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준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위성은 행성을 공전하지만, 궤도가 불안정하여 행성과 함께 공전하지 않고 행성의 중력에 일시적으로 포획되는 천체를 의미한다. 2023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일곱 개의 준위성이 알려져 있으며, 소행성이 준위성 궤도와 말굽형 궤도를 오가기도 한다. 다른 행성으로는 금성, 해왕성, 세레스, 명왕성 등에서 준위성이 발견되었거나 후보 천체가 존재한다. 준위성은 중력의 영향, 궤도 변화, 그리고 다른 천체와의 관계 등 다양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 - 위성 전화
    위성 전화는 위성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로, 재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높은 통화 비용과 보안 문제, 법적 제한 등의 문제점도 있다.
  • 위성 - 스타링크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저궤도 군집 위성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화성 탐사 자금 조달을 목표로 하지만 빛 공해, 전파 간섭, 위성 충돌 위험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준위성

2. 지구의 준위성

2016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33][34], [29], [30], [31], [32]의 다섯 개 준위성이 알려져 있었다. 2023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9[3], 35[4], 2013 LX28[5], 2014 OL339[6], 469219 카모오알레와[7][8], 2020 PP1, 2023 FW13까지 총 일곱 개의 준위성이 알려져 있다.

469219 카모오알레와 (3/2016 HO영어)는 지금까지 발견된 지구의 가장 안정적인 준위성 중 하나로 여겨진다. 지구로부터 38~100 달거리 사이에 머문다.[10]

지구 관점에서 본 소행성 469219 카모오알레와의 진동하는 궤도.


장기적으로 소행성은 준위성 궤도와 말굽형 궤도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라그랑주점 L4와 L5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2016년까지 궤도 계산 결과 지구의 당시 알려진 다섯 개의 준위성 모두가 반복적으로 말굽형 궤도와 준위성 궤도 사이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753 크루이트네[9], 2002 AA29[1], 2003 YN107 및 2015 SO2[5]는 말굽형 궤도를 도는 소행성으로, 준위성 궤도로 진화할 수 있다. 준위성 단계에서 보내는 시간은 소행성마다 다르다. 준위성 3/2016 HO영어는 수백 년 동안 이 궤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107/2003 YN영어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준위성이었지만, 그 후 말굽형 궤도를 따라 지구 근처를 벗어났다.[8][10]

지구의 알려진 및 추정 동반 천체
명칭이심률지름
(m)
발견자발견일유형현재 유형
3753 크루이트네0.5155000던컨 월드론1986-10-10준위성말굽형 궤도
2002 AA290.01320–100LINEAR2002-01-09준위성말굽형 궤도
2003 YN1070.01410–30LINEAR2003-12-20준위성말굽형 궤도
90.136160–360LINEAR2004-04-13준위성준위성
350.377140–320스페이스워치2006-03-29준위성준위성
2013 LX280.452130–300Pan-STARRS2013-06-12준위성 임시준위성 임시
2014 OL3390.46170–160EURONEAR2014-07-29준위성 임시준위성 임시
2015 SO20.10850–110체르니 브르흐 천문대2015-09-21준위성말굽형 궤도 임시
469219 카모오알레와0.10440-100Pan-STARRS2016-04-27준위성 안정적준위성 안정적
2020 PP10.07410–20Pan-STARRS2020-08-12준위성 안정적준위성 안정적
2023 FW130.17710-20Pan-STARRS2023-03-28준위성준위성


2. 1. 현재 확인된 지구의 준위성

2016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164207) 2004 GU9[29], (277810) 2006 FV35[30], 2013 LX28[31], 2014 OL339[32], 469219 카모오알레와[33][34] 다섯 개의 준위성이 알려져 있었다. 2023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164207) 2004 GU9[3], (277810) 2006 FV35[4], 2013 LX28[5], 2014 OL339[6], 469219 카모오알레와[7][8], 2020 PP1, 2023 FW13까지 총 일곱 개의 준위성이 알려져 있다.

469219 카모오알레와 (2016 HO3)는 지구의 가장 안정적인 준위성 중 하나로, 지구로부터 38~100 달거리 사이에 머문다.[10]

장기적으로 소행성은 준위성 궤도와 말굽형 궤도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라그랑주점 L4와 L5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2016년까지 궤도 계산 결과 지구의 당시 알려진 다섯 개의 준위성 모두가 반복적으로 말굽형 궤도와 준위성 궤도 사이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753 크루이트네[9], 2002 AA29[1], 2003 YN107[5] 및 2015 SO2[5]는 말굽형 궤도를 도는 소행성으로, 준위성 궤도로 진화할 수 있다. 준위성 단계에서 보내는 시간은 소행성마다 다르다. 준위성 2016 HO3는 수백 년 동안 이 궤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2003 YN107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준위성이었지만, 그 후 말굽형 궤도를 따라 지구 근처를 벗어났다.[8][10]

지구의 알려진 및 추정 동반 천체
명칭이심률지름
(m)
발견자발견일유형현재 유형
3753 크루이트네0.5155000던컨 월드론1986-10-10준위성말굽형 궤도
2002 AA290.01320–100LINEAR2002-01-09준위성말굽형 궤도
2003 YN1070.01410–30LINEAR2003-12-20준위성말굽형 궤도
(164207) 2004 GU90.136160–360LINEAR2004-04-13준위성준위성
(277810) 2006 FV350.377140–320스페이스워치2006-03-29준위성준위성
2013 LX280.452130–300Pan-STARRS2013-06-12준위성 임시준위성 임시
2014 OL3390.46170–160EURONEAR2014-07-29준위성 임시준위성 임시
2015 SO20.10850–110체르니 브르흐 천문대2015-09-21준위성말굽형 궤도 임시
469219 카모오알레와0.10440-100Pan-STARRS2016-04-27준위성 안정적준위성 안정적
2020 PP10.07410–20Pan-STARRS2020-08-12준위성 안정적준위성 안정적
2023 FW130.17710-20Pan-STARRS2023-03-28준위성준위성


2. 2. 과거 지구의 준위성이었던 천체

3753 크루이트네[35], 2002 AA29[36], 2003 YN107[10], 2015 SO2[5]는 과거 지구의 준위성이었던 천체들이다. 이들은 일시적으로 지구의 준위성이 되는 1:1 궤도 공명 천체로, 장기적으로는 말굽형 궤도와 준위성 궤도 사이를 이동한다.[8] 3753 크루이트네는 1986년 던컨 월드론이 발견하였으며, 5000m 크기의 소행성이다. 현재는 말굽형 궤도를 돌고 있다.[9] 2002 AA29는 2002년 LINEAR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지름은 20~100m이다. 이 천체 또한 현재 말굽형 궤도에 있다.[1] 2003 YN107은 2003년 LINEAR에 의해 발견되었고 지름 10~30m의 소행성으로,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준위성이었다가 이후 말굽형 궤도로 돌아갔다.[10] 2015 SO2는 2015년 체르니 브르흐 천문대에서 발견되었으며, 지름은 50~110m이다. 현재는 말굽형 궤도에 일시적으로 머무르고 있다.

서로 따르는 듯한 3753 크뤼트네와 지구의 궤도.

2. 3. 지구 준위성의 특징

지구의 준위성들은 대부분 수십 년에서 수백 년 동안 일시적으로 준위성 궤도를 유지한다.[17][18] 2023년 기준으로 지구에는 7개의 알려진 준위성이 있다.
469219 카모오알레와(2016 HO3)는 지구의 가장 안정적인 준위성 중 하나로, 지구로부터 38~100 달거리 사이에 머물며,[10] 수백 년 동안 이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8]

일부 준위성은 말굽형 궤도를 오가며, 라그랑주점 L4와 L5를 중심으로 순환하는 지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궤도가 변화한다.[8] 2016년까지 궤도 계산 결과 지구의 당시 알려진 다섯 개의 준위성 모두가 반복적으로 말굽형 궤도와 준위성 궤도 사이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753 크루이트네,[9] 2002 AA29,[1] 2003 YN107 및 2015 SO2[5]는 말굽형 궤도를 도는 소행성으로, 준위성 궤도로 진화할 수 있다. 준위성 단계에서 보내는 시간은 소행성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2016 HO3는 수백 년 동안 안정적인 준위성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03 YN107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만 준위성이었고 이후 말굽형 궤도로 돌아갔다.[8][10]

3. 다른 행성의 준위성

금성에는 524522 주즈브(524522 Zoozve)가 발견되었다.[2] 이 소행성은 수성 궤도를 교차하는 소행성이자 지구 궤도를 교차하는 소행성이기도 하다. 2002 VE68은 지난 7000년 동안 금성과 1:1 궤도 공명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500년 동안 이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20] 또한, (322756) 2001 CK32와 2012 XE133은 준위성일 가능성이 있다.[21]

해왕성에는 (309239) 2007 RW10가 발견되어 있다.[11] 이 천체는 약 1만 2500년 동안 해왕성의 준위성이었으며, 앞으로 1만 2500년 동안 그 역동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11] 원래는 해왕성의 L5 트로이군 소행성이었지만, 1만 2500년 전부터 해왕성의 준위성이 되었다고 추정된다.[23] (309239) 2007 RW10의 지름은 약 247km로 추정되며, 발견된 준위성 중 가장 크다.[24]

명왕성에는 준위성 후보 천체로 15810 아라운이 발견되었다. 다른 준위성들과 달리, 15810 아라운은 준위성이 되는 천체의 중력의 영향이 아니라 해왕성이라는 다른 천체의 중력에 의해 현재의 궤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된다.[25][26] 약 10만 년 전부터 이 궤도에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약 25만 년 동안 이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해왕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15810 아라운의 역학적 상태를 명왕성의 준위성으로 간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없으며, 후속 관측을 바탕으로 이 천체는 명왕성의 준위성이 아니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27][28]

세레스는 아직 이름이 없는 (76146) 2000 EU16이라는 준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천왕성해왕성태양계 탄생 이후 약 45억 년 동안 준위성을 유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목성토성 근처에서는 준위성의 궤도가 유지되는 기간이 각각 1000만 년 및 10만 년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성과 토성이 준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25]

3. 1. 금성의 준위성

524522 주즈브(524522 Zoozve)는 금성의 유일하게 알려진 준위성이다.[2] 이 소행성은 수성 궤도를 교차하는 소행성이자 지구 궤도를 교차하는 소행성이기도 하다. 약 7,000년 동안만 금성의 "동반 천체"였던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약 500년 안에 이 궤도 배열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2] 2002 VE68은 지난 7000년 동안 금성과 1:1 궤도 공명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500년 동안 이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20]

3. 2. 해왕성의 준위성

(309239) 2007 RW10해왕성의 임시 준위성이다.[11] 이 천체는 약 1만 2500년 동안 해왕성의 준위성이었으며, 앞으로 1만 2500년 동안 그 역동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11] 원래는 해왕성의 L5 트로이군 소행성이었지만, 1만 2500년 전부터 해왕성의 준위성이 되었다고 추정된다.[23] (309239) 2007 RW10의 지름은 약 247km로 추정되며, 발견된 준위성 중 가장 크다.[24]

3. 3. 세레스의 준위성

세레스는 아직 이름이 없는 (76146) 2000 EU16이라는 준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4. 명왕성의 준위성 (논란)

15810 아라운은 명왕성의 우연한 준위성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해왕성의 영향으로 궤도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14][25][26] 아라운은 240만 년마다 명왕성의 준위성이 되며, 거의 35만 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 등 이러한 역동적인 행동은 반복된다.[14][15][16]

하지만, 해왕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15810) 1994 JR1의 역학적 상태를 명왕성의 준위성으로 간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없으며, 후속 관측을 바탕으로 이 천체는 명왕성의 준위성이 아니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27][28]

4. 인공 준위성

1989년 초, 소련의 포보스 2호(Фобос-2) 우주선이 화성의 위성 포보스 주변의 준위성 궤도에 진입했다.[13] 포보스로부터 평균 궤도 반지름은 약 100km였으며, 계산에 따르면 수개월 동안 포보스 주변에 갇혀 있을 수 있었다.[13] 그러나 우주선은 기체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소실되었다.[13] 포보스 2호는 인공 천체이지만, 1989년 1월 29일에 궤도에 투입된 이후 현재도 화성의 준위성으로 공전하고 있다고 여겨진다.[22]

5. 우연한 준위성

일부 천체는 중력의 영향으로 준위성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우연한 준위성으로 알려져 있다.[14] 왜소행성 세레스와 플루토는 우연한 준위성을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플루토의 경우, 알려진 우연한 준위성인 15810 아라운은 플루토와 마찬가지로 플루티노이며, 해왕성의 중력적 영향으로 이러한 배치를 유지한다.[14] 아라운은 240만 년마다 플루토의 준위성이 되며, 거의 35만 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 등 이러한 역동적인 행동은 반복된다.[14][15][16]

명왕성에는 준위성 후보 천체로 (15810) 1994 JR1이 발견되었다. 이 천체는 명왕성의 중력이 아닌 해왕성의 중력에 의해 현재 궤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된다.[25][26] 약 10만 년 전부터 이 궤도에 있었으며, 앞으로 약 25만 년 동안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해왕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15810) 1994 JR1을 명왕성의 준위성으로 간주할지에 대해서는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없으며, 후속 관측을 바탕으로 명왕성의 준위성이 아니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27][28]

6. 준위성 연구의 중요성 (한국의 관점)

참조

[1] 저널 Discovery of an asteroid and quasi-satellite in an Earth-like horseshoe orbit
[2] 저널 Asteroid 2002 VE68, a quasi-satellite of Venus
[3] 저널 Transient co-orbital asteroids 2004-09-00
[4] 저널 Dynamical evolution of Earth's quasi-satellites: 2004 GU9 and 2006 FV35 https://hal.archives[...] 2010-10-00
[5] 저널 From horseshoe to quasi-satellite and back again: The curious dynamics of Earth co-orbital asteroid 2015 SO2 2016-00-00
[6] 저널 Asteroid 2014 OL339: Yet another Earth quasi-satellite
[7] 웹사이트 Small asteroid is Earth's constant companion http://www.jpl.nasa.[...] 2016-06-15
[8] 저널 Asteroid (469219) 2016 HO3, the smallest and closest Earth quasi-satellite 2016-00-00
[9] 저널 A long-lived horseshoe companion to the Earth
[10] 웹사이트 Small Asteroid is Earth's Constant Companion http://www.jpl.nasa.[...]
[11] 저널 (309239) 2007 RW10: a large temporary quasi-satellite of Neptune 2012-09-00
[12] 저널 The stability of quasi satellites in the outer solar system
[13] 웹사이트 http://www.federalsp[...]
[14] 저널 Plutino 15810 (1994 JR1), an accidental quasi-satellite of Pluto 2012-00-00
[15] 웹사이트 Pluto's fake moon http://www.skyandtel[...]
[16] 저널 The analemma criterion: accidental quasi-satellites are indeed true quasi-satellites 2016-00-00
[17] arXiv Along-lived horseshoe companion to the Earth https://arxiv.org/ab[...]
[18] arXiv A resonant family of dynamically cold small bodies in the near-Earth asteroid belt https://arxiv.org/ab[...]
[19] 웹사이트 (66063) 1998 RO1 http://www.johnstons[...]
[20] 웹사이트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2002 VE68, a quasi-moon of Venus http://www.lacitycol[...]
[21] arXiv Asteroid 2012 XE133: a transient companion to Venus https://arxiv.org/ab[...]
[22] 웹사이트 Refinement of the Gravitational Constant of PHOBOS from PHOBOS-2 Tracking Data http://adsabs.harvar[...]
[23] arXiv (309239) 2007 RW10: a large temporary quasi-satellite of Neptune https://arxiv.org/ab[...]
[24] arXiv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V. Size/albedo characterization of 15 scattered disk and detached objects observed with Herschel Space Observatory-PACS https://arxiv.org/ab[...]
[25] arXiv Plutino 15810 (1994 JR1), an accidental quasi-satellite of Pluto https://arxiv.org/ab[...]
[26] 웹사이트 Pluto's Fake Moon http://www.skyandtel[...]
[27] 웹사이트 New Horizons Collects First Science on a Post-Pluto Object http://www.nasa.gov/[...] NASA/JHUAPL/SwRI 2016-05-17
[28] 저널 The First High-phase Observations of a KBO: New Horizons Imaging of (15810) 1994 JR1 from the Kuiper Belt 2016-00-00
[29] 저널 Transient co-orbital asteroids 2004-09-00
[30] 저널 Dynamical evolution of Earth’s quasi-satellites: 2004 GU9 and 2006 FV35 2010-10-00
[31] 저널 From horseshoe to quasi-satellite and back again: the curious dynamics of Earth co-orbital asteroid 2015 SO2 2016-00-00
[32] 저널 Asteroid 2014 OL339: yet another Earth quasi-satellite
[33] 웹인용 Small Asteroid Is Earth's Constant Companion http://www.jpl.nasa.[...] 2016-06-15
[34] 저널 Asteroid (469219) 2016 HO3, the smallest and closest Earth quasi-satellite http://mnras.oxfordj[...] 2016-00-00
[35] 저널 A long-lived horseshoe companion to the Earth
[36] 저널 Discovery of an asteroid and quasi-satellite in an Earth-like horseshoe orb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