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중락은 대한민국의 경찰 공무원이다. 1948년 음성 농업학교를 졸업하고, 1950년 순경으로 임용되어 한국 전쟁 참전,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 서울중부경찰서 강력계 형사, 서울시경 강력과장 등을 역임하며 40년간 경찰로 재직했고, 1990년 총경으로 퇴임했다. MBC TV 시리즈 수사반장 제작에 참여하여 자료를 제공하고 출연하기도 했다. 퇴임 후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에스원 상임고문, 수우회 회장, 에스원 고문 등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농업고등학교 동문 - 류병현
류병현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7기 출신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육군참모총장과 주미대사를 역임하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고 10·26 사건 당시 박정희 대통령 사망 소식을 전달했으며, 군사 전문가이자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나 베트남 전쟁 및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논란과 5·16 군사정변 가담, 전두환 정부 시절 김대중 전 대통령 미국 망명 문제 등과 관련되어 있다. - 청주농업고등학교 동문 - 정범모 (교육학자)
- 음성군 출신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음성군 출신 - 김동연
김동연은 1957년 충청북도 음성군 출생으로, 행정고시와 입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고 경기도지사로 당선되었다.
최중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중락 |
원래 이름 | 최중락 |
출생일 | 1929년 7월 16일 |
사망일 | 2017년 3월 24일 |
사망지 | 서울 경찰병원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음성 |
거주지 | 경기도 용인 서울 충청북도 음성 |
본관 | 해주(海州)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학력 | |
학교 | 음성농업학교 (1948년) 수도경찰학교 (1950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6년) |
경력 | |
주요 경력 | 대한민국 서울경찰청 강력과 과장 치안국 202 전투경찰부대 참전유공자회 부회장 수우회 회장 에스원 상임고문 에스원 고문 |
장관 | 이한동 前 내무부 장관 김태호 前 내무부 장관 |
차관 | 김영진 前 내무부 차관 이상배 前 내무부 차관 |
의장 | 조종석 前 경찰청 청장 김우현 前 경찰청 청장 |
직책 | 대한민국 경찰청 수사국 수사연구관 |
군 복무 | |
군대 | 대한민국 육군 |
참전 | 한국 전쟁 |
근무 | 주한미군 예하 육군 수송사령부 |
지휘 | 헌병분대장 |
복무 기간 | 1950년 ~ 1953년 |
계급 | 대한민국 육군 하사 전역 (1953년) |
임기 | |
임기 시작 | 1989년 3월 2일 |
임기 종료 | 1990년 1월 31일 |
대통령 | 노태우 |
총리 | 강영훈 |
훈장 | |
서훈 | 대한민국 근정포장 대한민국 녹조근정훈장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이외에도 약 1백20여회 서훈이 수훈 |
2. 생애
최중락은 1948년 음성 농업학교(5년제)를 졸업하고 1950년 4월 순경 시험에 합격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9·28 수복 이후인 1950년 10월 15일에 경찰학교에 입교했다. 1950년 11월 17일에 졸업 후 평양 소재 치안국 전투경찰 202대대 2중대 3소대로 발령받았다. 전쟁 중 지리산, 태백산 등에서 공비 토벌 작전에 참가하면서 '극우파'라고 할 만큼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1953년 미 제3수송사령부 미군 772헌병대대에 파견되었고, 1958년 서울중부경찰서 강력계로 배치받아 형사로서 첫발을 내디뎠다.[1] 이후 경찰 재직 40년 중 약 25년을 서울시경 강력과에서 근무하며,[1] 남대문시장, 양동사창가 등 우범지역에서 잠복근무를 하면서 수많은 범죄자들을 검거하였다.[1] 최우수 실적을 보인 형사에게 주는 '포도왕' 상을 여러 번 받았다.[1]
그가 맡은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1]
발생년도 | 사건 |
---|---|
1959년 | 필동 일가족 몰살사건 |
1966년 | 상업은행 영등포지점 강도 사건 |
1969년 | 홍제동 청기와집 모녀살인사건 |
1970년 | 정인숙 피살 사건 |
1976년 | 육일사전당포 살인사건 |
1979년 | 금당부부 살인사건 |
1982년 | 냉천동 3모녀 피살사건 |
1984년 | 을지병원 독살사건 |
1990년 | 샛별룸살롱 살인사건 |
2. 1. 청년기
1948년 음성 농업학교(5년제)를 졸업하고, 1950년 4월 순경 시험에 합격했다. 그러나 곧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9·28 수복 이후인 1950년 10월 15일에 경찰학교에 입교할 수 있었다. 1950년 11월 17일에 졸업한 후 평양 소재 치안국 전투경찰 202대대 2중대 3소대로 발령받았다. 전쟁 중 지리산, 태백산 등에서 공비 토벌 작전에 참가한 경험으로 인해 본인 스스로 '극우파'라고 할 만큼 보수 관련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2. 2. 경찰로서의 활동
1953년 미 제3수송사령부 미군 772헌병대대에 파견되었고, 1958년 서울중부경찰서 강력계로 배치받아 형사로서 첫발을 내디뎠다.[1] 이후 경찰 재직 40년 중 약 25년을 서울시경 강력과에서 근무하였다.[1] 남대문시장, 양동사창가 등 우범지역에서 낮밤을 가리지 않고 잠복근무를 하면서 수많은 범죄자들을 검거하였다.[1] 최우수 실적을 보인 형사에게 주는 '포도왕' 상을 여러 번 받았다.[1]그가 맡은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1]
발생년도 | 사건 |
---|---|
1959년 | 필동 일가족 몰살사건 |
1966년 | 상업은행 영등포지점 강도 사건 |
1969년 | 홍제동 청기와집 모녀살인사건 |
1970년 | 정인숙 피살 사건 |
1976년 | 육일사전당포 살인사건 |
1979년 | 금당부부 살인사건 |
1982년 | 냉천동 3모녀 피살사건 |
1984년 | 을지병원 독살사건 |
1990년 | 샛별룸살롱 살인사건 |
1970년대부터 강력 범죄가 증가하자 정부에서 방송국에 수사 드라마를 만들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최중락은 1972년부터 1989년 종영 때까지 MBC TV 시리즈 수사반장 제작 과정에 동참하였다. 각종 강력 사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1년에 2번 정도 직접 출연을 하기도 하였다.
[1]
문서
수우회: 전·현직 수사, 형사과장들의 모임
3. TV 시리즈 '수사반장' 관련
참조
[2]
뉴스
수사반장 최중락 ‘40년 전쟁’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5-11-17
[3]
뉴스
암 투병하면서도 범죄와의 전쟁 멈추지 않는 영원한 ‘수사반장’ 최중락
http://woman.donga.c[...]
여성동아
2015-11-17
[4]
뉴스
회고록 ‘우리들의 영원한 수사반장’ 펴낸 최중락 전 총경
http://lady.khan.co.[...]
레이디경향
2015-11-17
[5]
뉴스
‘수사반장’ 최중락 회장 “가정이 화목해야 범죄가 안 일어나”
http://www.breaknews[...]
레이디경향
2015-11-17
[6]
뉴스
경찰의 날 만난 「수사반장」 최중락총경(일요인터뷰)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5-11-17
[7]
웹사이트
기획인터뷰 대한민국 명수사관을 만나다 (1) ‘팔순의 수사반장’ 최중락
http://www.ilyoseoul[...]
[8]
웹사이트
조선일보 보도 자료 리스트
http://news.chosun.c[...]
[9]
뉴스
내달停年(정년) 捕盗王(포도왕) 崔重洛(최중낙)총경 강력犯罪(범죄)와 40年(연) 전쟁"만년刑事(형사)"
https://newslibrary.[...]
""
1990-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