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페란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는 1880년대 폴란드의 안과 의사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에 의해 창안된 국제 보조어이다. 자멘호프는 언어 장벽으로 인한 갈등을 해결하고 국제적인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해 에스페란토를 만들었으며, 1887년 최초의 문법서와 어휘집인 《제1서》를 발표했다. 에스페란토는 유럽어 어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문법은 비교적 단순하고 체계적이다.

에스페란토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사용자가 많다. 에스페란토는 인터넷과 같은 현대 기술의 발달로 학습과 사용이 더욱 용이해졌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와 문학 작품을 통해 그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에스페란토는 여러 차례 비판을 받아왔지만, 국제적인 소통을 위한 언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언어 - 외국어
    외국어는 자국 공용어가 아니거나 교육과정 외의 언어를 의미하며, 넓게는 모국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포함하고, 외국어 교육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실제 구사 능력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으며, 컴퓨터 보조 학습 등 다양한 학습 도구가 활용되고 뇌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다.
  • 다중언어 - 국제어
    국제어는 서로 다른 모국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돕는 언어로, 자연어가 링구아 프랑카로 쓰이기도 하지만 인공어가 국제 보조어로 제안되었으며, 영어 또한 국제어로서 널리 쓰이고 인터넷 발달이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 에스페란토 - 에스페란토 어원
    에스페란토 어원은 에스페란토 어휘가 로망스어군과 게르만어족에 기반하여 여러 유럽어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어휘를 우선 채택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어휘나 학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원칙과 기원을 설명한다.
  • 에스페란토 -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위키백과는 2001년 척 스미스에 의해 시작되어 에스페란토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30만 개 이상의 기사를 보유하고, 초심자 참여를 지원하며 에스페란토 커뮤니티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에스페란토
기본 정보
에스페란토 깃발
에스페란토 깃발
이름에스페란토
다른 이름Lingvo Internacia
사용 현황
사용 국가120개국
공식 언어 여부공식 언어인 곳은 없음
모어 화자약 1,000명
모어 화자 기준 년도2011년
제2 언어 화자추정 3만 ~ 200만 명
언어 정보
언어 계통인공어
하위 분류국제 보조어
조상 언어초기 에스페란토
창시자L. L. 자멘호프
창제 년도1887년
사용 지역국제적: 세계 대부분 지역
후천성유럽의 인도유럽어족, 어휘는 주로 로망스어군에서 파생
문자라틴 문자 (에스페란토 알파벳)
에스페란토 점자
관리 기관에스페란토 학술회
ISO 639-1eo
ISO 639-2epo
ISO 639-3epo
링구아 리스트epo
링구아51-AAB-da
글롯토로그espe1235
글롯토로그 이름에스페란토
수화Signuno
추가 정보
에스페란토 협회 회원 수
에스페란토계: 2020년 기준 인구 백만 명당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개인 회원 수
지도 범례none
< 0.5
0.5
1
2–3
4–5
6–9
10+
에스페란토 관련 정보
언어 관련문법
음운론
표기법 (점자)
어휘
어원
역사L. L. 자멘호프
초기 에스페란토
첫 번째 책
두 번째 책
라 에스페란티스토
에스페란토의 기초
불로뉴 선언
몬테비데오 결의
라우마 선언
프라하 선언
현대 진화
문화에스페란토 운동
에스페란토 사용자
에스페란토계
문학
음악
영화
라 에스페로
리베라 폴리오
리테라투라 몬도
모어 화자
도서관
대중 문화
간행물
상징
욕설
자멘호프의 날
조직 및 서비스세계 에스페란토 대회
에스페란토 학술회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세계 에스페란토 청년 기구
국제 청년 대회
청년 주간
세계 무국적 협회
백과사전
파스포르타 세르보
플루에제크 회의
유럽 에스페란토 연합
유럽-민주주의-에스페란토
범미 대회
스카우트 에스페란토 연맹
국가별 에스페란토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중국
체코
헝가리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소련
관련 주제국제 보조어
인공어
이도
호마라니즘
언어 차별
위키미디어인공어 포털
태스크 포스
개요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







2. 역사



폴란드의 안과 의사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고 있었던 지역의 언어 문제가 곧 주민들 사이에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만 있으면 적어도 그러한 분쟁은 종식될 수 있으리라고 믿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스페란토를 창안하게 되었다.

제1서.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최초의 책.


처음에 자멘호프는 라틴어의 복구가 언어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생각했으나, 실제로 라틴어를 배우면서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영어를 배우면서 그 문법이 간단하다는 것과 동사의 인칭변화가 필요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 많은 단어를 알아야 한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길을 걸으며 우연히 러시아어로 된 두 개의 간판을 보고 해결책을 생각해냈다.

두 개의 간판 швейцарскаяru(경비실), кондитерскаяru(과자가게)에는 공통적으로 местоru(장소라는 뜻)라는 접미사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는 하나의 어근만 외우면 접미사를 써서 다양한 단어를 파생해 낼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어휘는 다양한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단어를 채용하기로 하였다.

1878년, 현재 에스페란토의 시험판인 링그베 우니베르살라를 만들어 고등학교 동급생에게 가르쳤다. 그 후 6년간, 우선 각 민족어로 된 문학작품과 시를 번역하며, 언어를 발전시켜 갔다. 그는 1895년 러시아 에스페란티스토 보로프코(N. Borovko)에게 보낸 편지에서 ‘비록 이 언어는 1878년에 이미 완전히 완성된 듯 했지만, 나는 이 언어가 완벽해지도록 6년을 더 소비하였다.’라고 적었다. 그는 완성된 언어를 발표하려 하였지만, 당시 폴란드를 지배하고 있던 러시아 제국 정부의 검열에 의해 출판하지 못하였다. 그는 그 기간 동안 성서나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언어를 개량하였다. 1887년 제1서로 에스페란토를 최초로 발표하였다.

에스페란토는 1880년대에 루드비코 자멘호프에 의해 창안되었다. 최초의 문법서와 어휘집은 1887년에 발표되었다.

  • 1859년 - 에스페란토 창시자 루드비크 라자르 자멘호프(Lajos László Zamenhof)가 폴란드에서 태어나다.
  • 1887년 - 최초의 문법서가 출판되다.
  • 1905년 -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프랑스 부로뉴쉬르메르(Boulogne-sur-Mer)에서 개최되고, 『에스페란토 입문』(Fundamento de Esperanto)이 출판되다.
  • 1906년 - 일본에서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가 발족하고, 니요테이 시메이(二葉亭四迷)가 에스페란토 학습서를 발행하는 등 본격적인 보급 운동이 시작되다.
  • 1908년 - 당시 19세의 에스페란티스토인 헥터 호들러(Hector Hodler)를 중심으로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EA, Universala Esperanto-Asocio)가 설립되다.
  • 1966년 - 파스포르토 세르보(Pasporta Servo, 에스페란티스토의 국제 홈스테이 시스템)가 시작되다.


; 창안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던 지역의 언어 문제가 주민 간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자 에스페란토를 창안했다. 자멘호프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국제적인 이해와 평화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처음에 자멘호프는 라틴어 복구를 생각했으나, 라틴어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영어의 간결함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러시아어 간판에서 접미사의 활용을 발견하고, 다양한 언어에서 공통 어휘를 채택하는 방식으로 어휘를 구성했다.

1878년 링그베 우니베르살라를 만들어 고등학교 동급생에게 가르쳤고, 이후 6년간 번역과 언어 발전을 거듭했다. 1895년 러시아 에스페란티스토 보로프코(N. Borovko)에게 보낸 편지에서 6년간의 언어 완벽화 과정을 언급했다. 러시아 제국의 검열로 출판이 지연되었으나, 그동안 성서나 셰익스피어 작품을 번역하며 언어를 개량했다. 1887년 제1서를 통해 에스페란토를 최초로 발표했다.

; 발전과 보급

에스페란토는 1887년 폴란드안과 의사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창안하였다. 초기에는 러시아 제국과 중앙 유럽을 중심으로 에스페란토 사용자가 증가했으며, 이후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던 지역의 언어 문제가 주민 간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라틴어 복구를 생각했으나, 라틴어 학습의 어려움을 느끼고 영어의 간결한 문법에서 영감을 얻었다. 러시아어 간판에 사용된 접미사를 통해 어근 하나로 다양한 단어를 파생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여러 언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어휘를 채택하여 에스페란토를 만들었다. 1878년 링그베 우니베르살라를 만들고, 6년간 언어를 발전시켜 1887년 제1서로 에스페란토를 최초로 발표하였다.

초기 에스페란토 사용자 간 교류는 서신 왕래나 잡지 『La Esperantisto』(1889~1895)를 통해 이루어졌다. 1905년까지 17개의 에스페란토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고, 활동은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서유럽, 미국, 아시아로 확대되었다. 1906년 일본에서는 니요테이 시메이(二葉亭四迷)가 최초의 에스페란토 교재 『세계어(世界語)』를 저술했다.

1905년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가 개최되어 33개국 688명이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 운동 지도자 지위를 포기하고, 에스페란토 입문(Fundamento de Esperanto)에 기반한 불로뉴 선언을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이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는 매년(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제외) 다른 국가에서 개최되고 있다.

1920년대에는 국제 연맹에서 에스페란토를 국제 보조어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니토베 이나조 등 10명의 대표가 찬성했으나, 프랑스 대표 가브리엘 아노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가브리엘 아노토는 프랑스어가 국제어 지위를 위협받는 상황에서 에스페란토를 새로운 위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2년 후 국제 연맹은 회원국에 에스페란토 교육을 권고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에스페란토 교육을 금지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20년대 사회주의 사상가들이 동아일보 연재 기사를 통해 에스페란토 보급 운동을 전개했으나, 일제강점기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 탄압과 억압

에스페란토는 여러 국가에서 의심을 받았으며, 특히 나치 독일, 1950년대까지의 프랑코 독재 시대의 스페인, 그리고 1937년부터 1956년까지의 스탈린 시대의 소련에서 심한 탄압을 받았다.

나치 독일에서는 에스페란토 창시자인 자멘호프가 유대인이었고, 에스페란토의 국제주의적 성격이 "볼셰비키"적이라는 이유로 에스페란토 사용을 금지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그의 저서 《나의 투쟁》에서 에스페란토를 세계 지배를 위한 유대인 음모에 사용될 수 있는 언어로 언급했다.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홀로코스트 동안 살해되었고, 특히 자멘호프의 가족이 살해 대상으로 지목되었다. 1935년에는 에스페란토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10월 혁명 이후 소련 정부는 소련 에스페란토 연합을 공식 단체로 인정하는 등 에스페란토를 지원하기도 했다. 레온 트로츠키가 쓴 요셉 스탈린 전기에는 스탈린이 에스페란토를 공부했다는 언급이 있다. 그러나 1937년 대숙청 시기, 스탈린은 에스페란토 정책을 바꾸어 많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이 처형되거나 굴락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는 에스페란토 사용을 허용하고 에스페란토로 관광 자료를 출판하기도 했다.

스페인 내전 중과 그 이후, 프랑코 독재 시대의 스페인은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 및 카탈루냐 민족주의자들을 탄압했지만, 1950년대에는 에스페란토 운동이 다시 허용되었다.

일본 제국에서는 일본 에스페란토 운동의 좌익이 금지되었지만, 지도자들은 정부에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이 사회주의 혁명가라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했다.

; 현대

1954년, 유엔유네스코를 통해 국제 보조어로서 에스페란토에 대한 공식적인 지지를 몬테비데오 결의안에서 표명했다. 그러나 에스페란토는 유엔의 6개 공용어 중 하나가 아니다.

인터넷의 등장은 에스페란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듀오링고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학습이 쉬워졌고, 아미쿠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화자들의 네트워크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최대 200만 명의 화자를 보유한 에스페란토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계획 언어이다. 어떤 국가도 에스페란토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지 않았지만, "에스페란투요"("에스페란토 지역")는 에스페란토가 사용되는 지역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2. 1. 창안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던 지역의 언어 문제가 주민 간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자 에스페란토를 창안했다.[13] 자멘호프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국제적인 이해와 평화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4]

처음에 자멘호프는 라틴어 복구를 생각했으나, 라틴어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영어의 간결함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러시아어 간판에서 접미사의 활용을 발견하고, 다양한 언어에서 공통 어휘를 채택하는 방식으로 어휘를 구성했다.[15][16]

1878년 링그베 우니베르살라를 만들어 고등학교 동급생에게 가르쳤고, 이후 6년간 번역과 언어 발전을 거듭했다. 1895년 러시아 에스페란티스토 보로프코(N. Borovko)에게 보낸 편지에서 6년간의 언어 완벽화 과정을 언급했다. 러시아 제국의 검열로 출판이 지연되었으나, 그동안 성서나 셰익스피어 작품을 번역하며 언어를 개량했다. 1887년 제1서를 통해 에스페란토를 최초로 발표했다.[17]

2. 2. 발전과 보급

에스페란토는 1887년 폴란드안과 의사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창안하였다. 초기에는 러시아 제국과 중앙 유럽을 중심으로 에스페란토 사용자가 증가했으며, 이후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던 지역의 언어 문제가 주민 간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라틴어 복구를 생각했으나, 라틴어 학습의 어려움을 느끼고 영어의 간결한 문법에서 영감을 얻었다. 러시아어 간판에 사용된 접미사를 통해 어근 하나로 다양한 단어를 파생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여러 언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어휘를 채택하여 에스페란토를 만들었다. 1878년 링그베 우니베르살라를 만들고, 6년간 언어를 발전시켜 1887년 제1서로 에스페란토를 최초로 발표하였다.

초기 에스페란토 사용자 간 교류는 서신 왕래나 잡지 『La Esperantisto』(1889~1895)를 통해 이루어졌다. 1905년까지 17개의 에스페란토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고, 활동은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서유럽, 미국, 아시아로 확대되었다. 1906년 일본에서는 니요테이 시메이(二葉亭四迷)가 최초의 에스페란토 교재 『세계어(世界語)』를 저술했다.

1905년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가 개최되어 33개국 688명이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 운동 지도자 지위를 포기하고, 에스페란토 입문(Fundamento de Esperanto)에 기반한 불로뉴 선언을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이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는 매년(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제외) 다른 국가에서 개최되고 있다.

1920년대에는 국제 연맹에서 에스페란토를 국제 보조어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니토베 이나조 등 10명의 대표가 찬성했으나, 프랑스 대표 가브리엘 아노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가브리엘 아노토는 프랑스어가 국제어 지위를 위협받는 상황에서 에스페란토를 새로운 위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2년 후 국제 연맹은 회원국에 에스페란토 교육을 권고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에스페란토 교육을 금지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20년대 사회주의 사상가들이 동아일보 연재 기사를 통해 에스페란토 보급 운동을 전개했으나, 일제강점기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2. 3. 탄압과 억압

에스페란토는 여러 국가에서 의심을 받았으며, 특히 나치 독일, 1950년대까지의 프랑코 독재 시대의 스페인, 그리고 1937년부터 1956년까지의 스탈린 시대의 소련에서 심한 탄압을 받았다.[33][37]

나치 독일에서는 에스페란토 창시자인 자멘호프가 유대인이었고, 에스페란토의 국제주의적 성격이 "볼셰비키"적이라는 이유로 에스페란토 사용을 금지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그의 저서 《나의 투쟁》에서 에스페란토를 세계 지배를 위한 유대인 음모에 사용될 수 있는 언어로 언급했다.[27]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홀로코스트 동안 살해되었고, 특히 자멘호프의 가족이 살해 대상으로 지목되었다.[28] 1935년에는 에스페란토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다.[29]

10월 혁명 이후 소련 정부는 소련 에스페란토 연합을 공식 단체로 인정하는 등 에스페란토를 지원하기도 했다.[31] 레온 트로츠키가 쓴 요셉 스탈린 전기에는 스탈린이 에스페란토를 공부했다는 언급이 있다.[32] 그러나 1937년 대숙청 시기, 스탈린은 에스페란토 정책을 바꾸어 많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이 처형되거나 굴락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33]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는 에스페란토 사용을 허용하고 에스페란토로 관광 자료를 출판하기도 했다.[34][35]

스페인 내전 중과 그 이후, 프랑코 독재 시대의 스페인은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 및 카탈루냐 민족주의자들을 탄압했지만,[36] 1950년대에는 에스페란토 운동이 다시 허용되었다.[37]

일본 제국에서는 일본 에스페란토 운동의 좌익이 금지되었지만, 지도자들은 정부에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이 사회주의 혁명가라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했다.[30]

2. 4. 현대

1954년, 유엔유네스코를 통해 국제 보조어로서 에스페란토에 대한 공식적인 지지를 몬테비데오 결의안에서 표명했다.[38] 그러나 에스페란토는 유엔의 6개 공용어 중 하나가 아니다.[39]

인터넷의 등장은 에스페란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듀오링고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학습이 쉬워졌고, 아미쿠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화자들의 네트워크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41] 최대 200만 명의 화자를 보유한 에스페란토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계획 언어이다.[42] 어떤 국가도 에스페란토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지 않았지만, "에스페란투요"("에스페란토 지역")는 에스페란토가 사용되는 지역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43][44]

3. 공식 사용

1908년, 빌헬름 몰리는 중립 모레네를 세계 최초의 에스페란토 사용 국가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에스페란토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는 없다. 20세기 초에는 벨기에와 독일 국경 근처에 있던 중립 지대 모레네의 공용어를 에스페란토로 할 계획이 제안되기도 했다. 1968년 아드리아해 위에 석유 시추 플랫폼과 비슷한 인공섬을 만들어 독립 선언을 한 자칭 국가인 로즈 섬 공화국은 에스페란토를 공용어로 채택했지만, 이듬해 이탈리아 해군에 의해 폭파되어 소멸했다.

헝가리불가리아에서는 에스페란토로 국가 시험을 볼 수 있으며, 불가리아에서는 전국적으로 학교 교육에 도입되어 있다.[205] 국영 방송국이 에스페란토로 뉴스를 방송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의 산업안전보건 교육 과정 에스페란토판을 제공하고 있다.[208]

비정부기구, 특히 에스페란토 관련 단체에서는 작업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큰 에스페란토 단체인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EA)는 NGO의 하나로 국제연합 및 유네스코와 협력 관계에 있다. UEA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국가별 단체로 1919년에 설립되어 1926년에 재단법인이 된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JEI)가 활동하고 있으며, 2020년 초 회원 수는 1,050명이었다.[209]

에스페란토는 폴란드와 크로아티아에서 무형 문화재로 등재되어 있다.

  • 2014년에 폴란드 문화·국가유산부에 의해 '''에스페란토 문화의 매개체로서의 에스페란토'''()로서 폴란드 공화국 무형 문화재로 등재되었다.[210]
  • 2019년 2월 11일에 크로아티아 문화·미디어부에 의해 로서 크로아티아 공화국 무형 문화재로 등재되었다.[211]

3. 1. 국제기구

에스페란토는 세나치에카 아소시오 툐트몬다(Sennacieca Asocio Tutmonda)와 같은 여러 비영리 국제기구의 공용어이다.[45] 이 단체는 좌익 성향의 문화 협회이다. 대부분의 다른 단체들도 특히 에스페란토 단체이다. 이 중 가장 큰 규모의 단체인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niversal Esperanto Association)는 유엔(United Nations)과 유네스코(UNESCO)와 공식 협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17][46] 2017년 유네스코와 협력하여 유네스코 잡지 ''유네스코 쿠리에르(UNESCO Courier)'' (Unesko Kuriero en Esperantoeo)의 에스페란토 번역본을 제공했다.[47]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코로나19 범유행(COVID-19 pandemic) (pandemio KOVIM-19eo) 관련 직업 안전 및 보건(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교육 과정의 에스페란토 버전을 제공한다.[48]

세계 서비스 당국(World Service Authority)에서 판매하는 모든 개인 문서에는 세계 여권(World Passport)을 포함하여 유엔(United Nations)의 공식 언어와 함께 에스페란토로 작성되어 있다.[49]

에스페란토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는 없지만, 20세기 초 모레네의 공용어를 에스페란토로 할 계획이 제안되기도 했다. 1968년 로즈 섬 공화국은 에스페란토를 공용어로 채택했지만, 이듬해 소멸했다.

헝가리불가리아에서는 에스페란토로 국가 시험을 볼 수 있으며, 불가리아에서는 전국적으로 학교 교육에 도입되어 있다.[205] 국영 방송국이 에스페란토로 뉴스를 방송하고 있다.

비정부기구인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EA)는 국제연합 및 유네스코와 협력 관계에 있다. UEA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국가별 단체로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JEI)가 활동하고 있다.[209]

에스페란토는 폴란드와 크로아티아에서 무형 문화재로 등재되어 있다.[210][211]

3. 2. 교육

에스페란토는 어떤 공인 국가의 제2공용어로 지정된 적이 없지만, 헝가리와[50] 중국[51] 등 여러 국가의 교육 시스템에 도입되었다. 헝가리와 불가리아에서는 에스페란토로 국가 시험을 볼 수 있으며, 불가리아에서는 전국적으로 학교 교육에 도입되어 있다.[205] 현재는 폐지된 국제 과학 아카데미 산마리노에서는 에스페란토가 교육 및 행정의 제1언어였다.[52]

부다페스트의 에트베시 로란드 대학교에는 1966년부터 2004년까지 보조 언어학 및 에스페란토 학과가 있었지만, 이후 직업학교로 교육이 이전되었다.[100][101] 폴란드의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는 보조 언어학 디플로마 과정을 제공한다.[102]

에스페란토어 화자들은 독학, 온라인 강좌, 자원봉사자들이 가르치는 통신 강좌를 통해 언어를 배운다. 최근에는 lernu!eo 및 2015/Duolingo}}와 같은 무료 교육 웹사이트가 등장했다.

국제 연맹은 회원국에서 에스페란토 교육을 장려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결의안은 부결되었다.[53] 브라질 상원은 2009년 에스페란토를 공립학교의 교육과정에 선택 과목으로 포함하고, 수요가 있으면 필수 과목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As ofeo 현재 브라질 하원에서 계속 심의 중이다.[103][104][105]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는 에스페란토 강좌가 제공된다.[106]

3. 3. 미디어

중국 정부는 2001년부터 중국 인터넷 정보센터의 에스페란토어 버전에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해 왔으며, 중국국제방송과 인터넷 잡지 ''엘 포폴라 치니오''(El Popola Ĉinio)에도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한다.[54] 바티칸 라디오는 팟캐스트와 웹사이트의 에스페란토어 버전을 보유하고 있다.[55] 국영 방송국이 에스페란토로 뉴스를 방송하고 있다.

1924년 여름, 미국 라디오 중계 리그(American Radio Relay League)는 에스페란토어를 공식적인 국제 보조 언어로 채택했으며,[56]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국제 통신에 이 언어가 사용되기를 기대했지만, 실제 무선 통신에 사용된 비중은 미미했다.[57]

3. 4. 군사 훈련

미국 육군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모의 적군과의 전쟁 게임에서 사용하기 위해 에스페란토로 된 군사 구어 사전을 출판했다.[58] 1962년 2월에 발행된 현장 참고 설명서 FM 30-101-1에는[59] 문법, 영어-에스페란토-영어 사전 및 일반적인 구문이 포함되어 있었다. 1970년대에는 에스페란토가 국방 언어 적성 검사의 기초로 사용되었다.

3. 5. 마이크로네이션

1908년, 벨기에프로이센의 공동 통치 지역이었던 중립 모레스네에 세계 최초로 에스페란토 국가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0]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독일의 벨기에 침공으로 인해 이 시도는 중단되었고,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해당 지역은 벨기에에 할양되었다.[60]

1968년 장미섬 공화국은 에스페란토를 공식 언어로 사용했다


1968년에는 이탈리아 근처 아드리아해의 인공 섬에 위치한 마이크로네이션인 장미섬 공화국이 에스페란토를 공식 언어로 채택했다.[61] 네바다 주 데이턴 근처의 몰로시아 공화국도 에스페란토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사용한다.[61]

4. 인터넷

2015년 5월 28일, 언어 학습 플랫폼 Duolingo는 영어 사용자를 위한 무료 에스페란토 강좌를 개설했다.[62] 이후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강좌도 개설되었다.[64][66][68] Lernu! 등 에스페란토 온라인 학습 플랫폼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71] Drops, Memrise 및 LingQ와 같은 언어 학습 플랫폼에도 에스페란토 학습 자료가 있다.[72]

2012년 2월 22일, Google Translate은 에스페란토를 64번째 언어로 추가했다.[73] 2016년 7월 25일, Yandex Translate도 에스페란토를 지원하기 시작했다.[74]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20만 개 문서 달성 기념 로고 변형


Esperanto Wikipedia(Vikipedio)는 문서 수를 기준으로 36번째로 큰 위키백과이며,[75] 인공어 위키백과 중 가장 크다.[76][77]

5. 언어학적 특성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므로, 어떤 자연어와도 친족관계가 없다.[79] 발음체계는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어휘는 주로 로망스어(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약 75%), 게르만어(독일어, 영어 등; 약 20%)로부터 채용하였다.[10] 자멘호프가 정의하지 않은 문법상의 언어 사용은 초기 사용자의 모어였던 러시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다.[221][222]

어순라틴어그리스어처럼 비교적 자유로우나 SVO 문형이 주로 쓰이며,[79] 형용사명사 앞에 오는 경우가 많다. 전치사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성질도 가지고 있다.[80][83] 에스페란토는 "어휘적으로는 주로 로망스어족에 기반을 두고, 형태론적으로는 집합어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며, 어느 정도는 고립어적인 성격을 지닌 언어"로 묘사되어 왔다.[79] 새로운 단어는 접사와 합성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만들어진다.[80][83]

에스페란토의 어휘, 의미론은 유럽 언어에서 유래했다. 자멘호프는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 리투아니아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를 공부했으며, 13개의 다른 언어를 알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어 이는 에스페란토의 언어적 특징에 영향을 미쳤다.[221][222]

에스페란토어는 형태론적으로 교착성이 강한, 고립어[223]로 설명된다. 주격과 목적격 이외의 전치사로 나타낸다. 어간접사가 붙는 교착어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언어이다. 이는 러시아어나 독일어 등과도 공통점이 많은 반면, 활용에 따른 어형 전체의 변화 등 인도유럽어 특유의 굴절어적 성격은 보이지 않는다.

에스페란토의 교착어적인 문법과 동사의 규칙성은 유럽 언어보다 아시아 언어와의 공통점이 많다는 주장이 있다.[224][225] 언어학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과의 차이가 인정되며, 또한 직접적인 자손이 아니기 때문에 고립어로 분류된다. 2010년의 언어유형론 연구에서는 “에스페란토는 확실히 다소 유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유럽 언어 자체에 비하면 훨씬 적다”고 결론지었다.[226]

에스페란토는 일반적으로 22~24개의 자음, 5개의 모음, 그리고 모음과 결합하여 6개의 이중모음을 형성하는 2개의 반모음을 가지고 있다.[227] 억양은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강세는 항상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에 온다. 예외적으로, 시 등에서 어말 모음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억양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85]

Cc, Ĉĉ, Gg, Ĝĝ, Ĥĥ, Ĵĵ, Ŝŝ, Ŭŭ를 제외한 모든 글자는 IPA 표기와 일치한다. 에스페란토는 한국어와 달리 유기음(예: ㅋ) / 무기음(예: ㄱ) 구분이 없고, 무성음 / 유성음 구분이 있다.

무성음p [p]t [t]k [k]f [f]s [s]ŝ [ʃ]ĉ [t͡ʃ]
유성음b [b]d [d]g [ɡ]v [v]z [z]ĵ [ʒ]ĝ [d͡ʒ]



에스페란토의 자음은 p, b, t, d, k, ɡ, t͡s, (d͡z), t͡ʃ, d͡ʒ, f, v, s, z, ʃ, ʒ, x, h, m, n, l, r, j 등이 있다.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colspan="2" |colspan="2" |colspan="2" |
파열음pbtdcolspan="2" |kɡcolspan="2" |
파찰음colspan="2" |t͡s(d͡z)t͡ʃd͡ʒcolspan="2" |colspan="2" |
마찰음fvszʃʒxh
유음colspan="2" |ljcolspan="2" |colspan="2" |
전동음colspan="2" |rcolspan="2" |colspan="2" |colspan="2" |


  • reo 음은 일반적으로 치경 전동음 r으로 발음되지만, 구개수 진동음 ʀeo,[86] 연구개 마찰음 ʁeo,[87]치경 근사음 ɹeo[88]로도 발음될 수 있다. 치경 탄음 ɾeo과 같은 다른 형태들도 실제로 사용되고 받아들여진다.
  • veo는 일반적으로 영어의 'v'와 같이 발음되지만, 화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라 ʋeo (영어 'v'와 'w' 사이의 소리) 또는 weo로 발음될 수 있다.
  • 반모음 /u̯/eo는 일반적으로 aeo와 eeo 모음 뒤의 이중모음에서만 나타나며, 자음 /w/eo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인 동화에는 nkeo가 [ŋk]eo로, kzeo가 [ɡz]eo로 발음되는 것이 포함된다.


초성 위치에서는 최대 3개의 자음 군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 ''strangaeo'', "strange"), 중성 위치에서는 최대 5개의 자음 군집이 발생할 수 있다 (예: ''ekssklavo'', "former slave"). 종성 자음 군집은 동화되지 않은 고유명사, 최종 ''oeo''의 시적 생략, 그리고 ''centeo''("hundred", 백)과 ''posteo''("after", 후)와 같은 극소수의 기본 단어를 제외하고는 드물다.

에스페란토는 스페인어, 현대 히브리어, 현대 그리스어와 같이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 style="margin: 0 auto;"

|- style="vertical-align: top;"

|

단모음
전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

이중모음
전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모음이 5개뿐이기 때문에 발음의 변화가 상당히 허용된다. 예를 들어, ''e''는 일반적으로 ([ɛ]/é}})에서 '' ( 또는 )와 "증조부"를 뜻하는 '''' ( 또는 )이 그렇다.

에스페란토는 로마자에 ĉ, ĝ, ĥ, ĵ, ŝ, ŭeo 6글자를 더하고 q, w, x, y 4글자를 뺀 28글자를 쓴다.

: a b c ĉ d e f g ĝ h ĥ i j ĵ k l m n o p r s ŝ t u ŭ v zeo

에스페란토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d͡z]를 제외하고는 한 글자에 한 소리만을 나타내는 원칙을 따른다. 문자 중 다섯 개에는 곡선 악센트(⟨ĉ⟩, ⟨ĝ⟩, ⟨ĥ⟩, ⟨ĵ⟩, ⟨ŝ⟩)가, 하나에는 짧은 표시(⟨ŭ⟩)가 있다. ⟨q⟩, ⟨w⟩, ⟨x⟩, ⟨y⟩는 고유 명사나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되므로 알파벳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에스페란토의 알파벳은 alfabeto(알파베토)라고 한다. 일음일자 원칙을 채택하고 있으며 ( 제외), 라틴 문자에 곡절 부호가 있는 문자 ĉ, ĝ, ĥ, ĵ, ŝeo와 단음 기호가 있는 문자 ŭeo를 추가한 28자를 사용한다(단, ĥeo는 k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228]). q, w, x, y는 인명이나 과학 기호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각 문자의 명칭은 모음 문자는 그 발음, 자음 문자는 그 자음에 모음 -o를 붙인 것이다(a 아, b 보, c 츠오, ĉeo 쵸 등).

과거 컴퓨터가 특수문자(diacritic marks)를 처리할 수 없었던 시절에는 에스페란토를 대체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현재는 ISO/IEC 8859-3(소위 Latin-3) 및 유니코드의 보급으로 컴퓨터에서도 에스페란토의 특수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에스페란토의 여섯 글자 ĉ, ĝ, ĥ, ĵ, ŝ, ŭeo에는 '''윗부호'''(Supersignoeo)라고 부르는 발음 구별 기호가 있다. 윗부호를 쓸 수 없을 때는 '에스페란토 기초'에서 제시한 H-체계와 현재 주로 쓰이는 X-체계를 사용한다.

ĉĝĥĵŝŭ
H-체계chghhhjhshu
X-체계cxgxhxjxsxux



H-체계는 ⟨ĉ⟩, ⟨ĝ⟩, ⟨ĥ⟩, ⟨ĵ⟩, ⟨ŝ⟩, ⟨ŭ⟩를 각각 ⟨ch⟩, ⟨gh⟩, ⟨hh⟩, ⟨jh⟩, ⟨sh⟩, ⟨u⟩로 대체하는 방식이다.[89] 그러나 이 방식은 ⟨ch⟩를 /c/ 뒤에 /h/로 또는 /ĉ/로 렌더링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X-체계는 ⟨x⟩를 사용하여 ⟨cx⟩, ⟨gx⟩, ⟨hx⟩, ⟨jx⟩, ⟨sx⟩, ⟨ux⟩라는 이중 자음을 만드는 방식이다.

유니코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를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물리적 키보드에는 이러한 특수 기호가 없거나 특정 글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스페란토 알파벳을 지원하는 컴퓨터 키보드 배열이 있으며, 일부 시스템은 x-규칙 또는 h-규칙 이중 자음을 해당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로 자동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90][91] GNOME, 시나몬, KDE 데스크톱 환경도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 입력을 지원한다.[92][93]

에스페란토의 여섯 글자 ĉ, ĝ, ĥ, ĵ, ŝ, ŭeo에는 '''윗부호'''(Supersignoeo)라고 부르는 발음 구별 기호가 있다. 윗부호를 쓸 수 없을 때는 '에스페란토 기초'에서 제시한 H-체계와 현재 주로 쓰이는 X-체계를 사용한다.

ĉĝĥĵŝŭ
H-체계chghhhjhshu
X-체계cxgxhxjxsxux



H-체계는 ⟨ĉ⟩, ⟨ĝ⟩, ⟨ĥ⟩, ⟨ĵ⟩, ⟨ŝ⟩, ⟨ŭ⟩를 각각 ⟨ch⟩, ⟨gh⟩, ⟨hh⟩, ⟨jh⟩, ⟨sh⟩, ⟨u⟩로 대체하는 방식이다.[89] 그러나 이 방식은 ⟨ch⟩를 /c/ 뒤에 /h/로 또는 /ĉ/로 렌더링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senchava]]/

X-체계는 ⟨x⟩를 사용하여 ⟨cx⟩, ⟨gx⟩, ⟨hx⟩, ⟨jx⟩, ⟨sx⟩, ⟨ux⟩라는 이중 자음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x⟩ 다음에 오는 문자가 ⟨z⟩뿐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다는 장점이 있다.

유니코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의 "라틴 확장 A" 섹션에 있는)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를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물리적 키보드에는 이러한 특수 기호가 없거나 특정 글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스페란토 알파벳을 지원하는 컴퓨터 키보드 배열이 있으며, 일부 시스템은 x-규칙 또는 h-규칙 이중 자음을 해당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로 자동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90][91] GNOME, 시나몬, KDE 데스크톱 환경도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 입력을 지원한다.[92][93]

에스페란토의 핵심 어휘는 1887년 루도비코 자멘호프가 출판한 ''국제어''(Lingvo internacia)에서 정의되었다. 이 책에는 917개의 어근이 나열되어 있으며, 접두사, 접미사 및 합성을 통해 수만 개의 단어로 확장할 수 있다. 1894년에는 더 많은 어근을 포함한 최초의 에스페란토 사전인 ''Universala Vortaro''를 출판했다. 에스페란토의 규칙은 필요에 따라 새로운 어근을 차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대부분 국제적인 형태를 사용하고 관련 의미를 파생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 이후로 많은 단어들이 주로 유럽 언어에서 차용되었지만,최근에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어휘도 있다. 특히 전문적인과학적인 용어에서 두드러진다. 반면 일상적인 용어는 기존 어근에서 파생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komputilo''(컴퓨터)는 ''komputi''(계산하다) 동사와 ''-ilo''(도구) 접미사로 형성된다.

단어는 역어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uso''()는 여러 언어에서의 용례를 바탕으로 컴퓨터 마우스의 의미를 얻었다.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특정 차용어가 적절한지, 아니면 기존 단어의 의미를 확장하여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주 논쟁한다.

일부 합성어와 파생어는 완전히 간단하지 않다. 예를 들어, ''eldoni''는 문자 그대로 "내놓다"를 의미하지만, 특정 유럽 언어의 용례와 병행하여 "출판하다"를 의미한다. 또한, 접미사 ''-um-''은 정의된 의미가 없어 별도로 학습해야 한다.

새로운 외래어를 도입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단어를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는다. 새로운 단어는 에스페란토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도태되거나, 최종적으로 하나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komputmaŝino'', ''komputilo'', ''komputatoro'' 등 여러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최종적으로 ''komputilo''로 자리 잡았다.

에스페란토에는 관용구나 속어가 많지 않은데, 이는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최대 에스페란토 사전은 ''La Nova ''(P.I.V.)이며, 16,780개의 어근과 46,890개의 복합어구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에스페란토의 조어법에 따라 자유롭게 복합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 어휘는 훨씬 많다.

최근에는 일본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많이 쓰인다.

예를들면:


  • aikidoeo (합기도, 일본식 한자어)
  • animeoeo (애니메이션, 라틴어 anima에서 유래한 영어 animation에서 유래) 일본 애니메이션, 일본식 화풍의 것을 가리킨다. 국가를 한정하지 않을 경우 중복어인 animacio를 사용한다.
  • bonsajoeo (본사이, 일본식 한자어)
  • cunamoeo (쓰나미) 학술 용어로서 "기상 이외의 요인에 의한 파도"뿐만 아니라, 단순한 큰 파도(ondego)로 사용되거나, "밀려오는 것"의 비유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ĉanojoeo (차의湯 → 다도, 전반부 ĉaeo는 한자어) japana teceremonio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 ĉirimenoeo (비단, 후반부 meneo는 한자어)
  • emoji/emoĝio}} (이모지) – 영어권에서 널리 퍼진 의 발음의 영향으로 emoĵioeo가 아니라 emoĝioeo로 표기된다.
  • enoeo (엔, 한자어)
  • gooeo (바둑, 한자어)
  • hajkoeo (하이쿠, 일본식 한자어) - 파생어로 hajkaroeo (구집, 하이쿠집) 등이 있다.
  • harakiroeo (腹切り→할복)
  • haŝiojeo (젓가락) - 일본 이외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젓가락을 총칭하여 합성어 manĝobastonetojeo ("식사"+ "작은 막대"의 복수형)가 사용된다.
  • hibakŝoeo (원폭 피해자, 일본식 한자어)
  • ĵudoeo (유도, 일본식 한자어) - 파생어로 ĵudejoeo (유도장) 등이 있다.
  • kamikazoeo (가미카제 특공대의 약칭 "신풍"이 변하여 "자살 테러"를 가리키기도 한다.)
  • kapaoeo (가파 )
  • karaokeoeo (카라오케, 후반부는 그리스어 orkhestra에서 유래한 영어 orchestra에서 유래)
  • karateoeo (가라테, "당수"에서 유래)
  • katanoeo (刀→일본도)
  • kamioeo (신, 일본식 한자어)
  • kimonoeo (기모노)
  • mangaoeo (만화, 일본식 한자어) 일본식 만화 (japana bildliteraturo)eo에 한정하여 사용한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국가를 한정하지 않는 만화는 bildliteraturoeo를 사용한다. 미국식이라면 komiksoeo가 있다.
  • moĉioeo () - "쌀로 만든 케이크"를 의미하는 합성어 rizkukoeo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nooeo (, 일본식 한자어)
  • origamioeo (오리가미)
  • otakoeo (오타쿠)
  • sakeoeo (술→일본주)
  • samurajoeo (사무라이)
  • suŝioeo (스시)
  • ŝintooeo (신토, 일본식 한자어)
  • ŝogioeo (장기, 한자어) Japana ŝakoeo "일본 체스"라는 표현도 있다.
  • ŝogunoeo (将軍→쇼군, 한자어)
  • tankaoeo (단가, 일본식 한자어)
  • tempuroeo (덴푸라, 외래어)
  • tofuoeo (두부, 한자어)
  • tokusacuoeo (특촬 )
  • udonoeo/udonojeo (우동, 한자어 "饂飩") 단수·복수 모두 사용된다.
  • utaoeo (노래→와카)
  • zoriojeo (짚신, 일본식 한자어)

등이 있다.

에스페란토는 이 없고, 규칙적으로 동사가 변화하는 교착어이다. 명사형용사주격대격의 2가지 을 가지며, 단수복수가 있다. 동사는 인칭변화가 없고, 시제와 법에 따라 6가지 어미(-as, -is, -os, -i, -us, -u)를 가진다.[229] 대격어미(-n)는 이동을 나타내거나, 전치사를 대신하기도 한다. 대격이 있으므로 러시아어, 그리스어, 라틴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이 비교적 어순이 자유로운 편에 속한다.

명사주어목적어
단수-o-on
복수-oj-ojn



형용사주어목적어
단수-a-an
복수-aj-ajn



6가지 동사 활용은 3가지 시제와 3가지 법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제 -as, 미래 시제 -os, 과거 시제 -is, 원형 -i, 가정법 -us, 그리고 명령법 -u(소망과 명령에 사용)이다. 동사는 인칭이나 수로 표시되지 않는다.

동사 시제접미사
현재-as (kantas)
과거-is (kantis)
미래-os (kantos)



동사 법접미사
원형-i (kanti)
명령법-u (kantu)
가정법-us (kantus)



에스페란토에서는 어근(radiko)에 접두사, 접미사(합쳐서 접사라고 한다)를 붙이거나 품사 어미를 붙여 파생어를 만든다.[229] 예를 들어, 어근 *long*은


  • 품사 어미를 붙여 longa(롱가)=길다, longo(롱고)=길이가 된다.
  • “반대”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 ''mal-''을 붙여 mallong'이라는 어간(radikalo)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mallonga(말롱가)=짧다, mallongo(말롱고)=짧이가 된다.
  • “타동”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 ''-ig-''을 붙여 longig'이라는 어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longigi(롱기기)=길게 하다, longigo(롱기고)=길게 하는 것(즉, “신장, 연장”)이 된다.
  •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하여 mallongig'이라는 어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mallongigi(말롱기기)=짧게 하다, mallongigo(말롱기고)=짧게 하는 것(즉, “단축”) 등도 만들 수 있다.


에스페란토에는 부정관사가 없고, 모든 성, 수, 격과 관계없는 정관사 ''la''만 있다.

{| class="wikitable"

|-

!

!단수

!복수

|-

|1인칭

|'''mi''' (미) - 나

|'''ni''' (니) - 우리

|-

|2인칭

| colspan="2" |'''vi''' (비) - 당신/여러분

|-

| rowspan="4" |3인칭

|'''li''' (리) - 그(남성)

| rowspan="3" |'''ili''' (이리) - 그들/그녀들/것들

|-

|'''ŝi''' (시) - 그녀

|-

|'''ĝi''' (

5. 1. 분류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므로, 어떤 자연어와도 친족관계가 없다.[79] 발음체계는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어휘는 주로 로망스어(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약 75%), 게르만어(독일어, 영어 등; 약 20%)로부터 채용하였다.[10] 자멘호프가 정의하지 않은 문법상의 언어 사용은 초기 사용자의 모어였던 러시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다.[221][222]

어순라틴어그리스어처럼 비교적 자유로우나 SVO 문형이 주로 쓰이며,[79] 형용사명사 앞에 오는 경우가 많다. 전치사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성질도 가지고 있다.[80][83] 에스페란토는 "어휘적으로는 주로 로망스어족에 기반을 두고, 형태론적으로는 집합어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며, 어느 정도는 고립어적인 성격을 지닌 언어"로 묘사되어 왔다.[79] 새로운 단어는 접사와 합성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만들어진다.[80][83]

에스페란토의 어휘, 의미론은 유럽 언어에서 유래했다. 자멘호프는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 리투아니아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를 공부했으며, 13개의 다른 언어를 알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어 이는 에스페란토의 언어적 특징에 영향을 미쳤다.[221][222]

에스페란토어는 형태론적으로 교착성이 강한, 고립어[223]로 설명된다. 주격과 목적격 이외의 전치사로 나타낸다. 어간접사가 붙는 교착어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언어이다. 이는 러시아어나 독일어 등과도 공통점이 많은 반면, 활용에 따른 어형 전체의 변화 등 인도유럽어 특유의 굴절어적 성격은 보이지 않는다.

에스페란토의 교착어적인 문법과 동사의 규칙성은 유럽 언어보다 아시아 언어와의 공통점이 많다는 주장이 있다.[224][225] 언어학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과의 차이가 인정되며, 또한 직접적인 자손이 아니기 때문에 고립어로 분류된다. 2010년의 언어유형론 연구에서는 “에스페란토는 확실히 다소 유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유럽 언어 자체에 비하면 훨씬 적다”고 결론지었다.[226]

5. 2. 음운론

에스페란토는 일반적으로 22~24개의 자음, 5개의 모음, 그리고 모음과 결합하여 6개의 이중모음을 형성하는 2개의 반모음을 가지고 있다.[227] 억양은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강세는 항상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에 온다. 예외적으로, 시 등에서 어말 모음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억양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85]

Cc, Ĉĉ, Gg, Ĝĝ, Ĥĥ, Ĵĵ, Ŝŝ, Ŭŭ를 제외한 모든 글자는 IPA 표기와 일치한다. 에스페란토는 한국어와 달리 유기음(예: ㅋ) / 무기음(예: ㄱ) 구분이 없고, 무성음 / 유성음 구분이 있다.

무성음p [p]t [t]k [k]f [f]s [s]ŝ [ʃ]ĉ [t͡ʃ]
유성음b [b]d [d]g [ɡ]v [v]z [z]ĵ [ʒ]ĝ [d͡ʒ]



5. 2. 1. 자음

에스페란토의 자음은 p, b, t, d, k, ɡ, t͡s, (d͡z), t͡ʃ, d͡ʒ, f, v, s, z, ʃ, ʒ, x, h, m, n, l, r, j 등이 있다.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colspan="2" |colspan="2" |colspan="2" |
파열음pbtdcolspan="2" |kɡcolspan="2" |
파찰음colspan="2" |t͡s(d͡z)t͡ʃd͡ʒcolspan="2" |colspan="2" |
마찰음fvszʃʒxh
유음colspan="2" |ljcolspan="2" |colspan="2" |
전동음colspan="2" |rcolspan="2" |colspan="2" |colspan="2" |


  • reo 음은 일반적으로 치경 전동음 r으로 발음되지만, 구개수 진동음 ʀeo,[86] 연구개 마찰음 ʁeo,[87]치경 근사음 ɹeo[88]로도 발음될 수 있다. 치경 탄음 ɾeo과 같은 다른 형태들도 실제로 사용되고 받아들여진다.
  • veo는 일반적으로 영어의 'v'와 같이 발음되지만, 화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라 ʋeo (영어 'v'와 'w' 사이의 소리) 또는 weo로 발음될 수 있다.
  • 반모음 /u̯/eo는 일반적으로 aeo와 eeo 모음 뒤의 이중모음에서만 나타나며, 자음 /w/eo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인 동화에는 nkeo가 [ŋk]eo로, kzeo가 [ɡz]eo로 발음되는 것이 포함된다.


초성 위치에서는 최대 3개의 자음 군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 ''strangaeo'', "strange"), 중성 위치에서는 최대 5개의 자음 군집이 발생할 수 있다 (예: ''ekssklavo'', "former slave"). 종성 자음 군집은 동화되지 않은 고유명사, 최종 ''oeo''의 시적 생략, 그리고 ''centeo''("hundred", 백)과 ''posteo''("after", 후)와 같은 극소수의 기본 단어를 제외하고는 드물다.

5. 2. 2. 모음

에스페란토는 스페인어, 현대 히브리어, 현대 그리스어와 같이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 style="margin: 0 auto;"

|- style="vertical-align: top;"

|

단모음
전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

이중모음
전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모음이 5개뿐이기 때문에 발음의 변화가 상당히 허용된다. 예를 들어, ''e''는 일반적으로 ([ɛ]/é}})에서 '' ( 또는 )와 "증조부"를 뜻하는 '''' ( 또는 )이 그렇다.

5. 3. 문자

에스페란토는 로마자에 ĉ, ĝ, ĥ, ĵ, ŝ, ŭeo 6글자를 더하고 q, w, x, y 4글자를 뺀 28글자를 쓴다.

: a b c ĉ d e f g ĝ h ĥ i j ĵ k l m n o p r s ŝ t u ŭ v zeo

에스페란토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d͡z]를 제외하고는 한 글자에 한 소리만을 나타내는 원칙을 따른다. 문자 중 다섯 개에는 곡선 악센트(⟨ĉ⟩, ⟨ĝ⟩, ⟨ĥ⟩, ⟨ĵ⟩, ⟨ŝ⟩)가, 하나에는 짧은 표시(⟨ŭ⟩)가 있다. ⟨q⟩, ⟨w⟩, ⟨x⟩, ⟨y⟩는 고유 명사나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되므로 알파벳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에스페란토의 알파벳은 alfabeto(알파베토)라고 한다. 일음일자 원칙을 채택하고 있으며 ( 제외), 라틴 문자에 곡절 부호가 있는 문자 ĉ, ĝ, ĥ, ĵ, ŝeo와 단음 기호가 있는 문자 ŭeo를 추가한 28자를 사용한다(단, ĥeo는 k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228]). q, w, x, y는 인명이나 과학 기호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각 문자의 명칭은 모음 문자는 그 발음, 자음 문자는 그 자음에 모음 -o를 붙인 것이다(a 아, b 보, c 츠오, ĉeo 쵸 등).

과거 컴퓨터가 특수문자(diacritic marks)를 처리할 수 없었던 시절에는 에스페란토를 대체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현재는 ISO/IEC 8859-3(소위 Latin-3) 및 유니코드의 보급으로 컴퓨터에서도 에스페란토의 특수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에스페란토의 여섯 글자 ĉ, ĝ, ĥ, ĵ, ŝ, ŭeo에는 '''윗부호'''(Supersignoeo)라고 부르는 발음 구별 기호가 있다. 윗부호를 쓸 수 없을 때는 '에스페란토 기초'에서 제시한 H-체계와 현재 주로 쓰이는 X-체계를 사용한다.

ĉĝĥĵŝŭ
H-체계chghhhjhshu
X-체계cxgxhxjxsxux



H-체계는 ⟨ĉ⟩, ⟨ĝ⟩, ⟨ĥ⟩, ⟨ĵ⟩, ⟨ŝ⟩, ⟨ŭ⟩를 각각 ⟨ch⟩, ⟨gh⟩, ⟨hh⟩, ⟨jh⟩, ⟨sh⟩, ⟨u⟩로 대체하는 방식이다.[89] 그러나 이 방식은 ⟨ch⟩를 /c/ 뒤에 /h/로 또는 /ĉ/로 렌더링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X-체계는 ⟨x⟩를 사용하여 ⟨cx⟩, ⟨gx⟩, ⟨hx⟩, ⟨jx⟩, ⟨sx⟩, ⟨ux⟩라는 이중 자음을 만드는 방식이다.

유니코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를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물리적 키보드에는 이러한 특수 기호가 없거나 특정 글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스페란토 알파벳을 지원하는 컴퓨터 키보드 배열이 있으며, 일부 시스템은 x-규칙 또는 h-규칙 이중 자음을 해당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로 자동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90][91] GNOME, 시나몬, KDE 데스크톱 환경도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 입력을 지원한다.[92][93]

5. 3. 1. 문자 표기

에스페란토의 여섯 글자 ĉ, ĝ, ĥ, ĵ, ŝ, ŭeo에는 '''윗부호'''(Supersignoeo)라고 부르는 발음 구별 기호가 있다. 윗부호를 쓸 수 없을 때는 '에스페란토 기초'에서 제시한 H-체계와 현재 주로 쓰이는 X-체계를 사용한다.

ĉĝĥĵŝŭ
H-체계chghhhjhshu
X-체계cxgxhxjxsxux



H-체계는 ⟨ĉ⟩, ⟨ĝ⟩, ⟨ĥ⟩, ⟨ĵ⟩, ⟨ŝ⟩, ⟨ŭ⟩를 각각 ⟨ch⟩, ⟨gh⟩, ⟨hh⟩, ⟨jh⟩, ⟨sh⟩, ⟨u⟩로 대체하는 방식이다.[89] 그러나 이 방식은 ⟨ch⟩를 /c/ 뒤에 /h/로 또는 /ĉ/로 렌더링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senchava]]/

X-체계는 ⟨x⟩를 사용하여 ⟨cx⟩, ⟨gx⟩, ⟨hx⟩, ⟨jx⟩, ⟨sx⟩, ⟨ux⟩라는 이중 자음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x⟩ 다음에 오는 문자가 ⟨z⟩뿐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다는 장점이 있다.

유니코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의 "라틴 확장 A" 섹션에 있는)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를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물리적 키보드에는 이러한 특수 기호가 없거나 특정 글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스페란토 알파벳을 지원하는 컴퓨터 키보드 배열이 있으며, 일부 시스템은 x-규칙 또는 h-규칙 이중 자음을 해당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로 자동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90][91] GNOME, 시나몬, KDE 데스크톱 환경도 에스페란토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 입력을 지원한다.[92][93]

5. 4. 어휘

에스페란토의 핵심 어휘는 1887년 루도비코 자멘호프가 출판한 ''국제어''(Lingvo internacia)에서 정의되었다. 이 책에는 917개의 어근이 나열되어 있으며, 접두사, 접미사 및 합성을 통해 수만 개의 단어로 확장할 수 있다. 1894년에는 더 많은 어근을 포함한 최초의 에스페란토 사전인 ''Universala Vortaro''를 출판했다. 에스페란토의 규칙은 필요에 따라 새로운 어근을 차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대부분 국제적인 형태를 사용하고 관련 의미를 파생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 이후로 많은 단어들이 주로 유럽 언어에서 차용되었지만,최근에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어휘도 있다. 특히 전문적인과학적인 용어에서 두드러진다. 반면 일상적인 용어는 기존 어근에서 파생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komputilo''(컴퓨터)는 ''komputi''(계산하다) 동사와 ''-ilo''(도구) 접미사로 형성된다.

단어는 역어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uso''()는 여러 언어에서의 용례를 바탕으로 컴퓨터 마우스의 의미를 얻었다.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특정 차용어가 적절한지, 아니면 기존 단어의 의미를 확장하여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주 논쟁한다.

일부 합성어와 파생어는 완전히 간단하지 않다. 예를 들어, ''eldoni''는 문자 그대로 "내놓다"를 의미하지만, 특정 유럽 언어의 용례와 병행하여 "출판하다"를 의미한다. 또한, 접미사 ''-um-''은 정의된 의미가 없어 별도로 학습해야 한다.

새로운 외래어를 도입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단어를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는다. 새로운 단어는 에스페란토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도태되거나, 최종적으로 하나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komputmaŝino'', ''komputilo'', ''komputatoro'' 등 여러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최종적으로 ''komputilo''로 자리 잡았다.

에스페란토에는 관용구나 속어가 많지 않은데, 이는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최대 에스페란토 사전은 ''La Nova ''(P.I.V.)이며, 16,780개의 어근과 46,890개의 복합어구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에스페란토의 조어법에 따라 자유롭게 복합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 어휘는 훨씬 많다.

최근에는 일본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많이 쓰인다.

예를들면:

  • aikidoeo (합기도, 일본식 한자어)
  • animeoeo (애니메이션, 라틴어 anima에서 유래한 영어 animation에서 유래) 일본 애니메이션, 일본식 화풍의 것을 가리킨다. 국가를 한정하지 않을 경우 중복어인 animacio를 사용한다.
  • bonsajoeo (본사이, 일본식 한자어)
  • cunamoeo (쓰나미) 학술 용어로서 "기상 이외의 요인에 의한 파도"뿐만 아니라, 단순한 큰 파도(ondego)로 사용되거나, "밀려오는 것"의 비유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ĉanojoeo (차의湯 → 다도, 전반부 ĉaeo는 한자어) japana teceremonio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 ĉirimenoeo (비단, 후반부 meneo는 한자어)
  • emoji/emoĝio}} (이모지) – 영어권에서 널리 퍼진 의 발음의 영향으로 emoĵioeo가 아니라 emoĝioeo로 표기된다.
  • enoeo (엔, 한자어)
  • gooeo (바둑, 한자어)
  • hajkoeo (하이쿠, 일본식 한자어) - 파생어로 hajkaroeo (구집, 하이쿠집) 등이 있다.
  • harakiroeo (腹切り→할복)
  • haŝiojeo (젓가락) - 일본 이외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젓가락을 총칭하여 합성어 manĝobastonetojeo ("식사"+ "작은 막대"의 복수형)가 사용된다.
  • hibakŝoeo (원폭 피해자, 일본식 한자어)
  • ĵudoeo (유도, 일본식 한자어) - 파생어로 ĵudejoeo (유도장) 등이 있다.
  • kamikazoeo (가미카제 특공대의 약칭 "신풍"이 변하여 "자살 테러"를 가리키기도 한다.)
  • kapaoeo (가파 )
  • karaokeoeo (카라오케, 후반부는 그리스어 orkhestra에서 유래한 영어 orchestra에서 유래)
  • karateoeo (가라테, "당수"에서 유래)
  • katanoeo (刀→일본도)
  • kamioeo (신, 일본식 한자어)
  • kimonoeo (기모노)
  • mangaoeo (만화, 일본식 한자어) 일본식 만화 (japana bildliteraturo)eo에 한정하여 사용한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국가를 한정하지 않는 만화는 bildliteraturoeo를 사용한다. 미국식이라면 komiksoeo가 있다.
  • moĉioeo () - "쌀로 만든 케이크"를 의미하는 합성어 rizkukoeo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nooeo (, 일본식 한자어)
  • origamioeo (오리가미)
  • otakoeo (오타쿠)
  • sakeoeo (술→일본주)
  • samurajoeo (사무라이)
  • suŝioeo (스시)
  • ŝintooeo (신토, 일본식 한자어)
  • ŝogioeo (장기, 한자어) Japana ŝakoeo "일본 체스"라는 표현도 있다.
  • ŝogunoeo (将軍→쇼군, 한자어)
  • tankaoeo (단가, 일본식 한자어)
  • tempuroeo (덴푸라, 외래어)
  • tofuoeo (두부, 한자어)
  • tokusacuoeo (특촬 )
  • udonoeo/udonojeo (우동, 한자어 "饂飩") 단수·복수 모두 사용된다.
  • utaoeo (노래→와카)
  • zoriojeo (짚신, 일본식 한자어)

등이 있다.

5. 5. 문법

에스페란토는 이 없고, 규칙적으로 동사가 변화하는 교착어이다. 명사형용사주격대격의 2가지 을 가지며, 단수복수가 있다. 동사는 인칭변화가 없고, 시제와 법에 따라 6가지 어미(-as, -is, -os, -i, -us, -u)를 가진다.[229] 대격어미(-n)는 이동을 나타내거나, 전치사를 대신하기도 한다. 대격이 있으므로 러시아어, 그리스어, 라틴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이 비교적 어순이 자유로운 편에 속한다.

명사주어목적어
단수-o-on
복수-oj-ojn



형용사주어목적어
단수-a-an
복수-aj-ajn



6가지 동사 활용은 3가지 시제와 3가지 법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제 -as, 미래 시제 -os, 과거 시제 -is, 원형 -i, 가정법 -us, 그리고 명령법 -u(소망과 명령에 사용)이다. 동사는 인칭이나 수로 표시되지 않는다.

동사 시제접미사
현재-as (kantas)
과거-is (kantis)
미래-os (kantos)



동사 법접미사
원형-i (kanti)
명령법-u (kantu)
가정법-us (kantus)


5. 5. 1. 파생어와 접사

에스페란토에서는 어근(radiko)에 접두사, 접미사(합쳐서 접사라고 한다)를 붙이거나 품사 어미를 붙여 파생어를 만든다.[229] 예를 들어, 어근 *long*은

  • 품사 어미를 붙여 longa(롱가)=길다, longo(롱고)=길이가 된다.
  • “반대”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 ''mal-''을 붙여 mallong'이라는 어간(radikalo)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mallonga(말롱가)=짧다, mallongo(말롱고)=짧이가 된다.
  • “타동”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 ''-ig-''을 붙여 longig'이라는 어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longigi(롱기기)=길게 하다, longigo(롱기고)=길게 하는 것(즉, “신장, 연장”)이 된다.
  •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하여 mallongig'이라는 어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mallongigi(말롱기기)=짧게 하다, mallongigo(말롱기고)=짧게 하는 것(즉, “단축”) 등도 만들 수 있다.

5. 5. 2. 관사

에스페란토에는 부정관사가 없고, 모든 성, 수, 격과 관계없는 정관사 ''la''만 있다.

5. 5. 3. 인칭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mi (미) - 나ni (니) - 우리
2인칭vi (비) - 당신/여러분
3인칭li (리) - 그(남성)ili (이리) - 그들/그녀들/것들
ŝi (시) - 그녀
ĝi (지) - 그것
oni (오니) - 사람/사람들
재귀si (스이) - 자신



목적격으로 만들려면 '-n'을 붙인다. "나를"은 ''min''이 된다. 소유격(속격)으로 만들려면 형용사 어미 '-a'를 붙인다. "나의"는 ''mia''가 된다. 소유 형용사는 형용사의 일종이므로, 일반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복수 어미나 목적격 어미의 변화가 있으며, ''miajn librojn'' "나의 책(복수)을"과 같이, 명사의 수와 격에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재귀대명사 si는 주어가 3인칭인 문장에서 문장에서 주어 자신을 가리킬 때 3인칭 대명사 li, ŝi, ĝi, ili, oni 대신 사용하는 것이며, 문장 속의 이러한 대명사는 주어와 구별된다. 대명사 바로 뒤에 부사 mem (''self''영어)을 둠으로써 "~자신의"라는 강조 표현이 된다. 소유 형용사의 강조에는 형용사 propra (''own''영어)를 사용한다.


  • Li amas sin mem. (리 아마스 신 멤) = "그는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


경칭으로 ci가 마련되어 있지만, 현대에는 거의 사어가 되어 사용 자체가 드물다 (영어의 ''thou''에 해당). 3인칭 단수 대명사는 남녀로 나뉘어 있으며, 최근에는 점차 젠더 중립적인 단수 대명사 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일반적이지는 않다.[230] 반면 복수 대명사는 남녀 명사를 모두 포함하는 복수형(접두사 ''ge-'')과 마찬가지로 항상 중성이다.

5. 5. 4. 상관사

상관사란 일본어의 “こそあど”어에 해당하는 지시사, 대명사, 의문사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어두와 어미가 규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상관사가 있는 명사구에는 정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colspan="3" rowspan="3" |관계사·의문사지시사(복수형)(대격어미)
특정불특정전체부정
ki-ti-i-ĉi-neni-
대명사전체-okiotioioĉionenio-n
개별-ukiutiuiuĉiuneniu-j
대형용사kiutiuiuĉiuneniu
성질·모양-akiatiaiaĉianenia
소유-eskiestiesiesĉiesneniesrowspan="6" |
대부사장소-ekietieieĉienenie-n
시간-amkiamtiamiamĉiamneniamrowspan="4" |
방법·정도-elkieltielielĉielneniel
이유-alkialtialialĉialnenial
-omkiomtiomiomĉiomneniom



''-u''형 상관사는 명사구에 다른 명사가 없는 경우 대명사가 되고, 명사의 수식어로는 대형용사가 된다. 대조 또는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만, 원래 부사 ĉi를 ''ti-''형 상관사의 바로 앞이나 뒤에 놓아 화자에게 더 가까운 것을 가리킨다(근칭).

상관사 뒤에 원래 부사 ajn(애니, 에버/any, ever영어)을 놓음으로써 무차별이나 양보를 나타내는 상관사가 된다.


  • '''Iam ajn''' vi povas veni.(이암 아인 비 포바스 베니)=“언제든지 와도 좋다”
  • '''Kiel ajn''' rapide li kuros, li neniam povos min atingi.(키엘 아인 라피데 리 쿠로스, 리 네니암 포보스 민 아틴기)=“아무리 빨리 달려도, 그는 결코 나를 따라잡을 수 없다”


이러한 상관사에서 파생어를 만들 수도 있다.

  • iama(이아마) “어떤, 옛날의”
  • tiama(티아마) “당시의, 그때의”
  • kialo(키아로) “이유, 원인”
  • kielo(키엘로) “수단, 방법, 수법”
  • kioma(키오마) “몇 번째의”
  • kiomono(키오모노) “몇 분의 일”

6. 특징

에스페란토는 말이 서로 다른 민족 간 의사 소통과 상호 이해, 나아가서 인류 평화를 위해 만들어진, 중립적이고 배우기 쉬우면서 모든 표현이 가능한 언어로서, 국제적으로 제 기능을 다할 수 있게끔 고안되었다.

에스페란토를 쓰는 사람을 '''에스페란티스토'''라고 한다. 에스페란티스토는 국제어를 쓰는 사람들 중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대한민국에도 에스페란토 협회인 한국에스페란토협회가 존재한다. 전 세계 에스페란티스토는 라 에스페로를 언어가(歌)로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기(旗)도 '''라 에스페로'''라고 부른다.

6. 1. 에스페란티스토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사람을 에스페란티스토라고 한다. 국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대한민국에도 한국에스페란토협회가 존재한다.

7. 언어 사용 지역 및 인구



워싱턴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시드니 S. 컬버트는 에스페란토 사용자 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컬버트 자신도 에스페란토 대회에 참석한 에스페란티스트였다. 컬버트는 160만 명의 사람들이 에스페란토를 "Foreign Service Level 3"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전문적이고 능숙하게”(단순히 에스페란토로 인사와 간단한 표현을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능력을 가진) 사용자에 한정된 수치이다. 이 조사는 에스페란토 사용자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많은 언어의 세계적인 조사의 일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수치는 『월드 알마낙』과 『에스노로그』에도 등장했다. 이 수치는 세계 인구의 약 0.03%에 해당하지만, 이 수치로는 자멘호프가 목표했던 보편어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에스노로그는 이 외에도 에스페란토를 모어로 사용하는 에스페란토 모어 화자가 200명에서 2,000명 있다고 언급했다.

컬버트는 연구 결과만 발표하고, 조사 방법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연구의 정확성은 의심받고 있다. 독일의 에스페란티스트, 지코 판 다이크(지코제크)는 이 수치를 의심하고, 다시 조사하여 『신화 없는 에스페란토 (''Esperanto sen mitoj'')』에서 그 결과를 발표했다. "만약 100만 명의 에스페란토 사용자가 전 세계에 평균적으로 흩어져 있다면, 쾰른에는 182명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코제크는 30명만이 유창하게 말하는 사람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수치는 세계 평균적인 지역보다 높은 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다양한 에스페란토 단체의 등록 회원 수가 2만 명이며, 단체에 등록되지 않은 에스페란티스트도 많이 있겠지만, 등록된 사람의 50배나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라고 언급했다.

컬버트의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로도 에스페란티스트 인구를 확실하게 추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7. 1. 지리학과 인구학

에스페란토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공어이다.[116] 화자는 유럽과 동아시아, 특히 도시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종종 에스페란토 동호회를 형성한다.[117] 에스페란토는 특히 유럽의 북부와 중부 국가들, 아시아에서는 중국, 대한민국, 일본, 이란,[30] 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미국,[118] 아프리카에서는 토고에서 특히 널리 사용된다.[119]

통계학자 스벤트 니엘센은 에스페란토 화자 수와 특정 국가의 모국어와 에스페란토의 유사성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에스페란토는 인터넷 접속이 보편화되고 과학과 문화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부유한 국가에서 더 인기가 있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국가 내 언어 다양성은 에스페란토의 인기와 상관관계가 없거나, 약간의 감소 효과가 있을 뿐이었다.[120]

에스페란토 사용자 수 조사는 워싱턴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시드니 S. 컬버트에 의해 실시되었다. 컬버트는 160만 명의 사람들이 에스페란토를 "Foreign Service Level 3"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수치는 『월드 알마낙』과 『에스노로그』에도 등장했다. 에스노로그는 이 외에도 에스페란토를 모어로 사용하는 에스페란토 모어 화자가 200명에서 2,000명 있다고 언급했다.

컬버트는 연구 결과만 발표하고, 조사 방법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독일의 에스페란티스트, 지코 판 다이크(지코제크)는 이 수치를 의심하고, 다시 조사하여 『신화 없는 에스페란토 (''Esperanto sen mitoj'')』에서 그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다양한 에스페란토 단체의 등록 회원 수가 2만 명이며, 단체에 등록되지 않은 에스페란티스트도 많이 있겠지만, 등록된 사람의 50배나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라고 언급했다.

컬버트의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로도 에스페란티스트 인구를 확실하게 추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7. 2. 언어 구사자 수

워싱턴 대학교의 은퇴한 심리학 교수이자 오랫동안 에스페란토를 사용한 시드니 S. 컬버트는 20년 이상 수십 개국에서 에스페란토 사용자를 조사하여 그 수를 추정했다.[121] 컬버트는 10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의 사람들이 외무부 능력 3급 수준, 즉 "전문적으로 능숙하게" 에스페란토를 구사한다고 결론지었다.[121] 컬버트의 추정치는 월드 알마낙과 에스노로그에 인용되었으며, 이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0.03%가 에스페란토를 사용한다.[121]

핀란드의 언어학자 요우코 린드스테트는 에스페란토 사용자의 언어 능력 비율을 추정하여, 1,000명이 모어로, 10,000명이 능숙하게, 100,000명이 활발하게 사용하며, 1,000,000명이 상당 부분 소극적으로 이해하고, 10,000,000명이 어느 정도 학습한 경험이 있다고 제시했다.[123]

정확한 에스페란토 구사자 수는 알기 어렵지만,[124] 200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마커스 시코섹(현재 지코 반 다이크)은 이 수치가 과장되었다고 비판하며, 쾰른 시의 에스페란토 사용자 수가 예상보다 적다는 점을 지적했다.[117] 그는 또한 다양한 에스페란토 단체 회원이 약 2만 명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비회원이 회원의 50배나 될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117]

7. 3. 모국어 사용자

에스페란토 원어민(데나스쿨로이/denaskulojeo)은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부모 밑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한 사람들이다.[125] 이런 현상은 다문화 가정 내에서 에스페란토가 제1언어 또는 유일한 공통 언어일 경우에 자주 일어나지만, 열렬한 에스페란토 사용 가족 내에서 발생하기도 한다.[126] 에스놀로그 15번째 에디션에서는 1996년도에 2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에스페란토 모국어 사용자들이 있다고 추정했으나, 이후 에디션에서는 삭제되었다. 2022년판 ''에스노로그''는 코르세티 외 2004년 연구를 인용하여 모어 사용자 1,000명을 제시한다.[118]

다른 언어 공동체와 달리, 원어민 사용자는 에스페란토 공동체에서 권위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다.[128][129]

8. 언어의 변화

1905년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서 개최된 제1차 에스페란토 세계 대회에서 에스페란토 기초의 변경을 제한하는 선언이 채택되었다.[212] 이 선언은 언어의 기초를 자멘호프가 출판한 《에스페란토 기초》(Fundamento de Esperantoeo)에서 변경해서는 안되며, 어떤 사람에게도 기초를 변경할 권리는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현대 에스페란토가 '에스페란토 기초'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국명을 표시하는 접미사가 -uj-에서 -i-로 바뀌었다. (예: Koreujo→Koreioeo)[213] 또한, 엄밀히 말해 -a로 끝나는 모든 단어는 형용사여야 하므로 Maria는 에스페란토 기초에 의하면 Mario가 되어야 하지만, 현대 에스페란토에서는 Maria도 인정하고 있다.[214][215] 지명이나 인명과 같은 고유명사는 자주 사용되는 것일 경우( 뉴욕: Novjorkoeo, 서울: Seuloeo, 파리: Parizoeo) 에스페란토화된 단어를 따르나, 최근에는 거의 원래의 지명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여러 가지 외래어가 추가되었다. 이것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되도록 기존의 에스페란토 단어 및 규칙에 맞게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어 컴퓨터(computer영어)는 '계산하다'의 의미를 가진 komputieo에 도구를 나타내는 접미사 -il-을 사용하여, komputiloeo로 번역하였다.[219] 또한 유로의 경우 유럽의 모든 나라에서 euro로 표기하고 있음에도, 에스페란토에서는 에스페란토 철자법에 맞게 eŭroeo로 사용하고 있다.

《에스페란토 기초》 이전의 kian, ian, ĉian, tian, nenianeo이 각각 kia, ia, ĉia, tia, neniaeo의 목적격과 혼동될 수 있어 kiam, iam, ĉiam, tiam, neniameo으로 바뀌었다.

발음하기 어려운 ĥ는 ĉ, k 또는 h로 대체되어 이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지금은 바꾸었을 경우 기존의 다른 어근과 혼동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바뀐 형태로 사용된다. (Ĥinujo → Ĉinio, ĥemio → kemioeo 등)[216]

몇 가지 단어의 형태가 바뀌었다. (komisio → komisiono, artikulo → artikolo, riprezenti → reprezentieo)

지명의 경우 그 지역의 에스페란토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Hindioeo보다 Baratoeo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음, Koreoeo가 ‘한국’을 의미했는데 이것이 ‘한국인’의 의미로 바뀌고 Koreioeo가 ‘한국’을 의미하게 됨)

9. 예시

wikitext

에스페란토로 된 주기도문은 다음과 같다.



Patro nia, kiu estas en la ĉielo,

sanktigata estu via nomo.

Venu via regno,

fariĝu via volo, kiel en la ĉielo, tiel ankaŭ sur la tero.

Nian panon ĉiutagan donu al ni hodiaŭ.

Kaj pardonu al ni niajn ŝuldojn,

kiel ankaŭ ni pardonas al niaj ŝuldantoj.

Kaj ne konduku nin en tenton,

sed liberigu nin de la malbono.

(ĉar via estas la regno kaj la potenco

kaj la gloro eterne.) Amen.eo



살루톤/Saluton!eo (안녕하세요!), 지스 레비도/지스/Ĝis revido/Ĝiseo (다시 만나요), 예스/Jeseo (네), 네/Neeo (아니요), 단콘/Dankoneo (감사합니다), 미 에스타스 코레오./Mi estas koreo.eo (저는 한국 사람입니다.)

한국어에스페란토IPA
안녕하세요(가벼운 인사)Saluton[sa.ˈlu.ton]
Jes[ˈjes]
아니요Ne[ˈne]
좋은 아침입니다Bonan matenon[ˈbo.nan ma.ˈte.non]
안녕하세요Bonan tagon[ˈbo.nan ˈta.gon]
좋은 저녁입니다Bonan vesperon[ˈbo.nan ves.ˈpe.ron]
잘 자요Bonan nokton[ˈbo.nan ˈnok.ton]
잘 가(안녕)Ĝis (la revido)[ˈd͡ʒis (la re.ˈvi.do)]
만나서 반갑습니다Tre agrable/ˈtre a.ˈgra.bre/
만나서 반갑습니다(정중한 표현)
/만나서 정말 기쁩니다.
Estas al mi tre agrable konatiĝi kun vi. /
Mi estas tre ĝoja konatiĝi kun vi.
/es.tas al mi tre a.ˈgra.bre ko.na.ˈtid͡ʒi kun vi/
/mi es.tas tre d͡ʒo.ja ko.na.ˈtid͡ʒi kun vi/
이름이 무엇입니까?Kio estas via nomo? /
Kiel vi nomiĝas?
[ˈki.o ˌes.tas ˌvi.a ˈno.mo] /
/ˈkiel vi nomˈid͡ʒas/
제 이름은 마르코입니다Mia nomo estas Marko /
Mi nomiĝas Marko
[ˌmi.a ˈno.mo ˌes.tas ˈmar.ko] /
/mi nomˈid͡ʒas ˈmar.ko/
저는 일본 사람입니다Mi estas japan(in)o/mi es.tas ja.ˈpa.no/
/mi es.tas ja.pa.ˈni.no/
어떻게 지내세요?Kiel vi fartas?[ˈki.el vi ˈfar.tas]
잘 지내고 있습니다Mi fartas bone[mi ˈfar.tas ˈbo.ne]
에스페란토어를 하십니까?Ĉu vi parolas Esperanton?[ˈt͡ʃu vi pa.ˈro.las ˌes.pe.ˈran.ton]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Kio okazas?[ˈki.o ˈo.ka.zas]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Mi ne komprenas vin[mi ˌne kom.ˈpre.nas ˌvin]
좋아요/괜찮아요Bone / En ordo[ˈbo.ne] / [en ˈor.do]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Dankon[ˈdan.kon]
천만에요Ne dankinde / Nedankinde[ˌne.dan.ˈkin.de]
부탁합니다Bonvolu / Mi petas[bon.ˈvo.lu] / [mi ˈpe.tas]
죄송합니다Pardonu min[par.ˈdo.nu ˈmin]
축복을!Sanon![ˈsa.non]
축하합니다Gratulon![ɡra.ˈtu.lon]
사랑해요Mi amas vin[mi ˈa.mas ˌvin]
맥주 한 잔 주세요Unu bieron, mi petas[ˈu.nu bi.ˈe.ron, mi ˈpe.tas]
화장실이 어디입니까?Kie estas la necesejo?[ˈki.e ˈes.tas ˈla ˌne.t͡se.ˈse.jo]
저것(이것)은 무엇입니까?Kio estas tio?[ˈki.o ˌes.tas ˈti.o]
저것(이것)은 개입니다Tio estas hundo[ˈti.o ˌes.tas ˈhun.do]
우리는 사랑합니다Ni amos![ni ˈa.mos]
평화!Pacon![ˈpa.t͡son]
저는 에스페란토 초보입니다Mi estas komencanto de Esperanto[mi ˈes.tas ˌko.men.ˈt͡san.to de ˌes.pe.ˈran.to]


9. 1. 주기도문

에스페란토로 된 주기도문은 다음과 같다.



Patro nia, kiu estas en la ĉielo,

sanktigata estu via nomo.

Venu via regno,

fariĝu via volo, kiel en la ĉielo, tiel ankaŭ sur la tero.

Nian panon ĉiutagan donu al ni hodiaŭ.

Kaj pardonu al ni niajn ŝuldojn,

kiel ankaŭ ni pardonas al niaj ŝuldantoj.

Kaj ne konduku nin en tenton,

sed liberigu nin de la malbono.

(ĉar via estas la regno kaj la potenco

kaj la gloro eterne.) Amen.eo


9. 2. 간단한 표현

살루톤/Saluton!eo (안녕하세요!), 지스 레비도/지스/Ĝis revido/Ĝiseo (다시 만나요), 예스/Jeseo (네), 네/Neeo (아니요), 단콘/Dankoneo (감사합니다), 미 에스타스 코레오./Mi estas koreo.eo (저는 한국 사람입니다.)

한국어에스페란토IPA
안녕하세요(가벼운 인사)
아니요
좋은 아침입니다
안녕하세요Bonan tagon
좋은 저녁입니다
잘 자요
잘 가(안녕)
만나서 반갑습니다Tre agrable
만나서 반갑습니다(정중한 표현)
/만나서 정말 기쁩니다.
Estas al mi tre agrable konatiĝi kun vi. /
Mi estas tre ĝoja konatiĝi kun vi.

이름이 무엇입니까? /
Kiel vi nomiĝas?
/
제 이름은 마르코입니다 /
Mi nomiĝas Marko
/
저는 일본 사람입니다Mi estas japan(in)o
어떻게 지내세요?
잘 지내고 있습니다
에스페란토어를 하십니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Kio okazas?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좋아요/괜찮아요 / En ordo /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천만에요 / Nedankinde
부탁합니다 / Mi petas /
죄송합니다
축복을!
축하합니다!
사랑해요
맥주 한 잔 주세요
화장실이 어디입니까?
저것(이것)은 무엇입니까?
저것(이것)은 개입니다
우리는 사랑합니다
평화!
저는 에스페란토 초보입니다


10. 비판과 개선안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은 수년간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에스페란토가 충분히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반대로 특정 문화를 전달해야 한다는, 즉 중립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었다. 또한 에스페란토가 세계 언어들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유럽 언어에 더 치우쳐야 한다는 비판도 동시에 존재한다.[186][187]

== 에스페란티도 ==

에스페란토가 발표된 이후, 수십 가지의 개선안과 에스페란토에서 파생된 인공어가 만들어졌다. 이를 '''에스페란티도'''라고 한다.[185] J. R. R. 톨킨은 에스페란토어를 지지했지만, 언어의 통일성과 폭넓은 수용이라는 목표에 해를 끼치는 수정 시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185]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은 수년간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다. 에스페란토가 충분히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과, 반대로 특정 문화를 전달해야 한다는 비판이 공존한다. 또한 세계 언어들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유럽 언어에 더 치우쳐야 한다는 비판도 동시에 존재한다.[186][187]

『에스페란토 입문』은 에스페란토를 개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많은 단체 및 개인이 변형 부호가 있는 문자, 여성형 어미 '-in-', 형용사의 성·수 일치 등을 개선 대상으로 삼아 개조안을 제시했다.

개조안의 대부분은 실패하거나 계획 단계에 머물렀지만, 1907년 파리에서 발표된 루이 드 보프롱이도 개조안(이도어)은 어느 정도 지지자를 얻었다. 이도는 알파벳(특히 변형 부호가 있는 문자의 제외)과 몇 가지 문법 사항을 변경하였다. 초기에는 많은 사람이 이도 개조안에 동의했지만, 잦은 개조로 인해 분열되었다. 현재는 개조가 거의 수렴되었지만, 이도어의 사용 인구 및 영향력은 에스페란토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

파실레 등의 새로운 국제어 안도 에스페란토를 의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에스페란토를 위협할 수준에는 전혀 도달하지 못했다.

== 성 차별 문제 ==

에스페란토에서 기본적인 단어는 남성으로 규정하고, 여성은 접미사 -in-을 붙여 나타내는 것은 1887년 당시 시대적 배경에서 유래한 남성우월주의이며, 에스페란토 주의에서 강조하는 '평등'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있다.[253] 이는 에스페란토가 탄생한 19세기 후반 유럽의 남성 중심 사회의 흔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191][192]

최근에는 가족 관련 단어를 제외하고는 기본 단어는 성을 나타내지 않고, 남성을 나타낼 때는 vir-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254] 예를 들어, "도크토로"(박사 학위 소지자, 남성 또는 성별 불명) 대 "도크토리노"(여성 박사 학위 소지자)와 같이 주로 남성이 담당하는 직업 역할에도 이러한 현상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변화하고 있다.

한편, 대명사 "ĝi"("그것")는 일반적으로 그/그녀/그들(he/she/they)을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93] 성별 중립적인 단수 대명사 "ri"는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소수의 사용에 그치고 있다.[194]

== 유럽어 중심주의 ==

에스페란토는 종종 유럽 중심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186] 이는 대부분 어휘와 관련하여 언급된다. 예를 들어, 어휘의 약 4분의 3은 로망스어족에서 유래하며, 나머지는 주로 독일어, 그리스어 및 슬라브어족에서 유래한다.[10] 에스페란토의 어휘가 대부분 유럽어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비유럽권 사람들이 배우기 어렵다는 점은, 1992년 9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연맹 총회 보고에서도 나타난다.[255] 보고에 따르면, 동아시아 아이들이 에스페란토를 배우는 데는 유럽이나 미국의 아이들보다 두 배의 시간이 걸린다.[255] 이는 에스페란토 어휘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을 외우는 데 비유럽권 학습자가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256]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은 수년간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는데, 에스페란토가 충분히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과, 특정 문화를 전달해야 한다는, 즉 중립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공존한다.[186][187] 또한 에스페란토가 세계 언어들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유럽 언어에 더 치우쳐야 한다는 상반된 비판도 존재한다.[186][187]

한편, 에스페란토의 교착어적인 문법과 동사의 규칙성은 유럽 언어보다 아시아 언어와 더 공통점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188][189] 2010년 언어 유형론적 연구는 "에스페란토는 실제로 다소 유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유럽 언어 자체보다는 훨씬 덜하다"는 결론을 내렸다.[190]

== 대격 ==

에스페란토는 대격(또는 목적격)을 나타내기 위해 어미 '''-n'''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대격(또는 목적격) 조사 '-을/를'을 사용하여, 겉으로 드러내고 있다. 대격의 존재로 인해 에스페란토의 어순이 더 자유로워지고, 의미가 분명히 전달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186][187] 하지만 많은 유럽어의 경우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유럽인들이 '''-n'''의 사용법을 배우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목적격의 존재는 어순에 대한 많은 자유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Johano batis Petron"(요한은 페트로를 때렸다)와 같이 강조를 위해 어순을 바꿀 수 있다. 또한, "Mi vidis la blankan domon"(나는 흰 집을 보았다)와 같이 "목적어의 술어"에서 목적격이 없으면 모호함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목적격을 사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186][187]

== 동의어 ==

에스페란토는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데 일정한 규칙이 없으며, 필요에 의해 누군가가 만든 단어가 일정 수준 이상 널리 알려지면, 그런 새로운 단어를 모아서 발표하는 소극적 방식으로 어휘를 늘려가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해 같은 뜻을 가진 두 단어 이상이 널리 사용될 경우, 동일하게 쓰이는 단어임에도 배우는 이의 입장에서는 둘 다 외울 수밖에 없다. 유럽 사용자의 경우, 유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에스페란토화하는 것을, 비유럽권에서는 기존 단어를 사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단어가 두 개 이상 동시에 쓰이는 경우가 있다. 합성어의 경우에도 사람마다 합성어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여러 개의 합성어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있다.


  • futur-o, est-ont-o 미래
  • pas-int-ec-o, est-int-o 과거


또한, 원래 하나였던 단어가 여러 개로 분화하는 경우도 있다.

  • -uj-(국가를 나타내는 접미사) → -i-(단일민족국가), -land-(국명이 land로 끝나는 국가), (다민족국가에는 붙이지 않는다)


이처럼 에스페란토에는 자연어만큼은 아니나 동의어가 많으며, 에스페란토 학회가 동의어 정리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동의어를 모두 외워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 발음 ==

학습자의 모어에 따라 일부 발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올 수 있다.[186][187] c는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C"와 비슷하여 이 발음이 익숙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는 c를 ĉ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ŝ, ĵ, ĉ, ĝ 발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ĵ와 ĝ를 구분하지 않는 언어가 많다. ĥ는 발음하지 못하는 화자가 많아 k나 h로 바뀌면서 점차 소멸하고 있다.

한국어 화자는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하거나, ĵ, ĝ, z를 모두 ĝ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f를 p로, v를 b로 발음하거나, r과 l을 혼동하고, c를 ĉ로 발음하며, 모음 앞에 j를 넣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10. 1. 에스페란티도

에스페란토가 발표된 이후, 수십 가지의 개선안과 에스페란토에서 파생된 인공어가 만들어졌다. 이를 '''에스페란티도'''라고 한다.[185] J. R. R. 톨킨은 에스페란토어를 지지했지만, 언어의 통일성과 폭넓은 수용이라는 목표에 해를 끼치는 수정 시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185]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은 수년간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다. 에스페란토가 충분히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과, 반대로 특정 문화를 전달해야 한다는 비판이 공존한다. 또한 세계 언어들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유럽 언어에 더 치우쳐야 한다는 비판도 동시에 존재한다.[186][187]

『에스페란토 입문』은 에스페란토를 개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많은 단체 및 개인이 변형 부호가 있는 문자, 여성형 어미 '-in-', 형용사의 성·수 일치 등을 개선 대상으로 삼아 개조안을 제시했다.

개조안의 대부분은 실패하거나 계획 단계에 머물렀지만, 1907년 파리에서 발표된 루이 드 보프롱이도 개조안(이도어)은 어느 정도 지지자를 얻었다. 이도는 알파벳(특히 변형 부호가 있는 문자의 제외)과 몇 가지 문법 사항을 변경하였다. 초기에는 많은 사람이 이도 개조안에 동의했지만, 잦은 개조로 인해 분열되었다. 현재는 개조가 거의 수렴되었지만, 이도어의 사용 인구 및 영향력은 에스페란토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

파실레 등의 새로운 국제어 안도 에스페란토를 의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에스페란토를 위협할 수준에는 전혀 도달하지 못했다.

10. 2. 성 차별 문제

에스페란토에서 기본적인 단어는 남성으로 규정하고, 여성은 접미사 -in-을 붙여 나타내는 것은 1887년 당시 시대적 배경에서 유래한 남성우월주의이며, 에스페란토 주의에서 강조하는 '평등'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있다.[253] 이는 에스페란토가 탄생한 19세기 후반 유럽의 남성 중심 사회의 흔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191][192]

최근에는 가족 관련 단어를 제외하고는 기본 단어는 성을 나타내지 않고, 남성을 나타낼 때는 vir-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254] 예를 들어, "도크토로"(박사 학위 소지자, 남성 또는 성별 불명) 대 "도크토리노"(여성 박사 학위 소지자)와 같이 주로 남성이 담당하는 직업 역할에도 이러한 현상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변화하고 있다.

한편, 대명사 "ĝi"("그것")는 일반적으로 그/그녀/그들(he/she/they)을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93] 성별 중립적인 단수 대명사 "ri"는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소수의 사용에 그치고 있다.[194]

10. 3. 유럽어 중심주의

에스페란토는 종종 유럽 중심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186] 이는 대부분 어휘와 관련하여 언급된다. 예를 들어, 어휘의 약 4분의 3은 로망스어족에서 유래하며, 나머지는 주로 독일어, 그리스어 및 슬라브어족에서 유래한다.[10] 에스페란토의 어휘가 대부분 유럽어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비유럽권 사람들이 배우기 어렵다는 점은, 1992년 9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연맹 총회 보고에서도 나타난다.[255] 보고에 따르면, 동아시아 아이들이 에스페란토를 배우는 데는 유럽이나 미국의 아이들보다 두 배의 시간이 걸린다.[255] 이는 에스페란토 어휘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을 외우는 데 비유럽권 학습자가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256]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은 수년간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는데, 에스페란토가 충분히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과, 특정 문화를 전달해야 한다는, 즉 중립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공존한다.[186][187] 또한 에스페란토가 세계 언어들을 충분히 광범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유럽 언어에 더 치우쳐야 한다는 상반된 비판도 존재한다.[186][187]

한편, 에스페란토의 교착어적인 문법과 동사의 규칙성은 유럽 언어보다 아시아 언어와 더 공통점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188][189] 2010년 언어 유형론적 연구는 "에스페란토는 실제로 다소 유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유럽 언어 자체보다는 훨씬 덜하다"는 결론을 내렸다.[190]

10. 4. 대격

에스페란토는 대격(또는 목적격)을 나타내기 위해 어미 '''-n'''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대격(또는 목적격) 조사 '-을/를'을 사용하여, 겉으로 드러내고 있다. 대격의 존재로 인해 에스페란토의 어순이 더 자유로워지고, 의미가 분명히 전달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186][187] 하지만 많은 유럽어의 경우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유럽인들이 '''-n'''의 사용법을 배우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목적격의 존재는 어순에 대한 많은 자유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Johano batis Petron"(요한은 페트로를 때렸다)와 같이 강조를 위해 어순을 바꿀 수 있다. 또한, "Mi vidis la blankan domon"(나는 흰 집을 보았다)와 같이 "목적어의 술어"에서 목적격이 없으면 모호함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목적격을 사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186][187]

10. 5. 동의어

에스페란토는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데 일정한 규칙이 없으며, 필요에 의해 누군가가 만든 단어가 일정 수준 이상 널리 알려지면, 그런 새로운 단어를 모아서 발표하는 소극적 방식으로 어휘를 늘려가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해 같은 뜻을 가진 두 단어 이상이 널리 사용될 경우, 동일하게 쓰이는 단어임에도 배우는 이의 입장에서는 둘 다 외울 수밖에 없다. 유럽 사용자의 경우, 유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에스페란토화하는 것을, 비유럽권에서는 기존 단어를 사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단어가 두 개 이상 동시에 쓰이는 경우가 있다. 합성어의 경우에도 사람마다 합성어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여러 개의 합성어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있다.

  • futur-o, est-ont-o 미래
  • pas-int-ec-o, est-int-o 과거


또한, 원래 하나였던 단어가 여러 개로 분화하는 경우도 있다.

  • -uj-(국가를 나타내는 접미사) → -i-(단일민족국가), -land-(국명이 land로 끝나는 국가), (다민족국가에는 붙이지 않는다)


이처럼 에스페란토에는 자연어만큼은 아니나 동의어가 많으며, 에스페란토 학회가 동의어 정리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동의어를 모두 외워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10. 6. 발음

학습자의 모어에 따라 일부 발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올 수 있다.[186][187] c는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C"와 비슷하여 이 발음이 익숙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는 c를 ĉ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ŝ, ĵ, ĉ, ĝ 발음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ĵ와 ĝ를 구분하지 않는 언어가 많다. ĥ는 발음하지 못하는 화자가 많아 k나 h로 바뀌면서 점차 소멸하고 있다.

한국어 화자는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하거나, ĵ, ĝ, z를 모두 ĝ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f를 p로, v를 b로 발음하거나, r과 l을 혼동하고, c를 ĉ로 발음하며, 모음 앞에 j를 넣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11. 문화

2008년 로테르담에서 열린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의 에스페란토 서적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방대한 양의 창작 및 번역 문학을 포함한 국제적인 문화에 참여한다. 2만 5천 권이 넘는 에스페란토 원작 및 번역서와 여러 종의 정기 간행 에스페란토 잡지가 있다. 2013년에는 중국에 에스페란토 박물관이 개관했다.[130]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Pasporta Servoeo를 이용하여 92개국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과 무료 숙박을 제공받거나, ''''를 통해 펜팔을 개발한다.[131]

매년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eo)에 모인다.[132][133]

역사적으로, Kaj Tiel Plueo와 같이 많은 음악이 에스페란토어로 작곡되었다.[134] 또한 원작 및 번역을 포함한 다양한 클래식 및 세미 클래식 합창 음악과 에스페란토 가사를 부르는 대규모 합주 음악이 있다. 그의 음악에 여러 세계 문화의 스타일과 악기를 통합한 루 해리슨은 여러 작품, 특히 La Koro-Sutroeo (1973)에서 에스페란토 제목 및/또는 가사를 사용했다. 데이비드 게인스는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그의 ''Symphony No. One (Esperanto)'' (1994–98)에 에스페란토 시와 자멘호프의 연설 발췌문을 사용했다. 그는 무반주 SATB 합창을 위한 Povas plori mi ne plueo (''I Can Cry No Longer'')에 원작 에스페란토 가사를 작곡했다 (1994).

자멘호프의 날과 같이 공유하는 전통도 있다. 이 날은 12월 15일에 기념된다.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은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를 포함한 특별 컨벤션에서 주로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하지만, 3개 이상의 국가 언어가 사용되는 곳에서 개최되는 더 지역적인 컨벤션에서도 사용한다.

험프리 톤킨과 같은 에스페란토 옹호자들은, 하트퍼드 대학교 교수인 그는 에스페란토가 "어떤 특정 국가 문화의 운반자가 아닌 문화 간의 매개체가 되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문화적으로 중립적"이라고 주장한다. 고인이 된 스코틀랜드 에스페란토 작가 윌리엄 올드는 에스페란토가 "국가적 경계에 얽매이지 않은 공통 인류 문화의 표현"이라고 주장하며 이 주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따라서 그것은 하나의 독자적인 문화로 간주된다.[135] 비평가들은 이 언어가 어휘의 대부분을 유럽 언어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유럽 중심적이라고 주장한다.[186]

12. 유산

일부 에스페란토 협회들은 에스페란토 교육을 증진시키고, 그 문화와 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6] 폴란드는 2014년 에스페란토를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137]

13. 저명한 에스페란토 작가

에스페란토 작가 목록은 다음과 같다.


  • Muztar Abbasieo: 쿠란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 윌리엄 올드
  • 훌리오 바기
  • Kazimierz Beineo (Kabeeo)
  • 마조리 불턴
  • 호르헤 카마초
  • 페르난도 데 디에고: 주로 번역을 하였다.
  • 바실리 예로셴코
  • 장 포르주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 칼만 칼로차이
  • 안나 뢰벤슈타인
  • 미야자와 겐지: 기존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 니콜라이 네크라소프/Nikolai Vladimirovich Nekrasoveo
  • 네메레 이슈트반/István Nemereeo
  • 클로드 피롱
  • 에드몽 프리바
  • 프레데릭 푸줄라 이 발레스/Frederic Pujulà i Vallèseo
  • 발두르 라그나르손
  • 레토 로세티
  • 레이몽 슈바르츠
  • 티보르 세켈
  • 티바다르 소로스
  • 스포멘카 슈티메츠
  • 에바 토팔비
  • 블라디미르 바란킨
  • 가스통 와린지앵
  • L. L. 자멘호프
  • 토르베르그르 토르다르손

14. 대중문화 속 에스페란토

로버트 휴 벤슨의 미래 소설 ''세계의 지배자(Lord of the World)''에서 에스페란토는 라틴어가 교회의 언어인 것처럼 세계의 주요 언어로 제시된다.[138] 1936년에 출판된 카렐 차페크의 공상과학 소설 ''개구리 전쟁(War with the Newts)''에도 에스페란토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139]

에스페란토는 많은 영화와 소설에서 특정 민족을 대표하지 않고 외국어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더하거나 새로운 언어를 만들기 위한 수고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찰리 채플린의 영화 ''위대한 독재자(The Great Dictator)'' (1940)에서는 유대인 게토의 상점 간판에 에스페란토가 사용되었다. 에스페란토로만 대사가 진행되는 영화로는 ''Angorojeo''(1964년), ''잠꼬대''(1965년)가 있다. ''캡틴 판타스틱''(2016)에도 에스페란토 대사가 등장한다.[251] 1994년 영화 ''스트리트 파이터''에는 사가트 캐릭터가 에스페란토로 대사를 한다. 멕시코 영화 감독 알폰소 쿠아론은 자신의 영화 제작사 이름을 에스페란토 필름(Esperanto Filmoj) ("에스페란토 영화")으로 지을 정도로 에스페란토에 대한 매력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140]

장 류마의 습격 (1959)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한다는 설정의 가상 국가 "이베리아국"의 언어로 에스페란토가 채택되었다. 도라에몽 노비타와 기적의 섬 ~애니멀 어드벤처~ (2012)에서는 극중 무대가 되는 섬 "베레가몬도(Belegamondo)" 섬의 원주민, 로크로족의 언어로 에스페란토가 채택되었다. 거꾸로의 파테마 (2013)에서는 주제가 "Patema Inverse"의 가사가 에스페란토로 쓰여졌다.

15. 과학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French Academy of Sciences)는 1921년 국제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에스페란토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모리스 프레셰(Maurice René Fréchet)(수학), 존 웰스(John C. Wells)(언어학), 헬마르 프랑크(Helmar Frank)(교육학 및 사이버네틱스), 그리고 노벨상 수상자 라인하르트 젤텐(Reinhard Selten)(경제학) 등 일부 과학자와 수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일부를 에스페란토로 발표했다.[141][142] 프랑크와 젤텐은 산마리노 국제 과학 아카데미(Akademio Internacia de la Sciencoj San Marino)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는데, 이곳에서는 에스페란토가 주요 교육 및 행정 언어이다.[141][142] 에스페란토로 된 메시지가 녹음되어 보이저 1호(Voyager 1)에 실린 보이저 골든 레코드(Voyager Golden Record)에 포함되었다.

16. 상업 및 무역

에스페란토 상업 단체들은 수년간 활동해 왔다. 1920년대 프랑스 상공회의소가 실시하고 ''뉴욕 타임스''에 보도된 연구에 따르면 에스페란토가 최고의 사업 언어인 것으로 보였다.[143]

개인정보 보호 중심의 암호화폐 모네로는 에스페란토어로 '동전'을 뜻하는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144]

17. 운동의 목표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를 만들면서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는 쉬운 언어를 만드는 것이었고, 둘째는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만드는 것이었으며, 셋째는 많은 사람들이 그 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12] 에스페란토는 국제 보조어, 즉 보편적인 제2언어로서 기능하여 민족 언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45]

에스페란토가 공식적으로 채택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은 핀벤키스모(finvenkismo)라고 불린다.[146] 핀벤키스모는 '아래로부터' 일반 사람들 사이에 에스페란토를 퍼뜨리는 'desubismo'와 '위로부터' 정치인들로부터 시작하여 에스페란토를 보급하는 'desuprismo'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자멘호프는 'desubismo'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했다.[147] 반면, 언어의 내재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사람들은 라우미스모(Raumism)라고 불린다.[148] 1996년에는 프라하 선언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에스페란토가 창시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지만,[195][196]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가 그의 바람대로 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1907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우리는 조만간, 어쩌면 수세기 후에 중립적인 언어를 기반으로 서로 이해하며 국가들이 ... 하나의 큰 가족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라고 말했다.[198]

18. 상징과 깃발

에스페란토의 가장 오래된 깃발은 녹색 바탕에 흰색 칸톤 위에 초록색 다섯 개의 꼭짓점을 가진 별이 있는 디자인으로, 1905년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열린 최초의 에스페란토 사용자 회의 대표자들에 의해 승인되었다.[150] 이 깃발은 1887년 리처드 지오기건이 자멘호프에게 제안했다. 녹색 별(베르다 스텔로/verda steloeo)은 에스페란토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단추 구멍 등에 둥근 엠블럼으로 사용하기도 한다.[150] 간혹 초록색 별 위에 "E"가 겹쳐진 버전, 흰색 십자가가 겹쳐진 기독교 에스페란토 사용자 버전, 바탕색이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바뀐 좌파 버전도 존재한다.[150]

1987년에는 흰색 바탕에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양식화된 곡선 "E"가 있는 기념 기호(유빌레아 심볼로/jubilea simboloeo)[151]가 채택되었다. 이 깃발은 타원형 모양 때문에 일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로부터 멜로노/melonoeo (멜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52] 기념 기호는 녹색 별보다 사용 빈도는 낮지만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52]

19. 정치

에스페란토는 여러 정치적 상황에 제안되어 왔다. 유럽-민주주의-에스페란토는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공용어로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53] 2005년에 발표된 프랑수아 그랭(François Grin)의 보고서는 유럽 연합 내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데 매년 수십억 유로의 비용이 들고 영어권 국가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보고서는 에스페란토가 공용어가 되는 시나리오를 고려했으며, 특히 경제적으로나 이념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음을 발견했다.[153] 좌익 성향은 에스페란토 세계 전반에 존재하며, 주로 프랑스 이론가 외젠 란티(Eugène Lanti)가 설립한 세나치에차 아소치아 투트몬다(Sennacieca Asocio Tutmonda)를 통해 조직되어 있다.[154] 다른 주목할 만한 에스페란토 사회주의자로는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와 블라디미르 바란킨(Vladimir Varankin)이 있는데, 두 사람 모두 스탈린 탄압 중인 1938년 10월에 처형되었다.[155][156] 네크라소프는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들의 파시스트, 스파이, 테러 조직의 조직자이자 지도자"라는 혐의를 받았다.

20. 종교

대종교(Oomoto)는 신도들이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도록 장려하며, 자멘호프를 신격화된 영혼 중 하나로 포함한다.[157] 바하이 신앙은 보조 국제어의 사용을 장려한다. ʻ압두르 바하는 에스페란토의 이상을 칭찬했으며,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에스페란토어 사용자와 바하이교도 사이에 친밀감이 있었다.[159] 1973년에는 바하이 에스페란토 연맹(Baháʼí Esperanto-League)이 설립되었다.[159]

1908년, 카르덱주의 영매술(Kardecist spiritism) 신봉자 카밀로 샤뉴(Camilo Chaigneau)는 정기 간행물 ''La Vie d'Outre-Tombe''에 "영매술과 에스페란토"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여 모든 영매술 신봉자와 에스페란토어 사용자를 위한 "중앙 잡지"에서 에스페란토어 사용을 권장했다.[162] 영국의 유명한 영매술사이자 신비주의자였던 윌리엄 T. 스테드(W. T. Stead)는 영국 최초의 에스페란토 클럽을 공동 설립했다.[164]

테오조피아 에스페란토 리고(신지학 에스페란토 연맹)는 1911년에 설립되었으며, 이 단체의 학술지인 ''에스페로 테오조피아''는 1913년부터 1928년까지 발행되었다.[164]

L. L. 자멘호프가 번역한 구약 성경(타나크)은 에스페란토어로 번역된 최초의 성경이다. 1926년에는 신약 번역본과 함께 출판되어 일반적으로 "Londona Biblioeo"라고 불리는 판본이 되었다.[165]

2010년 아바나에서 열린 제95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진행된 에스페란토어 미사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하는 기독교 단체에는 국제 가톨릭 에스페란티스트 연합(Internacia Katolika Unuiĝo Esperantista, IKUE)과[164] 국제 기독교 에스페란티스트 연맹(Kristana Esperantista Ligo Internacia, KELI)이 있다.[164] 두 로마 가톨릭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네딕토 16세는 1994년 부활절 이후 매년 부활절과 크리스마스에 다국어로 진행되는 urbi et orbila 축복에서 에스페란토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했다.[167][168]

이란의 호메이니는 무슬림들에게 에스페란토를 배우도록 촉구하고, 서로 다른 종교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이해 증진을 위한 매개체로서 에스페란토의 사용을 칭찬했다. 콤의 신학교에서 에스페란토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얼마 후 국가에 의해 쿠란의 에스페란토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82][183]

21. 에스페란토에서 유래한 명칭

에스페란토 창시자 L. L. 자멘호프 또는 에스페란토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사물은 '''자멘호프-에스페란토 대상'''(Zamenhof/Esperanto-Objekto, ZEO)이라고 불린다.[241] ZEO에는 기념물, 장소, 건물, 탈것 등이 포함되며,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에서 담당 위원을 두고 있다.[200]

기업, 단체, 개인 이름, 상품명, 작품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스페란토에서 유래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아사히카세이 부동산 레지던스의 아파트 시리즈 "페리오"(휴일[242]), 이세이 미야케의 손목시계 "OVO"(), JR 동일본 호텔즈의 호텔 브랜드 "패밀리오"(가족)와 "폴크로로"(민담), 반다이 남코 게임즈의 게임 "테일즈 오브 이노센스" 등장인물 "스파다 벨포르마"('모양이 아름다운'을 의미하는 벨포르마라는 성), 야쿠르트 본사의 유산균 음료 "야쿠르트" 등이 그 예이다.[250]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에스페란토 및 자멘호프와 관련된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 남극대륙의 에스페란토 섬[200]
  • 핀란드 천문학자 위르외 베이샐래가 발견한 소행성 1421 에스페란토와 1462 자멘호프
  • 이그니션 엔터테인먼트의 게임 엘샤다이의 악역 캐릭터 "Nokto"(노크토,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파노이 엠포리움의 유아복 브랜드 "인파노이"(아이들)
  • 사진가 집단 VIVO(생명)
  • 중화인민공화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Vivo(생명)
  • 다이코 효소의 화장품 헤라 루노(밝은 )
  • 오다큐 부동산의 공동주택 TAN TA TOWN 알보노오카(Arbo, 나무)
  • JNN・JPN의 아나운서 상(아논치스토, 아나운서)
  • 동일본 여객철도 카마이시 선 모든 역의 에스페란토 애칭
  • 스퀘어 에닉스의 게임 파이널 판타지 XI 오프닝 BGM의 에스페란토 코러스 파트 "Memoro de la Ŝtono(돌의 기억)"
  • 트라프 건축 설계 사무소의 인테리어 전시회 "트라프의 콜로로 전"(Koloro, )
  • 할 필름 메이커의 애니메이션 ARIA The ORIGINATION 삽입곡 "루미스 에테르네"(Lumis Eterne, 영원히 빛났다)
  • 히메지 센트럴 파크의 화이트 라이온 삼둥이 이름 "루모"(lumo, )
  • 주식회사 페스티바로의 양과자점 "페스티바로"(축제[243])
  • 인형극단 푸크의 PUK PUPA TEATRO(PUK 인형극장)[244]
  • 인형극단 포폴로의 POPOLO(에스페란토 POPOLO에서 유래)
  • 펠리카 건축 & 디자인 전문학교의 Felica(feliĉa, 행복한)
  • 포플라사의 심리학 잡지 Psiko(프시코, 정신)
  • 본즈의 애니메이션 라제폰에 등장하는 조직 "TERRA"의 정식 명칭 "TERENO EMPIREO RAPIDMOVA REAKCII ARMEO"(최고 천 특구 기동군)
  • 혼다 기켄 공업의 자동차 혼다 시빅 페리오(휴일)와 혼다 바모스 호비오(취미)
  • 일본 담배 산업의 담배 브랜드 리베라 마일드(LIBERA, 자유로운)
  • 일본 텔레비전 계열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나카이 마사히로의 블랙 버라이어티의 서브 타이틀 nigra varieteo(검은 버라이어티)
  • 마루노우치 오아조의 oazo(오아시스[247])
  • 미우라 트레이닝 센터의 경마 말 트레보네(Tre Bone, 매우 좋다, 훌륭하다)
  • 메보의 소형 카메라 회사 Mevo(갈매기)
  • 모네로의 암호화폐 Monero(잔돈)
  • 모바도의 시계 제조업체 MOVADO(운동[248][249])
  • 몰고아 콰르텟의 현악 사중주단 morgaŭa(몰가우아, 내일의)
  • 바르샤바 교통국
  • 알티리 지바
  • 피터 게이브리얼의 사운드트랙 오보(OVO, )
  • 쿠와지마 호우코의 베스트 앨범 realigi 캐릭터송 베스트(realigi, 이루다, 실현시키다)
  • 사카모토 마아야의 앨범 바람 읽기 수록곡 Vento(ヴェント, 바람)
  • 미야자와 켄지의 작품 속 가공 지명(이하토보, 시오모, 센다도, 하무키아, 모리오) 및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 은하철도의 밤
  • 야스무라 요시히로의 베로 세포(Vero cell, verda reno(녹색 신장)와 vero(진리)에서 유래)

22. 에스페란토 관련 작품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 신기루, 이노우에 히사시의 희곡 이하토보의 극열차, 요시하라 리에코 감독의 영화 거꾸로의 파테마, 스케라스파로의 게임 코토노하 아무리라토 등 소설, 희곡, 만화, TV 드라마, 영화, 컴퓨터 게임, 미술 작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스페란토 또는 에스페란티스트가 등장하는 작품이 있다.

1927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작성한 소설 신기루에서는 작중 궁누마 해변에서 주인공과 친구들이 에스페란토로 쓰인 수장자의 나무 팻말을 줍는 내용이 나온다. 1930년부터 1931년까지 연재된 야마모토 유조의 바람이라는 소설에서는 에스페란토 강습회에 참가한 청년이 혁명 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1932년에 작성된 노가미 야에코의 젊은 아들이라는 소설에서는 주인공 고토 케이지가 에스페란토 모임에 나가는 것이 드러난다. 2011년에 나온 마미야 미도리의 탑 속의 여자라는 소설은 부제(서브타이틀)와 장제가 에스페란토이다. 2021년 10월에 간행된 고마쓰 아야코의 파우치와 노트는 원발성 무월경증을 앓는 17세의 소녀의 연애와 을 에스페란토를 엮어 그린 청소년 문학 소설이다.

1980년에 발표된 이노우에 히사시의 희곡 이하토보의 극열차에서는 작품 속에서 주인공 미야자와 켄지가 열차 안에서 에스페란토를 강의하는 장면이 나온다. 2006년 아오키 고의 희곡 에스페란토~교사들의 수학여행의 밤~ 에서는 수학여행지인 이와테현 여관에 미야자와 켄지의 에스페란토 시가 걸려 있으며, 이를 둘러싸고 등장인물들이 대화를 나눈다.

소녀만화 잡지 꽃과 별에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된 우리는 낙원에서 맺어진다는 에스페란토 부제가 "Ni estos ligitaj en Paradizo"이다. 노무라 료마의 SF작품 벤트러벤트러는 월간 애프터눈에서 2008년 8월호부터 2010년 5월호까지 연재되었으며 700년 후의 지구를 무대로 한 에피소드에서 에스페란토어가 공용어로 보급되어 있는 묘사가 있다. 무쿠이 마사에의 SF작품 This 커뮤니케이션은 점프 스퀘어에서 2020년 5월호부터 2024년 4월호까지 연재되었으며, 멸망 직전의 세계에서 에스페란토가 공용어로 사용되는 설정이다.

후지TV 계열에서 2012년에 방영된 O-PARTS〜オーパーツ〜에서는 극중 2156년에서 2012년으로 온 테러리스트에 대한 테러 지시와 2156년 내각총리대신으로부터 2012년 일본 정부로 보내진 이메일에서 에스페란토어가 사용되고 있다(단, 극중에서는 "수수께끼의 언어"라는 설정). 1959년다이에이(大映)에서 공개한 흑백 영화 장 류마의 습격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한다는 설정의 가상 국가 "이베리아국"의 언어로 에스페란토를 채택했다. 2012년에 공개된 도라에몽 노비타와 기적의 섬 ~애니멀 어드벤처~에서는 극중 무대가 되는 섬 "베레가몬도(Belegamondo)" 섬의 원주민, 로크로족의 언어로 에스페란토를 채택했다. 2013년 11월 9일부터 공개된 요시하라 리에코감독의 SF 애니메이션 영화 거꾸로의 파테마에서는 작중 세계관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주제가 "Patema Inverse"의 가사는 에스페란토로 쓰여 있다. 2016년 미국 제작 영화 시작으로의 여행(원제: Captain Fantastic)에서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키일러가 에스페란토에 능숙하다는 설정이다.

2017년 8월 25일에 발매된 PC 게임 코토노하 아무리라토는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가 협력(언어 감수)하여 에스페란토를 기반으로 한 "유리아모"라는 이세계어를 배우는 내용이다. 2019년 3월 15일에는 속편 이츠카노 메모라죠가 같은 회사에서 발매되었다.

2005년 요코하마 트리엔날레에 출품된 고미네 가쿠의 설치미술 가고시마 에스페란토에서는 흙 위에 가고시마 사투리(薩隅方言|鹿児島弁)와 에스페란토가 비춰진다. 한국의 입체미술 작품(설치미술) 작가 이불의 아침의 노래는 외주부에 네온사인으로 만들어진 에스페란토 단어를 많이 붙여 놓은 탑 형태 작품이다.(2007년)

참조

[1] 서적 Dua Libro de l' Lingvo Internacia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22-03-15
[2] 웹사이트 Plena Ilustrita Vortaro de Esperanto 2020 https://vortaro.net/[...]
[3] 웹사이트 What is UEA? https://web.archive.[...] Universal Esperanto Association 2018-07-21
[4] 웹사이트 Eta leksikono pri lingvoj https://web.archive.[...] 2016-03-04
[5] 웹사이트 Nova takso: 60.000 parolas Esperanton http://www.liberafol[...] Libera Folio 2017-02-13
[6] 논문 HOW MANY PEOPLE SPEAK ESPERANTO? OR: ESPERANTO ON THE WEB 2014
[7] 서적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9] 웹사이트 Doktoro Esperanto, Ludwik Lejzer Zamenhof https://global.brit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12-03
[10] 논문 Common criticism of Esperanto: facts and fallacies http://jki.amu.edu.p[...] 2015
[11] 웹사이트 How an artificial language from 1887 is finding new life online https://www.theverge[...] 2021-06-26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nguage https://web.archive.[...] 1887
[13] 웹사이트 Esperanto: The New Latin for the Church and Ecumenism https://web.archive.[...] 2008-09-17
[14] 웹사이트 A Language for Idealists https://paw.princeto[...] 2022-03-30
[15] 서적 Bridge of Words: Esperanto and the Dream of a Universal Language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6-10-04
[16] 웹사이트 Dr. Esperanto' International Language http://anno.onb.ac.a[...] L. Samenhof 2016-04-15
[16] 웹사이트 Esperanto https://web.archive.[...] Ling.ohio-state.edu 2010-12-05
[17] 웹사이트 Zamenhof-Day / Esperanto Book Day, 15 December http://www.linguisti[...] Universal Esperanto Association 2018-12-14
[18] 서적 Under Four Flags for France
[19] 웹사이트 New EAI pages https://web.archive.[...] 2018-02-24
[20] 웹사이트 Imp of the Diverse: A Dark Day for Esperanto http://impofthediver[...] 2019-09-15
[21] 웹사이트 Imp of the Diverse: The French Say "Non" to Esperanto http://impofthediver[...] 2019-09-15
[22] 웹사이트 Imp of the Diverse: The Danger of Esperanto http://impofthediver[...] 2019-09-15
[23] 웹사이트 Esperanto kaj anarkiismo https://www.nodo50.o[...]
[24] 웹사이트 Istarska enciklopedija https://web.archive.[...] 2021-02-10
[25] 서적 Biografia leksikono de kroatiaj esperantistoj Grafokom
[26] 논문 A historical analysis of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ideology in the early twentieth Asia: a case of Joseon, 1910–1945 http://dx.doi.org/10[...] 2021-03-18
[2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the Original Literature of Esperanto, 1887–2007 https://books.google[...] Mondial 2016-02-29
[28] 웹사이트 About ESW and the Holocaust Museum https://web.archive.[...] Esperantodc.org 2010-12-05
[29] 서적 Die gefährliche Sprache Bleicher
[30] 논문 Esperanto as language and idea in China and Japan http://benjamins.com[...] John Benjamins 2012-07-02
[31] 웹사이트 Donald J. Harlow, The Esperanto Book, chapter 7 https://web.archive.[...] Literaturo.org 2016-09-29
[32] 웹사이트 Chapter IV: The period of reaction: Leon Trotsky: Stalin – An appraisal of the man and his influence (1940) https://www.marxists[...] Marxists.org 2015-01-14
[33] 서적 Die gefährliche Sprache. Die Verfolgung der Esperantisten unter Hitler und Stalin. Bleicher
[3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Esperanto: A Modern Lingua Franca? https://www.thecolle[...] 2024-04-21
[35] 논문 Esperanto and tourism https://www.quaestus[...] 2017-06
[36] 웹사이트 La utilización del esperanto durante la Guerra Civil Española http://www.nodo50.or[...] Nodo50.org 2015-01-14
[37] 서적 Dangerous Language – Esperanto under Hitler and Stali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2-10
[38]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Eighth Session, Montevideo 1954; Resolutions http://unesdoc.unesc[...] UNESCO
[39] 뉴스 Official Languages https://www.un.org/e[...]
[40] 웹사이트 Esperanto Day, July 26, celebrates the birth of a language aimed at fostering harmony among peoples. How is it faring today? https://www.capstan.[...] 2022-07-26
[41] 웹사이트 'Saluton!': the surprise return of Esperanto https://www.theguard[...] 2017-12-06
[42] 간행물 Discouraging Words https://web.archive.[...] 2009-07-20
[43] 웹사이트 Esperantujo https://en.wiktionar[...] 2022-05-14
[44] 웹사이트 Esperantujo https://blogs.transp[...] 2009-04-30
[45] 뉴스 Esperanto language https://www.britanni[...]
[46] 간행물 Report on the international petition in favour of Esperanto http://unesdoc.unesc[...] UNESCO 1954-06-01
[47] 웹사이트 Esperanto translation http://uea.org/pdf/U[...]
[48] 웹사이트 OpenWHO Courses https://openwho.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49] 웹사이트 World Government Documents (Personal) http://worldservice.[...] Worldservice.org
[50]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aylor and Francis
[51] 웹사이트 Esperanto and Anarchism (translation of ''Lexikon der Anarchie, Schwarzer Nachtschatten''), Plön 1998, (ISBN 3-89041-014-6) The Anarchist Library https://theanarchist[...]
[52] 웹사이트 Akademio Internacia de la Sciencoj (AIS) San-Marino http://www.ais-sanma[...] Ais-sanmarino.org
[53] 서적 Esperanto Learning and Using the International Language Esperanto-USA
[54] 웹사이트 China Interreta Informa Centro-esperanto.china.org.cn http://esperanto.chi[...]
[55] 웹사이트 Radio Vatikana https://web.archive.[...]
[56] 학술지 The Progress of Esperanto since the World War 1928-04
[57] 서적 The Esperanto Movement Mouton
[58] 웹사이트 'The Maneuver Enemy' website http://www.kafejo.co[...] Kafejo.com 2004-06-02
[59] 서적 FM 30-101 Aggressor: the Maneuver Enemy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60] 웹사이트 Galmei und Esperanto – Der fast vergessene europäische Kleinstaat Neutral-Moresnet https://web.archive.[...] SWR2 Wissen 2003-09-19
[61] 웹사이트 What is Esperanto? http://www.molossia.[...]
[62] 웹사이트 duolingo - learn Esperanto in 5 mins per day https://www.duolingo[...]
[63]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English Speakers https://www.duolingo[...] Duolingo.com 2021-10-23
[64] 웹사이트 Duolingo Language Courses https://www.duolingo[...] Duolingo
[65]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Spanish Speakers https://www.duolingo[...] Duolingo.com 2021-03-22
[66]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Portuguese Speakers https://www.duolingo[...] Duolingo.com 2021-03-22
[67]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Portuguese Speakers https://en.duolingo.[...]
[68] 웹사이트 Esperanto for French Speakers https://incubator.du[...] Duolingo.com 2020-09-15
[69]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French Speakers https://www.duolingo[...] Duolingo.com 2021-03-22
[70] 웹사이트 Language Courses For French People https://en.duolingo.[...]
[71] 웹사이트 Lernu.net Traffic, Demographics and Competitors - Alexa https://web.archive.[...] 2019-04-05
[72] 뉴스 Esperanto: what future in Europe? https://www.thenewfe[...] 2023-12-23
[73] 웹사이트 Tutmonda helplingvo por ĉiuj homoj http://googletransla[...] 2012-02-22
[74] 웹사이트 Яндекс.Переводчик освоил 11 новых языков — Блог Переводчика https://yandex.ru/bl[...]
[75]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 Meta https://meta.wikimed[...]
[76]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by language group http://meta.wikimedi[...] Meta.wikimedia.org
[77] 웹사이트 The Secret of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s https://medium.com/s[...] Circuit Youth Slavo 2017-06-07
[78] 웹사이트 Bonvenon al Vikipedia :eo:Vikipedio:Ĉefpaĝ[...] 2019-10-04
[79] 논문 Internationale Plansprachen. Eine Einführung Akademie-Verlag
[80] 서적 Interlingwistyka i Esperantologia Wydawnictwo Rys 2015
[81] 간행물 Prace Komisji Spraw Europejskich PAU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82] 웹사이트 What Is Esperanto, And Who Speaks It? https://www.babbel.c[...] 2019-04-25
[83] 서적 Studies in World Language Problem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0
[84] 웹사이트 Esperanto: european or asiatic language? http://claudepiron.f[...] 1981
[85]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86] 웹사이트 PMEG – Bazaj elparolaj reguloj – Konsonanta variado http://bertilow.com/[...]
[87] 웹사이트 Fundamento de Esperanto – Gramatiko Franca http://www.akademio-[...]
[88] 웹사이트 Fundamento de Esperanto – Gramatiko Angla http://www.akademio-[...]
[89] 웹사이트 Oficialaj Informoj, Numero 6 - 2007 01 21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2007-01-21
[90] 웹사이트 Amiketo and Tajpi are keyboard layouts http://www012.upp.so[...]
[91] 웹사이트 Esperanta Klavaro http://www.windowsph[...]
[92] 웹사이트 typography - How do I type the Esperanto letters with accents on Linux? https://esperanto.st[...]
[93] 웹사이트 Linux https://www.esperant[...]
[94] 웹사이트 How Much Polish Is There in Esperanto? https://culture.pl/e[...] 2016-11-14
[95] 서적 La Bona Lingvo Pro Esperanto
[96]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speranto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9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98] 서적 Everyone's Own Language Nitobe Press
[99] 웹사이트 Esperanto en universitatoj https://archive.toda[...] Uea.Org 2003-04-17
[100] 웹사이트 enhavo http://geocities.com[...] 2009-10-27
[101] 웹사이트 Elte Btk https://web.archive.[...] Webcitation.org
[102] 웹사이트 Diploma in Interlinguistics (ESPERANTO) http://amu.edu.pl/en[...]
[103] 웹사이트 Atividade Legislativa – Projetos e Matrias http://www.senado.go[...] Senado.gov.br
[104] 웹사이트 PL 6162/2009 – Projetos de Lei e Outras Proposições – Câmara dos Deputados http://www.camara.go[...] Camara.gov.br
[105] 웹사이트 Entidades manifestam apoio à proposta de incluir ensino de Esperanto na grade de disciplinas da rede pública http://www12.senado.[...]
[106] 웹사이트 Esperanto – Stanford University http://www.esperanto[...] 2019-01-16
[107] 웹사이트 Is Esperanto four times easier to learn? http://esperanto-usa[...] Esperanto-USA 2010-12-05
[108] 웹사이트 Springboard to Languages http://www.springboa[...] Springboard2languages.org 2010-12-05
[109] 웹사이트 The Springboard to Languages evaluation project: a summary report http://repository.es[...] University of Essex 2021-06-26
[110] 간행물 Article in Enciklopedio de Esperanto, volume I, p.436, on the pedagogic value of Esperanto.
[111] 웹사이트 Language Learning http://www.interling[...] Bureau of Publications of Teachers College 1933
[112] 논문 The Educational Value of an Artificial Language http://www.blackwell[...] 1927
[113] 논문 A language teaching experiment 1965
[114] 간행물 Laborkonferencoj: Interlingvistiko en Scienco kaj Klerigo
[115] 서적 Esperanto as a starter language for child second-language learners in the primary school Esperanto UK 2013
[116]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117] 서적 Esperanto Sen Mitoj Flandra Esperanto-Ligo 2003
[118] 기타
[119] 웹사이트 Afrika Agado http://pagesperso-or[...] Pagesperso-orange.fr 2010-12-05
[120] 웹사이트 Explaining the density of Esperanto speakers with language and politics https://svendvnielse[...] Kalkulinda 2017-09-24
[121] 웹사이트 Three letters about his method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Esperanto speakers http://www.panix.com[...]
[122] 웹사이트 Number of Esperantists (methods) http://www.panix.com[...] Panix.com 2010-12-05
[123] 웹사이트 Re: Kiom? http://www.helsinki.[...] 1996-04-22
[124] 웹사이트 An Update on Esperanto http://uea.org/info/[...] Universala Esperanto‑Asocio
[125]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epo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12-05
[126] 논문 Native Esperanto as a Test Case for Natural Language, as part of "A man of measure: Festschrift in honour of Fred Karlsson on his 60th birthday" http://www.ling.hels[...] University of Helsinki—Department of Slavonic and Bal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2006-01
[127] 논문 A mother tongue spoken mainly by fathers 1996
[128] 논문 The impossibility of an Esperanto linguistics / La neebleco de priesperanta lingvoscienco https://riviste.unim[...] 2011-02-08
[129] 웹사이트 Esperanto: some observations of a speaker-linguist https://hiphilangsci[...] 2015-08-04
[130] 뉴스 China's first Esperanto museum opens https://web.archive.[...] 2015-01-14
[131] 웹사이트 Esperanto Koresponda Servo http://esperantofre.[...] Esperanto Fremont 2014-06-08
[132] 서적 Sed homoj kun homoj: Universalaj Kongresoj de Esperanto 1905–2005 UEA 2005
[133] 웹사이트 International Esperanto meetings http://www.eventoj.h[...] Eventoj.hu 2010-12-05
[134] 웹사이트 musicexpress.com.br https://web.archive.[...] Musicexpress.com.br 2015-01-14
[135] 서적 La Fenomeno Esperanto Universala Esperanto-Asocio 1988
[136] 간행물 Esperanto Association of Britain (EAB) 2017-10
[137] 웹사이트 Polis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http://niematerialne[...] Narodowy Instytut Dziedzictwa 2014
[138] 서적 Lord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Dodd, Mead & Company 1907
[139] 서적 War with the Newts The Penguin Group 1936
[140] 웹사이트 The Universal Language {{pipe}} An Interview with Director Alfonso Cuarón http://esperantodocu[...]
[141] 웹사이트 Akademio Internacia de la Sciencoj rande de pereo http://www.liberafol[...] 2011-09-05
[142] 서적 AIS – La Akademio Internacia de la Sciencoj San Marino / Die International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an Marino Institut für Kybernetik
[143] 웹사이트 PARIS BUSINESS MEN WOULD USE ESPERANTO; Chamber of Commerce Committee Finds It Useful as a Code in International Trade. https://query.nytime[...] 1921-02-16
[14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onero https://www.pcmag.co[...] 1996-06-20
[145] 웹사이트 1887: Unua Libro en Esperanto (First Book in Esperanto, see introduction) http://www.nationalg[...]
[146] 웹사이트 Esperanto: A surprising 2 million speakers worldwide get their words' worth; from the 'planned languag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https://www.proquest[...] 1999-05-12
[147] 웹사이트 Parolado antaŭ la Sesa Kongreso Esperantista en Washington en la 15a de aŭgusto 1910 http://www.steloj.de[...] 1910-08-15
[148] 웹사이트 Kion signifas Raŭmismo http://esperanto-ond[...]
[149] 웹사이트 Manifesto de Raŭmo http://www.esperanti[...]
[150] 웹사이트 Flags of Esperanto http://flagspot.net/[...] Flagspot.net
[151] 웹사이트 Esperanto flag: The jubilee symbol https://www.fotw.inf[...]
[152] 웹사이트 Esperanto flag https://www.fotw.inf[...]
[153] 간행물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comme politique publique https://www.ladocume[...] Haut Conseil de L'Évaluation de L'École
[154] 웹사이트 SAT - Sennacieca Asocio Tutmonda http://satesperanto.[...]
[155] 웹사이트 Hopeful Anniversary Hamodia Jewish and Israel News https://hamodia.com/[...]
[156] 웹사이트 Vladimir Varankin https://www.goodread[...]
[157] 웹사이트 The Oomoto Esperanto portal http://www.oomoto.or[...] Oomoto.or.jp
[158] 서적 Bahá'u'lláh and the New Era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159] 백과사전 Esperanto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160] 웹사이트 Morton, Jr., James Ferdinand (1870–1941) http://wyatt.elastic[...] Model Editions Partnership
[16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rofessor Ehsan Yarshater, the Founder and Editor of Encyclopedia Iranica http://www.payvand.c[...] 2016-03-25
[162] 웹사이트 O Espiritismo e o Esperanto (Spiritism and Esperanto) http://www.espirito.[...]
[163] 웹사이트 Uma só língua, uma só bandeira, um só pastor: Spiritism and Esperanto in Brazil by David Pardue http://www.math.uu.s[...] University of Kansas Libraries
[164] 서적 Esperanto and its rivals: the struggle for an international languag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5
[165] 웹사이트 La Sankta Biblio – "Londona text" http://home.att.net/[...]
[166] 학술지 Max Joseph Metzger 1971
[167] 웹사이트 Linguistic Democracy – Christmas 2010, Benedict XVI and Radicals: the use of Esperanto remains to be the only thing in common https://www.eraonlus[...]
[168] Youtube THE POPE BLESSING IN ESPERANTO.avi https://www.youtube.[...] 2012-04-09
[169] 웹사이트 KELI kaj Dia Regno http://keli.chez.com[...]
[170] 웹사이트 League of Christian Esperantists International http://keli.chez.com[...]
[171] 웹사이트 KES – Quakers http://www.noos.ch/k[...]
[172] 학술지 Esperanto Lives On 2005-05-27
[173] 학술지 Beyond Babel to a World Language https://www.friendsj[...] 1968-06-15
[174] 웹사이트 A few texts in Esperanto about Quakerism http://www.noos.ch/k[...]
[175] 서적 The Captive Conscience
[176] 웹사이트 Internacia Biblio-Misio https://web.archive.[...] Biblio-misio.org 2010-12-05
[177] 웹사이트 Esperanto 'This Was Your Life' http://chick.com/rea[...] Chick.com 2010-12-05
[178] 웹사이트 ELEKTITAJ ĈAPITROJ EL LA LIBRO DE MORMON http://pemanoj.blogs[...] 2017-10-06
[179] 웹사이트 Por-Esperanta Mormonaro https://web.archive.[...] 2018-09-21
[180] 웹사이트 Spirita nutraĵo https://archive.toda[...]
[181] 웹사이트 Spirita nutraĵo https://web.archive.[...] 2006-09-13
[182] 웹사이트 Esperanto – Have any governments opposed Esperanto? https://web.archive.[...] Donald J. Harlow 2006-08-26
[183] 웹사이트 Esperanto in Iran (in Persian) http://porneniu.word[...] Porneniu 2006-08-26
[184] 논문 Causes of the relative success of Esperanto https://www.jbe-plat[...] 2009-01-01
[185] 웹사이트 Tolkien the Esperantist? http://www.tolkienbo[...] TolkienBooks.net 2021-08-31
[186] 웹사이트 Ranto (JBR Anti-Zamenhofism) http://jbr.me.uk/ran[...] 2020-02-22
[187] 웹사이트 Why Esperanto is not my favourite Artificial Language http://miresperanto.[...] 2020-02-22
[188] 웹사이트 Esperanto: european or asiatic language? https://www.translat[...] 2021-06-26
[189] 웹사이트 Esperanto, a western language? http://claudepiron.f[...] 2021-06-26
[190] 논문 How European is Esperanto?: A typological study* http://www.jbe-platf[...] 2021-11-06
[191] 웹사이트 Bertilo http://bertilow.com/[...]
[192] 웹사이트 Critiche all'esperanto ed alle altre lingue internazionali http://parracomumang[...] 2010-12-05
[193]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Universala Esperanto-Asocio 1985
[194] 웹사이트 La efektiva uzado de seksneŭtralaj pronomoj laŭ empiria esplorstudo https://lingvakritik[...] 2020-05-12
[195] 서적 Can an Artificial Language Be More than a Hobby? The Linguistic and Sociological Obstacles 1993
[196] 간행물 1930
[197] 웹사이트 A Language to Unite Humankind https://www.newyorke[...] 2016-10-24
[198] 시 La Espero http://www.steloj.de[...] Jekaterinburg (Ruslanda Esperantisto) 1995
[199] 간행물 No One Thinks in Esperanto 2021-08-19
[200] 웹사이트 Esperanto Island http://data.aad.gov.[...] Data.aad.gov.au 2015-01-14
[201] 서적 国際語の歴史と思想 毎日新聞社 1981
[202] 웹사이트 どうして「労働者エスペラント運動」というものがあるのか https://satesperanto[...] SAT
[203] 서적 幻の塔 ハウスキーパー熊沢光子の場合 BOC出版部 1985
[204] 서적 教科用獨習用 世界語 https://dl.ndl.go.jp[...] 彩雲閣 1906
[205] 논문 ヨーロッパのエスペラント事情散見-東欧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教養論集刊行会 1986-03
[206] 웹사이트 Radio Vatikana - Esperanto Via Radio-Arkivo enhavas pli ol 2500 elsendaĵojn https://www.radio-va[...] 바티칸 방송 2023-01-08
[207] 웹사이트 Ĉina Radio Internacia http://esperanto.cri[...] 중국국제방송 2023-01-08
[208] 웹사이트 OpenWHO {{!}} Courses https://openwho.org/[...] 세계보건기구 2023-01-08
[209] 웹사이트 2019年度事業報告 https://www.jei.or.j[...] 일반재단법인 일본에스페란토협회
[210] 웹사이트 Esperanto aldoniĝis al la Pola Listo de Nemateria Kultura Heredaĵo https://www.e-d-e.or[...] 2014-11-21
[211] 웹사이트 Riješenje https://www.esperant[...] Republlka Hrvatska Ministarstvo Kulture 2019-02-11
[212] 서적 エスペラントの創始者ザメンホフ 新泉社 1993
[213] 서적 まるごとエスペラント文法 日本エスペラント学会 2001
[214] 서적 Plena Ilustrita Vortaro Sennacieca Asocio Tutmonda 1971
[215] 서적 La Nova Plena Ilustrita Vortaro Sennacieca Asocio Tutmonda 2005
[216] 서적 エスペラント日本語辞典 日本エスペラント学会 2006
[217] 서적 La Nova Plena Ilustrita Vortaro Sennacieca Asocio Tutmonda 2005
[218] 간행물 La Revuo Orienta誌 2019-12
[219] 서적 エスペラント日本語辞典 日本エスペラント学会 2006
[220] 서적 Esperanto en Perspektivo 世界エスペラント協会 1974
[221] 서적 Prace Komisji Spraw Europejskich PAU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2008
[222] 웹사이트 What Is Esperanto, And Who Speaks It? https://www.babbel.c[...] 2019-04-25
[223] 논문 Internationale Plansprachen. Eine Einführung Akademie-Verlag 1985
[224] 웹사이트 Esperanto: european or asiatic language? https://www.translat[...]
[225] 웹사이트 Esperanto, a western language? http://claudepiron.f[...]
[226] 논문 How European is Esperanto?: A typological study http://www.jbe-platf[...] 2010
[227] 서적 Plena analiza gramatiko de Esperanto 1985
[228] 서적 エスペラント日本語辞典 日本エスペラント学会 2006
[229] 웹사이트 http://www2.tokai.or[...]
[230] 웹사이트 La efektiva uzado de seksneŭtralaj pronomoj laŭ empiria esplorstudo https://lingvakritik[...] 2020-05-12
[231] 간행물 信徒の友 2024-03
[232] 서적 日本聖書協会口語訳
[233] 간행물 信徒の友 2024-03
[234] 웹사이트 https://lernu.net/fo[...]
[235] 웹사이트 O-vortaj nombrovortoj https://bertilow.com[...]
[236] 서적 エスペラント日本語辞典 財団法人日本エスペラント学会 2006-06-12
[23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speranto https://www.ohchr.or[...] 국제연합
[238]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3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Japanese (Nihongo) https://www.ohchr.or[...] 국제연합
[240] 서적 Everyone's Own Language Nitobe Press 1999
[241] 서적 Monumente pri Esperanto - ilustrita dokumentaro pri 1044 Zamenhof/Esperanto Objektoj en 54 landoj Universala Esperanto Asocio 1997
[242] 웹사이트 旭化成不動産レジデンス株式会社 http://www.afr-web.c[...]
[243] 웹사이트 フェスティバロの生い立ちをご紹介します http://www.festivalo[...]
[244] 웹사이트 プークについて http://puk.jp/about_[...]
[245] 웹사이트 felicaの意味とは https://web.archive.[...]
[246] 웹사이트 世界観 https://web.archive.[...]
[247] 보도자료 仮称)丸の内1丁目1街区(東京駅丸の内北口)開発計画 街区名称は「丸の内オアゾ(OAZO)」に決定 ~2004年9月14日オープン~ https://www.mec.co.j[...] 三菱地所株式会社 / 株式会社丸ノ内ホテル / 日本生命保険相互会社 / 中央不動産株式会社 2004-04-27
[248] 웹사이트 http://www.movado.co[...]
[249] 웹사이트 商品紹介 http://www.tokoyo.jp[...]
[250] 웹사이트 ヤクルトのマメ知識 https://web.archive.[...]
[251] 웹사이트 はじまりへの旅 http://hajimari-tabi[...]
[252] 웹인용 https://www.european[...]
[253] 설명
[254] 설명
[255] 웹인용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과 응답(나성권 신부) http://mobigen.com/~[...] 2006-09-11
[256] 위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