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부대이다. 2010년 10월 15일부터 2013년 7월까지 공군작전사령부 소속이었으며, 이후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예속 전환되었다. 2016년부터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예하 부대로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비행전대 - 제53특수비행전대
    제53특수비행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소속 부대로, 특수 비행 임무를 수행하며 제239특수비행대대와 제239항공기정비대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비행전대 - 제38전투비행전대 (대한민국)
    제38전투비행전대는 1987년 창설되어 군산 공군기지에서 KF-16 전투기를 운용하며 제111전투비행대대, 제38기지대대, 제38군수대대를 예하에 둔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비행전대이다.
  • 김해국제공항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는 2002년 김해국제공항 착륙 중 돗대산에 추락하여 129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기장의 부적절한 조종과 승무원 자원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김해국제공항 - 공항로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과 대저1동을 잇는 공항로는 르노삼성대로와 직결되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중앙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낙동남로, 낙동북로 등 주요 도로와 교차하여 김해국제공항 방면으로 이어진다.
  • 부산 강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교도소
    부산교도소는 1947년 개소하여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창원 탈주 사건 등 여러 사건과 교도소장의 비위 연루 등의 논란이 있었고, 부산구치소와의 통합이 추진되기도 했다.
  • 부산 강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우편집중국
    부산우편집중국은 부산광역시 일부 지역, 김해시, 밀양시를 관할하며, 기술과, 업무과, 지원과로 구성되어 우편 기계 관리, 우편물 처리, 우체국 운영 지원 등 효율적인 우편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시설이다.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기본 정보
이륙하는 51전대의 E-737 피스아이
이륙하는 51전대의 E-737 피스아이
활동 기간2010년 10월 15일 ~ 현재
병과항공 교통 관제, 공중조기경보통제
종류비행전대
역할항공 교통 관제, 공중조기경보통제
규모전대
명령 체계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본부김해 공군기지
별명51전대
장비E-737 피스아이 4기
장식2017년 공군참모총장 부대표창
지휘부
전대장[[파일:SouthKorea-Collar-OF-5.svg|30px]] 대령 김기영
전대장 명칭전대장

2. 배속

공군작전사령부 (2010년 10월 15일 ~ 2013년 7월), 공군방공관제사령부 (2013년 7월 ~ 2016년)를 거쳐 2016년부터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에 배속되었다.[1]

2. 1. 공군작전사령부

2010년 10월 15일부터 2013년 7월까지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였다.[1]

2. 2. 공군방공관제사령부

2013년 7월부터 2016년까지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예하 부대였다.[1]

2. 3.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2016년부터 현재까지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는 독립된 부대로 존속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공군, 비행안전 우수부대 시상…"현장 중심 안전관리" https://n.news.naver[...] 뉴스1 2018-02-20
[2] 뉴스 ‘찰칵 찰칵’ 추억 만들고…‘불끈 불끈’ 보디 프로필도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21-12-06
[3] 뉴스 "`하늘의 지휘소` 공군, 피스아이 띄운다"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1-09-21
[4] 뉴스 국민이 잠든 시간에도 잠들지 않는 눈 ‘피스아이’ 가장 높은 곳에서 ‘조국 평화’ 수호한다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20-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