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는 목포시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각 동별로 1명의 시의원을 뽑는 소선거구제를 채택했다. 선거 결과, 용당1동에서는 정원술, 용당2동에서는 이달호, 산정1동에서는 신재돈, 산정2동에서는 강찬배, 산정3동에서는 조경석과 오창석, 대성1동에서는 김영무(무투표), 대성2동에서는 장복성, 양동에서는 김영천, 북교동에서는 박도영, 남교동에서는 이광래, 호남동에서는 김용진, 죽동에서는 박창현, 무안동에서는 임형연, 동명동에서는 임송본과 최기동, 영해동에서는 정순태(무투표), 유달동에서는 양채식, 만호동에서는 김선호, 서산동에서는 강장우, 온금동에서는 한중석, 죽교1동에서는 김영일, 죽교2동에서는 백상훈, 죽교3동에서는 문창부, 달성동에서는 서홍기, 대반동에서는 박병섭, 용해동에서는 유재길과 한정훈, 상동에서는 김대중과 배진석, 충무동에서는 황재학, 연동에서는 최형주, 삼향동에서는 나남수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2. 지역구별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목포시의회는 각 동별로 1명의 시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채택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당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531명이었다. 무소속 정원술 후보가 2,131표(32.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경래 후보는 1,718표(26.58%)를, 무소속 홍성옥 후보는 1,392표(21.53%)를 얻었다. 그 외 무소속 박정두 후보는 676표(10.45%), 무소속 마용철 후보는 546표(8.44%)를 얻는 데 그쳤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당2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8,371명으로, 무소속 이달호 후보가 2,264표(40.9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문오성 후보는 1,495표(27.03%), 무소속 윤상중 후보는 1,092표(19.75%), 무소속 유영덕 후보는 678표(12.26%)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006명이었다. 무소속 신재돈 후보가 1,322표(53.8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전성용 후보는 1,133표(46.1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299명이었다. 무소속 강찬배 후보가 1,882표(56.6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전수오 후보는 1,438표(43.31%)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654명이었다. 무소속 조경석 후보가 3,494표(33.89%)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오창석 후보는 2,467표(23.93%)로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신재칠 후보 1,962표(19.03%), 무소속 박연호 후보 1,633표(15.84%), 무소속 이정숙 후보 751표(7.28%)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성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영무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성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84명이었다. 무소속 장복성 후보가 813표(44.8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송상만 후보는 510표(28.11%), 무소속 정석봉 후보는 491표(27.06%)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7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천 후보가 1,249표(61.3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금장 후보는 786표(38.62%)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37명이었다. 무소속 박도영 후보가 439표(33.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국관 후보는 349표(27.01%), 무소속 황정호 후보는 239표(18.49%), 무소속 지종훈 후보는 113표(8.74%), 무소속 나진수 후보는 97표(7.50%), 무소속 권향열 후보는 55표(4.2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60명이었다. 무소속 이광래 후보가 848표(60.2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길장 후보는 559표(39.72%)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호남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464명이었다. 무소속 김용진 후보가 742표(39.4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순삼 후보가 693표(36.88%)를 얻었다. 무소속 이춘웅 후보는 243표(12.93%), 무소속 김춘호 후보는 201표(10.69%)를 얻었다. 총 1,87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33명이었다. 무소속 박창현 후보가 491표(38.6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최경수 후보가 353표(27.81%), 무소속 박용대 후보가 262표(20.64%), 무소속 정여흔 후보가 163표(12.84%)를 득표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안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52명이었다. 무소속 임형연 후보가 430표(38.6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호균 후보는 416표(37.41%)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후보득표수득표율
임형연43038.66%
이호균41637.41%
장세택11810.61%
박동열857.64%
표동수635.66%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동명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14,324명에 무소속 임송본 후보가 27.99%, 무소속 최기동 후보가 27.4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해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순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달동 선거구는 1,918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양채식 후보가 628표(46.1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암기 후보는 476표(34.94%), 무소속 김정환 후보는 258표(18.94%)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만호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02명이었다. 무소속 김선호 후보가 955표(44.31%)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종섭 후보는 705표(32.71%), 선무일 후보는 299표(13.87%), 진상수 후보는 196표(9.09%)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35명이었다. 무소속 강장우 후보가 831표(36.6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최병대 후보는 549표(24.20%), 무소속 장규현 후보는 478표(21.07%), 무소속 고재학 후보는 410표(18.0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온금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05명이었다. 무소속 한중석 후보가 607표(46.2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영수 후보는 439표(33.43%), 무소속 김형무 후보는 217표(16.52%), 무소속 양이남 후보는 50표(3.8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교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24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일 후보가 2,714표(42.9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오영석 후보는 2,388표(37.77%), 무소속 허석준 후보는 1,219표(19.2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죽교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809명이었다. 무소속 백상훈 후보가 887표(45.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정선 후보는 794표(40.44%)를 얻어 2위를 기록했고, 무소속 김종만 후보는 282표(14.36%)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교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22명이었다. 무소속 문창부 후보가 72.4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문창부무소속89272.46%
박정섭무소속33927.53%
합계1,2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달성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50명이었다. 무소속 서홍기 후보가 564표(42.0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종록 후보는 447표(33.35%), 무소속 정원택 후보는 329표(24.5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반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55명이었다. 무소속 박병섭 후보가 320표(40.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송주용 후보는 221표(28.29%), 무소속 박광준 후보는 139표(17.79%), 무소속 김성용 후보는 101표(12.93%)를 얻었다. 총 781표가 집계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303명이었다. 무소속 유재길 후보가 1,734표(18.2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한정훈 후보가 1,574표(16.5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몽열 후보 1,503표(15.79%), 무소속 박흥도 후보 1,397표(14.67%), 무소속 안길현 후보 1,295표(13.60%), 무소속 강원암 후보 1,202표(12.63%), 무소속 서행조 후보 812표(8.53%)를 기록했다. 총 투표수는 9,51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상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276명이었다. 무소속 김대중 후보가 2,228표(25.0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배진석 후보는 1,851표(20.78%)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박종일 후보는 1,434표(16.10%), 오영희 후보는 1,405표(15.77%), 최재간 후보는 801표(8.99%), 고승남 후보는 481표(5.40%), 장복 후보는 461표(5.17%), 유길상 후보는 245표(2.7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55명이었다. 무소속 황재학 후보가 405표(44.2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철진 후보는 325표(35.48%)를, 무소속 박양규 후보는 186표(20.3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517명이었다. 무소속 최형주 후보가 2,060표(60.65%)를 얻어 1,336표(39.34%)를 얻은 무소속 김성보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삼향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90명이었다. 무소속 나남수 후보가 51.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 1. 용당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당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531명이었다. 무소속 정원술 후보가 2,131표(32.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경래 후보는 1,718표(26.58%)를, 무소속 홍성옥 후보는 1,392표(21.53%)를 얻었다. 그 외 무소속 박정두 후보는 676표(10.45%), 무소속 마용철 후보는 546표(8.44%)를 얻는 데 그쳤다.

2. 2. 용당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당2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8,371명으로, 무소속 이달호 후보가 2,264표(40.9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문오성 후보는 1,495표(27.03%), 무소속 윤상중 후보는 1,092표(19.75%), 무소속 유영덕 후보는 678표(12.26%)를 얻었다.

2. 3. 산정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006명이었다. 무소속 신재돈 후보가 1,322표(53.8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전성용 후보는 1,133표(46.15%)를 얻었다.

2. 4. 산정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299명이었다. 무소속 강찬배 후보가 1,882표(56.6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전수오 후보는 1,438표(43.31%)를 얻었다.

2. 5. 산정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산정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654명이었다. 무소속 조경석 후보가 3,494표(33.89%)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오창석 후보는 2,467표(23.93%)로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신재칠 후보 1,962표(19.03%), 무소속 박연호 후보 1,633표(15.84%), 무소속 이정숙 후보 751표(7.28%)를 득표했다.

2. 6. 대성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성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영무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7. 대성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성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84명이었다. 무소속 장복성 후보가 813표(44.8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송상만 후보는 510표(28.11%), 무소속 정석봉 후보는 491표(27.06%)를 얻었다.

2. 8. 양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7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천 후보가 1,249표(61.3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금장 후보는 786표(38.62%)를 얻었다.

2. 9. 북교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37명이었다. 무소속 박도영 후보가 439표(33.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국관 후보는 349표(27.01%), 무소속 황정호 후보는 239표(18.49%), 무소속 지종훈 후보는 113표(8.74%), 무소속 나진수 후보는 97표(7.50%), 무소속 권향열 후보는 55표(4.25%)를 얻었다.

2. 10. 남교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60명이었다. 무소속 이광래 후보가 848표(60.2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길장 후보는 559표(39.72%)를 얻었다.

2. 11. 호남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호남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464명이었다. 무소속 김용진 후보가 742표(39.4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순삼 후보가 693표(36.88%)를 얻었다. 무소속 이춘웅 후보는 243표(12.93%), 무소속 김춘호 후보는 201표(10.69%)를 얻었다. 총 1,87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2. 12. 죽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33명이었다. 무소속 박창현 후보가 491표(38.6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최경수 후보가 353표(27.81%), 무소속 박용대 후보가 262표(20.64%), 무소속 정여흔 후보가 163표(12.84%)를 득표하였다.

2. 13. 무안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안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52명이었다. 무소속 임형연 후보가 430표(38.6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호균 후보는 416표(37.41%)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후보득표수득표율
임형연43038.66%
이호균41637.41%
장세택11810.61%
박동열857.64%
표동수635.66%


2. 14. 동명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동명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14,324명에 무소속 임송본 후보가 27.99%, 무소속 최기동 후보가 27.4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2. 15. 영해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해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순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6. 유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달동 선거구는 1,918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양채식 후보가 628표(46.1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암기 후보는 476표(34.94%), 무소속 김정환 후보는 258표(18.94%)를 얻었다.

2. 17. 만호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만호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02명이었다. 무소속 김선호 후보가 955표(44.31%)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종섭 후보는 705표(32.71%), 선무일 후보는 299표(13.87%), 진상수 후보는 196표(9.09%)를 얻었다.

2. 18. 서산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35명이었다. 무소속 강장우 후보가 831표(36.64%)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최병대 후보는 549표(24.20%), 무소속 장규현 후보는 478표(21.07%), 무소속 고재학 후보는 410표(18.07%)를 얻었다.

2. 19. 온금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온금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05명이었다. 무소속 한중석 후보가 607표(46.2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영수 후보는 439표(33.43%), 무소속 김형무 후보는 217표(16.52%), 무소속 양이남 후보는 50표(3.80%)를 얻었다.

2. 20. 죽교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교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24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일 후보가 2,714표(42.9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오영석 후보는 2,388표(37.77%), 무소속 허석준 후보는 1,219표(19.28%)를 얻었다.

2. 21. 죽교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죽교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809명이었다. 무소속 백상훈 후보가 887표(45.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정선 후보는 794표(40.44%)를 얻어 2위를 기록했고, 무소속 김종만 후보는 282표(14.36%)를 얻었다.

2. 22. 죽교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죽교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22명이었다. 무소속 문창부 후보가 72.4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문창부무소속89272.46%
박정섭무소속33927.53%
합계1,231


2. 23. 달성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달성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850명이었다. 무소속 서홍기 후보가 564표(42.0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종록 후보는 447표(33.35%), 무소속 정원택 후보는 329표(24.55%)를 얻었다.

2. 24. 대반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반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55명이었다. 무소속 박병섭 후보가 320표(40.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송주용 후보는 221표(28.29%), 무소속 박광준 후보는 139표(17.79%), 무소속 김성용 후보는 101표(12.93%)를 얻었다. 총 781표가 집계되었다.

2. 25. 용해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의회 용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303명이었다. 무소속 유재길 후보가 1,734표(18.2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한정훈 후보가 1,574표(16.5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몽열 후보 1,503표(15.79%), 무소속 박흥도 후보 1,397표(14.67%), 무소속 안길현 후보 1,295표(13.60%), 무소속 강원암 후보 1,202표(12.63%), 무소속 서행조 후보 812표(8.53%)를 기록했다. 총 투표수는 9,517표였다.

2. 26. 상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상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276명이었다. 무소속 김대중 후보가 2,228표(25.0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배진석 후보는 1,851표(20.78%)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박종일 후보는 1,434표(16.10%), 오영희 후보는 1,405표(15.77%), 최재간 후보는 801표(8.99%), 고승남 후보는 481표(5.40%), 장복 후보는 461표(5.17%), 유길상 후보는 245표(2.75%)를 얻었다.

2. 27. 충무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55명이었다. 무소속 황재학 후보가 405표(44.2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철진 후보는 325표(35.48%)를, 무소속 박양규 후보는 186표(20.30%)를 얻었다.

2. 28. 연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517명이었다. 무소속 최형주 후보가 2,060표(60.65%)를 얻어 1,336표(39.34%)를 얻은 무소속 김성보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2. 29. 삼향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삼향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90명이었다. 무소속 나남수 후보가 51.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