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는 1995년 치러진 지방선거로, 총 11개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 22명을 선출했다. 각 선거구별 투표율은 59.68%에서 67.58% 사이를 기록했으며,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은 지역 기반의 인물 중심 선거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선거 결과는 부산 북구의 지역 정책 결정 과정에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방자치 발전에 기여했다.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관

2. 1. 선거 배경

2. 2. 선거 의미

3. 부산 북구의회 의원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포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268명이었다. 무소속 김병순 후보가 2,590표(28.4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권성계 후보가 2,382표(26.1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손영조 후보가 2,180표(23.92%), 무소속 윤용근 후보가 1,960표(21.5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11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구포제2동 선거구는 23,023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황대성 후보가 3,713표(25.8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곽차병 후보는 2,795표(19.48%)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전희수, 백순기, 조남구, 강장권, 김영록, 박영학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14,34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종택 후보와 조일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종택무소속2,94128.20%
조일호무소속2,66125.51%
김갑주무소속2,41423.14%
이선길무소속2,41223.13%
합계10,428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봉동 후보와 강동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금곡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788명이었으며, 총 13,207명이 투표했다.


  • 손봉동: 4,399표 (33.30%)
  • 강동우: 3,108표 (23.53%)
  • 양찬규: 2,773표 (20.99%)
  • 이승구: 1,614표 (12.22%)
  • 남한규: 1,313표 (9.94%)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희오 후보가 4,655표(39.7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경식 후보는 3,226표(27.55%)로 2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상훈 후보가 2,238표(19.11%), 무소속 이병수 후보가 1,587표(13.5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70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16,610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정상일 후보가 4,240표(40.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수암 후보는 2,838표(26.85%), 무소속 김두환 후보는 2,309표(21.85%), 무소속 김성우 후보는 1,180표(11.1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56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덕천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768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총 6명의 후보가 출마하였다. 무소속 윤홍주 후보가 2,839표(29.9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영상 후보는 1,528표(16.13%)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정웅 후보는 1,391표(14.68%), 무소속 손기태 후보는 1,367표(14.43%)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정상진 후보와 노태석 후보는 각각 1,299표(13.71%)와 1,046표(11.0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47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덕천제3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2,873명이었다. 무소속 권오구 후보가 3,356표(41.9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석기 후보는 2,202표(27.52%), 무소속 김건일 후보는 1,943표(24.28%), 무소속 유수춘 후보는 500표(6.2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01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인선 후보가 36.7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윤덕봉 후보는 29.56%로 2위를 기록했으며, 무소속 신석산 후보와 구성회 후보가 각각 22.40%, 11.25%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7,48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강성구 후보가 4,660표(42.8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찬규 후보가 3,554표(32.64%), 무소속 홍경수 후보가 2,673표(24.5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3동 선거구의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엄일영무소속2,64929.92%
김두성무소속2,60129.38%
이동발무소속2,50728.32%
조희정무소속1,09412.36%
합계8,851



엄일영 후보와 김두성 후보가 각각 29.92%, 29.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1. 구포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포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268명이었다. 무소속 김병순 후보가 2,590표(28.4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권성계 후보가 2,382표(26.1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손영조 후보가 2,180표(23.92%), 무소속 윤용근 후보가 1,960표(21.5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112표였다.

3. 2. 구포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구포제2동 선거구는 23,023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황대성 후보가 3,713표(25.8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곽차병 후보는 2,795표(19.48%)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전희수, 백순기, 조남구, 강장권, 김영록, 박영학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14,348표였다.

3. 3. 구포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종택 후보와 조일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종택무소속2,94128.20%
조일호무소속2,66125.51%
김갑주무소속2,41423.14%
이선길무소속2,41223.13%
합계10,428


3. 4. 금곡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봉동 후보와 강동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금곡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788명이었으며, 총 13,207명이 투표하여 63.5%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 손봉동: 4,399표 (33.30%)
  • 강동우: 3,108표 (23.53%)
  • 양찬규: 2,773표 (20.99%)
  • 이승구: 1,614표 (12.22%)
  • 남한규: 1,313표 (9.94%)

3. 5. 화명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희오 후보가 4,655표(39.7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경식 후보는 3,226표(27.55%)로 2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이상훈 후보가 2,238표(19.11%), 무소속 이병수 후보가 1,587표(13.5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706표였다.

3. 6. 덕천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16,610명의 유권자가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정상일 후보가 4,240표(40.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수암 후보는 2,838표(26.85%), 무소속 김두환 후보는 2,309표(21.85%), 무소속 김성우 후보는 1,180표(11.1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567표였다.

3. 7. 덕천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덕천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768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총 6명의 후보가 출마하였다. 무소속 윤홍주 후보가 2,839표(29.9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영상 후보는 1,528표(16.13%)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정웅 후보는 1,391표(14.68%), 무소속 손기태 후보는 1,367표(14.43%)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정상진 후보와 노태석 후보는 각각 1,299표(13.71%)와 1,046표(11.0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470표였다.

3. 8. 덕천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덕천제3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2,873명이었다. 무소속 권오구 후보가 3,356표(41.9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석기 후보는 2,202표(27.52%), 무소속 김건일 후보는 1,943표(24.28%), 무소속 유수춘 후보는 500표(6.2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01표였다.

3. 9. 만덕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인선 후보가 36.7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윤덕봉 후보는 29.56%로 2위를 기록했으며, 무소속 신석산 후보와 구성회 후보가 각각 22.40%, 11.25%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7,482표였다.

3. 10. 만덕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강성구 후보가 4,660표(42.8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찬규 후보가 3,554표(32.64%), 무소속 홍경수 후보가 2,673표(24.55%)를 얻었다.

3. 11. 만덕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만덕제3동 선거구의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엄일영무소속2,64929.92%
김두성무소속2,60129.38%
이동발무소속2,50728.32%
조희정무소속1,09412.36%
합계8,851



엄일영 후보와 김두성 후보가 각각 29.92%, 29.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선거 결과 분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는 모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정당별 분석이 무의미하다. 각 선거구별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 구포제1동 선거구에서는 김병순 후보(2,590표, 28.42%), 권성계 후보(2,382표, 26.14%)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2동 선거구에서는 황대성 후보(3,713표, 25.87%), 곽차병 후보(2,795표, 19.48%)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이종택 후보(2,941표, 28.20%), 조일호 후보(2,661표, 25.51%)가 당선되었다.
  •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손봉동 후보(4,399표, 33.30%), 강동우 후보(3,108표, 23.53%)가 당선되었다.
  •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윤희오 후보(4,655표, 39.76%), 류경식 후보(3,226표, 27.5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상일 후보(4,240표, 40.12%), 김수암 후보(2,838표, 26.8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윤홍주 후보(2,839표, 29.97%), 김영상 후보(1,528표, 16.13%)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3동 선거구에서는 권오구 후보(3,356표, 41.94%)가 당선되었고, 신석기 후보(2,202표, 27.52%)가 그 뒤를 이었다.
  •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인선 후보(2,752표, 36.78%)가 당선되었고, 윤덕봉 후보(2,212표, 29.56%)가 그 뒤를 이었다.
  •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강성구 후보(4,660표, 42.80%), 박찬규 후보(3,554표, 32.64%)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3동 선거구에서는 엄일영 후보(2,649표, 29.92%), 김두성 후보(2,601표, 29.38%)가 당선되었다.


이후 당선된 후보들의 정치적 성향 및 배경을 분석하여, 이후 정당 정치 구도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는 총 11개 선거구에서 22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모든 당선자는 무소속이었다.

  • 구포제1동 선거구: 김병순 후보(2,590표, 28.42%), 권성계 후보(2,382표, 26.14%)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2동 선거구: 황대성 후보(3,713표, 25.87%), 곽차병 후보(2,795표, 19.48%)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3동 선거구: 이종택 후보(2,941표, 28.20%), 조일호 후보(2,661표, 25.51%)가 당선되었다.
  • 금곡동 선거구: 손봉동 후보(4,399표, 33.30%), 강동우 후보(3,108표, 23.53%)가 당선되었다.
  • 화명동 선거구: 윤희오 후보(4,655표, 39.76%), 류경식 후보(3,226표, 27.5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1동 선거구: 정상일 후보(4,240표, 40.12%), 김수암 후보(2,838표, 26.8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2동 선거구: 윤홍주 후보(2,839표, 29.97%), 김영상 후보(1,528표, 16.13%)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3동 선거구: 권오구 후보(3,356표, 41.94%), 신석기 후보(2,202표, 27.52%)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1동 선거구: 정인선 후보(2,752표, 36.78%), 윤덕봉 후보(2,212표, 29.56%)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2동 선거구: 강성구 후보(4,660표, 42.80%), 박찬규 후보(3,554표, 32.64%)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3동 선거구: 엄일영 후보(2,649표, 29.92%), 김두성 후보(2,601표, 29.38%)가 당선되었다.


당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당별 의석 분포와 비교해 볼 때, 부산 북구의회는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지역 기반의 인물 중심 선거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각 선거구별 투표율을 비교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선거구유권자 수투표 수투표율(%)
구포제1동15,2689,11259.68
구포제2동23,02314,34862.32
구포제3동17,18910,42860.67
금곡동20,78813,20763.53
화명동18,33111,70663.86
덕천제1동16,61010,56763.62
덕천제2동14,7689,47064.12
덕천제3동12,8738,00162.15
만덕제1동11,5147,48264.98
만덕제2동17,50710,88762.19
만덕제3동13,0988,85167.58



투표율이 가장 높은 곳은 만덕제3동(67.58%)이며, 가장 낮은 곳은 구포제1동(59.68%)이다.

전반적으로 60%대의 투표율을 보이며, 지역별 유권자수와 투표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4. 1. 정당별 분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는 모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정당별 분석이 무의미하다. 각 선거구별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 구포제1동 선거구에서는 김병순 후보(2,590표, 28.42%), 권성계 후보(2,382표, 26.14%)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2동 선거구에서는 황대성 후보(3,713표, 25.87%), 곽차병 후보(2,795표, 19.48%)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이종택 후보(2,941표, 28.20%), 조일호 후보(2,661표, 25.51%)가 당선되었다.
  •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손봉동 후보(4,399표, 33.30%), 강동우 후보(3,108표, 23.53%)가 당선되었다.
  •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윤희오 후보(4,655표, 39.76%), 류경식 후보(3,226표, 27.5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상일 후보(4,240표, 40.12%), 김수암 후보(2,838표, 26.8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윤홍주 후보(2,839표, 29.97%), 김영상 후보(1,528표, 16.13%)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3동 선거구에서는 권오구 후보(3,356표, 41.94%)가 당선되었고, 신석기 후보(2,202표, 27.52%)가 그 뒤를 이었다.
  •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인선 후보(2,752표, 36.78%)가 당선되었고, 윤덕봉 후보(2,212표, 29.56%)가 그 뒤를 이었다.
  •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강성구 후보(4,660표, 42.80%), 박찬규 후보(3,554표, 32.64%)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3동 선거구에서는 엄일영 후보(2,649표, 29.92%), 김두성 후보(2,601표, 29.38%)가 당선되었다.


이후 당선된 후보들의 정치적 성향 및 배경을 분석하여, 이후 정당 정치 구도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4. 2. 주요 당선자 분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는 총 11개 선거구에서 22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모든 당선자는 무소속이었다.

  • 구포제1동 선거구: 김병순 후보(2,590표, 28.42%), 권성계 후보(2,382표, 26.14%)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2동 선거구: 황대성 후보(3,713표, 25.87%), 곽차병 후보(2,795표, 19.48%)가 당선되었다.
  • 구포제3동 선거구: 이종택 후보(2,941표, 28.20%), 조일호 후보(2,661표, 25.51%)가 당선되었다.
  • 금곡동 선거구: 손봉동 후보(4,399표, 33.30%), 강동우 후보(3,108표, 23.53%)가 당선되었다.
  • 화명동 선거구: 윤희오 후보(4,655표, 39.76%), 류경식 후보(3,226표, 27.5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1동 선거구: 정상일 후보(4,240표, 40.12%), 김수암 후보(2,838표, 26.85%)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2동 선거구: 윤홍주 후보(2,839표, 29.97%), 김영상 후보(1,528표, 16.13%)가 당선되었다.
  • 덕천제3동 선거구: 권오구 후보(3,356표, 41.94%), 신석기 후보(2,202표, 27.52%)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1동 선거구: 정인선 후보(2,752표, 36.78%), 윤덕봉 후보(2,212표, 29.56%)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2동 선거구: 강성구 후보(4,660표, 42.80%), 박찬규 후보(3,554표, 32.64%)가 당선되었다.
  • 만덕제3동 선거구: 엄일영 후보(2,649표, 29.92%), 김두성 후보(2,601표, 29.38%)가 당선되었다.


당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당별 의석 분포와 비교해 볼 때, 부산 북구의회는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지역 기반의 인물 중심 선거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3. 투표율 분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북구의회 각 선거구별 투표율을 비교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선거구유권자 수투표 수투표율(%)
구포제1동15,2689,11259.68
구포제2동23,02314,34862.32
구포제3동17,18910,42860.67
금곡동20,78813,20763.53
화명동18,33111,70663.86
덕천제1동16,61010,56763.62
덕천제2동14,7689,47064.12
덕천제3동12,8738,00162.15
만덕제1동11,5147,48264.98
만덕제2동17,50710,88762.19
만덕제3동13,0988,85167.58



투표율이 가장 높은 곳은 만덕제3동(67.58%)이며, 가장 낮은 곳은 구포제1동(59.68%)이다.

전반적으로 60%대의 투표율을 보이며, 지역별 유권자수와 투표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5. 선거 이후 영향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 북구의회는 구포제1동, 구포제2동, 구포제3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덕천제3동,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에서 각 2명씩 총 22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모든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 북구의회는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며 구성되었다. 이는 지역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기반을 마련하였고, 지방자치의 발전에 기여했다.

구포제1동 선거구에서는 김병순(28.42%), 권성계(26.14%) 후보가, 구포제2동 선거구에서는 황대성(25.87%), 곽차병(19.48%) 후보가,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이종택(28.20%), 조일호(25.51%) 후보가 당선되었다.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손봉동(33.30%), 강동우(23.53%) 후보가,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윤희오(39.76%), 류경식(27.55%) 후보가,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상일(40.12%), 김수암(26.85%) 후보가 당선되었다.

덕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윤홍주(29.97%), 김영상(16.13%) 후보가, 덕천제3동 선거구에서는 권오구(41.94%), 신석기(27.52%) 후보가,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인선(36.78%), 윤덕봉(29.56%) 후보가 당선되었다.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강성구(42.80%), 박찬규(32.64%) 후보가, 만덕제3동 선거구에서는 엄일영(29.92%), 김두성(29.38%) 후보가 당선되었다.

5. 1. 지방자치 발전에의 기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 북구의회는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며 구성되었다. 이는 지역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기반을 마련하였고, 지방자치의 발전에 기여했다.

구포제1동 선거구에서는 김병순(28.42%), 권성계(26.14%) 후보가, 구포제2동 선거구에서는 황대성(25.87%), 곽차병(19.48%) 후보가, 구포제3동 선거구에서는 이종택(28.20%), 조일호(25.51%) 후보가 당선되었다.

금곡동 선거구에서는 손봉동(33.30%), 강동우(23.53%) 후보가, 화명동 선거구에서는 윤희오(39.76%), 류경식(27.55%) 후보가, 덕천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상일(40.12%), 김수암(26.85%) 후보가 당선되었다.

덕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윤홍주(29.97%), 김영상(16.13%) 후보가, 덕천제3동 선거구에서는 권오구(41.94%), 신석기(27.52%) 후보가, 만덕제1동 선거구에서는 정인선(36.78%), 윤덕봉(29.56%) 후보가 당선되었다.

만덕제2동 선거구에서는 강성구(42.80%), 박찬규(32.64%) 후보가, 만덕제3동 선거구에서는 엄일영(29.92%), 김두성(29.38%) 후보가 당선되었다.

5. 2. 지역 정치 구도 변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 북구의회는 구포제1동, 구포제2동, 구포제3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덕천제3동,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에서 각 2명씩 총 22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모든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