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1341년부터 1351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여섯 차례의 공의회 중 하나로, 칼라브리아의 발람과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사이의 헤시카즘 논쟁을 다루었다. 1351년 블라헤르네 궁전에서 열린 공의회에서는 팔라마스를 무죄로 선언하고 반대자들을 정죄했으며, 이 결정은 1341-1347년 비잔틴 내전에 영향을 미쳐 비잔틴 제국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결국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 공의회 - 범정교회 공의회
    범정교회 공의회는 2016년 크레타에서 열린 정교회 회의로, 현대 세계에서의 정교회 사명, 교회의 자치 등을 논의했으나, 일부 교회의 불참으로 결정 사항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주도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개최된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니케아 신조를 재확인하고 성령의 신성을 명확히 하여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확립하고 아리우스주의를 비롯한 여러 이단을 배척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위상을 높이고 동방 기독교 발전에 기여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680-6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려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두 의지를 인정하는 양의설을 확립하고 단의설을 이단으로 단죄했으며, 단의설을 옹호한 교황 호노리우스 1세를 사후 단죄하여 '호노리우스 논쟁'을 야기하고 칼케돈 공의회의 입지를 강화, 동서 교회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공의회 정보
명칭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다른 명칭헤시카스트 공의회
헤시카스트 공의회 이콘
헤시카스트 공의회 이콘
개최 기간1341년-1368년
승인동방 정교회
이전 공의회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동방 정교회)
소집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 황제
의장요한 14세 칼레카스, 이후 이시도르 부치라스 총대주교
참석자50-200명의 대주교, 사제, 수도사
주제헤시카즘
문서바를람 데 세미나라, 그레고리 아킨디누스, 프로코로스 키도네스의 단죄 및 헤시카즘의 옹호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이후 블라헤르나이 궁전으로 이전

2. 역사

칼라브리아의 발람과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사이의 분쟁은 화해할 수 없었고, 공의회의 판단이 필요했다.[11] 1341년부터 1351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여러 차례 공의회가 열렸다.[11]

발람의 주요 지지자인 안드로니코스 3세 황제는 첫 공의회가 끝난 지 5일 만에 사망했다. 발람은 팔라마스를 상대로 자신의 입장을 다시 제기하려 했지만, 곧 소용없음을 깨닫고 칼라브리아로 떠나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하고 게라스의 주교로 서품되었다.[12]

발람이 떠난 후, 그레고리오스 아킨디노스가 팔라마스의 주요 비판자가 되었다. 1341년 8월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제2차 공의회는 아킨디노스를 정죄하고 이전 공의회의 결과를 확정했다. 그러나 아킨디노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1344년 제3차 공의회에서 팔라마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시도로스 1세를 파문하는 짧은 승리를 거두었다.[13]

1351년 5월 요안니스 6세가 주재한 블라헤르네 궁전에서 열린 공의회는 팔라마스를 무죄로 선언하고 그의 반대자들을 정죄했다.[12] 이 공의회는 에페소스와 가노스의 관구장 주교를 면직하고 투옥하라고 명령했다. 이 결정에 불복하는 사람들은 파문하고 감시하도록 했다. 발람과 아킨디노스 및 그들의 추종자들에 대한 저주와 팔라마스와 그의 교리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대한 찬사가 선언되었다.[14]

2. 1.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들 (1341-1368)

칼라브리아의 발람과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사이의 분쟁은 해결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결국 공의회의 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1341년 6월 10일, 1341년 8월, 1344년 11월 4일, 1347년 2월 1일, 1347년 2월 8일, 1351년 5월 28일, 그리고 1368년 4월 6일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총 일곱 차례의 총대주교 공의회가 열렸다.[11]

순서날짜장소주재주요 내용비고
11341년 6월 10일하기아 소피아안드로니코스 3세 황제칼라브리아의 발람 정죄발람은 칼라브리아로 떠나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 후 게라스 주교 서품[12]
21341년 8월하기아 소피아그레고리오스 아킨디노스 정죄, 이전 공의회 결정 확정,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하기오리틱 토메 확정그레고리오스 아킨디노스가 팔라마스의 주요 비판자로 등장
31344년 11월 4일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시도로스 1세 파문아킨디노스와 지지자들의 일시적 승리[13]
41347년 2월 1일아킨디노스 정죄, 요한 14세 칼레카스 총대주교직 해임, 이시도로스 1세 총대주교 선출
51347년 2월 8일4차 공의회 결정 지지
61347년 7월반 팔라마스파 주교들의 반대에페소스의 마태를 비롯한 반 팔라마스파 주교들이 반대 의사 표명
71351년 5월 28일블라헤르네 궁전요안니스 6세 황제팔라마스 무죄 선언, 반대파 정죄[12], 에페소스와 가노스의 관구장 주교 면직 및 투옥 명령, 불복종 시 파문 및 감시[14]칼라브리아의 발람과 그레고리오스 아킨디노스 및 추종자 저주, 팔라마스와 지지자 찬사
81368년 4월 6일프로코로스 키도네스 정죄, 팔라마스 성인 시성



이 공의회들은 1341–1347년 비잔틴 내전에 영향을 미쳤는데, 팔라마스 지지자들은 칸타쿠제노스를, 반 팔라마스주의자 총대주교 요한 14세 칼레카스는 사보이의 안나 황후를 지지했다. 이는 비잔틴 제국의 권위를 약화시켜 오스만 튀르크의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장악을 초래했고, 결국 한 세기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으로 이어졌다.

2. 2. 비잔틴 내전과의 연관성

1341년-1347년 비잔틴 내전에서 헤시카즘 논쟁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를 지지하는 팔라마스파는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를 지지한 반면, 반(反) 팔라마스파였던 총대주교 요한 14세 칼레카스는 사보이의 안나 황후를 지지했다.[14] 이러한 대립은 비잔틴 제국의 권위를 약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제2 불가리아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이는 결국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를 장악하는 데 기여했으며, 공의회 이후 한 세기 만에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으로 이어졌다.[14]

2. 3. 결과 및 영향

칼라브리아의 발람과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사이의 헤시카즘 논쟁은 1341년부터 1351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일련의 공의회를 통해 해결되었다. 이 공의회들은 팔라마스의 신학을 정통으로 확립하고 그의 반대자들을 단죄하는 결과를 낳았다.[11]

안드로니코스 3세 황제 사후, 발람은 칼라브리아로 돌아가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하고 게라스의 주교가 되었다.[12] 발람이 떠난 후, 그레고리오스 아킨디노스가 팔라마스의 주요 비판자가 되었으나, 1341년 8월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제2차 공의회에서 아킨디노스는 정죄되었다.[13] 1344년 제3차 공의회에서 아킨디노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이시도로스를 파문하는 짧은 승리를 거두었지만,[13] 1351년 5월 블라헤르네 궁전에서 열린 공의회는 팔라마스를 무죄로 선언하고 그의 반대자들을 최종적으로 정죄했다.[12]

이 공의회는 에페소스와 가노스의 관구장 주교를 면직하고 투옥하라고 명령했으며, 이 결의에 복종하지 않는 사람들은 파문하고 감시하도록 했다. 또한, 발람과 아킨디노스 및 그들의 추종자들에 대한 저주와 팔라마스와 그의 교리를 지지하는 자들에 대한 찬사가 선언되었다.[14]

이러한 일련의 공의회는 헤시카즘 논쟁을 종식시키고 팔라마스 신학을 동방 정교회 신학의 중심으로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 공의회는 1341–1347년 비잔틴 내전에도 영향을 미쳐, 팔라마스 지지자들은 요안니스 6세를, 반 팔라마스주의자들은 사보이의 안나를 지지하게 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비잔틴 제국의 권위를 약화시켜 제2 불가리아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1217–1346)에 유리하게 작용했고, 궁극적으로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를 장악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1453년)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은 종교적 갈등이 정치적 격변을 초래하고, 외세의 침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서 교회 분열과 오스만 제국의 부상은 한국사에도 유사한 사례가 존재하며, 종교적, 정치적 갈등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

참조

[1] 웹사이트 Tradition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goarch.or[...]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02
[2] 웹사이트 Encyclical of the Holy and Great Council of the Orthodox Church https://www.holycoun[...] 2024-12-19
[3] 웹사이트 Gregory Palamas: Historical Timeline http://www.monachos.[...]
[4] 웹사이트 The Eight and Ninth Ecumenical Councils https://www.orthodox[...]
[5] 웹사이트 Gregory Palamas: An Historical Overview http://www.monachos.[...] 2010-12-27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esychasm https://www.newadven[...] 2023-11-09
[7] 서적 Gregory Palamas: The Hesychast Controversy and the Debate with Islam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20-03-26
[8] 서적 Gregory Palamas: The Hesychast Controversy and the Debate with Islam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22-09-01
[9] 문서 Even though the Council was moved to Ferrara in 1438 and later to Florence, some bishops refused to move and remained in a parallel Council at Basel.
[10] 웹인용 Tradition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goarch.or[...]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02
[11] 웹사이트 Gregory Palamas: Historical Timeline http://www.monachos.[...]
[12] 웹인용 Gregory Palamas: An Historical Overview http://www.monachos.[...]
[13] 인용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4] 웹인용 The Palamite Controversy http://bekkos.wordp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