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경도 다이아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고경도 다이아몬드는 일반 다이아몬드보다 훨씬 단단한 물질로, 흑연 또는 풀러렌 압축을 통해 합성된다. 2003년 일본 연구진이 흑연 압축을 통해 처음 생산했으며, 등온 부피 탄성률이 기존 다이아몬드보다 높고 밀도가 더 높다.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측정한 경도는 다이아몬드와 입방정 질화 붕소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ADNR(초고경도 다이아몬드/나노 다이아몬드)는 풀러렌 분말을 고압으로 압축하거나, 풀러렌을 저압으로 압축 후 가열하여 생성하며, 자연적으로는 운석 충돌 시 흑연에서 형성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경재료 - 탄화 규소
탄화규소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다형체로 존재하며, 연마재, LED, 고성능 전력 반도체, 방탄복,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그래핀 생산과 양자 정보 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이다. - 초경재료 - 질화 붕소
질화 붕소는 붕소와 질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높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과 우수한 윤활성을 바탕으로 절삭 공구, 연마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광물 - 철광석
철광석은 철을 함유한 광물의 총칭으로,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등이 주요 광물이며, 제철 산업에 사용되고, 생성 과정과 성분에 따라 적철광, 자철광, 띠철광층 등으로 구분되며, 호주, 브라질,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고, 저품위 철광석 활용 및 광미 재활용이 과제이다. - 광물 - 황철석
황철석은 입방 결정계에 속하는 황화물 광물로, 화약 점화원, 황산철 제조, 다양한 산업 재료로 활용되며, 환경 노출 시 산성 광산 배수 및 콘크리트 열화를 유발하기도 한다.
초고경도 다이아몬드 | |
---|---|
일반 정보 | |
특성 | |
녹는점 | 해당 없음 |
끓는점 | 해당 없음 |
밀도 | 해당 없음 |
2. 발견
일본 연구진이 2003년에 흑연을 압축하여 초고경도 다이아몬드를 처음 발견했으며, 같은 연구에서 ''네이처''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일반 다이아몬드보다 훨씬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2]
초고경도 다이아몬드(ADNR)는 일반 다이아몬드보다 밀도가 0.2~0.4% 더 높고,[14] 압축률은 491 기가파스칼(GPa)로 다이아몬드의 442 GPa보다 높다.[15] 결정 구조의 거리는 5-20 나노미터, 길이는 1 마이크로미터로 추정된다.
ADNR(초고경도 다이아몬드/나노 다이아몬드)는 풀러라이트 분말, 즉 동소체 탄소 풀러렌의 고체 형태를 압축하여 생성된다. 한 가지 방법은 다이아몬드 앤빌 셀을 사용하고 셀을 가열하지 않고 약 37 GPa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6] 다른 방법으로는 풀러라이트를 더 낮은 압력(2–20 GPa)으로 압축한 다음 300,000에서 2,500,0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다.[7][8][9][10]
[1]
논문
Natural occurrence of pure nano-polycrystalline diamond from impact crater
3. 성질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측정한 경도는 290~310 GPa로, 다이아몬드(IIa형 111면 137-167 GPa) 및 입방정 질화 붕소(60 GPa)보다 매우 단단하다.[13] 비커스 경도 마이크로 측정에서 ADNR은 가장 단단한 천연 다이아몬드(type IIa 111면)에 흠집을 낼 수 있었다.[14] 순수한 다이아몬드의 <111> 표면(입방체의 가장 긴 대각선에 수직)은 나노 다이아몬드 팁으로 긁었을 때 경도 값이 167±6 GPa인 반면, 나노 다이아몬드 샘플 자체는 나노 다이아몬드 팁으로 테스트했을 때 310 GPa의 값을 갖는다.[5]
4. 합성
약 1mm 크기의 나노 다이아몬드 집합체는 러시아 시베리아의 포피가이 충돌 구조와 같은 운석 충돌 시 흑연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1] 풀러렌 분말 또는 고체를 원료로 하며, 다이아몬드 앤빌 셀을 사용하여 37기가파스칼 정도까지 상온 압축하면 18기가파스칼 이상에서 경도 변화가 시작된다.[16] 또한 고온(300,000에서 2,500,000) 고압(2-20기가파스칼) 조건에서도 생성된다.[17][18][19][20]
참조
[2]
논문
Materials: Ultrahard polycrystalline diamond from graphite
[3]
논문
Aggregated diamond nanorods, the densest and least compressible form of carbon
https://nbn-resolvin[...]
[4]
논문
Superior Wear Resistance of Aggregated Diamond Nanorods
[5]
논문
Ultrahard and superhard phases of fullerite C60: Comparison with diamond on hardness and wear
http://nanoscan.info[...]
2011-07-21
[6]
논문
Is C60 fullerite harder than diamond?
[7]
논문
Superhard form of carbon obtained from C60 at moderate pressure
[8]
논문
Ultrahard and superhard carbon phases produced from C60 by heating at high pressure: structural and Raman studies
[9]
논문
Chemical modifications of C under the influence of pressure and temperature: from cubic C to diamond
[10]
논문
Phase transformations in solid C60 at high-pressure-high-temperature treatment and the structure of 3D polymerized fullerites
[11]
논문
Superior Wear Resistance of Aggregated Diamond Nanorods
[12]
웹사이트
ダイヤモンド・ナノロッド凝集体の優れた磨耗抵抗性
https://web.archive.[...]
2013-03-28
[13]
웹사이트
Ultrahard and superhard phases of fullerite C60: comparison with diamond on hardness and wear
http://nanoscan.info[...]
Diamond and Related Materials
2011-07-21
[14]
뉴스
Researchers synthesize diamond nanorods; hardest and least compressive material in the world
http://www.physorg.c[...]
[15]
웹사이트
Aggregated Diamond Nanorods, the Densest and Least Compressible Form of Carbon
http://www.esrf.eu/n[...]
[16]
논문
Is C60 fullerite harder than diamond?
https://doi.org/10.1[...]
[17]
논문
Superhard form of carbon obtained from C60 at moderate pressure
https://doi.org/10.1[...]
[18]
논문
Ultrahard and superhard carbon phases produced from C60 by heating at high previous termpressure: structural and Raman studies
https://doi.org/10.1[...]
[19]
논문
Chemical modifications of C60 under the influence of pressure and temperature: from cubic C60 to diamond
https://doi.org/10.1[...]
[20]
논문
Phase transformations in solid C60 at high-pressure-high-temperature treatment and the structure of 3D polymerized fullerites
https://doi.org/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