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한 프랑스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은 대한민국 주재 프랑스 외교 공관이다. 1886년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체결로 조선과 프랑스 간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고, 프랑스는 조선에서 포교의 자유를 얻었다. 1949년 대한민국을 정식 승인하고 공사관을 설치했으며, 1958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역대 주한 프랑스 대사로는 앙리 코스틸류, 로제르 샹바르, 필립 르포르, 필립 베르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프랑스 관계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대한민국-프랑스 관계 - 서울프랑스학교
    서울프랑스학교는 1974년 개교하여 1985년 서초구 서래마을로 이전했으며, 프랑스 문화가 짙게 남아있는 지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 서울 서대문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 창의성 및 감수성 함양을 지원하는 교육을 제공한다.
  • 서울 서대문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경찰청은 치안과 공공 안전 유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미군정청 경무국에서 시작하여 내무부 외청으로 독립, 자치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출범을 거쳐 현재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국, 심의관실, 과 및 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전국 시·도경찰청을 통해 지역 치안을 담당하고 경찰관 양성 및 특수 조직 운영 등 다양한 치안 수요에 대응한다.
주한 프랑스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랑스 공화국 문장
프랑스 공화국 문장
현지어 이름프랑스어: Ambassade de France en Corée du Sud
약칭없음
설립일1949년 4월
전신없음
해산일없음
후신없음
관할대한민국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3 (합동 30)
직원정보 없음
예산정보 없음
모토정보 없음
기관장필리프 르포르
기관장 이름대사
기관장2정보 없음
기관장2 이름정보 없음
상급 기관프랑스 유럽외교부
산하 기관정보 없음
웹사이트주한 프랑스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2. 공관 연혁

1886년 6월 4일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체결로 조선과 프랑스 간 외교 관계가 수립되어, 프랑스는 조선에서 포교의 자유를 획득했다. 1949년 2월 19일 프랑스는 대한민국을 승인하고, 같은 해 4월 주한 프랑스 공사관을 설립했다. 1958년 10월 주한 프랑스 공사관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2. 1. 조선-프랑스 외교 관계 수립 (1886년)

조선과 프랑스는 1886년 6월 4일 조불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이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조선에서 포교의 자유를 획득하였다.

2. 2. 대한민국 승인 및 공사관 설립 (1949년)

1949년 2월 19일 프랑스는 대한민국을 정식으로 승인하였다. 같은 해 4월, 주한 프랑스 공사관이 설립되었다.

2. 3. 대사관 승격 (1958년)

1949년 4월 주한 프랑스 공사관이 설립되었고, 1958년 10월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3. 역대 주한 프랑스 대사

역대 주한 프랑스 대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
1앙리 코스틸류1949년 ~ 1959년
2로제르 샹바르1959년 ~ 1969년
3프레데리크 막스1969년 ~ 1971년
4피에르 랑디1971년 ~ 1975년
5레미 테이시에 뒤 크로스1975년 ~ 1980년
6베르나르 폴랭1980년 ~ 1982년
7앙드레 베양1982년 ~ 1985년
8장베르나르 우브리외1985년 ~ 1987년
9위베르 포르케노 드 라 포르텔1987년 ~ 1991년
10베르나르 프라그1991년 ~ 1993년
11도미니크 페로1993년 ~ 1997년
12장폴 레오1997년 ~ 2001년
13프랑수아 데스쿠에트2001년 ~ 2005년
14필립 티보2005년 ~ 2009년
15엘리자베트 로랭2009년 ~ 2012년
16제롬 파스키에2012년 ~ 2015년
17파비앙 페논2015년 ~ 2019년
18필립 르포르2019년 ~ 2023년
19필립 베르투2023년 ~ 현재


3. 1. 주요 대사

재임 기간이름비고
1949년 ~ 1959년앙리 코스틸류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 주한 프랑스 공사로 재직하며 양국 관계의 기틀을 다졌다.
1959년 ~ 1969년로제르 샹바르1960년대 한국의 경제 발전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9년 ~ 1971년프레데리크 막스
1971년 ~ 1975년피에르 랑디
1975년 ~ 1980년레미 테이시에 뒤 크로스
1980년 ~ 1982년베르나르 폴랭
1982년 ~ 1985년앙드레 베양
1985년 ~ 1987년장베르나르 우브리외
1987년 ~ 1991년위베르 포르케노 드 라 포르텔
1991년 ~ 1993년베르나르 프라그
1993년 ~ 1997년도미니크 페로
1997년 ~ 2001년장폴 레오
2001년 ~ 2005년프랑수아 데스쿠에트
2005년 ~ 2009년필립 티보
2009년 ~ 2012년엘리자베트 로랭
2012년 ~ 2015년제롬 파스키에
2015년 ~ 2019년파비앙 페논
2019년 ~ 2023년필립 르포르문재인 정부 시기 주한 프랑스 대사로 재직하며 한-프랑스 관계 강화에 기여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양국 간 협력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 현재필립 베르투윤석열 정부 시기 주한 프랑스 대사로 부임하여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3. 2. 전체 대사 목록

대수이름임기
1앙리 코스틸류 (Henri Costilhes)1949년 ~ 1959년
2로제르 샹바르 (Roger Chambard)1959년 ~ 1969년
3프레데리크 막스 (Frédéric Max)1969년 ~ 1971년
4피에르 랑디 (Pierre Landy)1971년 ~ 1975년
5레미 테이시에 뒤 크로스 (Rémi Teissier Du Cros)1975년 ~ 1980년
6베르나르 폴랭 (Bernard Follin)1980년 ~ 1982년
7앙드레 베양 (André Baeyens)1982년 ~ 1985년
8장베르나르 우브리외 (Jean-Bernard Ouvrieu)1985년 ~ 1987년
9위베르 포르케노 드 라 포르텔 (Hubert Forquenot de La Fortelle)1987년 ~ 1991년
10베르나르 프라그 (Bernard Prague)1991년 ~ 1993년
11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eau)1993년 ~ 1997년
12장폴 레오 (Jean-Paul Réau)1997년 ~ 2001년
13프랑수아 데스쿠에트 (François Descoueyte)2001년 ~ 2005년
14필립 티보 (Philippe Thiebaud)2005년 ~ 2009년
15엘리자베트 로랭 (Élisabeth Laurin)2009년 ~ 2012년
16제롬 파스키에 (Jérôme Pasquier)2012년 ~ 2015년
17파비앙 페논 (Fabien Penone)2015년 ~ 2019년
18필립 르포르 (Philippe Lefort)2019년 ~ 2023년
19필립 베르투 (Philippe Bertoux)2023년 ~ 현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