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알맨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알맨들은 설치 미술가 김지현이 2009년에 발표한 조각 작품으로, 남근 모양의 헬멧을 쓴 나체의 근육질 남성으로 묘사된다. 이 작품은 아름다움, 부, 명성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남성성의 취약성을 표현하며, 2013년 평창 비엔날레에 선정되어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 설치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중 일본 언론에 소개되며 "모르겠어요"라는 이름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작가는 다양한 반응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인간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조각품 - 그리팅맨
    유영호 조각가의 작품인 그리팅맨은 서로 마주보며 인사하는 조각상으로, 경기도 연천군 옥녀봉,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양구군 해안면에 설치되어 있다.
  • 2013년 작품 - 지구가 웃은 날
    '지구가 웃은 날'은 2013년 카시니-하위헌스 미션이 촬영한 토성 사진 속 작은 점으로 보이는 지구를 통해 우주 탐사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구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문화적 사건이다.
  • 2018년 인터넷 문화 - 미투 운동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하는 사회 운동으로, 2006년 타라나 버크의 캠페인에서 시작되어 2017년 알리사 밀라노의 해시태그 사용으로 전 세계 확산되었으며,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법률 개정 촉구에도 불구하고 허위 고발 논란과 소수자 배제 문제 등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며 사회적 성찰과 노력을 요구한다.
  • 2018년 인터넷 문화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개봉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영화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는 랄프와 바넬로피가 아케이드 게임 세계를 넘어 인터넷 세상에서 모험하며 우정을 지켜나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리치 무어와 필 존스턴이 감독을 맡고 존 C. 라일리, 사라 실버맨 등이 목소리 연기를 했다.
총알맨들
작품 정보
제목총알맨들
원어 제목총알맨들 (총알 Maendeul)
작가김지현
제작 연도2008년
크기높이 230cm, 너비 65cm, 길이 60cm
소장강원문화재단
위치대관령면, 평창군, 대한민국
좌표37°39′26″N 128°40′31″E

2. 디자인

조각상들은 남근 모양의 총알 모양 헬멧을 쓴, 나체의 근육질 남성으로 묘사된다. 작가 김지현에 따르면, 총알맨은 아름다운 몸, 부, 명성에 대한 숨겨진 인간의 욕망을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7] 헬멧은 인간 본성의 취약성[4], 특히 다중 성별 사회에서 남성성의 취약성을 상징한다.[2] 또한 헬멧은 외부의 적대감으로부터 자기 의식적인 남성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역설적으로 그들을 안주하게 만들어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헬멧 착용 여부를 망설이게 하는 장치로 해석된다.[1]

김지현은 헬멧의 형태가 매끄러운 탄환의 이미지와 남성기를 이중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작품이 "'미화된 폭력과 욕망'으로 무장한 '약한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며, 이는 작가 자신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고 밝혔다.[11][13]

3. 제작 배경

설치 미술가 김지현이 2009년에 'BULLET MAN|불릿 맨eng'(탄환 맨|탄환 맨kor)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작품이다.[11][12] 이 조각상들은 남근 모양의 총알 형태 헬멧을 쓴, 나체의 근육질 남성 모습을 하고 있다.[7] 작가에 따르면, 총알맨은 아름다운 몸, 부, 명성에 대한 인간의 숨겨진 욕망을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졌다.[7] 헬멧은 총알의 매끄러운 이미지와 남성기를 동시에 형상화한 것으로[11], 인간 본성의 취약성[4], 특히 다중 성별 사회에서 남성성의 취약성을 나타낸다.[2] 또한 헬멧은 외부의 적대감으로부터 자기 의식이 강한 남성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그들을 편안한 상태에 머무르게 하여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헬멧을 벗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이기도 하다.[1] 김지현은 이 작품이 "'미화된 폭력과 욕망'으로 무장한 '약한 인간의 본성'"을 표현하며, 이는 "자신에 대한 비판"이라고 설명했다.[11][13]

작품의 탄생 배경에는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이 자리 잡고 있다. 김지현은 2001년 미국 유학 중 9.11 테러를 현장 근처에서 겪은 후 "왜 여기에 있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평화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품게 되었고, 이 경험이 작품 활동의 원점이 되었다고 밝혔다.[13] 일각에서는 2004년 아부그라이브 포로 학대 사건을 모티브로 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14], 작가가 직접 밝힌 제작 배경은 9.11 테러 경험이다.[13]

이 작품은 2013년 평창 비엔날레에 선정되었으며[13], 제1회 강원도 국제 미술 전시회 이후 강원도 문화재단이 구입하여[1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의 알펜시아 리조트에 설치되었다.[11]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당시 알펜시아 리조트가 메인 프레스 센터로 사용되면서 작품이 다시 주목받았다. 2018년 2월 7일, 일본의 도쿄 스포츠는 이 조형물을 "수수께끼의 오브제"로 소개하며 남성기처럼 보이는 헬멧 모양에 주목했다. 기자가 현장 자원봉사자에게 작품에 대해 묻자 "'''모르겠어요'''"라고 답한 것이 그대로 보도되면서[10][13][15], 이 이름이 작품의 별칭처럼 퍼져나가 SNS 등 온라인상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10] 작가는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고려할 때, '모르겠어요'라는 반응이 어떤 면에서는 작품의 주제와 아이러니하게도 잘 맞아떨어진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1][13]

4. 반응 및 해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작성하지 않음)

4. 1.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당시의 반응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중, 주 프레스센터로 사용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의 알펜시아 리조트에 설치된 이 조각상들은 예상치 못한 주목을 받았다.[11][10][13][15] 올림픽 개막 직전인 2018년 2월 7일, 일본의 도쿄 스포츠는 이 조각상을 "수수께끼의 오브제"로 소개하며, 특히 남성기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모양에 주목했다.[10][13][15]

도쿄 스포츠 기자가 현장의 자원봉사자에게 조각상에 대해 묻자, "'''모르겠어요'''"라는 답변을 들었고, 이 내용이 그대로 보도되었다.[5][10][13][15] 이 보도 이후, 조각상은 일본의 SNS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사용자들은 자원봉사자의 답변인 "모르겠어요"를 조각상의 이름으로 받아들여,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등에서 モルゲッソヨ|모르게쏘요일본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했다.[8][9][10] 은색의 전라 남성 세 명이 탄환과 남성기를 동시에 형상화한 듯한 헬멧을 쓴 독특한 모습은[11][10][12][13] 인터넷상에서 빠르게 확산되었고, 조각상을 패러디한 CG나 일러스트, 인터넷 게시판의 아스키 아트(AA) 등이 만들어지기도 했다.[10][12]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작가 김지현은 조각상에 대한 다양한 반응에 감사함을 표하면서도, 작품이 담고 있는 본래의 메시지, 즉 이념보다 인간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4] 김지현은 이 작품이 "멋진 몸, 부, 명예 등 인간의 욕망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이며, "매끄러운 탄환의 이미지와 남성기를 이중으로 형상화한" 헬멧을 통해 "'미화된 폭력과 욕망'으로 무장한 '약한 인간의 본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11][13] 그는 또한 인간이 자신의 욕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고려할 때, 평창 올림픽 당시 일본에서 화제가 된 "모르겠어요"라는 이름이 어떤 면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작품의 의미와 맞아떨어지는 면이 있다고 덧붙였다.[11][13]

일각에서는 이 조형물이 2004년 아부그라이브 포로 수용소에서 벌어진 포로 학대 사건을 모티브로 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으나[14], 작가는 2001년 미국 유학 중 9.11 테러를 가까이에서 경험한 것이 작품 활동의 원점이 되었다고 밝혔다. 당시 "왜 여기에 있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평화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그 경험이 작품에 투영되었다는 것이다.[13]

4. 2. 작가의 해석

조각상은 남근 모양의 총알 헬멧을 쓴, 나체의 근육질 남성 모습이다. 작가 김지현에 따르면, 이 총알맨은 아름다운 몸, 부, 명성에 대한 인간의 숨겨진 욕망을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표현한 것이다.[7] 헬멧은 인간 본성의 취약함[4], 특히 여러 성별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남성성이 가지는 취약함을 나타낸다.[2] 또한 외부의 적대감으로부터 자기 의식이 강한 남성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그들을 편안한 상태에 머무르게 하여 불안감을 키움으로써 헬멧을 벗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이기도 하다.[1]

김지현은 작품에 대해 "멋진 몸, 부, 명예 등 인간의 욕망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했으며, "남성의 늠름한 몸의 머리를 덮는 헬멧의 형태는, 매끄러운 탄환의 이미지와 남성기를 이중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작품을 통해 나타내고자 한 것은 "'미화된 폭력과 욕망'으로 무장한 '약한 인간의 본성'"이며, 이는 "자신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작가는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고려할 때,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당시 일본에서 화제가 된 "모르겠어요"라는 반응이 어떤 면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작품의 의미와 잘 맞는다고 보았다.[11][13]

이 조형물의 원형이 2004년 아부그라이브 포로 수용소에서 벌어진 포로 학대 문제를 다룬 작품이라는 추측도 있지만[14], 작가 자신은 2001년 미국 유학 중 현장 근처에서 9.11 테러를 겪은 경험이 작품의 원점이라고 밝혔다. 당시 그는 "왜 여기에 있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평화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이 경험이 작품 활동의 시작이 되었다고 한다.[13]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중 도쿄 스포츠 기자가 자원봉사자들에게 조각상에 대해 질문했을 때 "모르겠어요"라고 답한 것이 화제가 된 것에 대해[5][10][13][15], 김지현 작가는 조각상에 대한 다양한 반응에 감사함을 표하며, 이념보다는 인간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신전을 꿈꾸다 Dreaming of the Altar in your mind https://neolook.com/[...] 2023-07-10
[2] 웹사이트 평창 ‘총알맨’ 화제 김지현의 작품 세계…이명박 4대강에서 움직이는 숲까지 https://www.khan.co.[...] 2023-07-11
[3] 웹사이트 (Olympics) "Bullet Men" statues and human-faced bird, surprise stars of Olympics https://en.yna.co.kr[...] 2023-07-10
[4] 웹사이트 平昌五輪の謎彫刻、狙いは何か モルゲッソヨの作者語る https://web.archive.[...] 2023-07-11
[5] 웹사이트 【平昌五輪】メインプレスセンター前に“謎のオブジェ” 東スポWEB https://www.tokyo-sp[...] 2023-07-11
[6] 웹사이트 The ‘Bullet Men’ become stars in PyeongChang https://koreajoongan[...] 2023-07-11
[7] 웹사이트 3040 조각가 3인의 참신한 실험 https://www.seoul.co[...] 2023-07-10
[8] 웹사이트 平昌五輪:「モルゲッソヨ」が国内外で話題 http://www.chosunonl[...] 2023-07-11
[9] 웹사이트 일본 SNS 유저들에게 평창 올림픽 프레스센터의 동상이 화제가 됐다(사진) http://www.huffingto[...] 2023-07-11
[10] 뉴스 平昌五輪:「モルゲッソヨ」が国内外で話題 http://www.chosunonl[...] 2018-02-13
[11] 뉴스 なんだこりゃ? 平昌オリンピックに謎の物体「モルゲッソヨ」 http://m.huffingtonp[...] 2018-02-13
[12] 뉴스 五輪の謎オブジェ「モルゲッソヨ」にネット民熱狂 イラストやアスキーアート、ついには3DCGアニメ化を果たす https://nlab.itmedia[...] ねとらぼ 2018-02-13
[13] 뉴스 平昌五輪の謎彫刻、狙いは何か モルゲッソヨの作者語る https://www.asahi.co[...] 2018-02-27
[14] 뉴스 平昌モルゲッソヨ像が新たな慰安婦像に?韓国が五輪を政治利用で物議に http://dailynewsonli[...] 2018-02-16
[15] 뉴스 【平昌五輪】メインプレスセンター前に“謎のオブジェ” https://www.tokyo-sp[...] 2018-02-13
[16] 문서 http://h2.khan.co.kr[...]
[17] 문서 http://www.sedaily.c[...]
[18] 문서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