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ASK는 1908년 창단된 오스트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1965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했다. 1990년대 재정 위기를 겪었지만, 2010년대 이후 부활하여 유럽 대항전에 진출했다. 오스트리아 컵 우승 1회, 2부 리그 우승 5회, 레기오날리가 우승 2회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9-20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에서 16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ASK 린츠 - 린처 슈타디온
오스트리아 린츠에 위치했던 린처 슈타디온은 1952년 개장하여 축구 경기와 모터사이클 스피드웨이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유명 가수들의 콘서트 장소로도 활용되었으나 LASK 린츠의 새 경기장 건설로 2023년에 완공되었다.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FK 아우스트리아 빈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1911년 창단되어 마티아스 신델라를 중심으로 미트로파컵을 제패하고, 나치 독일 합병 시련과 재건을 거쳐 리그를 지배한 황금기를 누렸으며, SK 라피트 빈과의 빈 더비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빈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SV 마터스부르크
SV 마터스부르크는 1922년 창단되어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며 2006-07 시즌 리그 3위의 최고 성적과 많은 인기를 누렸으나, 2020년 회계 스캔들로 파산하여 해산된 축구 클럽이다. - 1908년 설립된 축구단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 1908년 설립된 축구단 - CA 산로렌소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는 190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로렌소 마사 신부의 지원으로 발전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으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5회 우승 및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명문 클럽이며 "엘 시클론"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 LASK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린처 아틀레티크-슈포르트-클루프 |
| 약칭 | LASK |
| 별칭 | 디 슈바르츠-바이센 (검은색-흰색), 디 라스클러, 란트슈트라슬러, 아틀레티커 |
| 창단일 | 1908년 8월 7일 (아틀레티크슈포르트클루프 지크프리트) |
| 홈구장 | 라이파이젠 아레나 |
| 수용 인원 | 19,080명 |
| 소유주 | LASK GmbH |
| 회장 | 지크문트 그루버 |
| 감독 | 마르쿠스 쇼프 |
| 리그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클럽 색상 | |
| 색상 | 검정, 하양 |
| 현재 시즌 | |
| 시즌 | 2024–25 LASK 시즌 |
| 유니폼 | |
![]() | |
![]() | |
![]() | |
2. 역사

LASK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인 1899년에 창설된 클럽이다. 1960년대에 오스트리아 리그와 오스트리아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로는 1부와 2부를 오가며 부침을 겪었다.
1970년대 대부분을 중위권에서 보냈지만, 1977-78 시즌에 강등되었다. 1980-81 시즌에 즉시 승격했으나, 이후 재정 위기와 파산 신청, FC 린츠와의 합병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3년 지역 기업가 컨소시엄에 인수된 후, LASK는 다시 분데스리가로 복귀하고 2019-20년 UEFA 유로파 리그에서 16강에 진출하는 등 부활의 날갯짓을 펼치고 있다. 2023년에는 라이파이젠 아레나라는 새로운 경기장을 개장했다.
2. 1. 창단 초기 (1908년 ~ 1960년대)
1908년 겨울, 린츠 왕립 우체국 차고 책임자 알베르트 시엠스(Albert Siems)는 축구 클럽 창설을 결정했다. 그는 이미 1899년에 창단된 중량 운동 클럽인 ''린츠 아틀레틱 스포츠클럽 지크프리트''(Linzer Athletik Sportklub Siegfried)의 회원이었다. 당시 팀은 이미 흑백 세로 줄무늬 셔츠를 입고 경기를 뛰었다.클럽의 첫 번째 이름은 ''린츠 스포츠클럽''(Linzer Sportclub)이었다. 1919년 9월 14일 임시 총회에서 ''린처 아틀레틱 스포츠-클럽''(Linzer Athletik Sport-Klub, 약칭 ''린처 ASK''(Linzer ASK))으로 최종 이름이 변경되었다. 팀의 대중적인 명칭은 LASK였다.
LASK는 1940-41년 Gauliga Ostmark에서 처음으로 최고 수준의 경기에 출전했지만 최하위를 기록하고 강등되었다. 1949-50년에 LASK는 승격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프로가 되었다. 그러나 최고 수준의 리그에서 보낸 몇 년 동안 클럽은 고전을 면치 못했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강등 싸움에 휘말렸고, 결국 1953-54년에 강등되었다.
1957-58년에 LASK는 2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다시 승격했다. 1961-62년, 클럽은 오스트리아 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당시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고, 1962-63년에는 첫 번째 컵 결승전에 진출하여 오스트리아 빈에 1-0으로 패했다.
2년 후, LASK는 1965년 오스트리아 리그에서 우승하며 최고의 성공을 거두었다. 빈 외 지역 클럽이 우승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또한 같은 해에 오스트리아 컵에서 우승하여 국내 더블을 달성했으며, 이를 달성한 몇 안 되는 오스트리아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 1967년, 클럽은 다시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연장전 후 동전 던지기에서 오스트리아 빈에게 다시 패했다.
2. 2. 전성기 (1960년대)
LASK는 196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961-62 시즌, LASK는 오스트리아 빈에 이어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당시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다. 1962-63 시즌에는 첫 번째 컵 대회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오스트리아 빈에 1-0으로 패했다.[1]1965년, LASK는 오스트리아 리그에서 우승하며 최고의 성공을 거두었다. 빈 외 지역 클럽이 리그 우승을 차지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같은 해, LASK는 오스트리아 컵에서도 우승하며 국내 더블을 달성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클럽 중에서도 드문 업적이었다.[1]
1967년, LASK는 다시 컵 대회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연장전 후 동전 던지기에서 오스트리아 빈에게 패했다. 3년 후, LASK는 또다시 컵 대회 결승전에 올랐으나 바커 인스브루크에 패하며 우승컵을 놓쳤다.[1]
2. 3. 중위권과 강등 (1970년대 ~ 1990년대)
LASK는 1970년대 대부분을 중위권에서 보냈지만, 1977-78 시즌에 강등되었다. 그러나 1980-81 시즌에 즉시 승격에 성공했다.1985-86년 UEFA 컵에서 LASK는 1985년 10월 23일 홈에서 유럽의 강호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란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2라운드에서 합산 점수 4-1로 아쉽게 탈락했다.[1]
1995년, LASK는 재정 위기에 빠져 파산을 신청했다. 회장은 많은 돈을 가지고 코트디부아르로 도망쳤고, 클럽은 심각한 부채를 떠안게 되어 여러 핵심 선수를 매각해야 했다. 1997년 5월, 클럽은 도시 라이벌인 FC Linz와 합병하여 새로운 공식 명칭 'LASK 린츠'(LASK Linz)가 되었다. 이는 LASK라는 브랜드 명칭을 유지하면서 도시의 이름을 내세우려는 의도였다. 클럽의 이름, 색상, 회장 및 구성원은 그대로 유지되어 클럽 해체를 막았다. 그러나 이 합병은 FC 린츠가 LASK보다 더 성공적인 클럽이라고 믿는 많은 사람들의 반발을 샀다.[1] 합병 불과 열흘 전, FC 린츠는 도시 더비에서 LASK를 3-0으로 꺾었고, 그 후 몇 년 동안 LASK에서 FC 린츠 출신 선수들이 선발 라인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1]
2. 4. 재정 위기와 극복 (1990년대 ~ 2010년대)
1995년, LASK는 재정 위기에 직면하여 파산을 신청했다. 클럽 회장은 많은 돈을 가지고 코트디부아르로 도피했고, 클럽은 심각한 부채를 떠안게 되어 여러 핵심 선수를 매각해야 했다.[1] 1997년 5월, LASK는 도시 라이벌인 FC 린츠와 합병하여 공식 명칭을 ''LASK 린츠''(LASK Linz)로 변경했다. 이는 LASK라는 브랜드 명칭을 유지하면서 도시 이름을 함께 내세우려는 의도였다. 클럽의 이름, 색상, 회장 및 구성원은 그대로 유지되어 클럽 해체를 막았다. 그러나 이 합병은 FC 린츠가 더 성공적인 클럽이라고 믿는 많은 팬들의 반발을 샀다.[1] 합병 직전, FC 린츠는 도시 더비에서 LASK를 3-0으로 이겼으며, 이후 LASK에서 FC 린츠 출신 선수들이 선발 라인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1]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LASK는 1996년 UEFA 인터토토 컵에 진출하여 베르더 브레멘 (3-1)과 유르고르덴 (2-0)을 꺾고 조 1위를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로토르 볼고그라드에 합계 7-2로 패하며 탈락했다. 1998-99 시즌에는 오스트리아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슈투름 그라츠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2000-01 시즌, LASK는 강등되었고, 한때 3부 리그 강등 위기까지 몰렸다. 2004년 8월에는 FC 케른텐에게 홈에서 8-0으로 대패하기도 했다. 2007년, LASK는 6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지만, 4년 뒤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2012년에는 파산으로 인한 라이선스 박탈로 3부 리그까지 떨어졌다. 2013년 12월, "LASK의 친구들"이라는 지역 기업가 컨소시엄이 클럽을 인수했다. 당시 LASK는 해체 직전이었고 선수들은 급여를 받지 못했으며, 도시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어 50km 떨어진 곳으로 이동해야 했다.
인수 후 첫 시즌, LASK는 레기오날리가 중앙에서 우승했지만,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FC 리퍼링에 합계 5-0으로 패하며 3부 리그에 잔류했다. 2014년 6월 5일, 린처 슈타디온에서 13,000명의 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파른도르프 1919를 합계 2-1로 꺾고 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17년 4월 21일, 리퍼링을 3-0으로 꺾고 6경기를 남겨둔 채 분데스리가 복귀를 확정 지었다.
2. 5. 부활과 유럽대항전 진출 (2010년대 ~ 현재)
2013년 12월, "LASK의 친구들"이라는 지역 기업가 컨소시엄이 클럽을 인수했다. 당시 클럽은 해산 직전에 있었고, 선수들은 급여를 전혀 받지 못했다. 도시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50km 떨어진 경기장으로 이동해야 했다.[1]인수 후 첫 시즌에 LASK는 레기오날리가 중앙부에서 1위를 차지했고,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FC 리퍼링에 합산 점수 5-0으로 패하여 3부 리그에서 한 시즌을 더 보내야 했다.[1]
2014년 6월 5일, 린처 슈타디온에서 13,000명의 팬 앞에서 파른도르프 1919를 상대로 합산 2-1 승리를 거두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부로 승격이 확정되었다.[1] 2017년 4월 21일, 리퍼링을 3-0으로 꺾고 6라운드를 남겨두고 분데스리가로 복귀했다. 이 기간 동안 올리버 글라스너 감독과 위르겐 베르너 부회장은 독특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팀을 구성했다.[1]
2016년, 클럽은 시의회와의 불화로 파싱으로 이사했다. 2018년에는 유로파 리그 예선에 참가하여 베식타스와의 2차전에서 2-1로 승리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며 유럽 대회에 복귀했다.[1]
2019-20년 UEFA 유로파 리그에서 LASK는 스포르팅 리스본과 PSV 아인트호벤이 포함된 조에서 1위를 차지하는 훌륭한 성적을 거두었다. 로젠보르그를 1-0으로 꺾으며 캠페인을 시작했고, PSV를 4-1로 꺾었으며, 2019년 12월 12일 스포르팅을 상대로 홈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조별 예선을 마무리했다. 32강전에서 AZ 알크마르와 맞붙어 1차전은 1-1로 끝났지만, 2차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합산 점수 7-1로 패하며 탈락했다.[2] 비록 큰 점수 차로 탈락했지만, PSV와 스포르팅을 상대로 승리하며 언더독으로 주목받았던 LASK의 최고의 유럽 대항전이었다.[2]
2023년 2월 24일, LASK는 오스트리아 루스테나우를 상대로 승리하며 라이파이젠 아레나라는 새로운 경기장을 공식적으로 개장했다.
3. 선수
LASK의 선수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현재 선수 명단은 === 현재 선수 명단 === 하위 섹션을, 과거 LASK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 역대 주요 선수 ===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 오스트리아 국적의 로버트 줄 (2022~ )
- 오스트리아 국적의 페터 미콜 (2014~ )
- 독일 국적의 사누시 바 (2023~ )
- 스웨덴, 노르웨이, 코소보 국적의 발론 베리샤 (2024~ )
- 파나마 국적의 안드레스 안드라데 (2018~2022, 2023~ )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14일 현재 LASK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6]|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
| 1 | GK | 토비아스 라발 |
| 2 | DF | 조지 벨로 |
| 3 | DF | 토마스 갈베스 |
| 4 | DF | 막심 탈로비에로프 |
| 5 | DF | 필리프 지라이스 |
| 6 | MF | 멜라예로 보가르데 |
| 7 | MF | 레네 레너 |
| 8 | FW | 모세스 우소르 |
| 9 | FW | 마린 류비치치 |
| 10 | MF | 로베르트 줄 (주장) |
| 14 | MF | 발론 베리샤 |
| 16 | DF | 안드레스 안드라데 |
| 17 | DF | 제롬 보아텡 |
| 18 | MF | 브란코 요비치치 |
| 19 | FW | 레니 핀토르 |
| 21 | MF | 이반 류비치 |
| 22 | DF | 필리프 스토이코비치 |
| 23 | FW | 이브라힘 무스타파 |
| 25 | FW | 알렉시 티비디 |
| 26 | DF | 흐르보예 스몰치치 |
| 27 | FW | 막시밀리안 엔트루프 |
| 28 | GK | 요르그 지벤한들 |
| 29 | FW | 플로리안 플레커 |
| 30 | MF | 자샤 호르바트 |
| 36 | GK | 루카스 융비르트 |
| 43 | GK | 클레멘스 슈타인바우어 |
| 44 | FW | 아딜 타우이 |
3. 2. 역대 주요 선수
다음은 LASK의 역대 주요 선수 목록이다.| 포지션 | 선수 | 주요 활동 기간 |
|---|---|---|
| GK | 제리코 밀리노비치 | 1998-2000, 2005-2006 |
| GK | 요르크 지벤한들 | 2028- |
| DF | 볼프강 파이얼징거 | 2000-2001 |
| DF | 올리버 글라스너 | 2003-2004 |
| DF | 플로리안 클라인 | 2003-2009 |
| DF | 케빈 비머 | 2011-2012 |
| DF | 마르코 바비치 | 2013 |
| DF | 크리스티안 람스에브너 | 2015-2021 |
| DF | 파울로 오타비오 | 2016-2017 |
| DF | 에마누엘 포가테츠 | 2017-2019 |
| MF | 아돌프 휘터 | 1989-1991 |
| MF | 페터 슈퇴거 | 1997-1998 |
| MF | 마테오 코바치치 | 2000-2007 |
| MF | 최성용 | 2001 |
| MF | 에른스트 에브스터 | 2003-2004, 2013-2015 |
| MF | 알레시 체흐 | 2005-2006 |
| MF | 미하엘 바우어 | 2007-2009 |
| MF | 마르쿠스 바이센베르거 | 2008-2010 |
| MF | 토마스 프라거 | 2008-2010 |
| MF | 레네 아우프하우저 | 2010-2012 |
| MF | 라파엘 비니시우스 카르발류 롱기네 | 2011-2012 |
| MF | 슈테판 사비치 | 2015 |
| MF | 제임스 홀랜드 | 2017- |
| MF | 도미니크 프리저 | 2018-2020 |
| FW | 안드레아스 오그리스 | 1992 |
| FW | 우고 산체스 | 1995-1996 |
| FW | 베지안 이드리자이 | 2003-2005 |
| FW |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 2004-2005 |
| FW | 이비차 바스티치 | 2005-2009 |
| FW | 로차 | 2007-2008 |
| FW | 페타르 슈크레티치 | 2009-2011 |
| FW | 알렉산더 치클러 | 2010-2011 |
| FW | 실비뉴 | 2012-2013 |
| FW | 알모에즈 알리 | 2015-2016 |
| FW | 조앙 빅토르 | 2017-2019 |
| FW | 조앙 클라우스 | 2019-2020 |
| FW | 나카무라 케이토 | 2021-2023 |
4. 역대 감독
| 감독 | 임기 |
|---|---|
| 펠릭스 라츠케 | 1974–1976 |
| 한스 크랑클 | 2009 |
| 게오르크 브라운 | 1946–1952 |
| 발터 알트 | 1950–1953 |
| 에른스트 자베디치 | 1953–1955 |
| 요제프 엡 | 1958–1960 |
| 펄 체르나이 | 1960–1962 |
| 카를 슐렉타 | 1962–1964 |
| 프란티셰크 부프카 | 1965–1968 |
| 보이테흐 스키바 | 1969–1970 |
| 빌헬름 크멘트 | 1970–1972 |
| 오토 바리치 | 1972–1974 |
| 빌헬름 후베르츠 | 1976–1978 |
| 볼프강 가이어 | 1978 |
| 라스즐로 심코 | 1978 |
| 아돌프 블루치 | 1978–1983 |
| 요한 콘데르트 | 1983–1987 |
| 아돌프 블루치 | 1987 |
| 에른스트 흐로제크 | 1987–1988 |
| 에른스트 크노레크 | 1988 |
| 로타어 부흐만 | 1989 |
| 아담 켄시 | 1989 |
| 알렉산데르 만지아라 | 1989–1990 |
| 에르빈 슈피겔 | 1990 |
| 아돌프 블루치 | 1990 |
| 에른스트 베버 | 1990 |
| 에르빈 슈피겔 | 1990–1991 |
| 헬무트 세네코비치 | 1991–1993 |
| 디트마르 콘스탄티니 | 1993 |
| 발터 스코치크 | 1993–1995 |
| 귄터 크론슈타이너 | 1995–1996 |
| 막스 하그마이어 | 1996 |
| 프리델 라우슈 | 1996–1997 |
| 페르 브로겔란 | 1997–1998 |
| 아담 켄시 | 1998 (임시) |
| 오토 바리치 | 1998–1999 |
| 마린코 콜야닌 | 1999–2000 |
| 요한 콘데르트 | 2000–2001 |
| 프란티셰크 치프로 | 2001 |
| 요한 콘데르트 | 2001 |
| 디터 미르네크 | 2001–2002 |
| 노르베르트 바리시츠 | 2003–2004 |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2004 |
| 베르너 그레고리치 | 2004–2006 |
| 카를 닥스바허 | 2006–2008 |
| 안드레이 파나디치 | 2008 |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2008–2009 |
| 마티아스 하만 | 2009–2010 |
| 헬무트 크라프트 | 2010 |
| 게오르크 첼호퍼 | 2010–2011 |
| 발터 샤흐너 | 2011–2012 |
| 카를 닥스바허 | 2012–2015 |
| 마르틴 히덴 | 2015 |
| 알프레드 올징거 | 2015 |
| 올리버 글라스너 | 2015–2019 |
| 발레리앵 이스마엘 | 2019–2020 |
| 도미니크 탈하머 | 2020–2021 |
| 안드레아스 빌란트 | 2021–2022 |
| 디트마르 큉바우어 | 2022–2023 |
| 토마스 자게데르 | 2023–2024 |
| 토마스 다라츠 | 2024–현재 |
5. 성적
LASK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965년)와 오스트리아 컵 (1965년)에서 각각 1회 우승했다. 오스트리아 아마추어 리그 (1931년)에서도 1회 우승했으며,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리그 13회,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컵 6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LASK의 상세한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회 | 1964-65 |
| 오스트리아 컵 | 1회 | 1964-65 |
| 오스트리아 2부 분데스리가 | 5회 | 1957-58, 1978-79, 1993-94, 2006-07, 2016-17 |
| 레기오날리가 (3부) | 2회 | 2012-13, 2013-14 |
| 오스트리아 아마추어 리그 | 1회 | 1931 |
|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리그 | 15회 | 1924, 1925, 1926, 1927, 1929, 1930, 1931, 1932, 1936, 1939, 1947, 1948, 1950, (세컨드 팀) 2001, 2003 |
|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컵 | 6회 | 1929, 1931, 1932, 1935, 1937, 1946 |
5. 1. 리그
| 시즌 | 리그전 | 오스트리아 컵 | ||||||||
|---|---|---|---|---|---|---|---|---|---|---|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 2012-13 | 레기오날리가 | 28 | 21 | 5 | 2 | 75 | 15 | 68 | 1위 | 8강 |
| 2013-14 | 레기오날리가 | 30 | 24 | 4 | 2 | 80 | 19 | 76 | 1위 | 2회전 |
| 2014-15 | 오스트리아 2부 분데스리가 | 36 | 15 | 11 | 10 | 45 | 36 | 56 | 3위 | 3회전 |
| 2015-16 | 2부 분데스리가 | 36 | 22 | 6 | 8 | 65 | 35 | 72 | 2위 | 8강 |
| 2016-17 | 2부 분데스리가 | 36 | 23 | 8 | 5 | 77 | 42 | 77 | 1위 | 준결승 |
| 2017-1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6 | 17 | 6 | 13 | 49 | 41 | 57 | 4위 | 3회전 |
| 2018-19 | 1부 분데스리가 | 32 | 18 | 9 | 5 | 59 | 31 | 40 | 2위 | 준결승 |
| 2019-20 | 1부 분데스리가 | 32 | 20 | 4 | 8 | 67 | 37 | 33 | 4위 | 준결승 |
| 2020-21 | 1부 분데스리가 | 32 | 15 | 6 | 11 | 55 | 41 | 30 | 4위 | 준우승 |
| 2021-22 | 1부 분데스리가 | 32 | 9 | 12 | 11 | 44 | 42 | 26 | 8위 | 8강 |
| 2022-23 | 1부 분데스리가 | 32 | 14 | 12 | 6 | 54 | 38 | 35 | 3위 | 준결승 |
5. 2. 컵 대회
[5]- '''오스트리아 컵'''
- * 우승 (1회): 1964-65
- * 준우승 (5회): 1962-63, 1966-67, 1969-70, 1998–99, 2020-21
-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컵'''
- * 우승 (6회): 1929, 1931, 1932, 1935, 1937, 1946
| 시즌 | 리그전 | 오스트리아 컵 | ||||||||
|---|---|---|---|---|---|---|---|---|---|---|
| 디비전 | 시합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 2012-13 | 레기오날리가 | 28 | 21 | 5 | 2 | 75 | 15 | 68 | 1위 | 8강 |
| 2013-14 | 레기오날리가 | 30 | 24 | 4 | 2 | 80 | 19 | 76 | 1위 | 2회전 |
| 2014-15 | 오스트리아 2부 분데스리가 | 36 | 15 | 11 | 10 | 45 | 36 | 56 | 3위 | 3회전 |
| 2015-16 | 2부 분데스리가 | 36 | 22 | 6 | 8 | 65 | 35 | 72 | 2위 | 8강 |
| 2016-17 | 2부 분데스리가 | 36 | 23 | 8 | 5 | 77 | 42 | 77 | 1위 | 준결승 |
| 2017-1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6 | 17 | 6 | 13 | 49 | 41 | 57 | 4위 | 3회전 |
| 2018-19 | 1부 분데스리가 | 32 | 18 | 9 | 5 | 59 | 31 | 40 | 2위 | 준결승 |
| 2019-20 | 1부 분데스리가 | 32 | 20 | 4 | 8 | 67 | 37 | 33 | 4위 | 준결승 |
| 2020-21 | 1부 분데스리가 | 32 | 15 | 6 | 11 | 55 | 41 | 30 | 4위 | 준우승 |
| 2021-22 | 1부 분데스리가 | 32 | 9 | 12 | 11 | 44 | 42 | 26 | 8위 | 8강 |
| 2022-23 | 1부 분데스리가 | 32 | 14 | 12 | 6 | 54 | 38 | 35 | 3위 | 준결승 |
5. 3. 기타
LASK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1회(1965년), 오스트리아 컵에서 1회(1965년) 우승했다. 오스트리아 아마추어 리그에서는 1회(1931년) 우승했다.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리그에서는 총 13회(1924, 1925, 1926, 1927, 1929, 1930, 1931, 1932, 1936, 1939, 1947, 1948, 1950),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컵에서는 총 6회(1929, 1931, 1932, 1935, 1937, 1946) 우승했다.LASK의 상세한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회 | 1964-65 |
| 오스트리아 컵 | 1회 | 1964-65 |
| 오스트리아 2부 분데스리가 | 5회 | 1957-58, 1978-79, 1993-94, 2006-07, 2016-17 |
| 레기오날리가 (3부) | 1회 | 2012-13, 2013-14 |
| 오스트리아 아마추어 리그 | 1회 | 1931 |
|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리그 | 15회 | 1924, 1925, 1926, 1927, 1929, 1930, 1931, 1932, 1936, 1939, 1947, 1948, 1950, (세컨드 팀) 2001, 2003 |
| 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컵 | 6회 | 1929, 1931, 1932, 1935, 1937, 1946 |
6. 유럽 대항전 기록
| 시즌 | 대회 | 라운드 | 국가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 1963-64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 | 디나모 자그레브 | 1–0 | 0–1 | 2–2 c (po 1–1) | |
| 1965-66 | 유러피언컵 | PR | Górnik Zabrze | 1–3 | 1–2 | 2–5 | |
| 1969-70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 | 스포르팅 CP | 2–2 | 0–4 | 2–6 | |
| 1977-78 | UEFA 컵 | 1 | Újpest | 3–2 | 0–7 | 3–9 | |
| 1980-81 | UEFA 컵 | 1 | 라드니치키 니시 | 1–2 | 1–4 | 2–6 | |
| 1984-85 | UEFA 컵 | 1 | Östers IF | 1–0 | 1–0 | 2–0 | |
| 2 | 던디 유나이티드 | 1–2 | 1–5 | 2–7 | |||
| 1985-86 | UEFA 컵 | 1 | 바니크 오스트라바 | 2–0 | 1–0 | 3–0 | |
| 2 | 인테르 밀란 | 1–0 | 0–4 | 1–4 | |||
| 1986-87 | UEFA 컵 | 1 | 비제프 우치 | 1–1 | 0–1 | 1–2 | |
| 1987-88 | UEFA 컵 | 1 | 위트레흐트 | 0–0 | 0–2 | 0–2 | |
| 1995 | UEFA 인터토토 컵 | 6조 | 파틱 시슬 | 2–2 | 2위 | ||
| NK 자그레브 | 0–0 | ||||||
| 케플라비크 | 2–1 | ||||||
| 메츠 | 0–1 | ||||||
| 1996 | UEFA 인터토토 컵 | 2조 | 유르고르덴 | 2–0 | 1위 | ||
| B68 토프티르 | 4–0 | ||||||
| 아폴론 리마솔 | 2–0 | ||||||
| 베르더 브레멘 | 3–1 | ||||||
| 준결승 | 로토르 볼고그라드 | 2–2 | 0–5 | 2–7 | |||
| 1999-2000 | UEFA 컵 | 1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3 | 0–2 | 1–5 | |
| 2000 | UEFA 인터토토 컵 | 1R | 하포엘 페타 티크바 | 3–0 | 1–1 | 4–1 | |
| 2R | FK 마릴라 프리브람 | 1–1 | 2–3 | 3–4 | |||
| 2018-19 | UEFA 유로파 리그 | 2QR | 릴레스트롬 | 4–0 | 2–1 | 6–1 | |
| 3QR | 베식타스 | 2–1 | 0–1 | 2–2 (a) | |||
| rowspan=7| | UEFA 챔피언스 리그 | 3QR | 바젤 | 3–1 | 2–1 | 5–2 | |
| PO | 클럽 브뤼헤 | 0–1 | 1–2 | 1–3 | |||
| UEFA 유로파 리그 | D조 | 스포르팅 CP | 3–0 | 1–2 | 1위 | ||
| PSV 에인트호번 | 4–1 | 0–0 | |||||
| 로젠보르그 | 1–0 | 2–1 | |||||
| R32 | AZ | 2–0 | 1–1 | 3–1 | |||
| R1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0–5 | 1–2 | 1–7 | |||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3QR | DAC 두나이스카 스트레다 | 7−0 | |||
| PO | 스포르팅 CP | 4−1 | |||||
| J조 | 토트넘 홋스퍼 | 3–3 | 0–3 | 3위 | |||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4–3 | 3–1 | |||||
| 앤트워프 | 0–2 | 1–0 | |||||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3QR | 보이보디나 | 6–1 | 1–0 | 7–1 | |
| PO | 세인트 존스톤 | 1–1 | 2–0 | 3–1 | |||
| A조 | 마카비 텔아비브 | 1–1 | 1–0 | 1위 | |||
| 알라슈케르트 | 2–0 | 3–0 | |||||
| HJK | 3–0 | 2–0 | |||||
| R16 | 슬라비아 프라하 | 4–3 | 1–4 | 5–7 | |||
| 2023-24 | UEFA 유로파 리그 | PO | 즈린스키 모스타르 | 2–1 | 1–1 | 3–2 | |
| E조 | 리버풀 | 1–3 | 0–4 | 4위 | |||
| 위니옹 생질루아즈 | 3–0 | 1–2 | |||||
| 툴루즈 | 1–2 | 0–1 | |||||
| 2024-25 | UEFA 유로파 리그 | PO | FCSB | 1–1 | 0–1 | 1–2 | |
| UEFA 컨퍼런스 리그 | 리그 단계 | 유르고르덴 | 2–2 | 35위 | |||
| 올림피야 류블랴나 | 0–2 | ||||||
| 세르클 브뤼헤 | 0–0 | ||||||
| 보라츠 바냐 루카 | 1–2 | ||||||
| 피오렌티나 | 0–7 | ||||||
| 비킹구르 레이캬비크 | 1–1 |
참조
[1]
웹사이트
20 Jahre Fusion: Als der FC Linz begraben wurde
https://www.nachrich[...]
2017-05-19
[2]
웹사이트
Man. United 2–1 LASK
https://www.uefa.com[...]
2020-08-05
[3]
웹사이트
Zurück in die Zukunft: Neues Wappen für den LASK
https://www.nachrich[...]
Nachrichten.at
2017-05-04
[4]
웹사이트
LASK bekommt neues Wappen
https://www.skysport[...]
Skysportaustria.at
2017-05-04
[5]
웹사이트
LASK Linz " Manager history
http://www.worldfoot[...]
worldfootball.net
[6]
웹사이트
LASK Linz – Results, fixtures, squad, statistics, photos, videos and news
https://us.soccerway[...]
2012-08-29
[7]
웹사이트
UEFA Club Coefficient Ranking
https://rankingandpr[...]
----
[8]
웹사이트
LASK UEFA Coefficient Ranking
https://rankingandpr[...]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