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증권 분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권 분석''은 1934년 데이비드 도드와 벤저민 그레이엄이 저술한 책으로, 가치 투자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며 현대 재무 분석과 기업 금융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주식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고, 안전 마진을 확보하는 투자를 강조하며, 시장 효율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워렌 버핏은 이 책의 영향을 받아 가치 투자를 옹호했으며, CFA Institute와 월스트리트 저널 등에서도 이 책을 가치 투자의 원전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 책 - 경제와 사회
    막스 베버의 사회학은 이상형 개념을 통해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사회 행위와 종교 활동의 유형을 구분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국가 폭력에서 강제력과 정당성 인정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지만, 보수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경제학 책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증권 분석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Security analysis.jpg
1934년 초판
제목증권 분석
원제Security Analysis
저자벤저민 그레이엄, 데이비드 도드
언어영어
국가미국
출판사Whittlesey House, 맥그로힐 북 컴퍼니
출판일1934년
페이지 수725쪽
ISBN0-07-144820-9 (2005년판)
OCLC2140220

2. 역사

''증권 분석''은 1930년대 초 데이비드 도드와 벤저민 그레이엄이 저술했으며, 두 저자 모두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가르쳤다. ''뉴욕 타임스''는 "투자자를 위한 상식적인 지침서로 의도되었지만, 다섯 번의 개정판을 거쳐 25만 부 이상 판매된 두꺼운 교과서가 되었다[1988년까지]."라고 평했다.[1] 경제학자 어빙 칸은 1930년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그레이엄의 조교였으며, ''증권 분석'' 저술에 필요한 연구에 기여했다.[2]

2. 1. 초판 (1934)

월 스트리트에서 전례 없는 손실이 발생한 후인 1934년에 초판이 출판되었다. 그레이엄과 도드는 회사의 보고된 주당 순이익에 집중하는 월 스트리트를 비판하고, 특히 선호되는 "수익 추세"에 대해 혹평했다.[3] 투자자들이 증권 뒤에 있는 사업의 대략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취하도록 권장했다. 시장이 특정 비호감 증권을 비합리적으로 저평가하는 경향에 대한 여러 실제 사례를 통해, 현명한 투자자들에게 이것이 기회임을 강조했다.

그레이엄은 ''증권 분석''에서 투자를 투기와 구별되는 명확한 정의를 제시했다. "투자 행위는 철저한 분석을 통해 원금의 안전과 적절한 수익을 약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위는 투기적이다."[3]

이 책에서 안전 마진과 같은 여러 금융 용어가 만들어졌다. 재무적 어려움 기간이라는 문구가 언제 처음 사용되었고 누가 사용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문구 또는 이와 거의 동등한 문구는 1934년 그레이엄의 ''증권 분석''에서 처음 개발한 가치 투자 이론과 관련하여 거의 확실히 처음 사용되었다.

2. 2. 이후 판본

1962년, 벤저민 그레이엄은 주식 가치 평가에 사용하는 발견법(Heuristic)을 제시했다. 이는 ''현명한 투자자''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V = \text{EARNINGS} \times (8.5 + 2g)

  • V: 내재 가치
  • EARNINGS: 후행 12개월 수익
  • 8.5: 무성장 기업의 P/E 기준
  • g: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7~10년의 성장률


다만, 이 공식은 당시의 금리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1970년대, 그레이엄은 효율적 시장 가설을 일부 수용하며, 개별 주식 투자보다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한 분산 투자를 권장했다. ''증권분석''은 여러 차례 개정판이 출간되었으며, 현대 가치 투자의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주요 내용

3. 1. 가치 투자

3. 2. 안전 마진

3. 3. 재무 분석

4. 시장 적용 및 영향

이 책은 재무 분석과 기업 금융의 시작을 나타낸다.[4] 그러나 1970년대에 이르러 그레이엄은 증권 분석가가 개별 주식 투자를 선택할 때 자신의 저서에 설명된 기술을 신중하게 사용할 것을 더 이상 옹호하지 않았다. "현재 수행되는 방대한 연구를 고려할 때,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광범위한 노력이 비용을 정당화할 만큼 충분히 우수한 선택을 만들어낼지 의문스럽습니다. 이러한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저는 현재 교수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효율적 시장' 학파의 입장에 서 있습니다."[4] 그레이엄은 기관 자금의 평균 관리자는 주가 지수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말했는데, "그것은 주식 시장 전문가 전체가 스스로를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며, 이는 논리적 모순입니다."[4] 포트폴리오 구성과 관련하여 그레이엄은 투자자가 증권 가격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준을 적용하여 "완전한 가치가 존재함을 보장"하고, 개별 증권보다는 포트폴리오 전체에 의존하는 "매우 단순화된"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4]

워렌 버핏이 가치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쓴 1984년 논문인 "그레이엄 앤드 도드빌의 슈퍼 투자자들"은 1934년 『증권 분석』 출간 50주년을 기념하여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1984년 5월 17일에 행한 연설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이 연설과 논문은 사례 연구를 통해 주식 시장이 효율적이라는 생각에 도전했다. 버핏은 그레이엄과 도드의 직계 제자라고 여겨지는 9명의 투자자를 언급하며 그들의 재정을 이용하여 시장 전반의 비효율성과 "터무니없는" 가격 책정에도 불구하고 "이 그레이엄 앤드 도드빌 투자자들은 가격과 가치 사이의 격차를 성공적으로 활용했다"고 주장했다.[5] 버핏은 1984년 논문에서 "여러분의 상업적인 마음을 가진 사람들 중 일부는 내가 왜 이 글을 쓰고 있는지 궁금해할 것입니다. 가치 접근 방식에 많은 개종자를 추가하면 가격과 가치 사이의 스프레드가 좁아질 것입니다. 벤 그레이엄과 데이브 도드가 『증권 분석』을 쓴 이후 50년이나 지났지만, 내가 가치 투자를 실천한 35년 동안 가치 투자로의 추세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쉬운 일을 어렵게 만드는 이상한 인간 특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학계는 지난 30년 동안 가치 투자를 가르치는 데서 멀어졌습니다. 아마도 계속 그럴 것입니다. 배는 세계를 항해하겠지만 평평한 지구 협회는 번성할 것입니다. 시장에는 가격과 가치 사이에 계속 큰 불일치가 있을 것이고, 그레이엄과 도드를 읽는 사람들은 계속 번영할 것입니다."라고 결론지었다.[5]

CFA Institute는 2012년에 "가치 투자의 뿌리는 1934년에 출판된 벤자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고전 『증권 분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레이엄은 나중에 널리 존경받는 책인 『현명한 투자자』에서 자신의 견해를 일반 대중에게 전파했다. 그레이엄의 방법론의 영향력은 부인할 수 없다."라고 썼다.[6] 2015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증권 분석』이 "현대 가치 투자의 원전으로 널리 여겨진다.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생각은 일부 주식이 확인된 '내재 가치'보다 상당히 낮게 거래되고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완전한 실패에 대한 안전 마진이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라고 썼다.[7] 2016년, ''Fortune''은 이 책을 "여전히 최고의 투자 가이드"라고 부르며 그 "탁월한 지속성"을 언급했다. 이 기사는 "주 저자인 그레이엄은 당시 무명의 교수이자 자산 관리자였으며, 대공황을 인내심 있는 증권 분석과 장기 투자를 옹호할 시기로 선택했다. 시장이 역사적인 붕괴의 고통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투자를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그레이엄은 그 순간을 꿰뚫어 볼 용기가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Fortune''은 또한 이 책이 인기를 유지하는 한 가지 이유는 "투자 방법에 대한 대체 불가능한 접근 방식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주식은 사업의 지분으로 평가되어 이를 기준으로 사고 팔아야 했다. 가족 농장의 구매를 고려하는 사람은 시장 추세나 최신 고용 보고서를 숙고하지 않았다. 보통주도 마찬가지여야 한다."라고 주장했다.[8]

4. 1. 워렌 버핏과 가치 투자

워렌 버핏은 1934년 출간된 『증권 분석』 50주년을 기념하여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1984년 5월 17일에 행한 연설을 바탕으로 "그레이엄 앤드 도드빌의 슈퍼 투자자들"이라는 논문을 썼다. 이 논문에서 버핏은 주식 시장이 효율적이라는 생각에 도전하며, 그레이엄과 도드의 제자 9명의 투자 사례를 통해 가격과 가치 사이의 격차를 활용하여 성공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5] 그는 가치 투자 방식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전향하면 가격과 가치의 차이가 좁아질 것이라고 우려하면서도, 벤 그레이엄과 데이브 도드가 『증권 분석』을 쓴 이후 50년, 자신이 가치 투자를 실천한 35년 동안 가치 투자로의 변화는 없었으며, 앞으로도 학계는 가치 투자를 가르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과 가치의 불일치는 계속될 것이며, 그레이엄과 도드를 읽는 사람들은 계속 번영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5]

CFA Institute는 2012년에 "가치 투자의 뿌리는 1934년에 출판된 벤자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고전 『증권 분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레이엄은 나중에 널리 존경받는 책인 『현명한 투자자』에서 자신의 견해를 일반 대중에게 전파했다. 그레이엄의 방법론의 영향력은 부인할 수 없다."라고 썼다.[6] 월스트리트 저널은 2015년에 『증권 분석』이 "현대 가치 투자의 원전으로 널리 여겨진다"라고 평가했다.[7] 2016년, ''Fortune''은 이 책을 "여전히 최고의 투자 가이드"라고 부르며, 주식은 사업의 지분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접근 방식이 이 책의 지속적인 인기의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8]

4. 2. 현대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

'증권 분석'은 재무 분석과 기업 금융 분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 특히, 이 책에서 제시된 가치 투자의 기본 원칙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7]

벤저민 그레이엄은 1970년대에 증권 분석가가 개별 주식 투자를 선택할 때 이 책에 설명된 기술을 신중하게 사용할 것을 더 이상 옹호하지 않았지만,[4] 워렌 버핏은 1984년 "그레이엄 앤드 도드빌의 슈퍼 투자자들"이라는 논문에서 가치 투자의 유효성을 옹호했다.[5] 버핏은 그레이엄과 도드의 제자들이 가격과 가치 사이의 격차를 성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평균을 뛰어넘는 수익을 올렸다고 주장하며, 시장의 비효율성을 지적했다.[5]

CFA Institute(공인재무분석사협회)는 2012년에 '증권 분석'을 가치 투자의 뿌리로 평가했으며,[6] 월스트리트 저널은 2015년에 이 책이 "현대 가치 투자의 원전"이라고 언급했다.[7] 2016년, ''Fortune''은 '증권 분석'을 "여전히 최고의 투자 가이드"라고 칭하며, 그레이엄이 대공황 시기에 장기 투자를 옹호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8]

5. 한국 금융 시장의 관점

참조

[1] 뉴스 Obitua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8-09-20
[2] 웹사이트 IRVING KAHN's Obituary on New York Times http://www.legacy.co[...] 2016-11-18
[3] 서적 The Intelligent Investor
[4] 간행물 A Conversation With Benjamin Graham http://www.bylo.org/[...]
[5] 논문 The Superinvestors of Graham-and-Doddsville http://www4.gsb.colu[...]
[6] 간행물 Book Review: Ben Graham Was a Quant https://blogs.cfains[...] CFA Institute blog 2012-01-19
[7] 간행물 Can an Index Fund Deliver the 'Value'?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5-09-08
[8] 간행물 Why Index Fund Investing Isn't Always the Answer http://fortune.com/2[...] 2016-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