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펜베르크 S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펜베르크 SV는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로 창단된 오스트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1947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007-08 시즌 오스트리아 2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현재는 2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으며, 역대 주요 선수와 감독, 그리고 최근 시즌의 리그 성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LASK
LASK는 오스트리아 린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컵에서 우승한 역사를 가지며, 부침을 겪었으나 재정비 후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FK 아우스트리아 빈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1911년 창단되어 마티아스 신델라를 중심으로 미트로파컵을 제패하고, 나치 독일 합병 시련과 재건을 거쳐 리그를 지배한 황금기를 누렸으며, SK 라피트 빈과의 빈 더비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빈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1919년 설립된 축구단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19년 설립된 축구단 - AS 생테티엔
프랑스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AS 생테티엔은 1919년 창단하여 리그 1에서 10회 우승, 쿠프 드 프랑스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고, 홈 구장인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를 사용하며 올랭피크 리옹과의 데르비 론알프가 유명하고, 2023-24 시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카펜베르크 SV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카펜베르거 슈포르트페어라인igung 1919 |
약칭 | KSV |
별칭 | '팔켄 (The Falcons)' |
창단 |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로 창단) |
경기장 | 프란츠 페케테 슈타디온 |
수용 인원 | 9,640명 |
회장 | 에르빈 푸흐스 |
감독 | 이스마일 아탈란 |
리그 | 2. 리가 |
시즌 | 2023–24 |
순위 | 2. 리가, 16개 팀 중 11위 |
현재 시즌 | 2024–25 카펜베르거 SV 시즌 |
웹사이트 | 카펜베르거 SV 공식 웹사이트 |
![]() |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kapfenberger1920h |
홈 유니폼 몸통 패턴 | _kapfenberger1920h |
홈 유니폼 팔 패턴 | _kapfenberger1920h |
홈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FF0000 |
홈 유니폼 몸통 색상 | FF0000 |
홈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FF0000 |
홈 유니폼 반바지 색상 | FF0000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FF0000 |
어웨이 유니폼 왼쪽 팔 패턴 | _thinblackborder |
어웨이 유니폼 몸통 패턴 | _kapfenberger1819a |
어웨이 유니폼 오른쪽 팔 패턴 | _thinblackborder |
어웨이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FFDD00 |
어웨이 유니폼 몸통 색상 | FFDD00 |
어웨이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FFDD00 |
어웨이 유니폼 반바지 색상 | FFDD00 |
어웨이 유니폼 양말 색상 | FFDD00 |
2. 역사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Kapfenberger SC)로 창단되었다. 1947년에 현재의 클럽명으로 개칭되었다. 2007-08 시즌 오스트리아 2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오스트리아 1부 리그로 승격했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19-1947)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Kapfenberger SC)로 창단되었다. 1947년에 현재의 클럽명으로 개칭되었다.2. 2. 클럽명 변경과 성장 (1947-2007)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 (Kapfenberger SC)로 창단되었다. 1947년, 현재의 클럽명인 카펜베르크 SV (Kapfenberger SV)로 변경되었다.2. 3.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승격과 강등 (2007-현재)
카펜베르크 SV는 1919년 9월 14일 카펜베르거 SC(Kapfenberger SC)로 창단되었으며, 1947년에 현재의 클럽명으로 변경되었다. 2007-08 시즌 오스트리아 2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였다. 이후 분데스리가와 2부 리그를 오가며 현재는 2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3. 경기장
4. 선수단
wikitext
2024년 8월 2일 기준으로 갱신된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 | 국가 | 포지션 | 이름 |
---|---|---|---|
1 | GK | 리하르트 슈레빙거 | |
2 | MF | 루카스 톤호퍼 | |
3 | DF | 모리츠 룀링 | |
5 | MF | 멜레티오스 미슈코비치 | |
7 | FW | 마르크 헬레파르트 | |
8 | MF | 마티아스 푸슐 | |
9 | FW | 알렉산더 호프라이트너 | |
10 | MF | 블레론 크라스니키 | |
11 | FW | 레반 엘로슈빌리 | |
12 | GK | 빈코 콜릭 | |
16 | MF | 아드리안 마리노비치 | |
17 | MF | 율리우스 보흐만 | |
19 | DF | 율리안 투리 | |
20 | MF | 플로리안 프로하르트 | |
21 | FW | 막시밀리안 유스 | |
23 | MF | 루카 하슬러 | |
25 | MF | 얀 슈타인후버 | |
28 | MF | 니코 미쿨리치 | |
30 | FW | 마르셀 코페이닉 | |
32 | MF | 플로리안 혹사 | |
33 | DF | 올리비에 엔지 | |
34 | FW | 파리스 카바즈 | |
36 | GK | 다비트 푼티감 | |
37 | DF | 막시밀리안 호퍼 | |
40 | DF | 다비트 하인들 | |
80 | MF | 막시밀리안 케르슈너 |
시몬 필리포비치는 2025년 6월 30일까지 도이칠란츠베르거 SC에 임대되어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2일 기준)
2024년 8월 2일 기준으로 갱신된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등번호 | 국가 | 포지션 | 이름 |
---|---|---|---|
1 | GK | 리하르트 슈레빙거 | |
2 | MF | 루카스 톤호퍼 | |
3 | DF | 모리츠 룀링 | |
5 | MF | 멜레티오스 미슈코비치 | |
7 | FW | 마르크 헬레파르트 | |
8 | MF | 마티아스 푸슐 | |
9 | FW | 알렉산더 호프라이트너 | |
10 | MF | 블레론 크라스니키 | |
11 | FW | 레반 엘로슈빌리 | |
12 | GK | 빈코 콜릭 | |
16 | MF | 아드리안 마리노비치 | |
17 | MF | 율리우스 보흐만 | |
19 | DF | 율리안 투리 | |
20 | MF | 플로리안 프로하르트 | |
21 | FW | 막시밀리안 유스 | |
23 | MF | 루카 하슬러 | |
25 | MF | 얀 슈타인후버 | |
28 | MF | 니코 미쿨리치 | |
30 | FW | 마르셀 코페이닉 | |
32 | MF | 플로리안 혹사 | |
33 | DF | 올리비에 엔지 | |
34 | FW | 파리스 카바즈 | |
36 | GK | 다비트 푼티감 | |
37 | DF | 막시밀리안 호퍼 | |
40 | DF | 다비트 하인들 | |
80 | MF | 막시밀리안 케르슈너 |
시몬 필리포비치는 2025년 6월 30일까지 도이칠란츠베르거 SC에 임대되어있다.
4. 2. 역대 주요 선수
분류:카펜베르크 SV의 축구 선수를 참고하라.- 라파엘 볼프 (독일): 2009-2012
- 프란츠 슈톨츠 (오스트리아): 2017-2021
- 요스 호이펠트 (네덜란드): 2006-2007
- 마테이 마브리치 (슬로베니아): 2010-2012
- 이토 켄시 (일본): 2014
- 야츠카 토시로 (일본): 2014-2016
- 믈라덴 유트리치 (오스트리아): 2017-2018
- 아돌프 휘터 (오스트리아): 2002-2005
- 안드레아스 린하르트 (오스트리아): 2007-2010
- 요아힘 슈탄트페스트 (오스트리아): 2012-2013
- 도미니크 프리저 (오스트리아): 2015-2017
- 플로리안 프레커 (오스트리아): 2015-2017
- 마레크 하인츠 (체코): 2009-2010
- 데니 알라 (오스트리아): 2009-2011
- 미하엘 그레고리치 (오스트리아): 2010-2011, 2011-2012
- 하르나 바반기다 (나이지리아): 2012
- 나탕 주니오르 (브라질): 2012
- 클레멘 라프리치 (슬로베니아): 2013-2014
- 조앙 빅토르 (브라질): 2015-2017
5. 역대 감독
요제프 블룸 (1946–1947)
헤르만 슈테슬 (1974–1975)
발터 파인팅거 (1980–1982)
로베르트 플루크 (1987)
게르트 슈트루퍼트 (1990–1991)
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 (1994–1996)
한스-페터 샬러 (2000–2006)
드라젠 스바리나 (2006)
류비샤 수시치 (2006)
베르너 그레고리치 (2006–2011)
만프레트 웅거 (2011)
토마스 폰 헤센 (2011–2012)
클라우스 슈미트 (2012–2013)
쿠르트 루스 (2013–2016)
압둘라 이브라코비치 (2016–2017)
로베르트 플루크 (2017)
슈테판 라프 (2017–)
6. 성적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부 리그 1회 우승(2007-08)
7. 과거의 성적
wikitable
시즌 | 디비전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2007-0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부 | 1위 | 33 | 19 | 9 | 5 | 79 | 45 | 66 |
2008-09 | 분데스리가 | 8위 | 36 | 10 | 6 | 20 | 48 | 81 | 36 |
2009-10 | 분데스리가 | 9위 | 36 | 8 | 9 | 19 | 44 | 67 | 33 |
2010-11 | 분데스리가 | 8위 | 36 | 9 | 11 | 16 | 42 | 61 | 38 |
2011-12 | 분데스리가 | 10위 | 36 | 5 | 8 | 23 | 21 | 64 | 23 |
2012-13 | 분데스리가 2부 | 5위 | 36 | 14 | 11 | 11 | 56 | 50 | 53 |
2013-14 | 분데스리가 2부 | 5위 | 36 | 16 | 4 | 16 | 55 | 48 | 52 |
2014-15 | 분데스리가 2부 | 4위 | 36 | 12 | 13 | 11 | 52 | 45 | 49 |
2015-16 | 분데스리가 2부 | 6위 | 36 | 14 | 8 | 14 | 63 | 62 | 50 |
2016-17 | 분데스리가 2부 | 6위 | 36 | 12 | 9 | 15 | 47 | 57 | 41 |
2017-18 | 분데스리가 2부 | 8위 | 36 | 9 | 8 | 19 | 40 | 68 | 35 |
2018-19 | 분데스리가 2부 | 4위 | 30 | 13 | 7 | 10 | 44 | 40 | 46 |
2019-20 | 분데스리가 2부 | 16위 | 30 | 6 | 4 | 20 | 34 | 69 | 22 |
2020-21 | 분데스리가 2부 | 10위 | 30 | 9 | 6 | 15 | 34 | 51 | 3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