거구
- 3.11. 구성면 선거구
- 3.12. 지례면 선거구
- 3.13. 부항면 선거구
- 3.14. 대덕면 선거구
- 3.15. 증산면 선거구
- 3.16. 용호동 선거구
- 3.17. 모암동 선거구
- 3.18. 성내동 선거구
- 3.19. 평화동 선거구
- 3.20. 남산동 선거구
- 3.21. 황금동 선거구
- 3.22. 신음동 선거구
- 3.23. 금산동 선거구
- 3.24. 미곡동 선거구
- 3.25. 부곡동 선거구
- 3.26. 지좌동 선거구
- 3.27. 대응동 선거구
- 3.28. 양천동 선거구
- 4. 선거 결과 분석
- 5. 의의 및 영향
- 참조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는 1995년 6월 27일에 치러졌으며, 김천시의 각 지역구에서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대부분의 지역구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고, 이 선거는 김천시 지방 자치의 기틀을 마련하고 지역 주민의 참여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김천시의 각 지역구(읍, 면, 동)별로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선거구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 개요
2. 1. 선거 제도
2. 2. 주요 정당 및 후보
3. 지역구별 선거 결과
선거구 유권자 수 투표율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아포읍 6,567 이종숙 무소속 1,756 38.33% 아포읍 최호수 무소속 1,655 36.12% 아포읍 박재수 무소속 1,170 25.54% 농소면 3,430 김정기 무소속 1,591 60.63% 농소면 김영배 무소속 1,033 39.36% 남면 3,732 백태선 무소속 1,509 52.96% 남면 장재규 무소속 1,340 47.03% 개령면 2,974 김정연 무소속 911 37.62% 개령면 여정용 무소속 789 32.58% 개령면 박성태 무소속 564 23.29% 개령면 신광호 무소속 157 6.48% 감문면 4,606 최봉길 무소속 1,310 36.57% 감문면 이규갑 무소속 1,268 35.39% 감문면 정택 무소속 1,004 28.02% 어모면 4,436 김태문 무소속 1,680 51.70% 어모면 편재관 무소속 1,569 48.29% 봉산면 3,463 박우동 무소속 1,416 52.58% 봉산면 이두화 무소속 1,277 47.41% 대항면 3,920 전재수 무소속 1,884 62.77% 대항면 이정시 무소속 1,117 37.22% 감천면 2,330 김덕희 무소속 542 28.15% 감천면 이병인 무소속 504 26.18% 감천면 백영학 무소속 358 18.59% 감천면 오명석 무소속 317 16.46% 감천면 배영섭 무소속 204 10.59% 조마면 2,864 배유 무소속 746 31.86% 조마면 이영조 무소속 506 21.61% 조마면 윤정환 무소속 418 17.85% 조마면 김교상 무소속 303 12.94% 조마면 김기조 무소속 184 7.85% 조마면 김교호 무소속 184 7.85% 구성면 4,144 오만수 무소속 1,841 63.35% 구성면 김태후 무소속 1,065 36.64% 지례면 2,518 김현구 무소속 1,073 55.85% 지례면 김상환 무소속 848 44.14% 부항면 2,140 이장기 무소속 771 49.07% 부항면 박정주 무소속 652 41.50% 부항면 최창덕 무소속 148 9.42% 대덕면 2,909 전정식 무소속 1,670 70.97% 대덕면 박봉두 무소속 683 29.02% 증산면 1,488 최원경 무소속 490 40.73% 증산면 전벽돌 무소속 383 31.83% 증산면 이종재 무소속 330 27.43% 용호동 김정배 무소속 무투표 모암동 4,561 임봉선 무소속 1,786 51.32% 모암동 김응규 무소속 1,694 48.67% 성내동 4,023 김종길 무소속 1,837 61.05% 성내동 김성대 무소속 1,172 38.94% 평화동 8,510 함병문 무소속 3,165 52.09% 평화동 남쌍훈 무소속 1,494 24.59% 평화동 김인주 무소속 1,416 23.30% 남산동 3,933 한시종 무소속 1,916 63.10% 남산동 박종한 무소속 1,120 36.89% 황금동 5,134 박희영 무소속 2,535 68.27% 황금동 김태권 무소속 1,178 31.72% 신음동 4,898 김복규 무소속 1,725 51.58% 신음동 김현옥 무소속 1,619 48.41% 금산동 2,594 박광화 무소속 1,100 51.04% 금산동 서남주 무소속 1,055 48.95% 미곡동 2,192 손준한 무소속 947 54.20% 미곡동 김광석 무소속 800 45.79% 부곡동 8,894 이영웅 무소속 3,423 52.09% 부곡동 남인원 무소속 3,148 47.90% 지좌동 5,826 강성병 무소속 2,517 61.10% 지좌동 전용대 무소속 1,602 38.89% 대응동 김명득 무소속 무투표 양천동 1,224 이병택 무소속 585 58.85% 양천동 이재탁 무소속 409 41.14%
3. 1. 아포읍 선거구
wikitable
3. 1. 1. 상세 결과
wikitable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아포읍 선거구 | 이종숙 | 무소속 | 1,756 | 38.33% |
농소면 선거구 | 김정기 | 무소속 | 1,591 | 60.63% |
남면 선거구 | 백태선 | 무소속 | 1,509 | 52.96% |
개령면 선거구 | 김정연 | 무소속 | 911 | 37.62% |
감문면 선거구 | 최봉길 | 무소속 | 1,310 | 36.57% |
어모면 선거구 | 김태문 | 무소속 | 1,680 | 51.70% |
봉산면 선거구 | 박우동 | 무소속 | 1,416 | 52.58% |
대항면 선거구 | 전재수 | 무소속 | 1,884 | 62.77% |
감천면 선거구 | 김덕희 | 무소속 | 542 | 28.15% |
조마면 선거구 | 배유 | 무소속 | 746 | 31.86% |
구성면 선거구 | 오만수 | 무소속 | 1,841 | 63.35% |
지례면 선거구 | 김현구 | 무소속 | 1,073 | 55.85% |
부항면 선거구 | 이장기 | 무소속 | 771 | 49.07% |
대덕면 선거구 | 전정식 | 무소속 | 1,670 | 70.97% |
증산면 선거구 | 최원경 | 무소속 | 490 | 40.73% |
용호동 선거구 | 김정배 | 무소속 | - | 무투표 |
모암동 선거구 | 임봉선 | 무소속 | 1,786 | 51.32% |
성내동 선거구 | 김종길 | 무소속 | 1,837 | 61.05% |
평화동 선거구 | 함병문 | 무소속 | 3,165 | 52.09% |
남산동 선거구 | 한시종 | 무소속 | 1,916 | 63.10% |
황금동 선거구 | 박희영 | 무소속 | 2,535 | 68.27% |
신음동 선거구 | 김복규 | 무소속 | 1,725 | 51.58% |
금산동 선거구 | 박광화 | 무소속 | 1,100 | 51.04% |
미곡동 선거구 | 손준한 | 무소속 | 947 | 54.20% |
부곡동 선거구 | 이영웅 | 무소속 | 3,423 | 52.09% |
지좌동 선거구 | 강성병 | 무소속 | 2,517 | 61.10% |
대응동 선거구 | 김명득 | 무소속 | - | 무투표 |
양천동 선거구 | 이병택 | 무소속 | 585 | 58.85% |
3. 2. 농소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농소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정기 후보가 1,591표(60.6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영배 후보는 1,033표(39.36%)를 얻어 낙선했다.3. 2.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농소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정기 후보가 1,591표(60.6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영배 후보는 1,033표(39.36%)를 얻어 낙선했다.3. 3. 남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백태선 후보가 1,509표(52.96%)를 얻어, 1,340표(47.03%)를 얻은 무소속 장재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3. 3.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백태선 후보가 1,509표(52.96%)를 얻어 1,340표(47.03%)를 얻은 무소속 장재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3. 4. 개령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령면 선거구에서 김정연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911표(37.62%)를 얻어 당선되었다. 같은 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여정용 후보는 789표(32.58%), 무소속 박성태 후보는 564표(23.29%), 무소속 신광호 후보는 157표(6.48%)를 득표했다.
3. 4.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령면 선거구에서 김정연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911표(37.62%)를 얻어 당선되었다. 같은 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여정용 후보는 789표(32.58%), 무소속 박성태 후보는 564표(23.29%), 무소속 신광호 후보는 157표(6.48%)를 득표했다.3. 5. 감문면 선거구
wikitext{| class="wikitable"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문면 선거구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봉길 | 무소속 | 1,310 | 36.57% |
이규갑 | 무소속 | 1,268 | 35.39% |
정택 | 무소속 | 1,004 | 28.02% |
합계 | 3,582 |
|}
3. 5. 1. 상세 결과
wikitext{| class="wikitable"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문면 선거구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봉길 | 무소속 | 1,310 | 36.57% |
이규갑 | 무소속 | 1,268 | 35.39% |
정택 | 무소속 | 1,004 | 28.02% |
합계 | 3,582 |
|}
3. 6. 어모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어모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태문 후보가 51.7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상대 후보는 무소속 편재관 후보로 48.29%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태문 | 무소속 | 1,680 | 51.70% |
편재관 | 무소속 | 1,569 | 48.29% |
합계 | 3,249 | 100% |
3. 6. 1. 상세 결과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어모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태문 후보가 51.7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상대 후보는 무소속 편재관 후보로 48.29%를 득표하였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태문 | 무소속 | 1,680 | 51.70% |
편재관 | 무소속 | 1,569 | 48.29% |
합계 | 3,249 | 100% |
3. 7. 봉산면 선거구
wikitable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봉산면 | 박우동 | 무소속 | 1,416 | 52.58%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산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박우동 후보가 52.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3. 7. 1. 상세 결과
wikitable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봉산면 | 박우동 | 무소속 | 1,416 | 52.58%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산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박우동 후보가 52.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3. 8. 대항면 선거구
wikitable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대항면 | 전재수 | 무소속 | 1,884 | 62.77% | ||||
대항면 | 이정시 | 무소속 | 1,117 | 37.22% | ||||
합계 | 3,001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대항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전재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8. 1. 상세 결과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대항면 | 전재수 | 무소속 | 1,884 | 62.77% | ||||
대항면 | 이정시 | 무소속 | 1,117 | 37.22% | ||||
합계 | 3,001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대항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전재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9. 감천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감천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덕희 후보가 542표(28.15%)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덕희 후보와 함께 출마한 후보들과 득표수는 다음과 같다.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김덕희 | 542 | 28.15% |
이병인 | 504 | 26.18% |
백영학 | 358 | 18.59% |
오명석 | 317 | 16.46% |
배영섭 | 204 | 10.59% |
3. 9.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감천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덕희 후보는 542표(28.15%)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덕희 후보와 함께 출마한 후보들과 득표수는 다음과 같다.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김덕희 | 542 | 28.15% |
이병인 | 504 | 26.18% |
백영학 | 358 | 18.59% |
오명석 | 317 | 16.46% |
배영섭 | 204 | 10.59% |
3. 10. 조마면 선거구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마면 | 배유 | 무소속 | 746 | 31.86% |
조마면 | 이영조 | 무소속 | 506 | 21.61% |
조마면 | 윤정환 | 무소속 | 418 | 17.85% |
조마면 | 김교상 | 무소속 | 303 | 12.94% |
조마면 | 김기조 | 무소속 | 184 | 7.85% |
조마면 | 김교호 | 무소속 | 184 | 7.85% |
합계 | 2,341표 |
3. 10. 1. 상세 결과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마면 | 배유 | 무소속 | 746 | 31.86% |
조마면 | 이영조 | 무소속 | 506 | 21.61% |
조마면 | 윤정환 | 무소속 | 418 | 17.85% |
조마면 | 김교상 | 무소속 | 303 | 12.94% |
조마면 | 김기조 | 무소속 | 184 | 7.85% |
조마면 | 김교호 | 무소속 | 184 | 7.85% |
합계 | 2,341표 |
3. 11. 구성면 선거구
wikitext{| class="wikitable"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성면 선거구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만수 | 무소속 | 1,841 | 63.35% |
김태후 | 무소속 | 1,065 | 36.64% |
합계 | 2,906 | 100% |
|}
3. 11. 1. 상세 결과
wikitext{| class="wikitable"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성면 선거구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만수 | 무소속 | 1,841 | 63.35% |
김태후 | 무소속 | 1,065 | 36.64% |
합계 | 2,906 | 100% |
|}
3. 12. 지례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례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현구 후보가 득표율 55.85%로 당선되었다. 김현구 후보는 1,073표를 획득하였고, 무소속 김상환 후보는 848표(44.1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921표였다.
3. 12.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례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현구 후보가 득표율 55.85%로 당선되었다. 김현구 후보는 1,073표를 획득하였고, 무소속 김상환 후보는 848표(44.1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921표였다.3. 13. 부항면 선거구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비고 |
---|---|---|---|---|---|---|
부항면 | 이장기 | 무소속 | 771 | 49.07% | 당선 | |
부항면 | 박정주 | 무소속 | 652 | 41.50% | ||
부항면 | 최창덕 | 무소속 | 148 | 9.42% | ||
합계 | 1,571 | 100% |
3. 13. 1. 상세 결과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비고 |
---|---|---|---|---|---|---|
부항면 | 이장기 | 무소속 | 771 | 49.07% | 당선 | |
부항면 | 박정주 | 무소속 | 652 | 41.50% | ||
부항면 | 최창덕 | 무소속 | 148 | 9.42% | ||
합계 | 1,571 | 100% |
3. 14. 대덕면 선거구
wikitext
3. 14. 1. 상세 결과
wikitext
3. 15. 증산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증산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최원경 후보가 490표(40.7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벽돌 후보는 383표(31.83%), 무소속 이종재 후보는 330표(27.43%)를 얻었다. 총 유효표는 1,203표였다.
3. 15.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증산면 선거구에서 무소속 최원경 후보가 490표(40.7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벽돌 후보는 383표(31.83%), 무소속 이종재 후보는 330표(27.43%)를 얻었다. 총 유효표는 1,203표였다.3. 16. 용호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용호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정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3. 16.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용호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정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3. 17. 모암동 선거구
wikitext선거구 | 유권자 수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모암동 | 4,561 | 임봉선 | 무소속 | 1,786 | 51.32% |
모암동 | 4,561 | 김응규 | 무소속 | 1,694 | 48.67% |
합계 | 3,480 |
3. 17. 1. 상세 결과
wikitext선거구 | 유권자 수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모암동 | 4,561 | 임봉선 | 무소속 | 1,786 | 51.32% |
모암동 | 4,561 | 김응규 | 무소속 | 1,694 | 48.67% |
합계 | 3,480 |
3. 18. 성내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성내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종길 후보가 1,837표(61.05%)를 얻어 1,172표(38.94%)를 얻은 무소속 김성대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길 | 무소속 | 1,837 | 61.05% |
김성대 | 무소속 | 1,172 | 38.94% |
합계 | 3,009 | 100% |
3. 18.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성내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종길 후보가 1,837표(61.05%)를 얻어 1,172표(38.94%)를 얻은 무소속 김성대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길 | 무소속 | 1,837 | 61.05% |
김성대 | 무소속 | 1,172 | 38.94% |
합계 | 3,009 | 100% |
3. 19. 평화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화동 선거구에서 실시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함병문 후보가 3,165표(52.09%)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남쌍훈 후보는 1,494표(24.59%), 무소속 김인주 후보는 1,416표(23.30%)를 얻는데 그쳤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함병문 | 무소속 | 3,165 | 52.09% |
남쌍훈 | 무소속 | 1,494 | 24.59% |
김인주 | 무소속 | 1,416 | 23.30% |
합계 | 6,075 | 100% |
3. 19.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화동 선거구에서 실시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함병문 후보가 3,165표(52.09%)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남쌍훈 후보는 1,494표(24.59%), 무소속 김인주 후보는 1,416표(23.30%)를 얻는데 그쳤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함병문 | 무소속 | 3,165 | 52.09% |
남쌍훈 | 무소속 | 1,494 | 24.59% |
김인주 | 무소속 | 1,416 | 23.30% |
합계 | 6,075 | 100% |
3. 20. 남산동 선거구
wikitable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남산동 | 한시종 | 무소속 | 1,916 | 63.10% |
남산동 | 박종한 | 무소속 | 1,120 | 36.89% |
합계 | 3,036 |
3. 20. 1. 상세 결과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남산동 | 한시종 | 무소속 | 1,916 | 63.10% |
남산동 | 박종한 | 무소속 | 1,120 | 36.89% |
합계 | 3,036 |
3. 21. 황금동 선거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희영 | 무소속 | 2,535 | 68.27% |
김태권 | 무소속 | 1,178 | 31.72% |
합계 | 3,713 | 100% |
3. 21. 1. 상세 결과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희영 | 무소속 | 2,535 | 68.27% |
김태권 | 무소속 | 1,178 | 31.72% |
합계 | 3,713 | 100% |
3. 22. 신음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신음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복규 후보가 51.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복규 후보는 1,725표를 획득하였으며, 무소속 김현옥 후보는 1,619표(48.41%)를 얻어 낙선하였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무소속 | 김복규 | 1,725 | 51.58% |
무소속 | 김현옥 | 1,619 | 48.41% |
합계 | 3,344 | 100% |
3. 22.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신음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김복규 후보가 1,725표(51.58%)를 얻어 1,619표(48.41%)를 얻은 무소속 김현옥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무소속 | 김복규 | 1,725 | 51.58% |
무소속 | 김현옥 | 1,619 | 48.41% |
합계 | 3,344 | 100% |
3. 23. 금산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금산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광화 후보가 51.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박광화 | 1,100 | 51.04% |
서남주 | 1,055 | 48.95% |
합계 | 2,155 |
3. 23.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금산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광화 후보가 51.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3. 24. 미곡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미곡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준한 후보가 947표(54.20%)를 얻어 800표(45.79%)를 얻은 무소속 김광석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3. 24.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미곡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손준한 후보가 947표(54.20%)를 얻어 800표(45.79%)를 얻은 무소속 김광석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3. 25. 부곡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부곡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영웅 후보가 52.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무소속 | 이영웅 | 3,423 | 52.09% |
무소속 | 남인원 | 3,148 | 47.90% |
합계 | 6,571 | 100% |
3. 25.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부곡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영웅 후보가 52.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무소속 | 이영웅 | 3,423 | 52.09% |
무소속 | 남인원 | 3,148 | 47.90% |
합계 | 6,571 | 100% |
3. 26. 지좌동 선거구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지좌동 | 강성병 | 무소속 | 2,517 | 61.10% |
지좌동 | 전용대 | 무소속 | 1,602 | 38.89% |
합계 | 4,119 |
3. 26. 1. 상세 결과
wikitext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지좌동 | 강성병 | 무소속 | 2,517 | 61.10% |
지좌동 | 전용대 | 무소속 | 1,602 | 38.89% |
합계 | 4,119 |
3. 27. 대응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응동 선거구에서는 김명득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3. 27.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응동 선거구에서는 김명득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3. 28. 양천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양천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이병택 후보가 58.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편, 무소속 이재탁 후보는 41.14%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3. 28. 1. 상세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양천동 선거구에서 무소속 이병택 후보가 58.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편, 무소속 이재탁 후보는 41.14%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4. 선거 결과 분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들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아포읍 선거구에서는 이종숙 후보가 38.3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농소면 선거구에서는 김정기 후보가 60.63%로 당선되었다. 남면 선거구에서는 백태선 후보가 52.9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개령면 선거구에서는 김정연 후보가 37.62%로 당선되었다. 감문면 선거구에서는 최봉길 후보가, 어모면 선거구에서는 김태문 후보가, 봉산면 선거구에서는 박우동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대항면 선거구에서는 전재수 후보가 62.77%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감천면 선거구에서는 김덕희 후보가 28.15%로 당선되었다. 조마면 선거구에서는 배유 후보가 31.86%로 당선되었고, 구성면 선거구에서는 오만수 후보가 63.35%를 득표했다. 지례면 선거구에서는 김현구 후보가, 부항면 선거구에서는 이장기 후보가, 대덕면 선거구에서는 전정식 후보가 70.97%로 당선되었다. 증산면 선거구에서는 최원경 후보가 당선되었다.
용호동 선거구에서는 김정배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고, 모암동 선거구에서는 임봉선 후보가 51.32%로 당선되었다. 성내동 선거구에서는 김종길 후보가 61.05%를 얻었다. 평화동 선거구에서는 함병문 후보가, 남산동 선거구에서는 한시종 후보가, 황금동 선거구에서는 박희영 후보가 68.27%로 당선되었다. 신음동 선거구에서는 김복규 후보가 51.58%로 당선되었고, 금산동 선거구에서는 박광화 후보가, 미곡동 선거구에서는 손준한 후보가 54.20%를 기록했다. 부곡동 선거구에서는 이영웅 후보가, 지좌동 선거구에서는 강성병 후보가 61.10%로 당선되었다. 대응동 선거구에서는 김명득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으며, 양천동 선거구에서는 이병택 후보가 58.85%로 당선되었다.
5. 의의 및 영향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는 김천시의 지방자치 발전에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 이 선거는 지역 주민들의 직접 선거를 통해 지역 대표를 선출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의사 결정 과정에 주민 참여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지역별(읍,면,동)으로 투표가 진행되었으며, 후보자들 대부분은 무소속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