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시설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시설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시설 부대로, 1961년 창설되어 오고리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제2시설군, 제9시설군, 제103시설기재대, 제303수해재해중대, 제305덤프차량중대 등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각 부대는 규슈 지역의 특정 지역을 경비 구역으로 담당한다. 부대 내 공사 및 민생 협력 활동도 수행하며, 주둔지 건설 및 훈련장 보수, 도로 건설 등의 활동을 펼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설단 - 제1시설단
제1시설단은 1961년 창설되어 동부방면대 예하에서 재해 복구, 기동 지원, 시설 건설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육상자위대 시설부대이며, 고가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이바라키현, 가나가와현, 니가타현 일부 지역의 경비대구도 담당한다. - 시설단 - 제2시설단
제2시설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시설 부대로, 1961년 창설되어 후나오카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제10시설군과 제11시설군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제105시설직접지원대대가 정비 지원을 담당하고 미야기현의 각 지역을 경비한다. - 오고리시 - 오고리역
오고리역은 1939년 지쿠고오고리역으로 시작하여 1986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면서 역명을 변경한 아마기 철도 아마기 선의 고가역이다. - 오고리시 - 이마구마역
2002년 개업한 이마구마역은 후쿠오카현 다치아라이정에 위치한 아마기 철도 아마기 선의 무인역으로, 단선 승강장 1면 1선으로 운영되며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1961년 설립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 - 대한민국 조달청
대한민국 조달청은 정부 물품 구매, 공급 및 시설 공사 계약을 담당하며, 1961년 조달청으로 개편되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달 시스템 운영, 중요 물자 비축, 군수품 조달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을 운영하며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제5시설단 | |
---|---|
부대 정보 | |
명칭 | 제5시설단 |
창설 | 1961년 8월 17일 |
소속 | 육상자위대 |
병과 | 시설과 |
병종 | 건설 공병 |
규모 | 단 |
담당 지역 | 후쿠오카현 치쿠고 지방 북부, 후쿠오카현 치쿠호 지방 북부, 규슈 |
상급 부대 | 서부방면대 |
주둔지 | 오고리 주둔지 |
위치 |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
지휘관 | |
역대 전적 |
2. 역사
제5시설단은 1961년 8월 17일 오고리 주둔지에서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예하 부대로 제106, 108시설대대를 편성한 제2시설군, 미야코노조 주둔지의 제305지구시설대, 유후인 주둔지의 제314지구시설대, 고쿠분 주둔지의 제315지구시설대를 두었다.
이후 부대는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쳤다. 1973년에는 기존의 시설대대를 폐지하고 제9시설군을 신설하는 등 시설군 체제로 개편되었으며[1], 1989년에는 지구시설대 편제가 폐지되고 시설중대로 개편되었다. 2003년과 2005년에는 예하 부대들이 기능별 중대로 재편성되었고, 정비 부문은 서부방면후방지원대로 이관되었다.
2011년에는 예하 제9시설군이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에 파견되어 국제 구조 활동을 수행하기도 했다. 2018년에는 제5시설단과 예하 부대 일부가 제4시설대대, 제8시설대대와 함께 수륙기동단 시설중대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가장 최근인 2024년에는 제2시설군 예하의 제304갱도중대가 폐지되는 등 부대 구조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2. 1. 창설 및 초기 (1961년 ~ 1973년)
1961년 8월 17일, 오고리 주둔지에서 제5시설단이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편성은 단 본부, 본부 부대, 제2시설군(제106시설대대, 제108시설대대), 제305지구시설대(도노시로 주둔지), 제314지구시설대(유후인 주둔지), 제315지구시설대(고쿠분 주둔지), 제317시설 야외 정비대(겐군 주둔지)로 구성되었다.- 1964년
- 3월 26일: 제317시설 야외 정비대가 겐군 주둔지에서 오고리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 8월 12일: 제3시설단 예하 제302가교중대가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오고리 주둔지로 이전하며 제5시설단에 편입되었다. 이 부대는 훗날 제103시설기재대의 모체가 된다.
- 1966년
- 2월 21일: 이즈카 주둔지가 새로 개설됨에 따라, 제2시설군 본부가 오고리 주둔지에서, 제108시설대대가 고쿠라 주둔지에서 이즈카 주둔지로 각각 이전하였다.
- 4월 1일: 제5시설단 군악대가 발족하였다.
- 1973년 8월 1일: 시설대대를 폐지하고 시설군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제5시설단이 개편되었다[1].
- 제106시설대대(오고리 주둔지)를 기반으로 제9시설군이 오고리 주둔지에 창설되었고, 제305지구시설대(도노시로 주둔지)가 편입되었다.
- 제108시설대대(이즈카 주둔지)를 기반으로 제2시설군이 이즈카 주둔지에 재편성되었고, 제314지구시설대(유후인 주둔지)가 편입되었다.
- 제302가교중대(오고리 주둔지)가 폐지되고, 제103시설기재대가 오고리 주둔지에 신설되었다.
- 제315지구시설대(고쿠분 주둔지)는 제5시설단 직할 부대로 편입되었다.
- 개편 후 편성은 단 본부, 본부 부대, 제2시설군, 제9시설군, 제103시설기재대, 제315지구시설대로 구성되었다[1].
2. 2. 개편 및 재편성 (1973년 ~ 2000년)
- 1973년 (쇼와 48년) 8월 1일: 시설단 편제 변경에 따라 대대급 부대를 폐지하고 군급 부대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개편되었다.[1]
- * 제106시설대대(오고리 주둔지)를 기반으로 제9시설군이 오고리 주둔지에서 새롭게 창설되었고, 도노시로 주둔지의 제305지구시설대를 편입했다.
- * 제108시설대대(이즈카 주둔지)를 기반으로 제2시설군이 이즈카 주둔지에서 재편성되었고, 유후인 주둔지의 제314지구시설대를 편입했다.
- * 제103시설기재대가 오고리 주둔지에서 새롭게 창설되었다.
- * 고쿠분 주둔지의 제315지구시설대는 단 직할부대로 편입되었다.
- * 제302가교중대(오고리 주둔지)는 폐지되었다.
- * 개편 후 편성은 단 본부 및 본부 부대, 제2시설군, 제9시설군, 제103시설기재대, 제315지구시설대로 구성되었다.[1]
- 1976년 (쇼와 51년) 3월 25일: 오고리 주둔지의 제317시설 야외 정비대가 폐지되었다.
- 1981년 (쇼와 56년) 3월 25일: 제9시설군 소속이었던 제305덤프차량중대가 단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3월 24일: 지구시설대 편제가 폐지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 * 제103시설기재대에 정비중대가 새롭게 창설되었다.
- * 유후인 주둔지의 제314지구시설대가 폐지되고, 제344시설중대로 개편되었다.
- * 고쿠분 주둔지의 제315지구시설대가 폐지되고, 제345시설중대로 개편되었다.
-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28일: 다음과 같이 부대가 개편되었다.
- * 제304갱도중대가 이즈카 주둔지에서 새롭게 창설되어 제2시설군에 편입되었다.
- * 제103시설기재대 예하의 정비중대가 폐지되고, 특수기재중대가 편성되었다.
2. 3. 기능별 중대 개편 및 후방지원체제 이행 (2000년 ~ 현재)
2000년 3월 28일, 이즈카 주둔지에 제304갱도중대가 창설되어 제2시설군에 편입되었다. 같은 날 제103시설기재대 예하의 정비중대가 폐지되고 특수기재중대가 편성되었다.2003년 3월 27일에는 제2시설군 예하 시설중대가 기능별 중대로 개편되었으며, 후방 지원 체제 전환에 따라 정비 부문은 서부방면후방지원대 제103시설 직접 지원 대대로 이관되었다. 이어서 2005년 3월 28일에는 제9시설군 예하 시설중대도 기능별 중대로 개편되었다.
2008년 3월 26일, 제4시설군 예하의 제303수해재해중대가 우츠노미야 주둔지에서 오고리 주둔지로 이전하여 제9시설군으로 편입되었다.
2011년 8월부터 이듬해 2012년 3월까지 제9시설군은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 제5차 아이티 국제구조대로서 파견되어 활동하였다.
2013년 3월 26일 부대 개편이 단행되었다. 제9시설군 소속이던 제303수해재해중대는 제5시설단 직할 부대로 변경되었고[2], 오고리 주둔지의 제373시설중대와 제374시설중대는 폐지되고 이를 통합한 제391시설중대가 신편되어 제9시설군에 편입되었다.[6]
2017년 3월 27일, 이즈카 주둔지의 제365시설중대와 제366시설중대가 폐지되고, 이를 통합한 제401시설중대가 신편되어 제2시설군 예하로 편입되었다.
2018년 3월 27일, 제5시설단과 제4시설대대, 제8시설대대의 일부 부대를 차출하여 아이노우라 주둔지에 수륙기동단 시설중대를 창설하였다.
2024년 3월 20일, 이즈카 주둔지에 주둔하던 제2시설군 제304갱도중대가 폐지되었다.
3. 편성
- 단 본부 및 본부 부대 - 오고리 주둔지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 제2시설군 - 이즈카 주둔지 (후쿠오카현 이즈카시)
- * 군 본부 및 본부관리중대
- * 제367시설중대 (기동 지원)
- * 제368시설중대 (교통) - 유후인 주둔지 (오이타현 유후시)
- * 제401시설중대 (축성·장애)
- 제9시설군 - 오고리 주둔지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 * 군 본부 및 본부관리중대
- * 제375시설중대 (기동 지원)
- * 제376시설중대 (교통) - 미야코노조 주둔지 (미야자키현 미야코노조시)
- * 제391시설중대 (축성·장애)
- 제103시설기재대 - 오고리 주둔지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 * 제103시설기재대 본부
- * 제103시설기재대 본부 부대
- * 특수기재중대
- * 가교중대
- 제303수해재해중대 - 오고리 주둔지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 제305덤프차량중대 - 오고리 주둔지 (후쿠오카현 오고리시)
4. 주요 간부
겸 고노세 주둔지 사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