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오프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스 오프닝은 체스 경기 초반에 기물을 전개하고, 중앙을 제어하며, 킹의 안전을 확보하고, 폰 구조를 견고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프닝은 선수들이 선호하는 특정 오프닝들의 집합인 오프닝 레퍼토리를 통해 준비되며, 백은 선공의 이점을 활용하고 흑은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프닝은 크게 킹스 폰 게임(1.e4), 퀸스 폰 게임(1.d4), 플랭크 오프닝(1.c4, 1.Nf3 등)으로 분류되며, 흑의 응수에 따라 오픈 게임, 세미 오픈 게임, 클로즈드 게임, 세미 클로즈드 게임 등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오프닝은 선수 이름이나 지역, 기물의 특징 등을 따서 명명되며, ECO 코드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 이론 -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는 컴퓨터 체스에서 엔드게임의 완벽한 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메이트까지의 깊이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생성되고, 통신 체스, 컴퓨터 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체스 이론 - 외통수
외통수는 체스에서 킹이 체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어 게임이 종료되는 결정적인 상태로, 장기의 "외통"과 유사하며 "#" 기호로 표시된다. - 체스 오프닝 - 퀸스 갬빗
퀸스 갬빗은 백이 c-폰을 희생해 중앙을 장악하려는 전략으로, 1. d4 d5 2. c4로 시작하는 체스 오프닝이며, 흑의 응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오프닝이다. - 체스 오프닝 - 체스 오프닝 백과사전
체스 오프닝 백과사전은 체스 오프닝을 ECO 코드 시스템에 따라 분류하고 정리한 자료로, A부터 E까지 5개 범주와 각 범주별 100개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저자와 판을 통해 체스 오프닝 이론을 반영한다. - 체스 용어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용어 - 캐슬링
캐슬링은 체스에서 킹의 안전과 룩 활용을 위해 킹과 룩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특별한 수로, 킹을 룩 방향으로 두 칸 이동 후 룩을 킹이 지나간 칸으로 옮기며 킹 사이드와 퀸 사이드 두 종류가 있고, 각 플레이어에게 한 게임당 한 번만 허용된다.
체스 오프닝 | |
---|---|
체스 오프닝 개요 | |
정의 | 체스 오프닝은 체스 게임의 초기 움직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첫 번째 몇 수 (10-15수)를 지칭한다. 오프닝의 목표는 기물 개발, 중앙 통제, 안전한 킹 확보, 조화로운 포지션 구축이다. |
중요성 | 오프닝 선택은 게임의 전반적인 전략과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치며, 미들게임과 엔드게임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
분류 | 체스 오프닝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오픈 게임, 세미 오픈 게임, 클로즈드 게임, 세미 클로즈드 게임 등이 있다. |
오픈 게임 (Open Game) | |
정의 | 백이 1. e4로 시작하고, 흑도 1... e5로 응수하는 오프닝의 총칭이다. |
주요 오프닝 | 이탈리안 게임 스코치 게임 러시안 게임 킹스 갬빗 비엔나 게임 포 나이츠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Semi-Open Game) | |
정의 | 백이 1. e4로 시작하지만, 흑이 1... e5 이외의 수로 응수하는 오프닝의 총칭이다. |
주요 오프닝 | 시실리안 디펜스 프렌치 디펜스 카로-칸 디펜스 스칸디나비안 디펜스 알레킨 디펜스 님조비치 디펜스 |
클로즈드 게임 (Closed Game) | |
정의 | 백이 1. d4로 시작하고, 흑도 1... d5로 응수하는 오프닝의 총칭이다. |
주요 오프닝 | 퀸즈 갬빗 콜레 시스템 런던 시스템 |
세미 클로즈드 게임 (Semi-Closed Game) | |
정의 | 백이 1. d4로 시작하지만, 흑이 1... d5 이외의 수로 응수하는 오프닝의 총칭이다. |
주요 오프닝 | 킹스 인디언 디펜스 님조-인디언 디펜스 퀸스 인디언 디펜스 보고-인디언 디펜스 그룬펠드 디펜스 |
플랭크 오프닝 (Flank Opening) | |
정의 | 백이 1. c4, 1. Nf3, 1. g3, 1. b3, 1. f4 등 킹 사이드나 퀸 사이드의 측면 폰을 움직이는 것으로 시작하는 오프닝의 총칭이다. |
주요 오프닝 | 잉글리시 오프닝 레티 오프닝 버드 오프닝 소코스키 오프닝 |
언커먼 오프닝 (Uncommon Opening) | |
정의 | 위에서 언급된 일반적인 오프닝 외에 잘 사용되지 않는 드문 오프닝들을 의미한다. |
주요 오프닝 | 폰지아니 오프닝 두 말 오프닝 트롬포스키 어택 오르탕 오프닝 벵코 갬빗 |
2. 오프닝의 목적
체스 오프닝에서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물 전개''': 자신의 기물들을 게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보통 나이트는 f3, c3, f6, c6 (때로는 e2, d2, e7, d7) 등으로 전개되며, 비숍을 전개하기 위해 중앙 폰을 전진시킨다. (또는 비숍을 g3와 Bg2와 같은 수로 피앙케토할 수도 있다.) 핵심은 기물들을 빨리 전개하여 기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 '''중앙 제어''': 게임 초반에는 어떤 기물이 어디에 필요할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중앙(e4, d4, e5, d5)을 제어하면 자신의 기물들을 보드 위 어느 곳이든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상대방에게 압박을 가하며 기물 전개를 방해할 수 있다. 중앙 제어에는 전통적인 관점과 하이퍼모던 관점이 있다.
- '''킹의 안전''': 중앙에 위치한 킹은 노출되어 있어 캐슬링으로 안전한 위치로 보내지 않으면 위험하다. 캐슬링 권리를 빼앗긴 경우에는 ''아티피셜 캐슬링''을 하기도 한다.
- '''견고한 폰 구조 만들기''': 대부분의 오프닝은 ''더블드 폰'', ''아이솔레이티드 폰'', ''백워드 폰'', ''폰 아일랜드'' 같은 폰 구조의 약점을 만들지 않으려 한다. (폰 구조 참조)
- '''기물의 조화''': 기물을 전개하면서 서로 다른 기물들이 조화를 이루어 중요한 위치를 강력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체스 미들게임에서 흔히 쓰이는 전략들이 오프닝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경기에서는 백은 퍼스트-무브 어드밴티지를 활용하여 흑을 압박하고, 흑은 백과 동등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50년대부터는 양측 사이에 다양한 불균형을 만들어 미들게임의 성격을 결정하고 전략을 정하는 것이 오프닝의 또 다른 목적이 되었다.[27]
2. 1. 일반적인 목적
오프닝에서 모든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자기 기물의 전개''': 오프닝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자신의 기물들을 게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보통 나이트는 f3, c3, f6, c6 (때로는 e2, d2, e7, d7) 등으로 전개되며, 비숍을 전개하기 위해 중앙 폰을 전진시킨다. (또는 비숍을 g3와 Bg2와 같은 수로 피앙케토할 수도 있다.) 핵심은 자신의 기물들을 빨리 전개하여 기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너 기물부터 전개하고, 그 후에 메이저 기물을 전개한다. 메이저 기물은 보통 마이너 기물과 폰이 대부분 사라진 엔드게임이 되기 전에는 중앙에 배치되지 않는다.
- '''중앙 제어''': 게임 초반에는 어떤 기물이 어디에 필요할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중앙(e4, d4, e5, d5)을 제어하면 자신의 기물들을 보드 위 어느 곳이든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상대방에게 압박을 가하며 기물 전개를 방해할 수 있다. 중앙 제어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전통적인 관점은 중앙으로 폰을 전진시켜 이상적인 "중앙 폰 듀오"(e4, d4에 폰 위치, 흑은 e5, d5)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하이퍼모던 학파는 이런 방식이 불필요하며 이상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너무 전진된 폰은 공격에 취약하며, 유지되지 않으면 약점이 된다고 보았다. 하이퍼모더니스트들은 중앙을 멀리서 기물로 간접 제어하고, 상대방의 중앙 폰을 공격하여 파괴한 뒤 나중에 중앙을 차지하는 것이 더 강력하다고 주장했다.
- '''킹의 안전''': 중앙에 위치한 킹은 노출되어 있어 캐슬링으로 안전한 위치로 보내지 않으면 위험하다. 캐슬링 권리를 빼앗긴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킹을 안전한 곳으로 움직여 보호하는 ''아티피셜 캐슬링''을 하기도 한다.
- '''견고한 폰 구조 만들기''': 대부분의 오프닝은 ''더블드 폰'', ''아이솔레이티드 폰'', ''백워드 폰'', ''폰 아일랜드'' 같은 폰 구조의 약점을 만들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강력한 공격을 위해 폰 구조의 약점을 감수하거나, 상대방의 폰을 과도하게 전진시켜 약점을 만들기도 한다. (폰 구조 참조)
- '''기물의 조화''': 기물을 전개하면서 서로 다른 기물들이 조화를 이루어 중요한 위치를 강력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체스 미들게임에서 흔히 쓰이는 전략들이 오프닝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격을 위한 폰 전진, 상대방 폰 구조 공격, 특정 위치에 대한 강한 통제, 공간적 우위 확보 등이다.
높은 수준의 경기에서는 백은 퍼스트-무브 어드밴티지를 활용하여 흑을 압박하고, 흑은 백과 동등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50년대부터는 양측 사이에 다양한 불균형을 만들어 미들게임의 성격을 결정하고 전략을 정하는 것이 오프닝의 또 다른 목적이 되었다.[27] 예를 들어 프렌치 디펜스 위나워 바리에이션의 메인라인(1.e4 e6 2.d4 d5 3.Nc3 Bb4 4.e5 c5 5.a3 Bxc3+ 6.bxc3)에서 백은 비숍 페어와 공간적 여유로 흑의 킹사이드를 공격하고, 흑은 마이너 기물 교환(특히 백의 비숍과 교환)과 백의 퀸사이드 폰 구조를 공격하는 전략을 세운다.
체스 시작 포지션에서 백은 20가지(폰 1~2칸 전진 16가지, 나이트 4가지) 수를 둘 수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수는 1. e4, 1. d4, 1. c4, 1. Nf3이다. 이들은 빠른 기물 전개와 중앙 제어를 쉽게 한다. 1. Nc3, 1.f4 1. b3, 1. b4, 1.g3 등은 일반적인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다. 1. Nc3는 c폰을 막고, 1.f4는 킹을 노출시킨다. 1. b4, 1. b3, 1. g3는 비숍을 빨리 피앙케토하지만 중앙 제어가 간접적이고 기물 전개가 느리다. 이외의 수들은 높은 수준에서 거의 두지 않는다. 1. d3, 1. e3는 느린 전개로 악수이며, 1. a3, 1. Na3, 1. Nh3는 최악의 수이다. 흑도 20가지 수를 둘 수 있는데, 백의 수와 대칭적이거나, 2...d5를 위한 1...c6, 1...e6, 또는 빠른 킹사이드 피앙케토를 위한 g6 등이 있다.
2. 2. 전략적 목표
오프닝에서는 모든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몇 가지 목표가 있다. 백은 더 좋은 포지션을 취하려 하고, 흑은 백과 동등해지려고 하거나, 다양한 불균형을 만들어 역동적인 플레이로 이끌어 나간다.- '''자기 기물의 전개''': 오프닝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자신의 기물들을 게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보통 나이트는 f3, c3, f6, c6 (때로는 e2, d2, e7, d7) 등으로 전개되며, 양측 선수는 비숍을 전개하기 위해 중앙 폰을 전진시킨다. (또는 비숍을 g3와 Bg2와 같은 수를 통해 ''피앙케토''할 수도 있다.) 핵심은 자신의 기물들을 빨리 전개하여 기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너 기물부터 전개하고, 그 후에 메이저 기물을 전개한다. 메이저 기물은 보통 마이너 기물과 폰이 대부분 사라진 엔드게임이 되기 전에는 중앙에 배치되지 않는다.
- '''중앙 제어''': 게임 시작 시에는 어떤 기물이 어디에 필요할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중앙(e4, d4, e5, d5)을 제어하면 자신의 기물들을 보드 위 어느 곳이든 쉽게 배치할 수 있고, 상대방의 기물 전개를 방해할 수 있다. 중앙 제어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전통적인 관점은 중앙으로 폰을 전진시켜 이상적인 "중앙 폰 듀오"(e4, d4에 폰 위치, 흑은 e5, d5)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하이퍼모던 학파는 중앙을 폰으로 차지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이상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너무 전진된 폰은 공격받기 쉽고, 지키던 영역을 상대에게 노출시킨다는 것이다. 하이퍼 모더니스트들은 중앙을 멀리서 기물로 간접 제어하며 상대방의 중앙 폰을 공격하여 파괴시킨 뒤, 나중에 중앙을 폰으로 차지하면 더 강력한 포지션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 '''킹의 안전''': 중앙에 위치한 킹은 노출되어 있어 캐슬링으로 안전한 위치로 보내지 않으면 쉽게 체크나 체크메이트를 당할 위험이 있다. 캐슬링 권리를 빼앗긴 경우에는 ''아티피셜 캐슬링''을 실시하기도 한다.
- '''견고한 폰 구조 만들기''': 대부분의 오프닝은 ''더블드 폰'', ''아이솔레이티드 폰'', ''백워드 폰'', ''폰 아일랜드'' 같은 폰 구조의 약점을 만들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강력한 공격을 위해 폰 구조의 약점을 감수하거나, 상대방의 폰을 과도하게 전진시켜 약점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폰 구조 참조)
- '''기물의 조화''': 기물을 전개하면서 서로 다른 기물들이 중요한 위치에 영향을 주면서 조화를 이루어 강력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이런 기본적인 전략들 외에도 체스 미들게임에서 흔히 쓰이는 전략들이 오프닝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격을 위한 폰 전진을 준비하거나, 상대방 폰 구조를 공격하거나, 특정 위치에 대한 강한 통제를 얻거나, 공간적 우위를 점하는 것 등이다.
높은 수준의 경기에서는 백은 퍼스트-무브 어드밴티지를 활용하여 더 좋은 포지션을 유지하며 흑을 압박하고, 흑은 백과 동등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50년대부터는 양측 사이에 다양한 불균형을 만듦으로써 미들게임의 성격을 결정하고 전략을 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오프닝의 또 다른 목적이 되었다.[27] 예를 들어 프렌치 디펜스에서 위나워 바리에이션의 메인라인은 1.e4 e6 2.d4 d5 3.Nc3 Bb4 4.e5 c5 5.a3 Bxc3+ 6.bxc3인데, 백은 비숍 페어와 공간적 여유를 이용하여 흑의 킹사이드를 공격하고, 흑은 마이너 기물의 교환(특히 백의 비숍과 교환)을 시도하며 백의 퀸사이드의 망가진 폰 구조를 공격한다.
체스 시작 포지션에서 백은 각 폰을 1칸 또는 2칸씩 전진(16가지), 나이트 두 개를 각각 a3, c3와 f3, h3에 두는 것(4가지)으로 총 20가지 수를 둘 수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수는 1. e4, 1. d4, 1. c4, 1. Nf3이다. 이 수들은 빠른 기물 전개와 중앙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리적이지만 오프닝의 일반적인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첫 수로는 1. Nc3, 1.f4 1. b3, 1. b4, 1.g3 등이 있다. 1. Nc3는 나이트를 적당한 장소로 빠르게 전개하지만 백의 c폰을 막는다. 1.f4는 플랭크 폰으로 빠른 중앙 제어를 노리지만 킹을 노출시킨다. 1. b4, 1. b3, 1. g3처럼 초반부터 비숍을 빨리 피앙케토하는 오프닝들은 비숍을 좋은 자리에 위치시키지만 중앙 제어가 너무 간접적이며 기물 전개가 느리다.
이외의 수들은 높은 수준의 체스 경기에서는 거의 두어지지 않는다. 남은 수들 중 그나마 나은 선택은 1. d3, 1. e3인데, 너무 느린 전개를 한다. 최악의 수는 중앙을 제어하지도 않으며 기물 전개도 하지 않는 1. a3나 나이트를 양 끝쪽에 붙이는 1. Na3, 1. Nh3이다.
흑 또한 20가지의 수를 둘 수 있는데, 백의 수와 대칭적이다. 흑에게 인기 있는 첫 수는 백의 첫 수를 따라하거나 2...d5를 위한 예비동작으로 1...c6, 또는 1...e6를 두는 경우도 많다. 경기 초반에 g6를 두고, 빠른 킹사이드 피앙케토를 노리는 경우도 많다.
3. 오프닝 레퍼토리
많은 사람들은 체스를 하면서 특정 오프닝이나 포지션에서 플레이할 때 자신이 더 잘하고 편안하다는 점을 느끼게 되며, 체스 이론의 양은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공부할 수 있는 양은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오프닝을 주로 플레이하며 그 오프닝에 대해 많은 경험을 갖게 된다. 그 오프닝 안에서 플레이 할 때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게임을 이끌어나가기가 더 쉽다. 한 선수가 공부하여 특화한 오프닝들의 집합을 그 선수의 오프닝 레퍼토리라고 한다.[28],[12]
일반적으로 오프닝 레퍼토리를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28]
- 백으로 둘 때 1.e4, 1.d4, 1.c4, 1.Nf3 등을 고려한다.
- 흑으로 둘 때 위에 명시된 다른 오프닝들에 대한 디펜스
만약 한 사람의 오프닝 레퍼토리의 범위가 너무 좁다면 해당 포지션에 대해서는 깊은 이해와 전문화를 할 수 있겠지만 상대의 특이한 수나 다른 오프닝에 반응할 때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레퍼토리를 가진 선수와의 경기를 준비하는 것은 쉬울 수 있다. 반대로 오프닝 레퍼토리의 범위를 너무 넓게 잡는다면 많은 포지션들에 대하여 각각 깊은 이해를 하기 어려울 것이다.[28],[13]
일반적으로 선수들의 오프닝 레퍼토리에 속해 있는 오프닝들은 꽤 견고한 것들로 이루어져 상대방이 최선의 반격을 했었을 때에도 균형을 유지하며 플레이 할 수 있는 것들로 구성된다. 비교적 견고하지 못하고 도박적인 갬빗들은 상대방을 당황시키기 위한 비장의 수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안정적인 레퍼토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의 실력이 나아지고 발전함에 따라 오프닝 레퍼토리는 바뀌기도 한다. 어떤 오프닝들은 아마추어 수준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마스터의 전문가 수준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벵코 갬빗에서는 흑이 폰 하나를 희생하여 자신의 기물을 빨리 전개시키고 활성화 시켜 적극적 공격을 한다. 아마추어들은 흑의 강력한 공격에 대하여 방어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마스터들은 견고한 수비를 한 뒤 흑이 폰을 희생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자신의 더 많은 기물로 우위를 점하기 쉽다. 또한 어떤 오프닝의 경우에는 아마추어들이 이해하기에 너무 난해하고 그랜드마스터 급의 선수들도 어려워하는 포지션을 갖는 경우도 있다. 예로는 시실리안 방어의 페렌이 어택이 있는데, 이는 강력한 선수조차 다루기 어려운 매우 복잡하고 전술적인 포지션을 만들어내며, 대부분의 아마추어는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이다.[5]
4. 오프닝 명명법
체스 오프닝의 명명법은 체계적으로 발전하지 않고, 대부분 관습이나 역사적 사건에 의해 결정되었다.[29] 가장 오래된 오프닝들은 지역 이름이나 사람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인디안, 잉글리쉬, 스페니쉬, 프렌치, 더치, 스콧치, 러시안, 이탈리안, 스칸디니비안, 비엔나, 베를린 등의 오프닝이 있다. 카탈란 시스템은 스페인의 카탈루냐 지방 이름을 딴 것이다.
체스 선수 이름을 딴 오프닝도 많은데, 루이 로페즈, 알레힌 디펜스, 레티 오프닝 등이 있다. 카로-칸 디펜스처럼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경우도 있다.
지우코 피아노 (이탈리아어로 "조용한 게임")처럼 오프닝의 성격을 묘사한 이름도 있고, 두 나이트 방어, 포 나이트 게임과 같이 더 자세한 묘사를 하는 이름도 있다.
20세기에는 오랑우탄, 하마, 코끼리, 고슴도치 등 동물 이름을 붙이는 것이 유행했다.
오프닝 이름에는 '게임', '디펜스', '갬빗', '바리에이션'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안 게임"은 "이탈리안"이라는 국적과 "게임"이라는 용어가 결합된 것이다. '시스템', '어택', '카운터어택', '카운터갬빗', '리버스', '안티' 등의 용어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런던 시스템', '리버스 시실리안' 등이 있다.
이런 용어들은 규칙 없이 사용되어 헷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콧치 게임'은 백이 선택하는 오프닝이지만, '러시안 게임'은 흑이 선택하는 디펜스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게임''': 스코치 게임, 비엔나 게임, 포 나이트 게임 등 오래된 오프닝에 사용된다.
- '''오프닝''': 잉글리쉬 오프닝, 킹즈 폰 오프닝 등 일반적인 용어로 널리 쓰인다.
- '''바리에이션''': "프렌치 디펜스의 위나워 바리에이션", "퀸즈 갬빗 디클라인드의 익스체인지 바리에이션"과 같이 큰 오프닝 안에 속한 작은 갈래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 '''디펜스''': 흑이 선택하는 오프닝에 붙는 명칭이다. "킹즈 인디언 디펜스"처럼 공격적인 오프닝에도 붙는다.
- '''갬빗''': 기물이나 폰을 희생하는 오프닝이다. 상대가 희생을 받아들이면 ''갬빗 수락''(accepted), 거절하면 ''갬빗 거절''(declined)이라고 한다. 퀸즈 갬빗처럼 일시적인 희생은 '진짜 갬빗'이 아니다.
- '''카운터갬빗''': 백이 갬빗을 제안했을 때 흑이 또 다른 갬빗을 제안하는 것이다. 알빈 카운터갬빗이 그 예시이다.
- '''시스템''': 상대방의 기물 전개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물 전개 포지션이다. 런던 시스템, 레티 시스템, 헷지호그 시스템 등이 있다.
- '''어택''': 공격적인 바리에이션에 붙여지는 이름이다. "프라이드 리버 어택" 등이 있다. 흑의 디펜스를 백이 사용하면 어택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예: 킹스 인디언 어택)
- '''리버스''': 흑의 오프닝을 백이 사용하거나, 백의 오프닝을 흑이 사용할 때 붙여진다. "리버스 시실리안"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안티''': 특정 오프닝을 방지하기 위한 수를 포함하는 오프닝이다. (예: 안티-마샬)
5. 체스 오프닝의 분류
체스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널리 쓰이는 체스 오프닝 분류 방식은 체스 오프닝 백과사전에서 사용하는 ECO 코드이다. 하지만 ECO 코드는 첫 수에 따라 오프닝을 분류하기 때문에, 서로 연관된 오프닝이라도 첫 수가 다르면 다른 코드로 분류되어 오프닝 간의 유사한 구조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좀 더 이해하기 쉬운 분류 방식으로, 체스 오프닝은 크게 "킹스 폰 게임", "퀸스 폰 게임", "기타"로 나눌 수 있다. 킹스 폰 게임은 킹 바로 앞의 e폰을 두 칸 전진시키는 1. e4로 시작하는 오프닝이고, 퀸스 폰 게임은 퀸 바로 앞의 d폰을 두 칸 전진시키는 1. d4로 시작하는 오프닝이다. "기타"에는 이 외의 다양한 플랭크 오프닝이나 레티 오프닝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 세 가지 분류만으로는 체스 오프닝의 방대한 양을 모두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백과 흑의 첫 수에 따른 특징을 기준으로 오프닝을 더 세분화한다.
- 더블 킹 폰, 대칭 또는 오픈 게임: 1. e4 e5[30]
- 싱글 킹 폰 또는 세미-오픈 게임: 1. e4 후 흑이 1...e5 이외의 수로 응수하는 경우
- 더블 퀸 폰 또는 클로즈드 게임: 1. d4 d5
- 싱글 퀸 폰 또는 세미-클로즈드 게임: 1. d4 후 흑이 1...d5 이외의 수로 응수하는 경우
- 플랭크 오프닝: 1. c4, 1. Nf3, 1. f4 등 중앙 폰을 전진시키지 않는 오프닝
- 기타 흔하지 않은 오프닝
체스 오프닝은 주로 수순에 따라 분류된다.[19] 백은 시작 위치에서 20개의 합법적인 수를 둘 수 있는데,[20] 이 중 1.e4, 1.d4, 1.Nf3, 1.c4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 수들은 빠른 기물 전개와 중앙 장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던스트 오프닝 (1.Nc3)은 나이트를 좋은 위치로 전개하지만 c폰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버드 오프닝 (1.f4)은 중앙 장악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킹의 위치를 약화시킨다. 소콜스키 오프닝 (1.b4)와 라르센 오프닝 (1.b3), 1.g3은 전개에 약간 도움이 되지만 중앙 장악에는 부수적이다.
흑은 백의 첫 수에 대해 20가지의 응수를 할 수 있다.[20] 이 중 다수는 백의 첫 수와 대칭적이지만, 1...c6, 1...e6 (각각 카로칸 방어, 프렌치 방어로 이어짐)처럼 중앙 돌진 2...d5로 이어지는 방어도 인기 있다.
체스 오프닝 백과사전의 ECO 코드는 체스 오프닝을 분류하는 중요한 방식이지만, 관련된 오프닝 간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체스 오프닝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오픈 게임 (1.e4 e5)[21]
- 세미-오픈 게임 (1.e4 후 흑이 1...e5 이외의 수로 응수)
- 클로즈드 게임 (1.d4 d5)
- 세미-클로즈드 게임 (1.d4 후 흑이 1...d5 이외의 수로 응수)
- 플랭크 오프닝 (1.c4, 1.Nf3, 1.f4 등)
- 백의 특이한 첫 수
인디언 시스템 (1.d4 Nf6)은 세미-클로즈드 게임에서 가장 중요하며,[22] 별도로 다룰 가치가 있다.
5. 1. 오픈 게임: 1.e4 e5
백이 1.e4로 시작하고 흑이 1...e5로 응수하면 오픈 게임이 시작된다. 1.e4는 중앙을 제어하고 비숍과 퀸의 이동 경로를 열어주는 효과적인 수로, 보비 피셔는 이를 "테스트 결과 최고"라고 평가했다.백의 다음 수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2.Nf3이며, 흑은 주로 2...Nc6로 응수한다. 이후 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오프닝을 선택할 수 있다.
명칭 | 2 | 3 | 4 |
---|---|---|---|
루이 로페즈 | Nf3 Nc6 | Bb5 … | |
스코치 게임 | Nf3 Nc6 | d4 … | |
이탈리안 게임 | Nf3 Nc6 | Bc4 … | |
투 나이츠 디펜스 | Nf3 Nc6 | Bc4 Nf6 | |
지우코 피아노 | Nf3 Nc6 | Bc4 Bc5 | |
에반스 갬빗 | Nf3 Nc6 | Bc4 Bc5 | b4 … |
헝가리 방어영어 | Nf3 Nc6 | Bc4 Be7 | |
폰치아니 오프닝 | Nf3 Nc6 | c3 … | |
쓰리 나이츠 게임 | Nf3 Nc6 | Nc3 … | |
포 나이츠 게임 | Nf3 Nc6 | Nc3 Nf6 | |
콘스탄티노폴스키 오프닝영어 | Nf3 Nc6 | g3 … |
흑이 2...Nf6로 응수하면 페트로프 디펜스가 되며, 2...d6는 필리도르 디펜스로 이어진다.
명칭 | 2 | 3 | |
---|---|---|---|
비엔나 게임 | Nc3 … | ||
비숍 오프닝 | Bc4 … | ||
킹스 갬빗 | f4 … | ||
센터 게임 | d4 exd4 | Qxd4 … | |
데니쉬 갬빗 | d4 exd4 | c3 … | |
알라핀 오프닝영어 | Ne2 … | ||
엘리펀트 갬빗영어 | Nf3 d5?! | ||
라트비안 갬빗 | Nf3 f5 | ||
다미아노 디펜스 | Nf3 f6? | ||
그레코 디펜스영어 | Nf3 Qf6?! | ||
로페즈 오프닝 | c3?! … | ||
Inverted Hungarian Opening영어 | Nf3 Nc6 | Be2 … | |
Portuguese Opening영어 | Bb5?! … | ||
Napoleon Opening영어 | Qf3?! … | ||
Parham Attack영어 | Qh5? … |
각 오프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열린 경기를 참조하면 된다.
5. 2. 세미 오픈 게임: 1.e4, 흑이 1...e5 이외의 수를 두는 경우
세미 오픈 게임은 백이 1.e4로 시작하고 흑이 1...e5 외의 다른 수로 응수하는 체스 오프닝이다. 흑은 첫 수부터 대칭을 깨고, 양측 모두에게 흥미로운 플레이와 승리 기회를 제공하는 불균형적인 포지션을 만든다.- 1.e4 a6 : 세인트 조지 방어(St. George Defence)
- 1.e4 b6 : 오웬 방어(Owen's Defence)
- 1.e4 c5 : 시칠리아 방어
- 1.e4 c6 : 카로칸 방어
- 1.e4 d5 : 센터 카운터 방어(스칸디나비아 방어)
- 1.e4 d6 : 피르츠 방어
- 1.e4 e6 : 프렌치 방어
- * 1.e4 e6 2.d4 c5 : 프랑코-베노니 방어
- 1.e4 f5? : 차이니즈 갬빗
- 1.e4 g5?! : 그로브 방어(Grob Defence)
- 1.e4 g6 : 모던 방어
- 1.e4 Nc6 : 님조비치 방어
- 1.e4 Nf6 : 알레킨 방어
1.e4에 대한 흑의 가장 인기 있는 응수는 시칠리아 방어(1...c5)이다. 프렌치 방어(1...e6)와 카로칸 방어(1...c6)도 매우 인기가 높다. 피르츠 방어와 모던 방어는 밀접하게 관련된 오프닝으로 자주 등장하며, 알레킨 방어와 스칸디나비아 방어는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가끔 볼 수 있다.
시칠리아 방어와 프렌치 방어는 불균형적인 포지션을 만들어 양측 모두에게 승리할 기회를 제공한다. 카로칸 방어는 흑이 c폰으로 중앙을 지원하는 견고한 오프닝이다. 알레킨 방어, 피르츠 방어, 모던 방어는 하이퍼모던 오프닝으로, 흑은 백이 중앙에 폰을 배치하도록 허용하고 이를 공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3. 클로즈드 게임: 1.d4 d5
1.d4 d5로 시작하는 오프닝은 모두 클로즈드 게임으로 분류된다. 1.d4는 1.e4와 마찬가지로 빠른 중앙 제어와 기물 전개를 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e4는 e폰을 보호받지 못하는 위치에 둔다는 단점이 있지만, 1. d4의 경우 d폰이 퀸에 의해 보호된다. 하지만, 1. e4처럼 퀸을 전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지는 못한다. d폰이 퀸에게 보호받고 있다는 점은 1. e4로 시작하는 오프닝과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요즘에는 킹스 갬빗은 너무 도박적이고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아 높은 수준의 체스에서는 거의 볼 수 없지만, 이 오프닝과 대칭이지만 퀸사이드에서 플레이하는 퀸즈 갬빗은 모든 수준의 체스에서 매우 인기있는 오프닝으로 남아있다. 또한, 다른 오프닝으로의 전환(transposition)이 클로즈드 게임에서는 매우 흔한 편이다.클로즈드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오프닝들은 퀸즈 갬빗과 퀸즈 갬빗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오프닝들이다. 그런데, 퀸즈 갬빗은 백이 희생한 폰을 쉽게 되찾을 수 있기 때문에 진짜 갬빗이라고 보지 않는다.
- 1.d4 d5: 더블 퀸 폰 오프닝 또는 클로즈드 게임
- 1.d4 d5 2.c4: 퀸즈 갬빗
- * 1.d4 d5 2.c4 dxc4: 퀸즈 갬빗 수락 (QGA)
- * 1.d4 d5 2.c4 e6: 퀸즈 갬빗 거절 (QGD)
- * 1.d4 d5 2.c4 c6: 슬라브 디펜스
- * 1.d4 d5 2.c4 c5: Symmetrical Defence
- * 1.d4 d5 2.c4 e5: 알빈 카운터 갬빗
- * 1.d4 d5 2.c4 Nc6: 치고린 디펜스
- * 1.d4 d5 2.c4 Nf6?!: 마샬 디펜스
- * 1.d4 d5 2.c4 Bf5: Baltic Defence
- * 1.d4 d5 2.e4: Blackmar-Diemer Gambit
- * 1.d4 d5 2.Nf3 Nf6 3.e3: 콜 시스템
- * 런던 시스템
- * 1.d4 d5 2.e3?!: 스톤월 어택
- 1.d4 d5 2.Nc3: 베레소프 오프닝
- * 1.d4 d5 2.Nc3 Nf6 3.Bg5: 베레소프 오프닝
5. 4. 세미 클로즈드 게임: 1.d4, 흑이 1...d5 이외의 수를 두는 경우
세미 클로즈드 게임은 백이 1. d4로 시작했을 때, 흑이 1... d5 이외의 수로 응수하는 경우를 말한다. 크게 "인디언 디펜스"와 "1... Nf6 이외의 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d4 이후, 흑이 가장 많이 두는 수는 1... d5 다음으로 1... Nf6이다.1... Nf6를 두는 경우 "인디언 디펜스"라고 부르며, 워낙 자주 등장하고 관련 이론도 방대하여 별도로 다룬다. 인디언 디펜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디언 방어 문서를 참조하라.
5. 4. 1. 인디언 디펜스: 1.d4 Nf6
인디언 시스템은 1.d4에 대한 비대칭적인 방어로, 초현대 체스 전략을 사용한다. 흑은 1... Nf6으로 응수하여 처음부터 대칭적인 형태를 깬다. 많은 오프닝에서 피앙케토가 일반적이다. 닫힌 게임과 마찬가지로, 전환이 중요하며, 여러 인디언 방어는 여러 다른 수순으로 도달할 수 있다. 1920년대에 초현대 학파의 선수들에 의해 인디언 방어가 옹호되었지만, 1940년대 후반에 소련 선수들이 이러한 시스템이 흑에게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줄 때까지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이후로 인디언 방어는 1.d4에 대한 흑의 가장 인기 있는 응수가 되었는데, 이는 양측에게 기회가 있는 불균형적인 게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백의 일반적인 두 번째 수는 2.c4로, 중앙을 더 많이 차지하고 Nc3 수를 허용하여 c 폰을 막지 않고 e 폰을 e4로 이동할 준비를 한다.
1.d4 Nf6 이후의 주요 오프닝은 다음과 같다.
오프닝 | 수순 |
---|---|
베노니 방어 | 1.d4 Nf6 2.c4 c5 |
벤코 갬빗 | 1.d4 Nf6 2.c4 c5 3.d5 b5 |
올드 인디언 디펜스 | 1.d4 Nf6 2.c4 d6 |
부다페스트 방어 | 1.d4 Nf6 2.c4 e5 |
카탈란 오프닝 | 1.d4 Nf6 2.c4 e6 3.g3 |
님조-인디언 방어 | 1.d4 Nf6 2.c4 e6 3.Nc3 Bb4 |
폴란드 방어 | 1.d4 Nf6 2.c4 e6 3.Nf3 b5 |
퀸스 인디언 방어 | 1.d4 Nf6 2.c4 e6 3.Nf3 b6 |
블루멘펠트 갬빗 | 1.d4 Nf6 2.c4 e6 3.Nf3 c5 4.d5 b5 |
도리 방어 | 1.d4 Nf6 2.c4 e6 3.Nf3 Ne4 |
보고-인디언 방어 | 1.d4 Nf6 2.c4 e6 3.Nf3 Bb4+ |
네오-인디언 공격 | 1.d4 Nf6 2.c4 e6 3.Bg5 |
그뤼엔펠트 방어 | 1.d4 Nf6 2.c4 g6 3.Nc3 d5 |
킹스 인디언 방어 | 1.d4 Nf6 2.c4 g6 3.Nc3 Bg7 |
블랙 나이츠 탱고 | 1.d4 Nf6 2.c4 Nc6 |
토레 공격 | 1.d4 Nf6 2.Nf3 e6 3.Bg5 |
트롬포스키 공격 | 1.d4 Nf6 2.Bg5 |
5. 4. 2. 1.d4에 대한 1...Nf6 이외의 수
인디언 디펜스 이외에 1.d4에 대한 흑의 주요 수는 베노니 디펜스와 더치 디펜스이다.더치 디펜스는 매우 공격적인 디펜스로, 전 세계 챔피언 알렉산더 알레힌과 미하일 보트비닉이 사용했다.
베노니 디펜스도 종종 보이며,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나 모던 베노니로 전환될 시에는 매우 역동적인 디펜스가 된다.
5. 5. 플랭크 오프닝
백이 중앙 폰을 전진시키지 않고 플랭크 폰이나 나이트를 전개하여 게임을 이끌어나가는 경우를 플랭크 오프닝이라고 한다. 플랭크 오프닝은 기물을 전개하여 상대의 중앙을 공격하는 하이퍼모던 전략을 취하거나, c폰이나 f폰을 전진시켜 플랭크 폰으로 상대방의 중앙 폰을 견제하는 방법을 택한다. 플랭크 오프닝은 매우 인기 있으며, 1. Nf3나 1. c4는 1. e4, 1. d4를 제외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프닝 중 하나이다.1. Nf3로 시작하는 오프닝의 경우 1. d4 오프닝으로 전환되거나 비숍을 피앙케토해서 레티 오프닝, 또는 킹스 인디언 어택 등으로 발전한다. 킹스 인디언 어택은 흑이 택하는 오프닝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셋업이다. 일반적인 전개 순서는 1.Nf3, 2.g3, 3.Bg2, 4.O-O, 5.d3, 6.Nbd2, 7.e4이지만 다른 순서로 같은 포지션에 도달하는 경우도 많고 순서도 크게 상관없다. 백이 1. e4를 둔 후에 흑이 오픈 게임이 아닌 세미-오픈 게임으로 이끌어나가려고 할 때 킹스 인디언 어택으로 오프닝을 전환해서 백이 자신있는 오프닝 포지션에서 체스를 둘 때 사용된다. 이 셋업을 사용하면 다른 세미-오픈 게임들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수많은 이론들을 공부할 필요 없이 상대와 동등하게 체스를 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1]
잉글리시 오프닝 (1.c4) 또한 퀸즈 갬빗 등 1. d4로 시작하는 오프닝들로 자주 전환되지만 대칭적 바리에이션(1.c4 c5) 이나 리버스 시실리안 (1.c4 e5)등 독자적인 오프닝의 형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플랭크 오프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1.b3 라르센 오프닝
- 1.b4 소콜스키 오프닝
- 1.c4 잉글리시 오프닝
- 1.Nf3 주케르토르트 오프닝 (특징적으로 하나 또는 양쪽 비숍을 피앙케토하고 초반에 d4를 두지 않음)
- 1.Nf3, 2.g3, 3.Bg2, 4.O-O, 5.d3, 6.Nbd2, 7.e4 킹스 인디언 어택 (KIA) (수는 다양한 순서로 진행될 수 있음)
- 1.f4 버드 오프닝
- 1.g3 벤코 오프닝
- 1.g4 그로브 어택
5. 6. 백의 이질적인 첫 수
킹 폰(1.e4), 퀸 폰(1.d4) 또는 측면 오프닝(1.b3, 1.b4, 1.c4, 1.Nf3, 1.f4 또는 1.g3)이 아닌 다른 백의 첫 수는 백의 첫 수 이점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오프닝 중 일부는 실제로 백에게 나쁘지 않지만, 더 인기 있는 선택에 비해 다음과 같은 명확한 단점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너무 수동적이다 (1.d3, 1.e3, 1.c3 또는 1.Nc3).
- 백의 포지션을 불필요하게 약화시킨다 (1.f3 또는 1.g4).
- 백의 기물 전개나 중앙 제어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1.a3, 1.a4, 1.h3 또는 1.h4).
- 나이트를 열등한 칸으로 전개한다 (1.Na3 또는 1.Nh3).
다음은 백의 이질적인 첫 수의 예시이다.
- 1.a3?! …… 안데르센 오프닝
- 1.a4? …… 웨어 오프닝
- 1.c3 …… 사라고사 오프닝
- 1.d3 …… 미에세스 오프닝
- 1.e3 …… 반 '트 크루이스 오프닝
- 1.f3? …… 반스 오프닝
- 1.g4?! …… 그로브의 공격
- 1.h3? …… 클레멘츠 오프닝
- 1.h4? …… 데프레 오프닝
- 1.Na3? …… 더킨 오프닝
- 1.Nh3? …… 파리 오프닝
참조
[1]
웹사이트
Phases of the game - Chess Strategy Online
https://www.chessstr[...]
2021-03-30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Book Move - Chess Terms
https://www.chess.co[...]
2021-03-30
[4]
문서
Modern Chess
[5]
서적
How Chess Games are Won and Lost
Gambit
2008-10-07
[6]
서적
The World's Great Chess Games
Andre Deutsch (now as paperback from Dover)
[7]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https://www.chess.co[...]
2021-03-30
[8]
웹사이트
How to Control the Center (and Why It's Important)
https://www.chess.co[...]
2021-03-30
[9]
서적
Ideas Behind the Chess Openings
Random House
[10]
서적
The Complete Book of Chess Strategy
Silman-James Press
[11]
서적
Transpo Tricks in Chess
Batsford
[12]
간행물
Measuring Chess Experts' Single-Use Sequence Knowledge: An Archival Study of Departure from 'Theoretical' Openings
[13]
서적
Chess for Tiger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History of Chess
Clarendon Press
[15]
뉴스
Chess Notes 3902, Openings nomenclature
http://www.chesshist[...]
2005-08-21
[16]
서적
Winning Chess Tactics
Everyman Chess
[17]
문서
Hooper & Whyld, p281
[18]
문서
Chess Opening Essentials 4, p. 11
[19]
문서
This is in contrast to shogi opening theory, which generally categorizes openings by form regardless of the move sequences that brought about the form in what are sometimes called ''systems'' in western chess.
[20]
서적
Learn Chess in a Weekend
Knopf/DK
[21]
문서
Chess Openings for White Explained, p. 27
[22]
문서
Chess Opening Essentials 3, p. 38
[23]
문서
The Chess Opening for You
R.H.M. Press
[24]
서적
The World's Great Chess Games
Andre Deutsch (now as paperback from Dover)
[2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Oxfo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Modern Chess
[27]
서적
The Complete Book of Chess Strategy
https://archive.org/[...]
Silman-James Press
[28]
서적
Chess for Tigers
Oxford University Press
[29]
문서
A History of Chess
Clarendon Press
[30]
문서
Chess Openings for White Explained, p. 27
[31]
문서
The Chess Opening for You
R.H.M.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