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의원 선거는 1995년 6월 27일에 부산광역시 사하구에서 실시된 지방선거이다. 각 동별 선거 결과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감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이 이루어졌다.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지역구별 상세 선거 결과이다.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의원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40명이었다. 무소속 김희정 후보가 4,318표(40.41%)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문수명 후보는 3,345표(31.30%), 무소속 구명수 후보는 3,022표(28.2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2동 선거구는 15,69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고광웅 후보가 2,732표(28.4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신준식 후보는 2,596표(27.03%), 무소속 허민구 후보는 2,532표(26.36%), 무소속 김광욱 후보는 1,744표(18.15%)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3동 선거구는 15,0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김신우 후보가 3,360표(36.09%)를 얻어 당선되었다. 최병선 후보는 2,249표(24.16%), 강정순 후보는 1,896표(20.36%), 임춘립 후보는 1,803표(19.3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85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수 후보가 5,120표(56.9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구태회 후보는 2,209표(24.54%), 무소속 최진판 후보는 1,669표(18.5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99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814명이었다. 무소속 지근수 후보가 3,340표(24.4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해수 후보가 3,027표(22.14%)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이종근 후보 2,811표(20.56%), 조용근 후보 2,605표(19.05%), 김말복 후보 1,888표(13.81%)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단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594명이었다. 후보는 김정식(무소속), 이용조(무소속), 임동구(무소속) 등이 출마하였다. 개표 결과 무소속 김정식 후보가 4,951표(47.7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용조 후보는 2,883표(27.79%), 무소속 임동구 후보는 2,538표(24.46%)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단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193명이었다. 무소속 송동후 후보가 3,190표(30.17%), 무소속 장용희 후보가 2,918표(27.60%), 무소속 이창안 후보가 2,532표(23.95%), 무소속 임채광 후보가 1,930표(18.25%)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평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646명이었다. 무소속 김청일 후보가 4,463표(40.4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석래 후보는 4,045표(36.68%), 무소속 김주언 후보는 2,519표(22.84%)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평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022명이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정도가 3,382표(41.22%)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모영 후보는 2,137표(26.04%), 이남대 후보는 2,022표(24.64%), 조병계 후보는 663표(8.0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림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959명이었다. 후보별 득표수는 무소속 허명도 후보 2,691표(39.53%), 무소속 이용 후보 2,219표(32.59%), 무소속 김정헌 후보 1,897표(27.86%)를 기록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림제2동 선거구는 19,6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로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상은 후보가 2,339표(19.02%)를 얻어 당선되었고, 김병근 후보는 2,188표(17.79%), 이현택 후보는 2,121표(17.25%), 강점수 후보는 1,848표(15.03%), 구본춘 후보는 1,821표(14.81%), 맹재동 후보는 1,254표(10.20%), 조병호 후보는 722표(5.87%)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대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97명이었다. 무소속 한기원 후보가 3,777표(36.8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한문수 후보는 2,304표(22.49%), 무소속 박수관 후보는 2,184표(21.32%), 무소속 안병식 후보는 1,976표(19.29%)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대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301명이었다. 후보는 김인(무소속): 3,743표 (35.14%), 이화오(무소속): 2,458표 (23.07%), 박무열(무소속): 2,323표 (21.81%), 이창엽(무소속): 1,776표 (16.67%), 김성훈(무소속): 351표 (3.29%)를 기록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평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261명이었다. 후보는 김흥남(무소속, 1,342표, 36.81%), 최선용(무소속, 1,221표, 33.49%), 김형호(무소속, 672표, 18.43%), 최무성(무소속, 410표, 11.24%)이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천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666명이었다. 후보별 득표수는 무소속 이수택 3,280표(28.10%), 무소속 박규호 3,114표(26.67%), 무소속 최진두 2,797표(23.96%), 무소속 김성엽 2,481표(21.25%)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김흥산, 손판암 후보가 모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 괴정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40명이었다. 무소속 김희정 후보가 4,318표(40.41%)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문수명 후보는 3,345표(31.30%), 무소속 구명수 후보는 3,022표(28.28%)를 얻었다.
2. 2. 괴정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2동 선거구는 15,69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고광웅 후보가 2,732표(28.4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신준식 후보는 2,596표(27.03%), 무소속 허민구 후보는 2,532표(26.36%), 무소속 김광욱 후보는 1,744표(18.15%)를 득표했다.
2. 3. 괴정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3동 선거구는 15,0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김신우 후보가 3,360표(36.09%)를 얻어 당선되었다. 최병선 후보는 2,249표(24.16%), 강정순 후보는 1,896표(20.36%), 임춘립 후보는 1,803표(19.37%)를 얻었다.
2. 4. 괴정제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정제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85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수 후보가 5,120표(56.9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구태회 후보는 2,209표(24.54%), 무소속 최진판 후보는 1,669표(18.5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998표였다.
2. 5. 당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814명이었다. 무소속 지근수 후보가 3,340표(24.4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해수 후보가 3,027표(22.14%)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이종근 후보 2,811표(20.56%), 조용근 후보 2,605표(19.05%), 김말복 후보 1,888표(13.81%)를 득표했다.
2. 6. 하단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단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594명이었다. 후보는 김정식(무소속), 이용조(무소속), 임동구(무소속) 등이 출마하였다. 개표 결과 무소속 김정식 후보가 4,951표(47.7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용조 후보는 2,883표(27.79%), 무소속 임동구 후보는 2,538표(24.46%)를 얻었다.
2. 7. 하단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단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193명이었다. 무소속 송동후 후보가 3,190표(30.17%), 무소속 장용희 후보가 2,918표(27.60%), 무소속 이창안 후보가 2,532표(23.95%), 무소속 임채광 후보가 1,930표(18.25%)를 득표했다.
2. 8. 신평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평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646명이었다. 무소속 김청일 후보가 4,463표(40.4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석래 후보는 4,045표(36.68%), 무소속 김주언 후보는 2,519표(22.84%)를 얻었다.
2. 9. 신평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평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022명이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정도가 3,382표(41.22%)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모영 후보는 2,137표(26.04%), 이남대 후보는 2,022표(24.64%), 조병계 후보는 663표(8.08%)를 얻었다.
2. 10. 장림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림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959명이었다. 후보별 득표수는 무소속 허명도 후보 2,691표(39.53%), 무소속 이용 후보 2,219표(32.59%), 무소속 김정헌 후보 1,897표(27.86%)를 기록했다.
2. 11. 장림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림제2동 선거구는 19,6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로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상은 후보가 2,339표(19.02%)를 얻어 당선되었고, 김병근 후보는 2,188표(17.79%), 이현택 후보는 2,121표(17.25%), 강점수 후보는 1,848표(15.03%), 구본춘 후보는 1,821표(14.81%), 맹재동 후보는 1,254표(10.20%), 조병호 후보는 722표(5.87%)를 득표했다.
2. 12. 다대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대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97명이었다. 무소속 한기원 후보가 3,777표(36.8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한문수 후보는 2,304표(22.49%), 무소속 박수관 후보는 2,184표(21.32%), 무소속 안병식 후보는 1,976표(19.29%)를 얻었다.
2. 13. 다대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대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301명이었다. 후보는 김인(무소속): 3,743표 (35.14%), 이화오(무소속): 2,458표 (23.07%), 박무열(무소속): 2,323표 (21.81%), 이창엽(무소속): 1,776표 (16.67%), 김성훈(무소속): 351표 (3.29%)를 기록하였다.
2. 14. 구평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평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5,261명이었다. 후보는 김흥남(무소속, 1,342표, 36.81%), 최선용(무소속, 1,221표, 33.49%), 김형호(무소속, 672표, 18.43%), 최무성(무소속, 410표, 11.24%)이었다.
2. 15. 감천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천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666명이었다. 후보별 득표수는 무소속 이수택 3,280표(28.10%), 무소속 박규호 3,114표(26.67%), 무소속 최진두 2,797표(23.96%), 무소속 김성엽 2,481표(21.25%)였다.
2. 16. 감천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감천제2동 선거구에서는 김흥산, 손판암 후보가 모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