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노 I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노 II는 MGM-29 서전트에서 파생된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한 미국 최초의 우주 발사체로,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총 10번 발사되었다. 이 로켓은 파이오니아 3호, 파이오니아 4호, 익스플로러 7호 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4단 로켓을 제거하여 탑재량을 늘리기도 했다. 주노 II는 10번의 발사 중 6번의 실패를 기록했으며, 잦은 부품 고장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우주발사체 - 런처원
    런처원은 버진 그룹의 우주 기업인 버진 갤럭틱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버진 오빗으로 이관된 공중 발사 방식의 2단 로켓으로, 보잉 747 항공기를 이용해 저궤도에 소형 위성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2023년 발사 실패 후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 미국의 우주발사체 - 아틀라스 V
    아틀라스 V는 록히드 마틴과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가 개발한 발사체로, 다양한 구성으로 위성 및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며 보잉 스타라이너 유인 캡슐 발사를 통해 유인 우주 비행에도 활용되고 있고, ULA는 벌컨 센타우르 로켓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주노 II
기본 정보
패드 위의 주노 II
기능일회용 발사 시스템
제조사크라이슬러 (Chrysler), ABMA를 위해
원산지미국
비용290만 미국 달러 (1958년), 3150만 미국 달러 (2024년)
높이24.0m
직경2.67m
질량55110kg
단수3-4단
페이로드 능력
저궤도41kg
준궤도 TLI6kg
로켓 정보
계열주피터
상태퇴역
발사 장소LC-5, LC-26B, CCAFS
총 발사 횟수10
성공 횟수4
실패 횟수5
부분적 성공1
최초 발사1958년 12월 6일
마지막 발사1961년 5월 24일
1단
이름주피터
엔진1x 로켓다인 S-3D
추력667kN
비추력248초
연소 시간182초
연료RP-1 / LOX
2단
이름MGM-29 서전트
엔진11개 고체
추력74.8kN
비추력220초
연소 시간6초
연료고체 - 폴리설파이드-알루미늄 및 과염소산 암모늄
3단
이름MGM-29 서전트
엔진3개 고체
추력20.4kN
비추력236초
연소 시간6초
연료고체 - 폴리설파이드-알루미늄 및 과염소산 암모늄
4단
이름MGM-29 서전트
엔진1개 고체
추력6.8kN
비추력249초
연소 시간6초
연료고체 - 폴리설파이드-알루미늄 및 과염소산 암모늄

2. 개발

주노 II는 MGM-29 서전트의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상단으로 사용했다. 2단에 11개, 3단에 3개, 4단에 1개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주노 I의 상단과 동일한 구성이었다.[1][2][3][5] 저궤도 발사에서는 4단이 사용되지 않아 9kg의 추가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었다. 기존 하드웨어로 제작되어 개발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958년 초에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그해 말에 첫 발사가 이루어졌다. 처음 세 대는 주피터 미사일을 개조했지만, 나머지는 처음부터 주노 II로 제작되었다.[1][2][3]

주노 II와 주피터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연료 탱크 증가: 연소 시간을 늘리기 위해 연료 탱크를 늘렸다. (1단계 연소 시간은 주피터보다 약 20초 더 길었다.)
  • 구조 강화: 상단의 추가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구조를 강화했다.
  • 유도 방식 변경: 관성 유도 시스템을 상단으로 옮긴 무선 지상 유도 패키지로 교체했다.

2. 1. 1단 로켓

주피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개량한 것을 1단으로 사용했다. 2단과 3단은 주노 I 로켓과 동일하게 MGM-29 서전트 로켓 엔진을 소형화하여 2단에는 11개, 3단에는 3개를 묶어 사용했다. 4단에는 1개를 사용했다. 일부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에서는 4단을 사용하지 않고 9kg의 탑재체를 더 실을 수 있었다.[1][2][3]

2. 2. 상단 로켓

MGM-29 서전트에서 파생된 고체 연료 로켓 모터가 상단으로 사용되었으며, 2단계에 11개, 3단계에 3개, 4단계에 1개가 사용되었다. 이는 소형 주노 I 발사체의 상단과 동일한 구성이었다.[1][2][3][5] 일부 저궤도 발사에서는 4단이 사용되지 않아 발사체가 9kg의 추가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었다.

주피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발전형을 1단으로 사용했고, 2단 및 3단은 주노 I 로켓과 동일하며, MGM-29 서전트를 소형화한 로켓 엔진을 2단에 11기, 3단에 3기를 묶어서 사용했다. 4단에도 1기가 사용되었다. 몇몇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에서는 4단을 사용하지 않고 9kg의 페이로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2. 3. 개발 참여 기관

크라이슬러가 전체 계약을 담당했고, 로켓다인이 1단계 추진을, 제트 추진 연구소(JPL)가 상단 추진을 담당했다.[1][2][3]

3. 운용 역사

주노 II는 10번의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6번이 실패했다. 파이오니어 3, 파이오니어 4, 익스플로러 7, 익스플로러 8, 익스플로러 11을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 단지 5와 발사 단지 26B에서 발사했다.[1][2]

파이오니어 3 페이로드를 탑재한 주노 II


1958년 12월 6일, 첫 번째 발사인 파이오니어 3은 1단 로켓의 조기 종료로 인해 실패했다.[1][2] 1959년 3월 3일, 파이오니어 4는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모든 임무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1세대 미국 달 탐사선이자 1964년까지 유일한 성공적인 미국 달 탐사선이 되었다.[1][2] 이후 NASA는 달 탐사 대신 주노 II를 지구 궤도 발사에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1959년 7월 16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 시도는 발사 직후 통제력을 잃고 파괴되어 실패했다.[1][2][9] 1959년 8월 15일, 비콘 위성 발사는 상단 로켓 오작동으로 실패했다.[1][2][10] 1959년 10월 13일, 익스플로러 7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1][2]

1960년 중반, 잦은 실패로 인해 NASA는 주노 II를 재평가했다. 실패 원인은 대부분 부적절한 테스트와 점검으로 인한 부품 고장으로 밝혀졌다. 1960년 11월 3일, 익스플로러 8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지만,[1][2] 1961년 2월 24일 발사는 실패했다.[1][2] 1961년 4월 27일, 익스플로러 11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1][2] 1961년 5월 24일, 마지막 주노 II 발사가 실패하면서[1][2] 아제나 등 다른 발사체가 주력으로 자리 잡았다.

날짜/시간 (GMT)일련 번호단 수발사대탑재체결과비고
1958년 12월 6일, 05:44AM-114단LC-5파이오니어 3호부분적인 실패고탄도 비행 달 탐사선. 제1단 조기 종료. 방사선 실험 성공
1959년 3월 3일, 05:10AM-144단LC-5파이오니어 4호성공고탄도 비행 달 탐사선
1959년 7월 16일, 17:37AM-164단LC-5익스플로러 S-1실패발사 5초 후 기울어져 안전상 명령 파괴
1959년 8월 15일, 00:31AM-19B4단LC-26B비콘 2실패제1단 조기 종료, 궤도 진입 실패
1959년 10월 13일, 15:30AM-19A3단LC-5익스플로러 7호성공저궤도 진입
1960년 3월 23일, 13:35AM-19C3단LC-26B익스플로러 S-46실패제3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1960년 11월 3일, 05:23AM-19D3단LC-26B익스플로러 8호성공저궤도 진입
1961년 2월 25일, 00:13AM-19F4단LC-26B익스플로러 S-45실패제3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1961년 4월 27일, 14:16AM-19E4단LC-26B익스플로러 11호성공저궤도 진입
1961년 5월 24일, 19:48AM-19G4단LC-26B익스플로러 S-45A실패제2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3. 1. 주요 발사 임무

주노 II는 10번의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6번이 실패했다.[1][2] 파이오니어 3은 1958년 12월 6일에 발사되었으나, 1단 로켓의 조기 종료로 인해 상단 로켓이 충분한 속도를 얻지 못해 지구 궤도를 탈출하지 못했다.[1][2] 파이오니어 4는 1959년 3월 3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모든 임무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1세대 미국 달 탐사선이 되었다.[1][2]

1959년 7월 16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 시도는 발사 직후 주노 II가 통제력을 잃고 파괴되었다.[1][2][9] 1959년 8월 15일 비콘 위성 발사에서는 상단 로켓 오작동으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1][2][10] 익스플로러 7은 1959년 10월 13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1][2]

1960년 3월 23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는 2단 로켓 엔진 점화 실패로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1][2] 익스플로러 8은 1960년 11월 3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으나,[1][2] 1961년 2월 24일 발사는 실패했다.[1][2] 익스플로러 11은 1961년 4월 27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1][2] 1961년 5월 24일, 마지막 주노 II 발사는 2단 점화 실패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1][2]

날짜/시간 (GMT)일련번호단 수발사대탑재체결과비고
1958년 12월 6일, 05:44AM-114단LC-5파이오니어 3부분적인 실패1단 조기 종료
1959년 3월 3일, 05:10AM-144단LC-5파이오니어 4성공
1959년 7월 16일, 17:37AM-164단LC-5익스플로러 S-1실패발사 직후 파괴
1959년 8월 15일, 00:31AM-19B4단LC-26B비콘 2실패1단 조기 종료
1959년 10월 13일, 15:30AM-19A3단LC-5익스플로러 7성공
1960년 3월 23일, 13:35AM-19C3단LC-26B익스플로러 S-46실패3단 점화 실패
1960년 11월 3일, 05:23AM-19D3단LC-26B익스플로러 8성공
1961년 2월 25일, 00:13AM-19F4단LC-26B익스플로러 S-45실패3단 점화 실패
1961년 4월 27일, 14:16AM-19E4단LC-26B익스플로러 11성공
1961년 5월 24일, 19:48AM-19G4단LC-26B익스플로러 S-45A실패2단 점화 실패


3. 2. 주요 실패 사례

주노 II는 10번의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6번이 실패했다.[1][2] 주요 실패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58년 12월 6일, 파이오니어 3호 발사는 1단 로켓의 조기 종료로 인해 상단 로켓이 충분한 속도를 얻지 못해 실패했다.[1][2] 파이오니어 3호는 지구 궤도를 탈출하지 못했지만, 대기권 재진입 전 약 40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했다.[1][2]

  • 1959년 7월 16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 시도는 발사 직후 주노 II가 통제력을 잃고 공중제비를 돌아 실패했으며, 발사 안전 담당관이 파괴 명령을 내렸다.[1][2][9]
  • 1959년 8월 15일, 비콘 위성 발사는 1단 로켓 성능은 정상이었지만, 상단 로켓 오작동으로 실패했다.[1][2][10] 제어 시스템 오작동으로 상단 로켓이 궤도 대신 대서양으로 향했다.
  • 1960년 3월 23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는 2단 로켓 엔진 중 하나가 점화되지 않아 실패했다.[1][2] 불균형한 추력으로 인해 탑재체가 대서양으로 떨어졌다.
  • 1961년 2월 24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는 상승 중 제어 케이블이 풀려 회전하는 3단 로켓 통에 감겨 실패했다.[1][2] 2단 로켓 점화는 정시에 이루어졌지만 3단 로켓은 점화되지 않아 위성이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
  • 1961년 5월 24일, 이온층 비콘 위성 발사는 1단 분리 후 계측 장치에 전원이 손실되어 실패했다.[1][2] 2단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탑재체가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바다로 떨어졌다.


날짜/시간 (GMT)일련 번호단 수발사대탑재체결과비고
1958년 12월 6일, 05:44AM-114단LC-5파이오니어 3호부분적인 실패1단 조기 종료
1959년 7월 16일, 17:37AM-16LC-5익스플로러 S-1실패발사 5초 후 기울어져 안전상 명령 파괴
1959년 8월 15일, 00:31AM-19BLC-26B비콘 2실패1단 조기 종료, 궤도 진입 실패
1960년 3월 23일, 13:35AM-19C3단LC-26B익스플로러 S-46실패3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1961년 2월 25일, 00:13AM-19FLC-26B익스플로러 S-45실패3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1961년 5월 24일, 19:48AM-19GLC-26B익스플로러 S-45A실패2단 점화 실패, 궤도 진입 실패


3. 3. 프로그램 평가 및 종료

주노 II는 10번의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이 중 6번이 실패했다. 파이오니어 3, 파이오니어 4, 익스플로러 7, 익스플로러 8, 익스플로러 11은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 단지 5와 발사 단지 26B에서 발사되었다.[1][2]

파이오니어 3은 1단 로켓의 조기 종료로 실패했지만, 대기권 재진입 전 약 40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했다.[1][2] 파이오니어 4는 모든 임무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1세대 미국 달 탐사선이자 1964년까지 유일하게 성공한 미국 달 탐사선이었다.[1][2] 이후 NASA는 달 탐사 대신 주노 II를 지구 궤도 발사에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1959년 7월 16일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 시도는 발사 직후 주노 II가 통제력을 잃으면서 실패했다.[1][2][9] 1959년 8월 15일 비콘 위성 발사 역시 상단 로켓 오작동으로 실패했다.[1][2][10]

익스플로러 7은 1959년 10월 13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으며,[1][2] 이는 LC-5에서 발사된 마지막 주노 II였다. 1960년 3월 23일, 또 다른 익스플로러 위성 발사는 2단 로켓 엔진 문제로 실패했다.[1][2]

1960년 중반, 잦은 실패로 인해 NASA는 주노 II를 재평가했다. 실패 원인은 대부분 부적절한 테스트와 점검으로 인한 부품 고장으로 밝혀졌다. 주노 II를 개발한 JPL 팀은 원래 달 탐사선 발사에만 집중했고, NASA가 지구 궤도 발사를 시작하자 관심이 줄어들었다.

익스플로러 8은 1960년 11월 3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지만,[1][2] 1961년 2월 24일 발사는 실패했다.[1][2] 익스플로러 11은 1961년 4월 27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1][2] NASA의 사기를 끌어올렸다. 1961년 5월 24일, 마지막 주노 II 발사가 실패하면서[1][2] 아제나 등 다른 발사체가 주력으로 자리 잡았다.

4. 발사 기록

주노 II는 NASA에 의해 10번 발사되었으며, 첫 번째 발사는 ABMA와 공동으로 진행되었다.[1][2][10][6] 10기의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6기의 발사가 실패했다. 파이오니아 3호, 파이오니아 4호, 익스플로러 7호, 익스플로러 8호, 익스플로러 11호가 LC-5와 LC-26B에서 발사되었다.

주노 II 발사 기록
발사 순서비행 번호날짜/시간 (GMT)발사 기지탑재체탑재체 질량궤도결과비고
1AM-111958년 12월 6일
05:44
LC-5파이오니아 3호6 kg고준궤도부분 실패주노 II의 첫 발사. 4단계. 탐사선. 추진제 고갈 회로 고장으로 인한 1단계 조기 종료.
2AM-141959년 3월 3일
05:10
LC-5파이오니아 4호6 kg태양 중심 궤도성공 탐사선.
3AM-161959년 7월 16일
17:37
LC-5익스플로러 S-142 kg저궤도실패합선된 다이오드로 인해 유도 시스템의 전원이 손실되었고, 발사 직후 제어 실패 발생. 발사 5초 후 RSO에 의해 파괴됨.
4AM-19B1959년 8월 15일
00:31
LC-26B비콘 2실패발사 203초 후 유도실의 감압으로 제어 실패.
5AM-19A1959년 10월 13일
15:30
LC-5익스플로러 7호42 kg저궤도성공
6AM-19C1960년 3월 23일
13:35
LC-26B익스플로러 S-4641 kg실패2단계 모터 1개가 점화에 실패하여 균형이 맞지 않는 추력으로 궤도 속도에 도달하지 못함.
7AM-19D1960년 11월 3일
05:23
LC-26B익스플로러 8호41 kg저궤도성공
8AM-19F1961년 2월 25일
00:13
LC-26B익스플로러 S-45실패상승 중 3단계 손상으로 인해 점화 불가.
9AM-19E1961년 4월 27일
14:16
LC-26B익스플로러 11호37 kg저궤도성공
10AM-19G1961년 5월 24일
19:48
LC-26B익스플로러 S-45A실패계측 장치 전원 고장. 2단계 점화가 발생하지 않음.


5. 제원

(2.43 kN·s/kg)214 초
(2.10 kN·s/kg)214 초
(2.10 kN·s/kg)214 초
(2.10 kN·s/kg)연소 시간182 초6 초6 초6 초전체 길이18.28m1m1m1m직경2.67m1m0.5m0.3m엔진로켓다인 S-3D11기 MGM-293기 MGM-291기 MGM-29추진제LOX/RP-1고체 연료고체 연료고체 연료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Juno II http://www.astronaut[...] 2023-11-29
[2] 웹사이트 Juno-2 (4 Stage) https://space.skyroc[...] 2023-11-29
[3] 웹사이트 Jupiter http://www.astronaut[...] 2023-11-29
[4] 웹사이트 Juno II https://airandspace.[...] 2016-06-09
[5] 웹사이트 'JUNO II FACT SHEET {{!}} Spaceline' https://www.spacelin[...] 2023-11-29
[6] 웹사이트 Juno-2 https://space.skyroc[...] 2023-11-29
[7] 서적 Juno II Summary Project Report https://books.googl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962
[8] 서적 The History of Rocket Technology: Essays on Research, Development, and Utility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64
[9] 서적 Juno II Summary Project Report https://books.googl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962
[10] 웹사이트 Juno-2 (3 stage) https://space.skyroc[...] 2023-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