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는 2022년에 치러진 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된 창원시의회이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24석, 더불어민주당이 16석을 확보했고,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3석, 더불어민주당 2석을 얻었다. 그 결과, 창원시의회는 국민의힘 27석, 더불어민주당 18석으로 구성되었다.
창원시의회는 총 45명의 의원(지역구 의원 40명, 비례대표 의원 5명)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 창원시의회는 시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시 발전과 시민 복지 증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시정을 견제하고 감시한다.
창원시의회는 4년마다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된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4대 창원시의회가 구성되었다.
2. 구성
창원시의회는 5개의 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
2. 1. 상임위원회
창원시의회는 5개의 상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각 상임위원회는 소관 분야의 안건 심사, 행정사무감사, 조례 제·개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3. 역대 선거
3. 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창원시의회는 지역구 의원 4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하였다. 국민의힘은 27석, 더불어민주당은 18석을 차지하였다.
3. 1. 1.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창원시 가선거구 | 의창구 동읍, 대산면, 북면 | 3 |
창원시 나선거구 | 의창구 팔룡동, 의창동 | 3 |
창원시 다선거구 | 의창구 봉림동, 명곡동 | 2 |
창원시 라선거구 | 성산구 반송동, 용지동 | 2 |
창원시 마선거구 | 성산구 중앙동, 웅남동 | 2 |
창원시 바선거구 | 성산구 상남동, 사파동 | 3 |
창원시 사선거구 | 성산구 가음정동, 성주동 | 2 |
창원시 아선거구 | 마산합포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 2 |
창원시 자선거구 | 마산합포구 자산동, 교방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3 |
창원시 차선거구 | 마산합포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 3 |
창원시 카선거구 | 마산회원구 내서읍 | 2 |
창원시 타선거구 | 마산회원구 회원1동, 회원2동, 회성동, 합성1동, 석전동 | 2 |
창원시 파선거구 | 마산회원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3 |
창원시 하선거구 | 진해구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 2 |
창원시 거선거구 | 진해구 경화동, 병암동, 석동 | 2 |
창원시 너선거구 | 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 2 |
창원시 더선거구 | 진해구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 2 |
3. 1. 2. 지역구 선거 결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27석, 18석을 차지하였다.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창원시 가선거구 | 국민의힘 | 김우진 | 9,082 | 32.72% |
창원시 가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최은하 | 6,901 | 24.86% |
창원시 가선거구 | 국민의힘 | 권성현 | 5,166 | 18.61% |
창원시 나선거구 | 국민의힘 | 김혜란 | 13,117 | 40.46% |
창원시 나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묘정 | 8,832 | 27.24% |
창원시 나선거구 | 국민의힘 | 구점득 | 7,162 | 22.09% |
창원시 다선거구 | 국민의힘 | 안상우 | 14,189 | 47.37% |
창원시 다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남수 | 9,399 | 31.38% |
창원시 라선거구 | 국민의힘 | 강창석 | 16,524 | 52.91% |
창원시 라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박해정 | 9,991 | 31.99% |
창원시 마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경희 | - | - |
창원시 마선거구 | 국민의힘 | 이정희 | - | - |
창원시 바선거구 | 국민의힘 | 김경수 | 13,709 | 44.12% |
창원시 바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한은정 | 10,611 | 34.15% |
창원시 바선거구 | 국민의힘 | 성보빈 | 3,547 | 11.41% |
창원시 사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백승규 | - | - |
창원시 사선거구 | 국민의힘 | 김영록 | - | - |
창원시 아선거구 | 국민의힘 | 이천수 | 7,334 | 40.51% |
창원시 아선거구 | 국민의힘 | 김이근 | 5,524 | 30.51% |
창원시 아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지상록 | 5,242 | 28.96% |
창원시 자선거구 | 국민의힘 | 홍용채 | 13,140 | 47.18% |
창원시 자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이원주 | 5,548 | 19.92% |
창원시 자선거구 | 국민의힘 | 서영권 | 4,807 | 17.26% |
창원시 차선거구 | 국민의힘 | 박선애 | 12,533 | 37.48% |
창원시 차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전홍표 | 10,764 | 32.18% |
창원시 차선거구 | 국민의힘 | 정길상 | 8,173 | 24.44% |
창원시 카선거구 | 국민의힘 | 남재욱 | 15,385 | 57.11% |
창원시 카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이우완 | 10,737 | 39.86% |
창원시 타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서명일 | - | - |
창원시 타선거구 | 국민의힘 | 황점복 | - | - |
창원시 파선거구 | 국민의힘 | 박승엽 | 11,321 | 36.62% |
창원시 파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문순규 | 10,236 | 33.11% |
창원시 파선거구 | 국민의힘 | 손태화 | 5,438 | 17.59% |
창원시 하선거구 | 국민의힘 | 이해련 | 6,890 | 53.71% |
창원시 하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상현 | 3,221 | 25.11% |
창원시 거선거구 | 국민의힘 | 김헌일 | 6,968 | 47.01% |
창원시 거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정순욱 | 4,978 | 33.58% |
창원시 너선거구 | 국민의힘 | 최정훈 | 15,319 | 59.37% |
창원시 너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이종화 | 9,294 | 36.02% |
창원시 더선거구 | 국민의힘 | 한상석 | 6,913 | 38.66% |
창원시 더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심영석 | 6,642 | 37.15% |
마, 사, 타 선거구는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4. 비판 및 논란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