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질산 환원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산 환원 효소는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하는 효소로,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에 존재하며 종류에 따라 구조와 작용 기전이 다르다.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는 NADH 또는 NADPH로부터 질산으로 전자를 전달하며, 원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는 동화, 호흡, 주변세포질 공간 질산 환원 효소로 분류된다. 효소의 활성은 빛, 질산염, 음성 피드백 기전에 의해 조절되며, 곡물 수확량 예측 및 생체 유체 내 질산염 농도 검사에 활용된다. 또한 차 잎에서 아미노산 생산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밀리 단백질 - 단백질 도메인
    단백질 도메인은 폴리펩타이드 사슬 내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로서 기능, 진화, 단백질 접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통적인 구조적 요소이다.
  • 패밀리 단백질 - 전사인자
    전사 인자는 DNA 특정 서열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RNA 중합효소와 함께 전사를 조절하여 유전 정보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발생, 신호 전달, 환경 반응,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광계
    광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며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광수집 복합체에 둘러싸인 반응 중심을 가지며 물 분해를 통해 전자를 얻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계 II와 NADPH를 생성하는 광계 I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광합성에서 광계 II와 광계 I 사이의 전자 및 에너지 전달을 매개하고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양성자를 수송하여 ATP 합성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로서, 순환적 광인산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와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 8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이다.
질산 환원효소
효소 정보
이름질산 환원효소
EC 번호1.7.99.4
CAS 번호9013-03-0
IUBMB EC 번호1/7/99/4
GO 코드0009325
질산 환원효소
상세 정보
GO 코드0008940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Molybdopterin
이름몰리브도프테린 산화환원효소 (질산 환원효소 알파 소단위)
PfamPF00384
InterProIPR006656
PrositePDOC00392
SCOP1cxs
OPM family3
OPM protein1kqf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Fer4_11
이름4Fe-4S 이황화 클러스터 도메인 (질산 환원효소 베타 소단위)
PfamPF13247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Nitrate_red_gam
이름질산 환원효소 감마 소단위
PfamPF02665
InterProIPR003816
SCOP1q16
TCDB5.A.3
OPM family3
OPM protein1q16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Nitrate_red_del
이름질산 환원효소 델타 소단위
PfamPF02613
InterProIPR003765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NapB
이름질산 환원효소 시토크롬 c형 소단위 (NapB)
PfamPF03892
InterProIPR005591
SCOP1jni
단백질 family 정보
심볼NapE
이름세포질 내 질산 환원효소 단백질 NapE
PfamPF06796
InterProIPR010649

2. 종류

질산 환원효소는 크게 진핵생물 질산 환원효소와 원핵생물 질산 환원효소로 분류할 수 있다.

2. 1.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는 몰리브덴 효소의 아황산 산화 효소 계열에 속한다. 이들은 NADH 또는 NADPH로부터 전자를 받아 질산염을 환원시킨다.

2. 2. 원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

원핵생물 질산 환원효소는 몰리브덴 효소의 DMSO 환원효소 계열에 속하며 동화 질산 환원효소(Nas), 호흡 질산 환원효소(Nar), 그리고 주변질 공간 질산 환원효소(Nap)의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3] 이 효소들의 활성 부위는 두 개의 프테린 분자의 네 개의 티올레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몰리브덴 이온이다. 몰리브덴 이온의 배위권은 하나의 아미노산 측쇄와 산소 및/또는 황 리간드로 완성된다. Nap에서 몰리브덴은 시스테인 측쇄에 의해 단백질에 공유 결합되고, Nar에서는 아스파트산 측쇄에 결합된다.[4]

3. 구조

원핵생물 질산 환원효소는 막횡단 질산 환원 효소(NAR)와 주변세포질 질산 환원 효소(NAP)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5] 고등 식물, 조류 및 곰팡이의 질산 환원 효소는 이량체 시토졸 단백질이며, 각 단량체는 5개의 보존된 도메인을 가진다.[9]

3. 1. 막횡단 질산 환원 효소 (NAR)

막횡단 호흡성 질산 환원효소[6]는 3개의 소단위체(1개의 알파, 1개의 베타, 2개의 감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대장균''에서 NRA 효소를 대체할 수 있으며, 혐기성 호흡을 위한 전자 수용체로 질산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7] 규조류 ''Thalassiosira weissflogii''에서 양성자 펌프 역할을 할 수 있는 (혐기성 호흡의 경우와 유사한) 막횡단 질산 환원효소가 발견되었다.[8] NAR은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양성자 이동을 허용하며, 양성자 구동력에 의해 ATP 생성에 기여할 수 있다.[5]

3. 2. 주변 세포질 질산 환원 효소 (NAP)

주변 세포질 질산 환원 효소(NAP)는 양성자 구동력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5]

3. 3. 고등 식물, 조류 및 곰팡이의 질산 환원 효소

고등 식물, 조류 및 곰팡이의 질산 환원 효소는 각 단량체에 5개의 보존된 도메인을 가진 이량체 시토졸 단백질이다. 5개의 도메인은 다음과 같다.

  • 단일 몰리브도프테린 보조 인자를 포함하는 Mo-MPT 도메인
  • 이량체 인터페이스 도메인
  • 시토크롬 b 도메인
  • FAD 결합 도메인과 결합하여 시토크롬 b 환원 효소 조각을 형성하는 NADH 결합 도메인[9]


글리코포스파티딜이노시톨 앵커 변형체는 세포막의 바깥쪽 면에서 발견된다. 그 기능은 불분명하다.[10]

4. 메커니즘

원핵생물 및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는 모두 몰리브데넘(Mo)을 이용하여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킨다. 원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의 경우, 질산염(NO3-)은 Mo(IV)에 결합하고, 산소 원자 전달 반응을 통해 아질산염(NO2-)이 방출되면서 Mo(VI) 옥소 중간체가 생성된다. 이후 Mo 산화물의 환원과 양성자 분해를 통해 옥소기가 제거되어 Mo(IV)가 재생성된다.[11]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의 경우, 질산염의 산소 원자는 Mo(IV)에 결합하여 수산화 이온(OH-)을 치환한다. 이후 Mo의 d-궤도 전자가 뒤집혀 Mo(VI)와 산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아질산염이 방출된다. Mo(VI)의 산소 이중 결합은 NAD(P)H에 의해 환원된다.[12]

4. 1. 원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

원핵생물 질산 환원효소는 몰리브덴 효소의 DMSO 환원효소 계열에 속하며 동화 질산 환원효소(Nas), 호흡 질산 환원효소(Nar), 그리고 주변질 공간 질산 환원효소(Nap)의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3] 이 효소들의 활성 부위는 두 개의 프테린 분자의 네 개의 티올레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몰리브덴 이온이다. 몰리브덴 이온의 배위권은 하나의 아미노산 측쇄와 산소 및/또는 황 리간드로 완성된다. Nap에서 몰리브덴은 시스테인 측쇄에 의해 단백질에 공유 결합되고, Nar에서는 아스파트산 측쇄에 결합된다.[4]

원핵생물 주변 세포질 질산 환원 효소에서 질산 음이온은 Mo(IV)에 결합한다. 산소 전달은 아질산염을 방출하면서 Mo(VI) 옥소 중간체를 생성한다. Mo 산화물의 환원과 양성자 분해는 옥소기를 제거하여 Mo(IV)를 재 생성한다.[11]

4. 2.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는 몰리브덴 효소의 아황산 산화 효소 계열에 속한다. 이들은 NADH 또는 NADPH로부터 질산으로 전자를 전달한다.[11]

원핵생물 질산 환원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진핵생물 질산 환원 효소에서 질산염의 산소는 Mo(IV)에 결합하여 수산화 이온을 치환한다. 그런 다음 Mo d-궤도 전자가 뒤집혀 Mo(VI)와 해당 산소 사이에 다중 결합이 생성되어 아질산염이 배출된다. Mo(VI)의 산소 이중 결합은 분자 내 수송 사슬을 통해 전달된 NAD(P)H에 의해 환원된다.[12]

5. 조절

질산 환원효소(NR)는 빛, 질산염, 그리고 음성 피드백 기전에 의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조절된다. 질산염 동화 작용은 뿌리에서 질산염이 흡수되면서 시작된다. 흡수된 질산염은 질산 환원효소에 의해 아질산염으로 환원된 후, 아질산염 환원효소에 의해 암모니아로 환원된다. 암모니아는 GS-GOGAT 경로를 통해 아미노산으로 통합된다.[13]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질산염은 일산화질소로 환원될 수 있는데, 이는 식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질산 환원효소 활성 조절은 생성되는 일산화질소의 양을 제한하는 데 중요하다.[13]

5. 1. 질산 환원 효소의 비활성화

질산 환원 효소의 비활성화는 여러 단계와 효소 비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신호가 있다. 특히 시금치에서 질산 환원 효소 비활성화의 첫 번째 단계는 NR의 543-세린 잔기에 대한 인산화이다.[14] 질산 환원 효소 비활성화의 마지막 단계는 Mg2+와 Ca2+의 존재에 의해 시작되는 14-3-3 어댑터 단백질의 결합이다.[14] 고등 식물과 일부 조류는 세린 잔기의 인산화와 그에 따른 14-3-3 단백질 결합을 통해 NR을 번역 후 조절한다.[15]

5. 2. 무산소 조건

무산소 조건에서 질산염 흡수와 질산 환원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 수준과 무산소증에 대한 내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무산소 조건에서 질산 환원효소가 식물의 통기성 감소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14] 이러한 질산 환원효소의 활성 증가는 뿌리에서 아질산염 방출 증가와도 관련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산소 조건에서의 질산 환원효소의 극적인 증가는 무산소 조건이 NR에서 14-3-3 단백질의 해리와 질산 환원효소의 탈인산화를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14]

6. 응용

질산 환원 효소 활성은 곡물 수확량 및 곡물 단백질 생산을 예측하는 생화학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16][17] 또한, 생체 유체 내 질산염 농도를 검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8]

질산 환원 효소는 차 잎에서 아미노산 생산을 촉진한다.[19] 남인도 조건에서, 다양한 미량 영양소(Zn, Mn 및 B 등)와 몰리브데넘(Mo)을 함께 살포한 차나무는 차 싹의 아미노산 함량과 작물 수확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참조

[1] 논문 Insights into the respiratory electron transfer pathway from the structure of nitrate reductase A 2003-09
[2] 서적 Marschner's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Elsevier/Academic Press 2012
[3] 서적 Prokaryotic Nitrate Reduction: Molecular Properties and Functional Distinction among Bacterial Nitrate Reductase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4] 논문 Metalloenzymes of the denitrification pathway 2006-12
[5] 논문 The microbial nitrogen-cycling network 2018-05
[6] 웹사이트 ENZYME entry: EC 1.7.99.4 http://expasy.org/en[...] 2019-04-25
[7] 논문 Nitrate reductases of Escherichia coli: sequence of the second nitrate reductase and comparison with that encoded by the narGHJI operon 1990-06
[8] 논문 Plasmalemma redox activity in the diatom thalassiosira: a possible role for nitrate reductase 1988-05
[9] 논문 Nitrate Reductase Structure, Function and Regulation: Bridging the Gap between Biochemistry and Physiology 1999-06
[10] 논문 Nitrate uptake and reduction in higher and lower plants 2000-10
[11] 논문 The Mononuclear Molybdenum Enzymes
[12] 논문 Structural basis of eukaryotic nitrate reduction: crystal structures of the nitrate reductase active site 2005-04
[13] 서적 Plant Physiology and Development Sinauer Associates, Inc. 2014
[14] 논문 Nitrate reductase regulation in tomato roots by exogenous nitrate: a possible role in tolerance to long-term root anoxia https://hal.archives[...] 2004-12
[15] 논문 Expression of novel nitrate reductase genes in the harmful alga, Chattonella subsalsa 2018-09
[16] 논문 Relationship of nitrate reductase activity to grain protein production in wheat
[17] 논문 Level of activity of nitrate reductase at the seedling stage as a predictor of grain nitrogen yield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18] 논문 Determination of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Using Nitrate Reductase in a Flow System. 2001
[19] 논문 Effect of potassium, magnesium and sulphur applied in different forms of fertilisers on free amino acid content in leaves of tea (Camellia sinensis L
[20] 논문 Impact of genotype and micronutrient applications on nitrate reductase activity of tea leaves 2005-11
[21] 논문 Insights into the respiratory electron transfer pathway from the structure of nitrate reductase A 2003-09
[22] 서적 Marschner's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Elsevier/Academic Pres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