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렐 피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렐 피치는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에스페란토 작가였다. 그는 신조어 도입과 에스페란토의 실험적인 사용으로 유명했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그의 용법을 "피치도"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은 자전적 소설 《리토미슐 묘지》이며, 이 작품은 에스페란토 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소설, 단편 소설, 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에스페란티스토 - 페트르 긴츠
페트르 긴츠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유대인 소년으로,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에서 잡지 《베뎀》을 창간하고 편집장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그림 '달에서 본 지구'는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상징으로 사용되는 등 그의 삶과 업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려지고 있다. - 에스페란토 문학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폴란드의 화학 공학자이자 초기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안토니 그라보프스키는 화학 분야에서의 업적과 에스페란토 번역 및 창작 활동을 통해 "에스페란토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에스페란토 발전과 확산에 기여했다. - 에스페란토 문학 - 버기 줄러
헝가리의 에스페란티스토 작가, 시인, 번역가인 버기 줄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 포로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평화와 인류애를 강조하는 에스페란토 문학 작품을 창작했으며, 특히 시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내며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1995년 사망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1995년 사망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카렐 피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0년 12월 6일 |
출생지 | 리토미슐 |
사망일 | 1995년 8월 15일 |
소속 | 에스페란토 학술회 |
인용구 | |
일반 정보 | |
이름 | 카렐 피치 |
가명 | 카롤로 피치 |
직업 | 작가 |
국적 | 체코 |
언어 | 체코어, 에스페란토 |
장르 | 에스페란토 소설 |
대표작 | 라 리토미슐라 톰베요 |
묘지 | 리토미슐 묘지 |
2. 에스페란토 문학에서의 역할
카렐 피치는 영향력 있는 에스페란토 작가였다.[12][13][14] 그는 신조어를 많이 도입하고 사용했는데,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15] 신조어 외에도 에스페란토의 실험적인 사용으로 유명했다. 일부 평론가들은 그의 용법을 "피치도"라고 부르며 거의 다른 언어라고 암시하기도 한다.
그의 작품으로는 소설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eo)》, 단편소설집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eo), 범죄 소설 《샹블레의 임종을 알리는 종》(La mortsonorilo de Chamblayeo), 소설 《잡담실》(Klaĉejoeo), 시집 《고뇌》(Angoroeo), 《집착》(Obsedoeo), 에세이집 《에스페란토의 내적 삶》(La interna vivo de Esperantoeo) 등이 있다. 사후 출판된 소설 《작가의 지위》(Ordeno de verkistojeo)도 있다.
2. 1. 대표작: 《리토미슐의 공동묘지》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eo)는 카렐 피치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언어 실험 정신을 잘 보여주는 1981년작 소설이다.[16] 작가의 고향인 리토미슐을 배경으로 한 자전적 소설이다.
"에스페란토 원본 문학 간결 백과사전"에서는 《리토미슐의 공동묘지》의 중요성에 대해 여러 에스페란티스트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오스모 불러는 "에스페란토 문학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작품"이라고 평가했으며, 호르헤 카마초는 "아마도 [에스페란토] 원본 문학의 가장 큰 성과"라고 주장했다. 에스페란토 시인 윌리엄 올드는 이 소설을 에스페란토 고전 목록에 포함시켰다.[17]
카렐 피치는 죽은 후 소설의 배경이 된 리토미슐의 공동묘지에 묻혔으며, 그의 묘비에는 체코어로 "Esperantský spisovatel" (에스페란토 작가)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3. 작품 목록
-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리토미슐라 톰베요eo)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라 베르무다 트라이앙굴로eo)
- 《샹블레의 임종을 알리는 종》(La mortsonorilo de Chamblay|라 모르트소노릴로 데 샹블라이eo, 1983년)
- 《잡담실》(Klaĉejo|클라체요eo)
- 《고뇌》(Angoro|앙고로eo)
- 《집착》(Obsedo|옵세도eo)
- 《에스페란토의 내적 삶》(La interna vivo de Esperanto|라 인테르나 비보 데 에스페란토eo)
- ''Naturalismo kaj skemismo''
- ''Urbi et orbi''
- ''Perspektivoj de la Ilustralo''
- ''Kritiko kaj recenzistiko en Esperanto''
- 《작가의 지위》(Ordeno de verkistoj|오르데노 데 베르키스토이eo, 1997년)
- ''에스페란토 신조어'' (''Esperanto Neologismoj'', 1949년)
3. 1. 소설
-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리토미슐라 톰베요eo)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라 베르무다 트라이앙굴로eo)
- 《샹블레의 임종을 알리는 종》(La mortsonorilo de Chamblay|라 모르트소노릴로 데 샹블라이eo, 범죄 소설, 1983년, Saarbrücken, 출판사 Iltis, 249쪽)
- 《잡담실》(Klaĉejo|클라체요eo)
- 《작가의 지위》(Ordeno de verkistoj|오르데노 데 베르키스토이eo, 소설, 1997년 사후 출판)
장편 소설
- '''리토미슐 묘지'''(La Litomiŝla tombejo|라 리토미슐라 톰베요eo)
- '''작가들의 질서'''(Ordeno de verkistoj|오르데노 데 베르키스토이eo - 1997년 사후 출판)
- '''세 개의 하나들의 미스터리'''(Mistero de tri unuoj|미스테로 데 트리 우누오이eo)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라 베르무다 트라이앙굴로eo)
- '''가십 둥지'''(Klaĉejo|클라체요eo)
3. 2. 단편 소설집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eo)
- '''게오르기노의 절규'''(Ekkrioj de Georginoeo)
- '''저편의 우화'''(Fabeloj el transeeo)
- '''다윗의 하프'''(La Davida harpoeo)
- '''ABC'''(Abocoeo)
- '''고뇌'''(Angoroeo)
3. 3. 시집
-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eo)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eo)
- 《샹블레의 임종을 알리는 종》(La mortsonorilo de Chamblayeo)
- 《잡담실》(Klaĉejoeo)
- 《고뇌》(Angoroeo)
- 《집착》(Obsedoeo)
- 《에스페란토의 내적 삶》(La interna vivo de Esperantoeo)
- ''Naturalismo kaj skemismo''
- ''Urbi et orbi''
- ''Perspektivoj de la Ilustralo''
- ''Kritiko kaj recenzistiko en Esperanto''
- 《작가의 지위》(Ordeno de verkistojeo)
3. 4. 에세이
- 《에스페란토의 내적 삶》(La interna vivo de Esperantoeo)
- ''Naturalismo kaj skemismo''
- ''Urbi et orbi''
- ''Perspektivoj de la Ilustralo''
- ''Kritiko kaj recenzistiko en Esperanto''
- '''에스페란토 비평과 서평의 예술''' (''Kritiko kaj recenzistiko en Esperanto'')
- '''에스페란토의 내면 생활''' (''La interna vivo de Esperanto'')
- '''에스페란토 신조어''' (''Esperanto Neologismoj'', Esperantista 1949, pp. 57, 65)
3. 5. 기타
- 《리토미슐의 공동묘지》(La Litomiŝla Tombejo|리토미슐라 톰베요eo, 소설)
- 《버뮤다 삼각지대》(La Bermuda triangulo|라 베르무다 트리앙굴로eo, 단편소설집)
- 《샹블레의 임종을 알리는 종》(La mortsonorilo de Chamblay|라 모르트소노릴로 데 샹블레eo, 범죄 소설, 1983년, Saarbrücken, 출판사 Iltis, 249쪽)
- 《잡담실》(Klaĉejo|클라체요eo, 소설)
- 《고뇌》(Angoro|앙고로eo, 시집)
- 《집착》(Obsedo|옵세도eo)
- 《에스페란토의 내적 삶》(La interna vivo de Esperanto|라 인테르나 비보 데 에스페란토eo, 에세이집)
- ''Naturalismo kaj skemismo''
- ''Urbi et orbi''
- ''Perspektivoj de la Ilustralo''
- ''Kritiko kaj recenzistiko en Esperanto''
- 《작가의 지위》(Ordeno de verkistoj|오르데노 데 베르키스토이eo, 소설, 1997년 사후 출판)
참조
[1]
웹사이트
Esperanto Wikimania in Svitavy
http://www.transpare[...]
2011-11-07
[2]
웹사이트
Karolo Piĉ
http://literaturo.es[...]
2023-10-04
[3]
웹사이트
A look at the Czech Esperanto movement {{!}} Radio Prague International
http://www.radio.cz/[...]
2007-03-29
[4]
웹사이트
page 185
http://benjamins.com[...]
2023-10-04
[5]
웹사이트
Karel Píč (Karolo Piĉ)
http://www.literatur[...]
2023-10-04
[6]
웹사이트
UEA.ORG: Katalogo
https://katalogo.uea[...]
2023-10-04
[7]
문서
Concise Encyclopedia of the Original Literature of Esperanto p. 617
[8]
문서
"[[Beletra Almanako]] 10 (Ba10 - Literaturo En Esperanto) - Page 41"
[9]
문서
Reinhard Haupenthal: Bibliographie seiner Veröffentlichungen ... - Page 99
[10]
문서
Stilfiguroj En La Poezio de Esperanto - Page 13
[11]
문서
Esperanto: language, literature, and community - Page 165
[12]
웹사이트
Five Periods of Esperanto Literature
http://www.transpare[...]
2011-02-25
[13]
웹사이트
Subjects
http://www.bl.uk/res[...]
[14]
웹사이트
Recenzo: Kvar priliteraturaj verkaj^oj (William AULD, Vilmos BENCZIK)
http://literaturo.or[...]
2016-09-29
[15]
웹사이트
Review: La bona lingvo (Don HARLOW)
http://literaturo.or[...]
2016-09-29
[16]
웹사이트
The Esperanto Book: Appendix 4
http://literaturo.or[...]
2016-09-29
[17]
웹사이트
The list of "Esperanto Classics" compiled by William Auld | Esperanto-USA
http://www.esperanto[...]
2011-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