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대학교는 1924년 대성보통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청주상과대학으로 설립 인가받았으며, 1951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8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1957년 개교 이후 여러 캠퍼스 시설을 갖추었으며, 예술대학, 오송 바이오캠퍼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대학교 - 김원근 (1886년)
김원근은 일제강점기 청주 지역에서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나, 중추원 참의를 지내고 조선임전보국단에 가담하는 등 친일 행적이 드러나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된 기업인이자 교육인이다. - 청주시의 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청주시의 학교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는 1951년 개교하여 197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국립대학교이며, 15개의 단과대학과 다양한 전공을 운영하며,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고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청주대학교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청주대학교 |
영문 이름 | Cheongju University |
한글 이름 | 청주대학교 |
한자 이름 | 淸州大學校 |
로마자 표기 | Cheongju Daehakgyo |
일본어 표기 | せいしゅうだいがっこう |
설립 | 1947년 |
개교 | 1947년 6월 6일 |
설립 종류 | 사립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청석학원 |
건학 이념 | 교육구국 |
표어 | 진리탐구, 덕성함양, 실천봉공 |
총장 | 김윤배 |
부총장 | 손상희(행정,산학)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대성로 298 |
캠퍼스 | 우암자연캠퍼스 |
상징 | 소나무, 개나리, 황소 |
웹사이트 | 청주대학교 홈페이지 |
규모 | |
학부 학생 수 | 11,491명 (2024) |
전임 교원 수 | 368명 (2023) |
기타 교원 수 | 482명 (2023) |
대학 | 7대학, 4대학원 |
학부 | |
학부 목록 | 중국학부 보건의료학과군 경상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인문대학 이공대학 사범대학 예술대학 |
설립 정보 | |
설립자 | 김원근, 김영근 |
2. 연혁
1947년 6월 6일 청주상과대학(Cheongju Commercial College)으로 개교하였다.[1] 1951년 청주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고,[1] 1980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2] 1989년에는 기존 캠퍼스 근처에 제2캠퍼스가 건설되었다.
청주대학교의 모체는 1924년 김원근(金元根)과 김영근(金永根) 형제에 의해 설립된 대성보통학교(大成普通學校)이다.[3] 이들 형제가 설립하고 경영한 학교들은 1945년 김해학원(金海學院), 1948년 대성학원(大成學院), 1991년 청석학원(淸錫學院)으로 불리며, 청주대학교는 청석학원이 총괄하는 7개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3]
2. 1. 1920~70년대
1924년 4월 12일, 학교법인 대성학원 설립이 인가되었다.[1] 청주대학교의 모체는 김원근(金元根)과 김영근(金永根) 형제에 의해 설립된 대성보통학교(大成普通學校)이다.[3] 이후 1935년에 청주산업학교(淸州産業學校), 1944년에 청주여자산업학교(淸州女子産業學校)가 설립되었고, 이들은 현재의 청주대성고등학교, 대성중학교, 대성여자산업고등학교, 대성여자중학교, 청석고등학교, 대성초등학교로 이어진다.[3]1946년 11월 18일, '''청주상과대학''' 설립이 인가되었고,[1] 1947년 6월 6일 개교하였다.[1] 1951년 7월 17일, '''청주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1]
1957년 6월 6일, 신축교사 준공식이 있었고,[1] 10월 27일, 내덕동 캠퍼스(청주시 내덕동 36번지)로 이전하였다.[1] 1964년 3월 12일, 123 학도군사훈련단이 창단되었다.[1] 1974년 5월 5일, 청석관이 준공되었고,[1] 1976년 5월 5일, 인문대학이 준공되었다.[1] 1977년 6월 7일, 박물관(청정관) 1층이 준공되었고,[1] 12월 25일, 박물관 2층이 준공되었다.[1] 1978년 7월, 체육관 증축 준공이 있었고,[1] 12월 22일, 이공대가 준공되었다.[1] 1979년 12월 15일, 사범관(현 사회과학대․사범대 건물)이 준공되었다.[1]
김원근, 김영근 형제가 설립하고 경영한 학교들은 1945년에 김해학원(金海學院), 1948년에 대성학원(大成學院), 1991년부터 청석학원(淸錫學院)으로 불리며, 청주대학교는 청석학원이 총괄하는 7개의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3]
2. 2. 1980년대~현재
1980년 10월 2일, 청주대학교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2] 1981년 6월 5일에는 경상대학 강의동이 준공되었고, 1982년 3월 20일에는 교수연구회관(현 연구동)이 준공되었다.[2] 1984년 6월 4일에는 중앙도서관이 신축 개관하고 상징탑이 제막되었다.[2] 1986년에는 학군단 건물(5월 27일), 종합강의동(9월 2일), 청석기념관(설립자기념관, 11월 11일)이 준공되었다.[2] 1989년 10월 23일에는 예술대학이, 1990년 7월 31일에는 음악관이 준공되었다.[2]1991년 4월 11일, 학교법인 명칭이 대성학원에서 청석학원으로 변경되었고, 4월 29일에는 예지관이 준공되었다.[2] 1992년 12월 23일에는 이공대 별관이 증축되었고, 1994년에는 인문대학 증축(5월 3일), 학생회관 준공(9월 14일)이 있었다.[2] 2000년 11월 2일에는 종합운동장이, 2001년 2월 9일에는 대천수련원이 준공되었다.[2] 2003년 9월 4일에는 새천년종합정보관이 준공되었고, 2004년에는 우암마을(신기숙사) 개관(4월 29일), 제3강의동 리모델링 공사 완료(12월 22일)가 있었다.[2] 2005년 3월 8일에는 박물관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되었고, 2006년 11월 13일에는 사회과학·사범대학이 준공되었다.[2] 2007년에는 예술대학 신관 준공(12월 21일), 인문대학 리모델링 공사 완료(12월 28일)가 있었다.[2] 2008년에는 공예관 준공(3월 5일), 대학원·법과대학 리모델링 공사 완료(12월 5일)가 있었다.[2] 2009년에는 학생군사교육단 건물 리모델링 공사 완료(2월 9일), 미래창조관 신축(11월 26일)이 있었다.[2]
2015년에는 오송 바이오캠퍼스 설립인가를 받았고,[2] 2016년에는 환경부 주관 ‘2016 그린캠퍼스’에 선정되었다.[3] 2017년에는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재개관[4] 및 교육부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에 선정되었다.[5] 2018년에는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다.[6] 2021년에는 지방교육재정연구원, 석우재활서비스센터, 교육과정인증센터가 신설되었고,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되었다.[2] 2022년에는 인권센터, 항공기술교육원이 신설되었고, 산업단지캠퍼스(청주대학교 음성캠퍼스) 설립 인가를 받았다.[2] 2023년에는 지방대학활성화사업단이 신설되었고, 제14대 총장으로 김윤배 박사가 취임하였으며, 공군장교학군단 운영대학으로 선발되었다.[2] 2024년에는 교육부 첨단산업 부트캠프 사업에 선정되어 국비 1500억원을 확보하였고,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A등급 획득으로 국비 860억원을 확보하였으며, 충북국제개발협력센터 2차 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국비 120억원 지원을 받게 되었다.[2]
3. 캠퍼스
청주대학교는 크게 세 개의 캠퍼스와 그 외 시설로 나뉜다.
구분 | 내용 |
---|---|
제1캠퍼스 | 1957년 청석교육역사관(구 제1강의동)을 시작으로 2010년 교수연구동까지 다양한 시설들이 건립되었다. |
제2캠퍼스 | 1989년 예술대학(구관)과 음악관을 시작으로 기숙사, 국제교육센터 등이 들어섰다. |
제3캠퍼스 (오송 바이오캠퍼스) | 2015년 오송산학융합지구에 조성되었으며, 이공대학 바이오메디컬학과가 있다. |
기타 시설 | 2001년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앞에 대천수련원을 건립하여 학생 및 교수 수련 시설로 이용하고 있다. |
3. 1. 제1캠퍼스
최초준공 | 건물번호 | 건물명(舊 명칭) | 현재상태(규모) | 입주부서(시설) | 기타 |
---|---|---|---|---|---|
1957년 | 01 | 청석교육역사관(제1강의동) | 리모델링(B1-3F, 1개동) | 설립자기념관 | 문화재 지정 |
1974년 | 05 | 청석관 | (B1-3F, 1개동) | 대학본부 | |
1976년 | 06 | 융합관(인문관) | 리모델링(2007)(B1-5F, 1개동) | 인문대학 전체 학과 | |
1977년 | 04 | 박물관 | 리모델링(2005)(B1-2F, 1개동) | 전시장 | |
1988년 | 07 | 공과대학(이공대학)(구관) | (B1-5F, 1개동) | 이공대학 일부 학과 | |
1980년 | 08 | 보건의료과학대학 (대학원·보건의료관) | 리모델링(2008)(B1-5F, 1개동) | 대학원 전체 학과, 보건의료대학 전체 학과, 청암홀(B1) | |
1997년 | 09 | 비즈니스대학(경상관) | 리모델링(2010)(A동(B1-5F), B동(B1-4F) 2개동) | 경상대학 전체 학과 | |
2010년 | 10 | 교수연구동 | 옛 건물을 철거 후 신축.(B1~5F) | 교수연구실 | |
1982년 | 11 | 중앙도서관 | 증축(2017)(B1-6F, 1개동) | 도서관 | 준공 당시 아시아 도서관 중 최대 규모 |
2009년 | 12 | 학군단 | 옛 건물을 철거 후 신축.(B1-3F, 1개동) | 청주대137학군단 | |
1986년 | 13 | 종합강의동(종합강의관) | (B1-6F, 1개동) | 강의전용시설, 대강당, 청주방사능측정소, 학술연구소 | |
1992년 | 14 | 공과대학(이공대학)(신관) | (B1-5F, 1개동) | 이공대학 일부 학과 | |
2000년 | 38 | 대학문화관 | (대학동(B1-5F), 문화동(B1-3F) 2개동) | 학생회관, 문화극장, 후생복지시설 | |
1993년 | 39 | 충의관 (동아리동) | 리모델링(2011)(B1-2F, 1개동) | 군사학부 | |
2000년 | 40 | 종합운동장 | 육상트랙(국제규격) 외 | ||
2001년 | 41 | 종합운동장부속시설 | 화장실, 샤워장 외 | ||
2003년 | 42 | 새천년종합정보관 | (B1-5F, 1개동) | 어학강의시설, 인터넷플라자 | |
2006년 | 20 | 인문사회·사범대학(사회과학·사범관) | (B1-6F, 1개동) |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 1, 4, 6층에 출입문이 있음. |
2009년 | 50 | 미래창조관 | (B1-5F, 1개동) | 산학협력시설 | |
1958년 | 02 | 대학원 | (B1-2F, 1개동) | 예술대학 체육학과 | |
1958년 | 03 | 입학취업지원관 | 리모델링(2004)(2F, 1개동) | 산학협력시설 | |
1995년 | 93 | 진원관(기숙사) | 리모델링(2012)(B1-6F, 1개동) | 기숙사(원룸형) |
3. 2. 제2캠퍼스
최초준공 | 건물번호 | 건물명(舊 명칭) | 현재 상태(규모) | 입주 부서(시설) | 기타 |
---|---|---|---|---|---|
1989년 | 26 | 예술대학(구관) | (B1-3F, 1개동) | 예술대학 일부 학과 | |
1989년 | 35 | 음악관 | (B1-3F, 1개동) | 예술대학 음악학과, 콘서트홀 | |
1991년 | 36 | 예지관(기숙사) | 리모델링(2013)(B1-5F, 1개동) | 기숙사(2인실) | |
2004년 | 43 | 우암마을(기숙사) | (1~4동(B1-11F)/5동(B1-5F), 5개동) | 기숙사(1,2인실) | |
2007년 | 31 | 예술대학(신관) | (B1-5F, 1개동) | 예술대학 일부 학과 | |
2008년 | 48 | 국제학사 | (B1-10F, 1개동) | 기숙사(4인실) | |
2008년 | 47 | 국제교육센터 | (B1-5F, 1개동) | 한국어교육센터, 평생교육원 | |
2008년 | 49 | 외국인교수아파트 | (B1-10F, 1개동) | 외국인교수숙소 | |
1998년 | 우송로 | (도로) | 제1캠퍼스~제2캠퍼스 연결도로 | ||
1991년 | 37 | 기숙사식당 (舊 평생교육원) | 리모델링(2009)(B1-2F, 1개동) | 식당 |
3. 3. 제3캠퍼스 (오송 바이오캠퍼스)
2015년 오송산학융합지구에 이공대 바이오메디컬학과가 입주한 바이오캠퍼스가 조성되었다.최초준공 | 건물번호 | 건물명(舊.명칭) | 현재상태(규모) | 입주부서(시설) | 기타 |
---|---|---|---|---|---|
2015년 | 바이오캠퍼스 | 오송산학융합지구 | 이공대 바이오메디컬학과 |
3. 4. 기타 시설
준공 연도 | 건물 번호 | 건물명(구 명칭) | 규모 | 입주 부서(시설) | 기타 |
---|---|---|---|---|---|
1957년 | 01 | 청석교육역사관(구 제1강의동) | 리모델링(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설립자기념관 | 문화재 지정 |
1974년 | 05 | 청석관 | 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대학본부 | |
1976년 | 06 | 융합관(구 인문관) | 리모델링(2007)(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인문대학 전체 학과 | |
1977년 | 04 | 박물관 | 리모델링(2005)(지하 1층 ~ 지상 2층, 1개동) | 전시장 | |
1988년 | 07 | 공과대학(구 이공대학)(구관)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이공대학 일부 학과 | |
1980년 | 08 | 보건의료과학대학 (구 대학원·보건의료관) | 리모델링(2008)(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대학원 전체 학과, 보건의료대학 전체 학과, 청암홀(지하 1층) | |
1997년 | 09 | 비즈니스대학(구 경상관) | 리모델링(2010)(A동(지하 1층 ~ 지상 5층), B동(지하 1층 ~ 지상 4층) 2개동) | 경상대학 전체 학과 | |
2010년 | 10 | 교수연구동 | 옛 건물 철거 후 신축(지하 1층 ~ 지상 5층) | 교수연구실 | |
1982년 | 11 | 중앙도서관 | 증축(2017)(지하 1층 ~ 지상 6층, 1개동) | 도서관 | 준공 당시 아시아 도서관 중 최대 규모 |
2009년 | 12 | 학군단 | 옛 건물 철거 후 신축(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청주대137학군단 | |
1986년 | 13 | 종합강의동(구 종합강의관) | 지하 1층 ~ 지상 6층, 1개동 | 강의전용시설, 대강당, 청주방사능측정소, 학술연구소 | |
1992년 | 14 | 공과대학(구 이공대학)(신관)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이공대학 일부 학과 | |
2000년 | 38 | 대학문화관 | 대학동(지하 1층 ~ 지상 5층), 문화동(지하 1층 ~ 지상 3층) 2개동 | 학생회관, 문화극장, 후생복지시설 | |
1993년 | 39 | 충의관 (구 동아리동) | 리모델링(2011)(지하 1층 ~ 지상 2층, 1개동) | 군사학부 | |
2000년 | 40 | 종합운동장 | 육상트랙(국제규격) 외 | ||
2001년 | 41 | 종합운동장부속시설 | 화장실, 샤워장 외 | ||
2003년 | 42 | 새천년종합정보관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어학강의시설, 인터넷플라자 | |
2006년 | 20 | 인문사회·사범대학(구 사회과학·사범관) | 지하 1층 ~ 지상 6층, 1개동 |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 1, 4, 6층에 출입문이 있음. |
2009년 | 50 | 미래창조관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산학협력시설 | |
1958년 | 02 | 대학원 | 지하 1층 ~ 지상 2층, 1개동 | 예술대학 체육학과 | |
1958년 | 03 | 입학취업지원관 | 리모델링(2004)(지상 2층, 1개동) | 산학협력시설 | |
1995년 | 93 | 진원관(기숙사) | 리모델링(2012)(지하 1층 ~ 지상 6층, 1개동) | 기숙사(원룸형) | |
1989년 | 26 | 예술대학(구관) | 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예술대학 일부 학과 | |
1989년 | 35 | 음악관 | 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예술대학 음악학과, 콘서트홀 | |
1991년 | 36 | 예지관(기숙사) | 리모델링(2013)(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기숙사(2인실) | |
2004년 | 43 | 우암마을(기숙사) | 1~4동(지하 1층 ~ 지상 11층)/5동(지하 1층 ~ 지상 5층), 5개동 | 기숙사(1, 2인실) | |
2007년 | 31 | 예술대학(신관)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예술대학 일부학과 | |
2008년 | 48 | 국제학사 | 지하 1층 ~ 지상 10층, 1개동 | 기숙사(4인실) | |
2008년 | 47 | 국제교육센터 | 지하 1층 ~ 지상 5층, 1개동 | 한국어교육센터, 평생교육원 | |
2008년 | 49 | 외국인교수아파트 | 지하 1층 ~ 지상 10층, 1개동 | 외국인교수숙소 | |
1998년 | 우송로 | 도로 | 제1캠퍼스~제2캠퍼스 연결도로 | ||
1991년 | 37 | 기숙사식당 (구 평생교육원) | 리모델링(2009)(지하 1층 ~ 지상 2층, 1개동) | 식당 | |
2015년 | 바이오캠퍼스 | 오송산학융합지구 | 이공대 바이오메디컬학과 | ||
2001년 | 대천수련원 | 지하 1층 ~ 지상 3층, 1개동 | 학생, 교수 수련 시설 |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앞 (충청남도 보령시 해수욕장10길 36한국어) |
4. 학과 구성
청주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학부 과정은 8개 단과대학으로, 대학원 과정은 5개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캠퍼스 내에는 여러 연구소가 운영되고 있다.[1]
4. 1. 학부
청주대학교의 학부 과정은 8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경제·경영대학, 법과대학, 인문대학, 이과대학, 교육대학, 예술대학, 사회과학대학, 그리고 야간 수업을 제공하는 야간대학이 포함된다.[1]각 단과대학별 학과는 다음과 같다.
단과대학 | 학과 |
---|---|
중국학부 | (없음) |
보건의료학과군 | 간호학과, 치위생학과 |
경상대학 | 경영학부, 경제통상학부, 관광학부 |
법과대학 | 법학부 |
사회과학대학 | 행정도시계획학부, 정치사회학부, 언론정보학부, 복지·토지정보학부 |
인문대학 | 인문학부, 영미어문학부, 어학문학부 |
이공대학 | 응용과학부, 생명유전통계학부, 환경조경토목학부, 건축공학부, 전자정보공학부, IT학부 |
사범대학 | 한문교육과, 지리교육과, 수학교육과, 음악교육과, 체육교육과, 교직과 |
예술대학 | 디자인학부, 조형예술학부, 스포츠학부, 공연영상학부 |
4. 2. 대학원
본교의 대학원 과정은 고등교육대학원, 산업공학대학원, 행정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등 5개 대학원에서 제공된다. 캠퍼스 내에는 산업경영연구소, 산업과학연구소, 정보통신연구센터, 기술·경영 창업보육센터, 인터넷 비즈니스 창업보육센터 등 여러 연구소가 운영되고 있다.대학원의 학과들은 다음과 같다. (+는 박사과정 유무)
계열 | 학과 |
---|---|
인문사회계열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일본어일본문학과, 중국어중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철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관광·호텔경영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신문방송학과, 도시계획학과, 지적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학과, 관광홍보학과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과, 화학과(+), 유전공학과, 물리학과 |
공학계열 | 건축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전자공학과(+), 레이저광정보공학과, 컴퓨터정보공학과(+), 산업공학과, 환경공학과(+), 환경조경학과(+) |
예체능계열 | 음악과, 공예과, 회화과, 연극영화과, 무용과, 체육과 |
5. 연구소
청주대학교 캠퍼스 내에는 산업경영연구소, 산업과학연구소, 정보통신연구센터, 그리고 기술·경영 창업보육센터와 인터넷 비즈니스 창업보육센터 등 두 곳의 창업보육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6. 저명한 동문
- 지영산 (연극영화학과) : 배우
- 권민중 (무용학과) : 배우
- 이주나 (연극영화학과) : 배우
- 김형범 (연극영화학과) : 배우
- 김대희 (연극영화학과) : 개그맨
- 송일국 (연극영화학과) : 배우
- 박윤경 (연극영화학과) : 가수
- 김도형 (무용학과) : 뮤지컬배우, 가수, 연출가
- 강석정 (공연영상학과) : 배우
- 주우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조현숙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정하완 (연극영화학과) : 배우
- 라재웅 (연극영화학과) : 배우
- 황미선 (연극영화학과) : 배우
- 김영호 (산업공학과) : 배우
- 염준영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오협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이동준 (체육학과) : 배우
- 이순원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이도경 (연극영화학과) : 배우
- 이태영 (행정학과) : 개그우먼
- 영탁 (언론정보학과) : 가수
- 허민 (환경학과) : 개그우먼
- 진영 (연극영화학과) : 배우, 가수, 음악프로듀서
- 변우석 (연극영화학과): 배우
- 정진영 (비투비) : 가수 겸 배우
- 김영호 : 배우
- 이진욱 : 배우
- 박성호 : 개그맨
- 김지은 : 배우
- 윤광철 (1966년생) : 오페라 베이스 가수이자 성악 교수
- 이정규
7. 신문
청대신문은 1954년에 창간되어 10일에 한 번씩 발행되었고, Chong Dae Times영어는 1978년에 창간되어 월간으로 발간되었다.
참조
[1]
웹인용
청주대학교 공시
https://academyinfo.[...]
2018-04-01
[2]
웹인용
청주대, 오송 바이오캠퍼스 교육부 설립인가
http://news.unn.net/[...]
2019-01-25
[3]
웹인용
청주대, 친환경 '그린캠퍼스'로 뽑혀
http://www.jbnews.co[...]
2019-01-25
[4]
웹인용
청주대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http://www.jbnews.co[...]
2019-01-25
[5]
웹인용
청주대, 교육부 '교육국제화 역량 인증대학' 선정
http://edu.chosun.co[...]
[6]
웹인용
충북뉴스 - ‘자율개선대학’ 청주대 수시모집 지원 급증…10년새 63% 상승
http://www.cbnews.kr[...]
2019-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