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엠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엠피는 1985년 대산 기계로 설립되어 1994년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이다. 인쇄전자 및 홀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라미네이션 기술을 기반으로 슬리킹 시스템을 개발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상장 폐지 위기를 겪었으며, 과거 환헤지 관련 외환 손실 및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닥 상장 기업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코스닥 상장 기업 - 큐브 엔터테인먼트
큐브 엔터테인먼트는 2008년 홍승성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로, 포미닛, 비스트, (여자)아이들 등 여러 그룹을 데뷔시켰으며, iHQ에 인수되었다가 현재 VT GMP가 최대 주주이며, 펜타곤, (여자)아이들 등이 소속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기업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지엠피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설립 | 1985년 5월 |
| 상장일 | 1994년 8월 |
| 국가 | 대한민국 |
|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산업단지길 139 |
| 사업 지역 | 전 세계 |
| 대표 | 김양평 (대표이사) |
| 산업 | 제조업 |
| 서비스 | 전기전자 기기 제조업 |
| 주요 제품 | 라미네이션 기계 및 필름 |
| 웹사이트 | 지엠피 |
| 시장 정보 | |
2. 역사
지엠피는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디지털 피니싱 솔루션 분야의 기업이다. 1985년 창사 이래 라미네이션 기술을 연구해 왔으며, 관련 분야에서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2] 세계적인 사무기기 제조사 미국 아코-지비씨(ACCO-GBC)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전세계 10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제품생산량의 80~90%를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기업이다.[2]
디지털프린팅 분야에서는 미국 휴렛 팩커드 사의 골드파트너이기도 했다.[3] 휴렛 팩커드 측에서는 "지엠피의 기술력은 세계적이며, HP는 디지털프린팅 시장에서 지엠피와의 협력없이는 비즈니스를 이어나갈 수 없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4]
지엠피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내용 |
|---|---|
| 1985년 5월 | 대산 기계 설립 |
| 1986년 11월 | 주식회사 대산프라스틱 기계로 법인 전환 |
| 1990년 11월 | 상공부 장관 표창 (무역의 날, 수출유공자) |
| 1991년 5월 | "주식회사 지엠피"로 상호변경 |
| 1992년 11월 | 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
| 1994년 9월 | 코스닥 상장 |
| 1996년 5월 | 벤처기업상 수상 |
| 2000년 5월 | World Best Awards 제품력부문 다이아몬드상 수상 |
| 2000년 11월 | 5,000만불 수출탑 수상 |
| 2002년 3월 | 성실 납세 기업 표창 (재경부 총리) |
| 2002년 4월 | 프랑스 현지 법인 설립 |
| 2006년 4월 | 벤처기업 지정 |
| 2010년 10월 | HP사와 골드 파트너십 체결 인증 |
| 2011년 7월 | FDA 인증획득 |
| 2012년 2월 | 4,000만불 수출탑 수상 |
| 2013년 11월 | 김양평 대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3 기계의 날) |
| 2015년~2016년 2월 |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려 감자. 채권단에 인수됨 |
2. 1. 설립 초기 (1985년 ~ 1994년)
지엠피는 1985년 5월 대산 기계 설립을 시작으로, 1986년 11월 주식회사 대산프라스틱 기계로 법인 전환하였다.[2] 1990년 11월에는 상공부 장관 표창(무역의 날, 수출유공자)을 수상하였고,[2] 1991년 5월 "주식회사 지엠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2] 1992년 11월에는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2] 1994년 9월 코스닥에 상장되었다.[2]2. 2. 성장기 (1996년 ~ 2010년)
지엠피는 1990년 11월 무역의 날에 상공부 장관 표창(수출유공자)을 수상하였고,[2] 1991년 5월 "주식회사 지엠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2] 1992년 11월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2] 1994년 9월 코스닥에 상장,[2] 1996년 5월 벤처기업상을 수상하였다.[2]2000년 5월 World Best Awards 제품력 부문 다이아몬드상을 수상, [2] 11월 5,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다.[2] 2002년 3월 성실 납세 기업으로 재경부 총리 표창을 수상,[2] 같은 해 4월 프랑스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다.[2] 2006년 4월 벤처기업으로 지정되었다.[2]
2010년 10월 휴렛 팩커드사와 골드 파트너십 체결을 인증받았다.[3]
2. 3. 기술 혁신 및 위기 (2011년 ~ 현재)
지엠피는 라미네이션 기술을 바탕으로 2010년 10월 휴렛 팩커드(HP)와 골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3] 휴렛 팩커드 측에서는 "지엠피의 기술력은 세계적이며, HP는 디지털프린팅 시장에서 지엠피와의 협력없이는 비즈니스를 이어나갈 수 없다"라고 언급했다.[4]2011년 7월에는 FDA 인증을 획득했으며, 2012년 2월에는 4,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2013년 11월에는 김양평 대표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2013 기계의 날)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5년부터 2016년 2월까지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려 감자를 겪었고, 채권단에 인수되기도 했다.
3. 주요 기술
지엠피는 인쇄전자 기술과 홀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5], 사물인터넷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정밀한 기계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미세 단위 컨트롤이 필요한 첨단 공정에 강점을 보인다. 2013년 개발된 슬리킹 시스템은 이러한 기술력을 잘 보여준다.
슬리킹은 필름에 미세한 홈을 새겨 홀로그램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2개의 레이저 광선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필름에 0.2~0.3 마이크로m(100만분의 1m) 깊이의 홈을 새기면, 빛의 굴절이 달라져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영상을 보여 3차원 영상과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3. 1. 라미네이션 기술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디지털 피니싱 솔루션으로 세계 최대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한 지엠피는 1985년 창사 이래 라미네이션 기술만을 연구해 왔다. 110개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보유, 총 300건이 넘는 라미네이팅 부문 산업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2]라미네이션 기술은 과거부터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이나 문서 위조 등의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2010년 이후로는 사물인터넷, 인쇄전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제작 등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공정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태양 전지에 들어가는 태양광 모듈이나 차세대 소재인 그래핀 생산 등에도 이용된다. 이는 라미네이션 기술이, 전자회로가 들어가는 얇은 필름을 쉽고 빠르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 때문이다.[5]
지엠피는 얇은 필름에 전자회로를 인쇄하는 인쇄전자 기술과 홀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인쇄전자 기술 때문에 증시에서는 사물인터넷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정밀한 기계 제어 기술을 요하는 라미네이팅 전문 기업이라, 미세한 단위의 컨트롤이 필요한 첨단 공정에 강점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2013년에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슬리킹 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슬리킹이란 필름에 미세한 홈을 새기는 기술로, 홀로그램 제작에 이용된다. 홀로그램을 만들려면 2개의 레이저 광선의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필름에 0.2-0.3 마이크로m(100만분의 1m)의 깊이로 홈을 새겨야 한다. 이 미세한 홈에 의해 빛의 굴절이 달라져,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상이 틀려지게 되고, 따라서 마치 3차원의 영상이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된다.
3. 2. 슬리킹 시스템
슬리킹(sleeking)은 필름에 미세한 홈을 새기는 기술로, 홀로그램 제작에 이용된다. 홀로그램을 만들려면 2개의 레이저 광선의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필름에 0.2um~0.3um 깊이로 홈을 새겨야 한다. 이 미세한 홈에 의해 빛의 굴절이 달라져,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상이 틀려지게 되고, 따라서 마치 3차원의 영상이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된다.3. 3. 인쇄전자 기술
지엠피는 얇은 필름에 전자회로를 인쇄하는 인쇄전자 기술과 홀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5] 인쇄전자 기술 때문에 증시에서는 사물인터넷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한다.라미네이팅 전문 기업으로서 정밀한 기계 제어 기술을 요하므로, 미세한 단위의 컨트롤이 필요한 첨단 공정에 강점을 보인다.
4. 재무 정보
지엠피는 두 차례 환헤지 관련 외환 손실을 경험했다. 2009년에는 키코로 인해 98억원의 손실을 보았고, 이로 인해 신용 등급 하락과 주가 하락이 발생했다.[7] 2012년에는 대출 통화를 달러에서 엔화로 바꾸면서 엔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외환 손실을 겪었다.[8]
파주 문발공단 내 지엠피 소유 토지와 건물을 합한 부동산 자산 가치는 260억원 상당이었다. 이 부지의 땅값 급등으로 DMZ 세계평화공원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했다.[9]
4. 1. 지분 구조
한때 미국 최대의 문구업체 아코-지비씨(ACCO-GBC)가 2대 주주로 있었다.[6]4. 2. 외환 손실
지엠피는 두 차례에 걸쳐 환헤지 관련 외환 손실을 보았다. 2009년에는 환헤지 파생상품인 키코 손실로 98억원의 손해를 보았다. 그 후 파생상품 계약이 종결돼 추가적인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이로 인해 신용 등급이 하향되고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7] 2012년에는 대출금을 달러에서 엔화로 바꾸었으나, 엔화 가치가 2배 가까이 뛰면서 외환 손실을 보았다.[8]4. 3. 부동산 자산
지엠피가 파주에 소유한 문발공단 내 부지의 장부가격은 183억원이고 건물은 82억원으로, 토지와 건물을 합쳐 260억원 상당을 보유하고 있었다. 한때 파주 본사 부지의 땅값이 급등하면서 DMZ 세계평화공원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했다.[9] 이는 1996년 입주 당시보다 토지가격이 10배가량 상승한 것이다.[10]참조
[1]
월간지
이 사람 - 국내영업 포기하고 해외로 뛰어 성공한 金良枰 GMP회장 “중국의 불법 카피업자들이 ‘당신 물건 최고’라 합디다”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1-08
[2]
웹인용
경기도 우수기업 홍보관
https://web.archive.[...]
2014-10-29
[3]
간행물
라미네이팅 전문업체 지엠피 - 라미네이팅 지존 자리 지킨다
http://www.printingk[...]
프린팅코리아
2005-04
[4]
뉴스
지엠피, HP 내년 3D프린터 본격진출..↑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3-10-24
[5]
간행물
Lamination 공정개발 및 장비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2
[6]
서적
경영은 도전이다 - 나의 사업이야기 2
매일경제신문사
2001
[7]
웹인용
한신정평가, 지엠피 신용등급 B+ 하향
http://www.edaily.co[...]
2014-10-29
[8]
뉴스
대·중소기업 아름다운 동행
서울경제
2012-08-02
[9]
뉴스
"[특징주]지엠피, 파주 200억대 토지 부각에 상승세"
이투데이
2014-02-12
[10]
뉴스
지엠피, 파주교하 땅값 10배 상승
뉴스핌
2007-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