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강서구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강서구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 (1995년)
- 2.1. 염창동 선거구
- 2.2. 등촌제1동 선거구
- 2.3. 등촌제2동 선거구
- 2.4. 화곡제1동 선거구
- 2.5. 화곡제2동 선거구
- 2.6. 화곡제3동 선거구
- 2.7. 화곡제4동 선거구
- 2.8. 화곡제5동 선거구
- 2.9. 화곡본동 선거구
- 2.10. 화곡제6동 선거구
- 2.11. 화곡제7동 선거구
- 2.12. 화곡제8동 선거구
- 2.13. 가양제1동 선거구
- 2.14. 가양제2동 선거구
- 2.15. 가양제3동 선거구
- 2.16. 발산제1동 선거구
- 2.17. 발산제2동 선거구
- 2.18. 공항동 선거구
- 2.19. 방화제1동 선거구
- 2.20. 방화제2동 선거구
- 2.21. 방화제3동 선거구
- 2.22. 과해동 선거구
- 참조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강서구의회 선거는 1995년에 치러졌으며, 강서구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를 담고 있다. 염창동, 등촌제1동, 등촌제2동, 화곡제1동, 화곡제2동, 화곡제3동, 화곡제4동, 화곡제5동, 화곡본동, 화곡제6동, 화곡제7동, 화곡제8동, 가양제1동, 가양제2동, 가양제3동, 발산제1동, 발산제2동, 공항동, 방화제1동, 방화제2동, 방화제3동, 과해동 등 강서구의 각 선거구별 유권자 수, 투표수, 당선자 및 득표율 정보를 제공한다.
wikitext
2. 강서구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염창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8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현 후보가 3,608표(32.5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두환 후보는 3,176표(28.64%)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장동선 후보는 2,683표(24.20%), 무소속 문경희 후보는 1,619표(14.6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086표였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김상현 무소속 3,608 32.54% 장두환 무소속 3,176 28.64% 장동선 무소속 2,683 24.20% 문경희 무소속 1,619 14.60% 합계 11,086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촌제1동 선거구에는 총 5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며, 총 유권자 수는 22,898명이었다. 무소속 김형옥 후보가 3,679표(24.9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춘남 후보가 3,190표(21.65%)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명호 후보는 2,906표(19.72%), 무소속 이영철 후보는 2,678표(18.17%), 무소속 조남명 후보는 2,278표(15.46%)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4,731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촌제2동 선거구에는 총 11,187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인환 후보가 3,977표(55.2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강철웅 후보가 3,226표(44.78%)로 그 뒤를 이었다. 총 투표수는 7,20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5,704명이었다. 무소속 안약천 후보가 3,701표(36.9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조종태 후보는 3,262표(32.56%)를 얻어 2위를 기록하였다. 무소속 곽강현 후보는 3,054표(30.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01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3,890명이었다. 무소속 김기철 후보가 4,145표(46.5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정현균 후보는 2,517표(28.26%), 무소속 이인영 후보는 1,346표(15.11%), 무소속 이영자 후보는 896표(10.0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90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3동 선거구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의회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유권자 수는 11,706명이었다. 무소속 장기성 후보가 3,243표(41.5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금종식 후보는 2,442표(31.30%), 무소속 고삼천 후보는 2,115표(27.1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80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4동 선거구는 17,01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조현구 후보가 3,755표(34.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홍동필 후보는 3,387표(30.84%), 무소속 남난우 후보는 2,945표(26.82%), 무소속 한평석 후보는 892표(8.1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97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5동 선거구는 17,45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달환 후보가 4,073표(35.7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권선복 후보는 3,289표(28.89%), 무소속 권병태 후보는 2,292표(20.13%), 무소속 정병옥 후보는 1,730표(15.1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38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본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9,089명이었다. 무소속 김옥선 후보가 4,463표(37.5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한기 후보가 3,311표(27.84%), 무소속 신창욱 후보가 2,290표(19.25%), 무소속 최환 후보가 1,828표(15.3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89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6동 선거구에서는 총 13,30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도충락 후보가 3,322표(41.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신장환 후보는 2,830표(35.09%), 무소속 최두성 후보는 1,911표(23.7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6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7동 선거구는 총 6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무소속 황인호 후보가 3,043표(25.8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창섭 후보가 2,113표(17.98%)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김지순 후보는 1,945표(16.55%), 무소속 조인섭 후보는 1,815표(15.44%), 무소속 한진일 후보는 1,586표(13.49%), 무소속 유중기 후보는 1,248표(10.62%)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 수는 18,569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1,75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8동 선거구에는 총 16,323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무소속 장수덕 후보가 3,925표(38.6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호 후보는 3,818표(37.59%)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오영애 후보는 2,413표(23.7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15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1동 선거구는 유권자 13,590명을 대상으로 선거가 치러졌다. 무소속 박기덕 후보가 4,277표(46.8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남진 후보는 2,462표(26.97%), 무소속 이철우 후보는 2,389표(26.1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12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2동 선거구는 15,36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변재송 후보가 2,977표(29.6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광헌 후보는 2,640표(26.25%)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최복숙 후보는 2,337표(23.24%), 무소속 이일조 후보는 2,101표(20.89%)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0,05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3동 선거구는 15,25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효승 후보가 3,713표(37.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나성호 후보는 2,997표(30.09%), 이연구 후보는 1,878표(18.85%), 이태주 후보는 1,372표(13.7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96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발산제1동 선거구에는 총 11,305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무소속 송병수 후보가 3,677표(50.0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최병희 후보는 3,667표(49.93%)를 얻어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7,34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발산제2동 선거구는 유권자 11,212명 중 김석현 후보가 3,537표(47.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종준 후보는 2,290표(30.54%), 무소속 지현경 후보는 1,669표(22.2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49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항동 선거구에는 5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무소속 권혁길 후보가 3,768표(35.0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곽판구 후보가 2,345표(21.82%)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태관 후보는 2,209표(20.55%), 무소속 김사철 후보는 1,340표(12.46%), 무소속 김무길 후보는 1,085표(10.09%)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17,334명이었고, 이 중 10,747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1동 선거구는 19,7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노은석 후보가 3,732표(30.1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양삼 후보는 3,203표(25.89%)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무소속 한명철 후보 2,476표(20.01%), 무소속 김명호 후보 1,877표(15.17%), 무소속 안재언 후보가 1,080표(8.73%)를 획득했다. 총 투표수는 12,36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2동 선거구는 유권자 21,545명 중 13,267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홍영유 후보가 4,807표(36.2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양승춘 후보는 4,466표(33.66%)를 얻어 낙선하였다. 그 외에 무소속 이은종 후보는 2,348표(17.69%), 무소속 허진웅 후보는 1,646표(12.4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3동 선거구는 유권자 20,087명 중 13,266명이 투표하여, 정연희 후보가 4,371표(32.94%), 류기선 후보가 3,833표(28.89%), 우기호 후보가 3,553표(26.78%), 송영섭 후보가 1,509표(11.37%)를 득표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과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80명이었다. 무소속 선호술 후보가 323표(27.0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한영 후보는 274표(22.90%)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무소속 장기봉 후보 184표(15.38%), 무소속 전병철 후보 170표(14.21%), 무소속 김두환 후보 149표(12.45%), 무소속 선호선 후보 96표(8.02%)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196표였다.
2. 1. 염창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염창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98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현 후보가 3,608표(32.5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두환 후보는 3,176표(28.64%)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장동선 후보는 2,683표(24.20%), 무소속 문경희 후보는 1,619표(14.6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086표였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현 | 무소속 | 3,608 | 32.54% |
장두환 | 무소속 | 3,176 | 28.64% |
장동선 | 무소속 | 2,683 | 24.20% |
문경희 | 무소속 | 1,619 | 14.60% |
합계 | 11,086 |
2. 2. 등촌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촌제1동 선거구에는 총 5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며, 총 유권자 수는 22,898명이었다. 무소속 김형옥 후보가 3,679표(24.9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춘남 후보가 3,190표(21.65%)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명호 후보는 2,906표(19.72%), 무소속 이영철 후보는 2,678표(18.17%), 무소속 조남명 후보는 2,278표(15.46%)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4,731표였다.2. 3. 등촌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촌제2동 선거구에는 총 11,187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인환 후보가 3,977표(55.2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강철웅 후보가 3,226표(44.78%)로 그 뒤를 이었다. 총 투표수는 7,203표였다.2. 4. 화곡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5,704명이었다. 무소속 안약천 후보가 3,701표(36.9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조종태 후보는 3,262표(32.56%)를 얻어 2위를 기록하였다. 무소속 곽강현 후보는 3,054표(30.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017표였다.2. 5. 화곡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3,890명이었다. 무소속 김기철 후보가 4,145표(46.5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정현균 후보는 2,517표(28.26%), 무소속 이인영 후보는 1,346표(15.11%), 무소속 이영자 후보는 896표(10.0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904표였다.2. 6. 화곡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3동 선거구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의회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유권자 수는 11,706명이었다. 무소속 장기성 후보가 3,243표(41.5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금종식 후보는 2,442표(31.30%), 무소속 고삼천 후보는 2,115표(27.1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800표였다.2. 7. 화곡제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4동 선거구는 17,01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조현구 후보가 3,755표(34.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홍동필 후보는 3,387표(30.84%), 무소속 남난우 후보는 2,945표(26.82%), 무소속 한평석 후보는 892표(8.1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979표였다.2. 8. 화곡제5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5동 선거구는 17,45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달환 후보가 4,073표(35.7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권선복 후보는 3,289표(28.89%), 무소속 권병태 후보는 2,292표(20.13%), 무소속 정병옥 후보는 1,730표(15.1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384표였다.2. 9. 화곡본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본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19,089명이었다. 무소속 김옥선 후보가 4,463표(37.5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한기 후보가 3,311표(27.84%), 무소속 신창욱 후보가 2,290표(19.25%), 무소속 최환 후보가 1,828표(15.3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892표였다.2. 10. 화곡제6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6동 선거구에서는 총 13,30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도충락 후보가 3,322표(41.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신장환 후보는 2,830표(35.09%), 무소속 최두성 후보는 1,911표(23.7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63표였다.2. 11. 화곡제7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7동 선거구는 총 6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무소속 황인호 후보가 3,043표(25.8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창섭 후보가 2,113표(17.98%)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김지순 후보는 1,945표(16.55%), 무소속 조인섭 후보는 1,815표(15.44%), 무소속 한진일 후보는 1,586표(13.49%), 무소속 유중기 후보는 1,248표(10.62%)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 수는 18,569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1,750표였다.2. 12. 화곡제8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곡제8동 선거구에는 총 16,323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무소속 장수덕 후보가 3,925표(38.6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광호 후보는 3,818표(37.59%)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오영애 후보는 2,413표(23.7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0,156표였다.2. 13. 가양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1동 선거구는 유권자 13,590명을 대상으로 선거가 치러졌다. 무소속 박기덕 후보가 4,277표(46.8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남진 후보는 2,462표(26.97%), 무소속 이철우 후보는 2,389표(26.1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128표였다.2. 14. 가양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2동 선거구는 15,36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변재송 후보가 2,977표(29.6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광헌 후보는 2,640표(26.25%)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최복숙 후보는 2,337표(23.24%), 무소속 이일조 후보는 2,101표(20.89%)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0,055표였다.2. 15. 가양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양제3동 선거구는 15,25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이효승 후보가 3,713표(37.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나성호 후보는 2,997표(30.09%), 이연구 후보는 1,878표(18.85%), 이태주 후보는 1,372표(13.7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960표였다.2. 16. 발산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발산제1동 선거구에는 총 11,305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무소속 송병수 후보가 3,677표(50.0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최병희 후보는 3,667표(49.93%)를 얻어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7,344표였다.2. 17. 발산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발산제2동 선거구는 유권자 11,212명 중 김석현 후보가 3,537표(47.1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종준 후보는 2,290표(30.54%), 무소속 지현경 후보는 1,669표(22.2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496표였다.2. 18. 공항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항동 선거구에는 5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무소속 권혁길 후보가 3,768표(35.0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곽판구 후보가 2,345표(21.82%)로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태관 후보는 2,209표(20.55%), 무소속 김사철 후보는 1,340표(12.46%), 무소속 김무길 후보는 1,085표(10.09%)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17,334명이었고, 이 중 10,747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9. 방화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1동 선거구는 19,7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노은석 후보가 3,732표(30.1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양삼 후보는 3,203표(25.89%)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무소속 한명철 후보 2,476표(20.01%), 무소속 김명호 후보 1,877표(15.17%), 무소속 안재언 후보가 1,080표(8.73%)를 획득했다. 총 투표수는 12,368표였다.2. 20. 방화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2동 선거구는 유권자 21,545명 중 13,267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홍영유 후보가 4,807표(36.2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양승춘 후보는 4,466표(33.66%)를 얻어 낙선하였다. 그 외에 무소속 이은종 후보는 2,348표(17.69%), 무소속 허진웅 후보는 1,646표(12.40%)를 얻었다.2. 21. 방화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방화제3동 선거구는 유권자 20,087명 중 13,266명이 투표하여, 정연희 후보가 4,371표(32.94%), 류기선 후보가 3,833표(28.89%), 우기호 후보가 3,553표(26.78%), 송영섭 후보가 1,509표(11.37%)를 득표하였다.2. 22. 과해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과해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80명이었다. 무소속 선호술 후보가 323표(27.0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한영 후보는 274표(22.90%)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무소속 장기봉 후보 184표(15.38%), 무소속 전병철 후보 170표(14.21%), 무소속 김두환 후보 149표(12.45%), 무소속 선호선 후보 96표(8.02%)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196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