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허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허버트는 1593년에 태어나 1633년에 사망한 성공회 사제이자 시인이다. 그는 1626년 링컨 대성당의 평의원으로 임명되었지만, 1630년 솔즈베리 근처의 베머턴 성직록을 얻고 사제가 되었다. 허버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1624년에는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사후에 출판된 시집 《성전(The Temple)》과 사역 지침서 《성전의 사제(A Priest to the Temple)》가 있다. 허버트는 섬세한 언어와 종교적 성찰을 담은 시를 통해 문학적 유산을 남겼으며, 오늘날까지도 성공회와 미국 성공회에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33년 사망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는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의 딸로, 알브레히트 7세 대공과 결혼하여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사후에는 총독으로서 통치하며 예술을 후원하고 세속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했다. - 1633년 사망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1593년 출생 - 야코프 요르단스
야코프 요르단스는 플랑드르 바로크 시대의 화가, 드로잉 작가, 태피스트리 및 판화 디자이너로서, 루벤스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와 민중적 요소를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으로 종교화, 신화화,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활동했다. - 1593년 출생 -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 사후 권력 다툼 속에서 몰락, 오사카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으며, 친자설 논란과 생존설이 제기되는 인물이다. - 웨스트민스터 스쿨 동문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웨스트민스터 스쿨 동문 - 존 로크
존 로크는 경험론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잉글랜드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서, 인간의 마음을 백지 상태로 보고 경험을 통해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했으며, 사회계약론과 자연권 사상을 발전시켜 자유주의 사상과 민주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지 허버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성직자 |
이름 | 조지 허버트 |
출생일 | 1593년 4월 3일 |
출생지 | 몽고메리, 몽고메리셔, 웨일스 |
사망일 | 1633년 3월 1일 |
사망지 | 베머턴, 윌트셔, 잉글랜드 |
직업 | 시인 사제 신학자 웅변가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
문학 사조 | 형이상학파 시 |
주요 작품 | 더 템플 더 컨트리 파슨 자큘라 프루덴툼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 생애
조지 허버트는 1593년 웨일스의 몽고메리 성에서 태어나 1633년 40세가 채 되기 전에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비교적 짧은 생애 동안,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문적 성취를 이루고, 잠시 정치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1626년 부제가 되면서 영국 국교회 성직자의 길에 들어섰다.[1] 1630년에는 사제가 되었으나, 성직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여 오랫동안 망설였다고 한다.[1]
1627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허버트는 1629년 계부의 사촌인 제인 댄버스와 결혼했다.[1] 이후 윌트셔의 베인튼코트 처가에서 살다가, 1630년 사제 서임 후 베머턴의 성직록 사제관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1] 그는 사제로서의 삶에 만족하며 시집 《성전》과 산문집 《성전의 사제》를 집필했다. 폐결핵을 앓던 중, 친구에게 《성전》 원고를 전하며 자신의 영적 갈등을 담았다고 말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조지 허버트는 1593년 4월 3일 영국 웨일스의 몽고메리 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10명의 자녀를 둔 리처드 허버트와 맥덜린의 다섯째 아들이었고, 펨브로크 백작 가문의 후손이었다.[1] 아버지는 허버트가 3세 때 세상을 떠났고, 이후 강인한 성격의 어머니가 그의 교육을 맡았다.[1] 허버트의 어머니는 존 던을 비롯한 문인과 예술가들의 후원자였으며, 허버트는 일찍부터 문학, 음악, 무용 등에 관심을 가졌다.[1]허버트는 웨스트민스터 스쿨에서 그리스어, 라틴어, 음악 등을 공부했고, 류트와 비올라 연주에 재능을 보였다.[1] 160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1612년 학사, 1616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1]
2. 2.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공직
1609년 5월, 16세의 나이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진학하여 1612년에 학사, 1616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1] 트리니티 칼리지 펠로로 선임된 후 튜터로 임명되어 여러 학생들을 지도했고, 1618년에는 수사학 강사로 임명되어 고전 시대 저자들에 대해 강의했다.[1] 1619년 부대표 연설가로 임명되었고, 이듬해 대학 대표 연설가(Public Orator)가 되었다.[1] 대표 연설가로서 대학의 공식 서한을 작성하고, 왕족을 비롯한 중요 방문객과 후원자들에게 공식 연설을 하는 책임을 맡았다.[1]이 시기에 허버트는 라틴어 시편을 썼고, 사후 출간될 《성전(The Temple)》(1633)에 수록될 여러 영어 시편의 초고를 썼다.[1]
1624년, 허버트는 몽고메리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잠시 정치에 참여했다.[1] 그러나 1625년 봄, 제임스 1세가 사망하고 여름에는 런던에 역병이 발생하면서 정치적 상황이 변했다.[1] 허버트의 후원자들도 사망하면서 그의 정치적 입지는 약화되었다.[1]
2. 3. 사제 서품과 베머턴 시절
1626년, 허버트는 링컨 대성당의 평의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실질적인 교구 업무는 맡지 않았고 숙소도 배정받지 못했다.[1] 1627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그는 상속받은 유산으로 1629년에 제인 댄버스와 결혼했다. 제인은 허버트보다 열 살 어렸으며, 둘은 서로에게 애정을 느꼈다. 1629년 3월 5일, 에딩턴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허버트 부부는 윌트셔의 베인튼코트에 있는 처가에서 함께 살았고, 이듬해 허버트가 서임된 후 베머턴의 성직록 사제관으로 이주했다.[1]
1630년, 허버트는 런던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120.70km 떨어진 윌트셔주 솔즈베리 근처의 퍼글스톤 세인트 피터와 비머턴의 시골 교구 사제로 임명되었다. 그는 윌턴 근처 퍼글스톤에 있는 13세기 세인트 피터 교구 교회와 솔즈베리에 더 가까운 비머턴에 있는 14세기 세인트 앤드류 예배당, 두 개의 작은 교회를 책임졌다. 그는 이곳에서 살면서 설교하고 시를 썼으며,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비머턴 교회와 인접한 사제관을 재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의 임명은 퍼글스톤 교회 근처에 윌턴 하우스를 소유하고 있던 펨브로크 백작의 도움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
베머턴에 있는 동안 허버트는 ''신전(The Temple)''이라는 제목의 시집을 개정하고 추가했다. 또한 시골 사역에 대한 안내서인 ''신전을 위한 사제 또는, 시골 사제의 성격과 거룩한 삶의 규칙(A Priest to the Temple or, The County Parson His Character and Rule of Holy Life)''을 썼는데, 그는 이것을 스스로 "목표를 향한 표적"이라고 묘사했으며,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직책을 맡기 직전에 결혼하여 아내와 함께 세 명의 고아 조카딸을 집에 들였다. 그들은 하인들과 함께 작은 세인트 앤드류 교회에서 매일 두 번 예배를 드리기 위해 길을 건넜다. 허버트는 일주일에 두 번 솔즈베리로 짧은 여정을 다녀 대성당에서 예배에 참석했고, 그 후에는 대성당 음악가들과 함께 음악을 연주했다.
허버트는 평생 건강이 좋지 않았고, 1633년에 성직 서품을 받은 지 3년 만에 결핵으로 사망했다.
3. 작품 세계
허버트는 영어, 라틴어, 그리스어로 시를 썼다. 그의 영어 시는 모두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며, 독창적이면서도 적절한 기교를 사용하여 표현의 직접성을 생생하게 살린 것이 특징이다. 이는 메타피지컬 양식에서 시각적 유사성보다는 기능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허버트는 시의 형식을 사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강화했다. 예를 들어 "창문들"에서 그는 의로운 설교자를 하나님의 빛이 그의 말보다 더 효과적으로 비치는 유리에 비유한다. 17세기 후반 리처드 벡스터는 그의 종교 시에 대해 "허버트는 진정으로 하나님을 믿고, 세상에서 그의 일이 대부분 하나님과 관련된 사람처럼 하나님께 말한다. 마음의 일과 하늘의 일이 그의 책을 구성한다"라고 평했다. 헬렌 가드너는 그의 "지적인 활기"를 인정하며, 말장난과 단어놀이를 통해 "일상의 현실 세계와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초월적 현실 세계 사이의 관계"를 전달한다고 평가했다.
시각적으로도 시는 복잡한 운율 구성표, 서로 다른 행 길이를 결합한 연, 그리고 다른 독창적인 형식적 장치를 통해 그 의미를 강화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된다. "제단"과 같은 패턴 시가 그 예시이다.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식적 장치는 다양하다. "우리의 생명은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추어졌다"라는 구절에 대한 그의 명상에서,[2] 대문자로 된 단어 "나의 생명은 나의 보배이신 그분 안에 감추어져 있다"가 연속적인 행을 가로질러 이동하며 본문에서 언급된 내용을 보여준다. "쓰고 달콤한"에서는 반대되는 것들이 함께 제시되며, "한숨과 신음"의 각 연의 머리와 꼬리에 있는 감탄사는 메아리와 변형의 한 예시이다. "낙원"에서 점점 줄어드는 잘린 운율, "천국"에서 각 행 뒤에 나타나는 메아리 대화도 주목할 만하다.[3] "물줄기"에서는 연의 끝에 대안적인 운율이 제시되고, "메리/군대 아나그램"은 제목에 아나그램이 나타난다. 조셉 서머스는 "칼라"에서 허버트가 명백한 형태 없음을 형식적이고 주제적인 장치로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시는 끝까지 격렬한 무질서 속에서 모든 질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마지막 네 줄의 규칙성이 독자의 "질서의 필요성"에 대한 감각을 회복시킨다고 설명한다.
바로크적인 기교의 과시에 대한 취향이 사라지자 풍자 작가 존 드라이든은 그것을 "한낱 가엾은 단어를 만 가지 방법으로 고문하는" 수많은 수단으로 일축했다. 허버트는 경건함으로 존경받았지만, 그의 사상을 표현한 시적 기술은 다시 감탄을 받기까지 수세기가 걸렸다.
3. 1. 《성전》(The Temple)
《성전》(The Temple)은 1633년 허버트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친구 니콜라스 페러에 의해 출판된 종교 시집이다. 이 책은 1690년까지 여덟 번이나 재판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아이작 월턴에 따르면, 허버트는 페러에게 원고를 보내면서 "내가 주님이신 예수님의 뜻에 나를 복종시키기 전에, 나와 하나님 사이에 있었던 많은 영적인 갈등의 그림"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허버트는 시의 형식을 통해 종교적인 주제를 심도 있게 탐구했다. 시집은 "교회 현관"으로 시작하여 "제단", "희생"으로 이어지며, 시 전체를 통해 신앙 여정을 형상화한다.

허버트는 시각적 형태를 활용한 패턴 시로도 유명하다. 예를 들어 "제단"은 짧은 행과 긴 행을 배열하여 제단의 모양을 만들고, "부활절 날개"(위 그림 참조)는 단어를 마주보는 두 페이지에 옆으로 인쇄하여 펼쳐진 날개를 연상시킨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시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허버트는 기교를 통해 종교적 주제를 독창적으로 표현했다. 예를 들어 "창문들"에서는 의로운 설교자를 하나님의 빛이 효과적으로 비치는 유리에 비유한다. 리처드 벡스터는 허버트의 시에 대해 "진정으로 하나님을 믿고, 세상에서 그의 일이 대부분 하나님과 관련된 사람처럼 하나님께 말한다"고 평했다. 헬렌 가드너는 허버트의 "지적인 활기"를 인정하며, 말장난과 단어놀이를 통해 "일상의 현실 세계와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초월적 현실 세계 사이의 관계"를 전달한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바로크 시대가 지나면서 존 드라이든과 같은 풍자 작가들은 허버트의 기교를 "한낱 가엾은 단어를 만 가지 방법으로 고문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3. 2. 《성전의 사제》(A Priest to the Temple)
《성전의 사제》(A Priest to the Temple)는 1652년 《허버트의 유작》(Herbert's Remains)에 수록되어 출판된 산문 작품이다. 이 책은 시골 사제의 역할과 삶에 대한 지침을 제시한다.[14] 허버트는 이 책에서 쟁기, 누룩, 춤과 같은 "일상적인 것들"이 "천상의 진리의 빛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초판은 바나바스 올리가 서명하지 않은 서문을 붙여 출판되었으며, 이는 1670년에 출판된 아이작 월턴의 허버트 전기의 자료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1671년에는 올리가 서명한 새로운 서문이 붙은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14]
4. 유산과 영향
허버트 사후, 그의 예술적 업적은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었다. 윌리엄 다이스의 유화 "베머턴의 조지 허버트"(1860년)는 런던 길드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9] 시인이 강가의 정원에서 기도서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찰스 웨스트 코프의 "조지 허버트와 그의 어머니"(1872년)는 올드햄 갤러리에 있으며,[10] 어머니가 시인에게 시를 보여주는 장면을 담고 있다.
허버트의 가장 오래된 초상화는 1674년 로버트 화이트[8]가 제작한 판화였으며, 현재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4. 1. 문학적 유산
허버트는 영어, 라틴어, 그리스어로 시를 썼다. 그의 영어 시는 모두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며, 독창적이면서도 적절한 기교를 사용하여 표현의 직접성을 생생하게 살린 것이 특징이다. 이는 메타피지컬 양식에서 시각적 유사성보다는 기능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7세기 후반에 그의 종교 시에 대해 논평하면서 리처드 벡스터는 "허버트는 진정으로 하나님을 믿고, 세상에서 그의 일이 대부분 하나님과 관련된 사람처럼 하나님께 말한다. 마음의 일과 하늘의 일이 그의 책을 구성한다"라고 말했다. 헬렌 가드너는 그의 "지적인 활기"를 인정하여 이러한 특징에 "머리의 일"을 덧붙였다.시는 복잡한 운율 구성표, 서로 다른 행 길이를 결합한 연, 그리고 다른 독창적인 형식적 장치를 통해 그 의미를 강화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된다. 가장 명확한 예는 "제단"과 같은 패턴 시로, 짧은 행과 긴 행이 제단 모양으로 페이지에 배열되어 있다. "부활절 날개"(여기에 삽화가 나와 있다)의 경우, 단어들은 마주 보는 두 페이지에 옆으로 인쇄되어 그 행들이 펼쳐진 날개를 연상시킨다. 허버트의 시에서 형식적 독창성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의미에 대한 보조 수단으로만 사용된다.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식적 장치는 범위가 넓다. "우리의 생명은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추어졌다"는 구절에 대한 그의 명상에서,[2] 대문자로 된 단어 "나의 생명은 나의 보배이신 그분 안에 감추어져 있다"가 연속적인 행을 가로질러 이동하며 본문에서 언급된 내용을 보여준다. "쓰고 달콤한"에서 반대되는 것들이 함께 제시된다. "낙원"에서 점점 줄어드는 잘린 운율이 또 다른 예이다. "천국"에서 각 행 뒤에 메아리 대화가 있다.[3]
바로크적인 기교의 과시에 대한 취향이 사라지자 풍자 작가 존 드라이든은 그것을 "한낱 가엾은 단어를 만 가지 방법으로 고문하는" 수많은 수단으로 일축했다. 허버트는 경건함으로 존경받았지만, 그의 사상을 표현한 시적 기술은 다시 감탄을 받기까지 수세기가 걸렸다.
허버트 사후, 그의 예술적 기념물은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윌리엄 다이스의 유화 "베머턴의 조지 허버트"(1860년)는 길드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9] 시인이 강가의 정원에서 기도서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찰스 웨스트 코프의 "조지 허버트와 그의 어머니"(1872년)는 올드햄 갤러리에 있으며,[10] 어머니가 시인에게 시를 보여주는 장면을 담고 있다.
허버트를 묘사한 대부분의 작품은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있으며, 웨스트민스터 사원, 솔즈베리 대성당,[11] 올 세인츠 교회, 케임브리지[11] 등 여러 교회와 대성당에 설치되어 있다. 베머턴의 세인트 앤드류 교회에는 1934년에 니콜라스 페라와 함께 그의 기념 창문이 설치되었다. 또한, 솔즈베리 대성당 서쪽 정면의 벽감에는 사제복을 입은 허버트의 조각상이 있다.
4. 2. 종교적 영향
허버트는 잉글랜드 교회와 미국 성공회에서 2월 27일에 기념되며, 미국 루터교회 성인력에서는 그의 사망일인 3월 1일에 기념된다. 그를 기리는 다양한 기도문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그의 시 "만병통치약"을 바탕으로 한다."모든 사람은 감히 시도한다면 영광스러운 삶이나 무덤을 가질 수 있다"는 세인트 존 교회, 워털루 외벽에 새겨져 있다.[12][13]
4. 3. 음악적 영향
허버트는 음악적인 가정 출신이었다. 그의 어머니 매들린 허버트(Magdalen Herbert)는 작곡가 윌리엄 버드(William Byrd)와 존 불(John Bull (composer))의 친구였으며, 자녀들의 음악 교육을 장려했다. 그의 형제 처버리의 에드워드 허버트는 숙련된 루트 연주자이자 작곡가였다.[4] 조지 허버트는 루트와 비올을 연주했고, "자신의 서정시나 성시를 설정했다". 음악 활동은 그의 일생 동안 그를 흥미롭게 했다.90편 이상의 허버트의 시가 수 세기에 걸쳐 노래를 위해 편곡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여러 번 편곡되었다.[5] 그의 시대에는 헨리 퍼셀(Henry Purcell)이 "갈망(Longing)"을, 존 블로(John Blow)이 "그리고 당신은 슬퍼하십니까(And art thou grieved)"를 편곡했다. 약 40편이 웨슬리 형제에 의해 감리교 찬송가에 맞춰 개작되었는데, 그중 "나의 하나님이시요 왕이시여 나를 가르치소서(Teach me my God and King)"는 223개의 찬송가집에서 한 가지 버전 또는 다른 버전으로 자리를 잡았다. 또 다른 시인 "온 세상이 모든 구석에서 노래하라(Let all the world in every corner sing)"는 103개의 찬송가집에 실렸는데, 그중 하나는 프랑스어 버전이다.[6] 그의 작품은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독일어로도 번역되어 음악으로 편곡되었다.[7]
20세기에 "덕(Vertue)"만 해도 10개의 편곡이 이루어졌는데, 그중 하나는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 그의 작품을 편곡한 주요 현대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 에드먼드 럽라(Edmund Rubbra): 그의 ''목소리와 현악 3중주를 위한 두 개의 노래''(작품 2, 1921)의 첫 번째 곡으로 "부활절(Easter)"을 편곡.
- 랄프 본 윌리엄스(Ralph Vaughan Williams): 허버트의 네 편의 시를 ''다섯 개의 신비로운 노래(Five Mystical Songs)''에 사용. ("부활절(Easter)"이 첫 번째, "응답가 2(Antiphon II)"가 마지막)
- 로빈 밀포드(Robin Milford): 원본 피츠윌리엄 원고의 "부활절(Easter)" 두 번째 부분의 편곡을 그의 칸타타 ''부활절 아침(Easter Morning)''(1932)에 사용. (소프라노 독창자와 어린이 또는 여성 합창단을 위한 두 부분으로 편곡)
-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과 윌리엄 월턴(William Walton): "응답가(Antiphon)"를 편곡.
- 네드 로렘(Ned Rorem): 그의 "목소리, 오보에, 현악기를 위한 10편의 시(10 poems for voice, oboe and strings)"(1982)에 하나의 시를 포함.
- 주디스 위어(Judith Weir): 2005년 합창 작품 ''덕(Vertue)''에 허버트의 세 편의 시를 포함.
5. 주요 저작
- 1633년 The Temple:Sacred Poems and Private Ejaculations영어 출판.
- 1652년 A Priest to the Temple:Or The Country Parson, his Character and Rule of Life영어.
- 1670년 아이작 월턴의 허버트 전기.
참조
[1]
웹사이트
Church of St. Peter, Fugglestone, Wilton
https://apps.wiltshi[...]
Wiltshire Council
2021-01-25
[2]
웹사이트
Luminarium
http://www.luminariu[...]
[3]
웹사이트
Christian Classics
http://www.luminariu[...]
[4]
서적
George Herbert and Early Modern Musical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5]
웹사이트
Herbert, G
http://www.hymnary.o[...]
[6]
웹사이트
Tout l’univers proclame les exploits
https://hymnary.org/[...]
[7]
웹사이트
Author
http://www.lieder.ne[...]
[8]
문서
npg name
[9]
웹사이트
George Herbert at Bemerton, Salisbury
https://artuk.org/di[...]
Guildhall Art Gallery
1860
[10]
웹사이트
George Herbert and His Mother
https://artuk.org/di[...]
Gallery Oldham
1872
[11]
웹사이트
George Herbert (1593–1633), 'the finest expressions of Anglican piety at its best'
http://datsociety.bl[...]
2012-10-04
[1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3]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01
[14]
웹사이트
George Herbert
https://poetryarchiv[...]
2022-04-01
[15]
웹사이트
George Herbert British poet
https://www.britanni[...]
[16]
서적
Ingurando no shūkyō : Angurikanizumu no rekishi to sono tokushitsu
https://www.worldcat[...]
Kyōbunkan
2004
[17]
백과사전
Herbert, Ge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