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투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이름을 새겨 넣는 데 사용된 괄호 형태의 상징물이다.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하는 미디어 작품에서 중요한 물건이나 소재로 등장하며, 특히 타카하시 카즈키의 만화 《유희왕》과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품 내에서 카르투슈는 주인공의 기억을 되찾는 데 도움을 주는 물건으로 묘사되며, 주인공과 동료 간의 유대를 상징하는 역할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의 사회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의 사회 - 우라에우스
우라에우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권위를 상징하는 코브라 형상의 장식으로, 와제트 여신을 상징하며 이집트 통일 후에는 네크베트와 함께 공동 수호신의 역할을 수행했고, 파라오의 신성함과 적을 물리치는 수호의 의미를 지녔다. - 기호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기호 - 저작권 기호
저작권 기호(©)는 저작물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기호로, 17세기 스코틀랜드 달력에서 기원하여 1909년 미국 저작권법에 도입되었고, 오늘날 유니코드 문자 U+00A9로 표현되며, 음반 저작권 기호(℗) 및 카피레프트 기호(🄯)와 관련이 있고, 베른 협약 가입국에서 저작권 고지는 필수가 아니지만 법적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신성문자 - 이집트 숫자
이집트 숫자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10진법 숫자 체계로, 상형 문자를 이용하여 1부터 100만까지의 숫자를 표기했으며, 단위분수를 표현하는 특수 기호와 0과 유사한 '네페르' 기호, 그리고 숫자에 해당하는 고유한 단어를 사용했다. - 신성문자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카르투슈 | |
---|---|
개요 | |
![]() | |
어원 | 프랑스어 cartouche (소총 탄피와 유사) |
다른 이름 | 셰누 (shenu) |
정의 | |
설명 | 고대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왕의 이름을 둘러싸는 타원형 테두리 |
기능 | 왕의 이름을 보호하고 영원성을 상징 |
형태 및 사용 | |
모양 | 타원형, 한쪽 끝에 수직선이 있는 형태 |
내용 | 왕의 이름 (주로 탄생명, 즉 '사 라의 아들' 이름) |
사용 시기 | 고대 이집트 제4왕조부터 사용 |
의미 | 왕의 이름이 영원히 기록될 것임을 상징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상형 문자 |
프랑스어 | cartouche |
일본어 | カルトゥーシュ (karutōshu) |
2. 역사적 의미와 상징
고대 이집트에서 신을 상징하는 고대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매우 귀중한 괄호였던 만큼,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하는 미디어 작품에 비중 있는 중요한 물건 혹은 떡밥으로 등장한다. 가장 유명한 대표적인 예시는 타카하시 카즈키의 단독 오리지널 장편 작품인 유희왕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신을 상징하는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귀중한 괄호였던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하는 미디어 작품에서 중요한 물건이나 떡밥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타카하시 카즈키의 유희왕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가 있다.[1]
3. 대중문화에서의 카르투슈
3. 1. 유희왕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마자키 안즈는 기억을 찾기 위한 모험을 떠나려는 이름 없는 파라오(어둠의 유우기)에게 이집트 카이로 공항의 기념품 가게에서 산 카르투슈를 선물한다. 이것은 고대 이집트의 카르투슈에서 모티브를 따온 은색 목걸이였다. 안즈는 파라오에게 그의 진짜 이름(아템)을 새겨넣을 것을 조언했고, 파라오는 카르투슈를 목에 걸고 기억의 세계로 여행을 떠났다.
3. 1. 1. 작품 내 역할
원작과 애니메이션 공통으로 마자키 안즈가 기억을 찾기 위한 모험을 떠나려는 이름 없는 파라오(유우기)에게 기억의 세계로 떠나기 직전, 여행에 도움을 발휘할 신비한 물건을 이집트 카이로 공항의 한 기념품 가게에서 사서 선물한다. 그 물건은 파라오의 이름을 새겨넣기 위해 만든 '''카르투슈(Cartouch, カルトウシュ)'''로, 고대 이집트의 카르투슈에서 모티브를 따온 은색 목걸이였다. 마자키 안즈는 파라오(유우기)에게 목걸이 형태의 카르투슈를 선물로 주며, 만약 기억과 이름을 되찾게 된다면 다시는 잊어버릴 일이 없도록 그 목걸이의 케이스에다가 '''너의 진짜 이름(아템)을 새겨넣을 것'''을 충고한다. 파라오(유우기)는 안즈에게 매우 고마워하며 카르투슈를 목에 걸고 기억의 세계로 외로운 여행을 떠나게 된다. 안즈가 준 은색의 카르투슈 목걸이는 (천년 링에 깃든 조크의 혼에게 지배당하는) 바쿠라와의 어둠의 게임 내내 유우기와 동료와의 유대의 상징으로서 함께하게 된다.[1]
이후 파라오(유우기)를 돕기 위해 본체 인격인 무토 유우기와 마자키 안즈, 카츠야, 히로토가 샤디의 힘을 빌려 3,000년 전의 세계로 여행을 떠난다. 4인방은 자신들이 넘어온 곳이 파라오의 기억의 세계가 아니라 어둠의 바쿠라가 파라오의 기억을 모티브로 삼아 만들어낸 게임 필드라는 것을 알게 된다. 기자서 왕궁의 육신관과 함께 바쿠라와 혼신의 결전을 벌이는 아템을 보조하고자, 죽을 힘을 다해 그의 무덤인 파라오의 피라미드에 있는 아템의 이름을 찾으러 떠난다. 중간에 바쿠라가 보낸 분신들이 끈질긴 방해와 압박을 가했는데도, 아템의 미이라를 봉헌하기로 되어 있는 피라미드의 제일 안쪽 구역인 최내 구역에서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로 되어 있는 파라오의 진명을 확인하지만, 상형문자인 히에로글리프 (hieroglyph)를 해독할 수 없었기에 사진으로 새기듯이 명확히 기억한다.[1]
참조
[1]
백과사전
Cartouche
[2]
웹사이트
Royal Titulary
https://www.ancient-[...]
2014-10-29
[3]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
서적
The Cemeteries of Abydos. Part 3. 1912–1913
Adamant Media Corporation
[5]
웹사이트
2. Ancient Egyptian Cartouche
https://www.dcsd.org[...]
Dcsd.org
2013-08-22
[6]
서적
Everyday Life in Ancient Egypt
Courier Dover
2002
[7]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3-05
[8]
서적
Hieroglyphics: The Writings of Ancient Egypt
Abbeville Press Publishers
1995
[9]
문서
古代エジプト文字手帳
[10]
문서
카트리지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