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1925년부터 1993년까지 존재했던 체코슬로바키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초기에는 슬라비아 프라하와 스파르타 프라하가 리그를 주도하며 경쟁했으며, 이후 두 팀 외에도 두클라 프라하,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등의 팀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보헤미아와 모라바 지역의 클럽들만 참가하는 리그로 운영되기도 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분할 이후에는 체코의 감브리누스 리가와 슬로바키아의 수페르리가로 분리되었다. 요제프 비칸은 447골로 리그 통산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열되기 전까지 존재하며 월드컵 준우승 2회, 유로 우승 1회, 올림픽 금메달 1회 등의 업적을 남긴 팀이다. - 폐지된 축구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B
세군다 디비시온 B는 스페인의 4부 축구 리그로, 1977년 3부 리그로 재출범하여 2021-22 시즌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4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여 상위 팀은 승격, 하위 팀은 강등된다. - 폐지된 축구 리그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에 걸쳐 진행된 축구 리그이며,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클럽이 우승을 차지하고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라리가
라리가는 스페인의 프로축구 1부 리그로, 20개 구단이 더블 리그 방식으로 총 38경기를 치르며, 상위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고, 하위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 |
---|---|
리그 정보 | |
국가 | 체코슬로바키아 |
대륙 연맹 | UEFA |
창립 연도 | 1925년 |
해체 연도 | 1993년 |
참가 팀 수 (1993년) | 16 |
리그 등급 | 1부 리그 |
국내 컵 대회 | 체코슬로바키아 컵 |
대륙 컵 대회 | 유러피언 컵 UEFA컵 |
최다 우승 팀 | 스파르타 프라하 (21회 우승) |
최다 득점자 | 요세프 비찬 (447골) |
명칭 | |
체코어 | 1. fotbalová liga |
슬로바키아어 | 1. futbalová liga |
최근 시즌 | |
시즌 | 1992-1993 |
우승 팀 | 스파르타 프라하 |
하위 리그 | 체스카 나로드니 포트발로바 리가 슬로벤스카 나로드니 프트발로바 리가 |
2. 명칭
- 1925년 제1 협회 리그(Asociační liga|아소치아치니 리가cs) (프라하 팀만)
- 1925–29년 중앙 보헤미아 1부 리그(Středočeská liga|스트르제도체스카 리가cs) (프라하 및 중앙 보헤미아 팀)
- 1929–34년 제1 협회 리그(Asociační liga|아소치아치니 리가cs) (모라비아 팀 포함으로 확장)
- 1934–38년 주 리그(Státní liga|스타트니 리가cs) (슬로바키아 팀 포함으로 확장)
- 1938–44년 보헤미아-모라비아 리그(Národní liga|나로드니 리가cs) (제2차 세계 대전, 체코슬로바키아 분할)
- 1945–48년 주 리그(Státní liga|스타트니 리가cs)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부활)
- 1949–50년 제1 전국 선수권 대회(Celostátní mistrovství|첼로스타트니 미스트로프스트비cs)
- 1951–55년 공화국 선수권 대회(Mistrovství republiky (1951–52), Přebor republiky (1953–55)|미스트로프스트비 레푸블리키 (1951–52), 프르제보르 레푸블리키 (1953–55)cs)
- 1956–93년 제1 리그(I. liga|1. 리가cs)[4]
3. 역사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1925년에 창설되어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될 때까지 운영되었다. 리그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1925년: 제1 협회 리그(Asociační ligacs) (프라하 팀만 참가)
- 1925–1929년: 중앙 보헤미아 1부 리그(Středočeská ligacs) (프라하 및 중앙 보헤미아 팀 참가)
- 1929–1934년: 제1 협회 리그(Asociační ligacs) (모라비아 팀 포함으로 확장)
- 1934–1938년: 주 리그(Státní ligacs) (슬로바키아 팀 포함으로 확장)
- 1938–1944년: 보헤미아-모라비아 리그(Národní ligacs)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분할)
- 1945–1948년: 주 리그(Státní ligacs)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부활)
- 1949–1950년: 제1 전국 선수권 대회(Celostátní mistrovstvícs)
- 1951–1955년: 공화국 선수권 대회(Mistrovství republiky (1951–52), Přebor republiky (1953–55)cs)
- 1956–1993년: 제1 리그(I. ligacs)[4]
프라하를 연고지로 하는 클럽들이 리그를 주도했으며, 스파르타 프라하가 19번, 두클라 프라하가 11번, 슬라비아 프라하가 9번 우승을 차지했다. 1965년 9월 4일, 프라하에서 열린 스파르타 프라하와 슬라비아 프라하의 경기에는 50,105명의 관중이 참석하여 리그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3]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체코의 체코 1부 리그와 슬로바키아의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로 계승되었다.
3. 1. 초창기 (1925-1938)
1925년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가 창설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축구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리그 창설 초기에는 슬라비아 프라하와 AC 스파르타 프라하가 강력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리그를 주도했다.초창기 리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득점왕 | 클럽 |
---|---|---|---|---|---|
1925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빅토리아 지슈코프 | 얀 바니크 (13) | 슬라비아 프라하 |
1925–26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빅토리아 지슈코프 | 얀 드보르체크 (32) | 스파르타 프라하 |
1927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브르쇼비체 | 안토닌 푸치 (13), 요세프 시마 (13) | 슬라비아 프라하, 스파르타 프라하 |
1927–28 | 빅토리아 지슈코프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카렐 메두나 (12) | 빅토리아 지슈코프 |
1928–29 | 슬라비아 프라하 | 빅토리아 지슈코프 | 스파르타 프라하 | 안토닌 푸치 (13) | 슬라비아 프라하 |
1929–30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빅토리아 지슈코프 | 프란티셰크 클로즈 (15) | 클라드노 |
1930–31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보헤미안스 브르쇼비체 | 요세프 실니 (18) | 스파르타 프라하 |
1931–32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보헤미안스 브르쇼비체 | 레이먼드 브레인 (16) | 스파르타 프라하 |
1932–33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빅토리아 플젠 | 게이저 코치시 (23) | 테플리처 FK / 보헤미안스 프라하 |
1933–34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클라드노 | 레이먼드 브레인 (18), 이르지 소보트카 (18) | 스파르타 프라하, 슬라비아 프라하 |
1934–35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지데니체 | 프란티셰크 스보보다 (27) | 슬라비아 프라하 |
1935–36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프로스테요프 | 보이테흐 브라다치 (42) | 슬라비아 프라하 |
1936–37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프로스테요프 | 프란티셰크 클로즈 (28) | 클라드노 |
1937–38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지데니체 | 요세프 비칸 (22) | 슬라비아 프라하 |
- 두 강팀의 경쟁: 슬라비아 프라하와 AC 스파르타 프라하는 초창기 리그에서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925년부터 1938년까지 두 팀이 아닌 팀이 우승한 것은 1927-28 시즌의 빅토리아 지슈코프가 유일하다.
- 슬라비아 프라하의 강세: 슬라비아 프라하는 1925년 첫 시즌 우승을 시작으로, 1928-29 시즌부터 1930-31 시즌까지 3연패, 1932-33 시즌부터 1934-35 시즌까지 다시 3연패를 달성하며 초창기 리그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 스파르타 프라하의 추격: AC 스파르타 프라하는 슬라비아 프라하의 독주를 견제하며 꾸준히 우승 경쟁에 참여했다. 1925-26 시즌과 1927 시즌, 그리고 1931-32 시즌, 1935-36 시즌, 1937-38 시즌에 우승을 차지하며 슬라비아 프라하의 강력한 대항마로 자리매김했다.
3. 2. 보헤미아-모라비아 리그 (1938-1944)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분할되면서, 보헤미아와 모라바 지역의 클럽들만 리그에 참가하였다.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최다 득점자 | 클럽 |
---|---|---|---|---|---|
1938–39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SK 파르두비체 | 요세프 비칸 (29골) | 슬라비아 프라하 |
1939–40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SK 파르두비체 | 요세프 비칸 (50골) | 슬라비아 프라하 |
1940–41 | 슬라비아 프라하 | SK 플젠 | SK 파르두비체 | 요세프 비칸 (38골) | 슬라비아 프라하 |
1941–42 | 슬라비아 프라하 | SK 프로스테요프 | 빅토리아 플젠 | 요세프 비칸 (45골) | 슬라비아 프라하 |
1942–43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바타 즐린 | 요세프 비칸 (39골) | 슬라비아 프라하 |
1943–44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바타 즐린 | 요세프 비칸 (57골) | 슬라비아 프라하 |
3. 3. 전후 재건과 리그 확장 (1945-1993)
종전 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이 부활하면서 리그는 다시 통합되었다. 프라하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리그를 주도했는데, AC 스파르타 프라하가 19번, 두클라 프라하가 11번, 슬라비아 프라하가 9번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바니크 오스트라바,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보헤미안스 프라하, 비트코비체 등 다른 팀들도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의 경쟁을 심화시켰다.1965년 9월 4일, 프라하에서 열린 스파르타 프라하와 슬라비아 프라하의 경기에는 50,105명의 관중이 참석하여 리그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3]
1945년부터 1993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의 시즌별 우승, 준우승, 3위 팀과 득점왕 및 소속 클럽은 다음과 같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체코 공화국의 체코 1부 리그와 슬로바키아의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로 분리되었다.
4. 역대 우승 팀 및 기록
1937년부터 1945년까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리그가 중지되었다.[5]
클럽 | 우승 | 우승 연도 |
---|---|---|
스파르타 프라하 | 21 | 1925–26, 1927, 1931–32, 1935–36, 1937–38, 1938–39, 1943–44, 1945–46, 1947–48, 1952, 1954, 1964–65, 1966–67, 1983–84, 1984–85,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2–93 |
SK 슬라비아 프라하 | 13 | 1925, 1928–29, 1929–30, 1930–31, 1932–33, 1933–34, 1934–35, 1936–37,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6–47 |
두클라 프라하 | 11 | 1953, 1956, 1957–58,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5–66, 1976–77, 1978–79, 1981–82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8 | 1949, 1950, 1951, 1955, 1969–70, 1973–74, 1974–75, 1991–9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5 | 1967–68, 1968–69, 1970–71, 1971–72, 1972–73 |
바니크 오스트라바 | 3 | 1975–76, 1979–80, 1980–81 |
비트코비체 | 1 | 1985–86 |
빅토리아 지슈코프 | 1 | 1927–28 |
보헤미안스 프라하 | 1 | 1982–83 |
브르노 | 1 | 1977–78 |
흐라데츠크랄로베 | 1 | 1959–60 |
인터 브라티슬라바 | 1 | 1958–59 |
[5]
요제프 비칸은 리그 통산 최다 득점자로, 279경기에서 447골을 기록했다. 이 중 417골은 SK 슬라비아 프라하에서, 30골은 FC 비트코비체에서 넣었다.[1]
4. 1. 시즌별 우승 팀 및 준우승 팀
시즌 | 우승 팀 | 준우승 팀 |
---|---|---|
1925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25-26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27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27-28 | 빅토리아 지슈코프 | 슬라비아 프라하 |
1928-29 | 슬라비아 프라하 | 빅토리아 지슈코프 |
1929-30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0-31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1-32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32-33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3-34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4-35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5-36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36-37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37-38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38-39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39-40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40-41 | 슬라비아 프라하 | SK 플젠 |
1941-42 | 슬라비아 프라하 | SK 프로스테요프 |
1942-43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43-44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45-46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46-47 | 슬라비아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47-48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1949 | NV 브라티슬라바 | 브라트스트비 스파르타 |
1950 | NV 브라티슬라바 | 브라트스트비 스파르타 |
1951 | NV 브라티슬라바 | 스파르타 CKD 소콜로보 |
1952 | 스파르타 CKD 소콜로보 | NV 브라티슬라바 |
1953 | UDA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소콜로보 |
1954 | 스파르타 프라하 소콜로보 | 바닉 오스트라바 |
1955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UDA 프라하 |
1956 | 두클라 프라하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57-58 | 두클라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소콜로보 |
1958-59 | CH 브라티슬라바 | 두클라 프라하 |
1959-60 | 스파르타크 흐라데츠크랄로베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60-61 | 두클라 프라하 | CH 브라티슬라바 |
1961-62 | 두클라 프라하 | 슬로반 니트라 |
1962-63 | 두클라 프라하 | 제드노타 트렌친 |
1963-64 | 두클라 프라하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64-65 | 스파르타 프라하 | 타트란 프레쇼우 |
1965-66 | 두클라 프라하 | 스파르타 프라하 |
1966-67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67-68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68-69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69-70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1970-71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VSS 코시체 |
1971-7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72-73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타트란 프레쇼우 |
1973-74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두클라 프라하 |
1974-75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1975-76 | 바닉 오스트라바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76-77 | 두클라 프라하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1977-78 | 1. FC 브르노 | 두클라 프라하 |
1978-79 | 두클라 프라하 | 바닉 오스트라바 |
1979-80 | 바닉 오스트라바 | 1. FC 브르노 |
1980-81 | 바닉 오스트라바 | 두클라 프라하 |
1981-82 | 두클라 프라하 | 바닉 오스트라바 |
1982-83 | 보헤미안스 프라하 | 바닉 오스트라바 |
1983-84 | 스파르타 프라하 | 두클라 프라하 |
1984-85 | 스파르타 프라하 | 보헤미안스 프라하 |
1985-86 | FC 비트코비체 | 스파르타 프라하 |
1986-87 | 스파르타 프라하 | FC 비트코비체 |
1987-88 | 스파르타 프라하 | 두클라 프라하 |
1988-89 | 스파르타 프라하 | 바닉 오스트라바 |
1989-90 | 스파르타 프라하 | 바닉 오스트라바 |
1990-91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1991-92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스파르타 프라하 |
1992-93 | 스파르타 프라하 | 슬라비아 프라하 |
4.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스파르타 프라하 | 21 | 1925–26, 1927, 1931–32, 1935–36, 1937–38, 1938–39, 1943–44, 1945–46, 1947–48, 1952, 1954, 1964–65, 1966–67, 1983–84, 1984–85,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2–93 |
SK 슬라비아 프라하 | 13 | 1925, 1928–29, 1929–30, 1930–31, 1932–33, 1934, 1934–35, 1936–37,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6–47 |
두클라 프라하 / 우다 프라하 | 11 | 1953, 1956, 1957–58,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5–66, 1976–77, 1978–79, 1981–82 |
S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NV 브라티슬라바 | 8 | 1949, 1950, 1951, 1955, 1969–70, 1973–74, 1974–75, 1991–92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5 | 1967–68, 1968–69, 1970–71, 1971–72, 1972–73 |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 3 | 1975–76, 1979–80, 1980–81 |
TJ 비트코비체 | 1 | 1985–86 |
FK 빅토리아 지슈코프 | 1 | 1927–28 |
FC 보헤미안스 프라하 | 1 | 1982–83 |
FC 브르노 | 1 | 1977–78 |
스파르타크 흐라데츠 크랄로베 | 1 | 1959–60 |
FK 인터 브라티슬라바 | 1 | 1958–59 |
4. 3. 주요 선수 기록
요제프 비칸은 279경기에서 447골을 기록하며 리그 통산 최다 득점자였으며, 이 중 417골은 슬라비아 프라하에서, 30골은 FC 비트코비체에서 기록했다.[1] 아래 목록은 리그 전체 최다 득점자가 아니라, 슬라비아 프라하에서 선수 생활을 한 적이 있는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한다.[1]# | 이름 | 골 | 연도 |
---|---|---|---|
1 | Josef Bican|요제프 비칸de | 447 | 1937–51, 1953–56 |
2 | Vlastimil Kopecký|블라스티밀 코페츠키cs | 252 | 1932–51 |
3 | František Kloz|프란티셰크 클로즈cs | 175 | 1926–45 |
4 | Ladislav Kareš|라디슬라프 카레시cs | 163 | ? |
5 | Vojtěch Bradáč|보이테흐 브라다치cs | 155 | 1926–36, 1937–45 |
6 | Jiří Pešek|이르지 페셰크cs | 151 | 1939–65 |
7 | Otto Hemele|오토 헤멜레cs | 133 | 1937–65 |
8 | Josef Silný|요제프 실니cs | 127 | 1923–33, 1934–40 |
9 | Antonín Puč|안토닌 푸치cs | 123 | 1925–40 |
10 | Josef Kadraba|요제프 카드라바cs | 117 | 1953–67 |
5. 유산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1993년 체코의 체코 1부 리그와 슬로바키아의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로 계승되었다.[3] 프라하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리그를 주도했으며, 스파르타 프라하가 19번, 두클라 프라하가 11번, 슬라비아 프라하가 9번 우승을 차지했다.
1965년 9월 4일 프라하에서 열린 스파르타와 슬라비아의 경기에는 50,105명의 관중이 참석하여 리그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3]
참조
[1]
웹사이트
Slavia Top Scorers of All Times
https://en.slavia.cz[...]
[2]
웹사이트
Champions of Slovakia
https://www.rsssf.or[...]
[3]
뉴스
Na Letné padl divácký rekord 21. století
http://fotbal.idnes.[...]
2012-12-01
[4]
서적
Český a československý fotbal - lexikon osobností a klubů
Grada Publishing
[5]
웹사이트
Czechoslovakia / Czech Republic - List of League Tables
http://www.rsssf.com[...]
RSSSF
2016-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