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로스키우루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로스키우루스족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족(tribe)으로, 다양한 종류의 다람쥐들을 포함한다. 칼로스키우루스속, 붉은뺨다람쥐속, 아시아피그미다람쥐속, 보르네오피그미다람쥐속, 긴코다람쥐속, 줄무늬땅다람쥐속, 버드모어땅다람쥐속, 검은귀다람쥐속,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속, 땃쥐얼굴다람쥐속, 붉은배다람쥐속, 순다다람쥐속, 아시아줄무늬다람쥐속 등 13개의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각 속은 고유한 특징을 지닌 종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로스키우루스족 - 검은귀다람쥐
    검은귀다람쥐는 동남아시아, 보르네오 섬, 북아메리카 남동부 등 다양한 지역에 서식하며 검은 털과 흰 귀를 가진 ''N. m. bancanus'', 작은 크기의 ''N. m. borneanus'', 다양한 털 색깔을 가진 ''N. m. pulcher'', 검은털을 가진 ''N. m. melanotis'' 등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는 다람쥐를 통칭하는 이름이다.
  • 칼로스키우루스족 - 땃쥐얼굴다람쥐
칼로스키우루스족 - [생물]에 관한 문서

2. 분포 및 서식지

3. 하위 속

칼로스키우루스족의 하위 속은 다음과 같다.[2]

3. 1. 칼로스키우루스속 (Callosciurus)

칼로스키우루스속(''Callosciurus'')은 다람쥐과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1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2] 핀레이슨다람쥐, 프레보스트다람쥐, 붉은배다람쥐 등을 포함한다.[2]

붉은배다람쥐(''Callosciurus erythraeus'')는 대한민국에서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종은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회색배다람쥐(''Callosciurus caniceps'')의 아종에는 칼로스키우루스 카니켑스 비마쿨라투스(''Callosciurus caniceps bimaculatus'')가 있다.[2]

칼로스키우루스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2]

  • 칼로스키우루스 아담시(Callosciurus adamsi)([귀점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알베스켄스(Callosciurus albescens)(클로스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발루엔시스(Callosciurus baluensis)([키나발루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카니켑스(Callosciurus caniceps)(회색배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에리트라에우스(Callosciurus erythraeus)(붉은배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핀레이소니(Callosciurus finlaysonii)([핀레이슨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혼코아이엔시스(Callosciurus honkhoaiensis)([혼코아이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이노르나투스(Callosciurus inornatus)([장식없는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멜라노가스터(Callosciurus melanogaster)([멘타와이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니그로비타투스(Callosciurus nigrovittatus)([검은줄무늬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노타투스(Callosciurus notatus)([플랜테인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오레스테스(Callosciurus orestes)([보르네오흑색밴드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파이레이(Callosciurus phayrei)([파이레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프레보스티이(Callosciurus prevostii)([프레보스트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피게리트루스(Callosciurus pygerythrus)([이라우아디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 퀸퀘스트리아투스(Callosciurus quinquestriatus)([앤더슨다람쥐])
  • 미분류 칼로스키우루스속(Callosciurus)

3. 2. 붉은뺨다람쥐속 (Dremomys)

붉은뺨다람쥐속(''Dremomy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6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 아시아붉은뺨다람쥐(''D. rufigenis''), 페르니다람쥐(''D. pernyi'') 등을 포함한다.[2]

  • ''드레모미스 에베레티''(Dremomys everetti)([보르네오산다람쥐])[2]
  • ''드레모미스 굴라리스''(Dremomys gularis)([붉은목다람쥐])[2]
  • ''드레모미스 로크리아''(Dremomys lokriah)([오렌지배히말라야다람쥐])[2]
  • ''드레모미스 페르니이''(Dremomys pernyi)([페르니다람쥐])[2]
  • * ''드레모미스 페르니이 오스토니''(Dremomys pernyi owstoni)[2]
  • ''드레모미스 피로메루스''(Dremomys pyrrhomerus)([붉은엉덩이다람쥐])[2]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Dremomys rufigenis)([아시아붉은뺨다람쥐])[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아담소니''(Dremomys rufigenis adamsoni)[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벨필디''(Dremomys rufigenis belfieldi)[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푸스쿠스''(Dremomys rufigenis fuscus)[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라오마케''(Dremomys rufigenis laomache)[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오피무스''(Dremomys rufigenis opimus)[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오르나투스''(Dremomys rufigenis ornatus)[2]
  • * ''드레모미스 루피게니스 루피게니스''(Dremomys rufigenis rufigenis)[2]

3. 3. 아시아피그미다람쥐속 (Exilisciurus)

아시아피그미다람쥐속(''Exilisciurus'')은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 필리핀피그미다람쥐( ''Exilisciurus concinnus''), 최소피그미다람쥐(''Exilisciurus exilis''), 술꼬리피그미다람쥐(''Exilisciurus whiteheadi'')가 속해 있다.[2]

3. 4. 보르네오피그미다람쥐속/조각가다람쥐속 (Glyphotes)

보르네오피그미다람쥐속(Glyphotes) 또는 조각가다람쥐속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유일종 조각다람쥐(Glyphotes simus)만을 포함하고 있다.[2]

3. 5. 긴코다람쥐속 (Hyosciurus)

긴코다람쥐속(''Hyosciur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의 하나이다.[2] 산지긴코다람쥐과 저지대긴코다람쥐의 2종으로 이루어져 있다.[2]

3. 6. 줄무늬땅다람쥐속 (Lariscus)

줄무늬땅다람쥐속(''Larisc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4종으로 이루어져 있다.[2] 네줄무늬땅다람쥐(''Lariscus hosei''), 세줄무늬땅다람쥐(''Lariscus insignis''), 니오베땅다람쥐(''Lariscus niobe''), 멘타와이세줄무늬다람쥐(''Lariscus obscurus'')를 포함한다.[2]

3. 7. 버드모어땅다람쥐속 (Menetes)

버드모어땅다람쥐속(''Menete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유일종 인도차이나땅다람쥐(Menetes berdmorei)를 포함한다.[2]

3. 8. 검은귀다람쥐속 (Nannosciurus)

검은귀다람쥐속(''Nannosciur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다람쥐 속의 하나로, 유일종 검은귀다람쥐(''Nannosciurus melanotis'')만을 포함하고 있다.[2]

3. 9.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속 (Prosciurillus)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속(''Prosciurill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다람쥐 속의 하나이다.[2]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속은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 웨버난쟁이다람쥐 등을 포함한다.

  • ''프로스키우릴루스 압스트루수스''(''Prosciurillus abstrusus'') (은둔난쟁이다람쥐)
  • ''프로스키우릴루스 레우코무스''(''Prosciurillus leucomus'') (희끗한난쟁이다람쥐)
  • * ''프로스키우릴루스 레우코무스 옥시덴탈리스''(''Prosciurillus leucomus occidentalis'')
  • ''프로스키우릴루스 무리누스''(''Prosciurillus murinus'') (술라웨시난쟁이다람쥐)
  • ''프로스키우릴루스 웨베리''(''Prosciurillus weberi'') (웨버난쟁이다람쥐)

3. 10. 땃쥐얼굴다람쥐속 (Rhinosciurus)

땃쥐얼굴다람쥐속(''Rhinosciur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유일종 뾰족얼굴다람쥐(''Rhinosciurus laticaudatus'')만을 포함하고 있다.[2]

3. 11. 붉은배다람쥐속 (Rubrisciurus)

붉은배다람쥐속(''Rubrisciur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다람쥐 속의 하나로, 술라웨시자이언트다람쥐(''Rubrisciurus rubriventer'') 1종만을 포함하고 있다.[2]

3. 12. 순다다람쥐속 (Sundasciurus)

순다다람쥐속(''Sundasciuru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다람쥐 속이다. 말꼬리다람쥐(''S. hippurus'')[2], 브루크다람쥐(''S. brookei'')[2], 가는다람쥐(''S. tenuis'')[2] 등을 포함하여 1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

나머지 순다다람쥐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 순다스키우루스 알티튜디니스(''Sundasciurus altitudinis'')[2]
  • 순다스키우루스 프라테르쿨루스(''Sundasciurus fraterculus'')[2]
  • 순다스키우루스 호오그스트랄리(''Sundasciurus hoogstraali'')[2]
  • 순다스키우루스 옌틴키(''Sundasciurus jentinki'')[2]
  • 순다스키우루스 유벤쿠스(''Sundasciurus juvencus'')[2]
  • 순다스키우루스 로위이(''Sundasciurus lowii'')[2]
  • 순다스키우루스 민다넨시스(''Sundasciurus mindanensis'')[2]
  • 순다스키우루스 뫼렌도르피(''Sundasciurus moellendorffi'')[2]
  • 순다스키우루스 필리피넨시스(''Sundasciurus philippinensis'')[2]
  • 순다스키우루스 라보리(''Sundasciurus rabori'')[2]
  • 순다스키우루스 로빈소니(''Sundasciurus robinsoni'')[2]
  • 순다스키우루스 사마렌시스(''Sundasciurus samarensis'')[2]
  • 순다스키우루스 스테에리이(''Sundasciurus steerii'')[2]
  • 순다스키우루스 타한(''Sundasciurus tahan'')[2]
  • ''순다스키우루스 테누이스 알티튜디누스''(''Sundasciurus tenuis altitudinus'')[2]
  • 미분류 ''순다스키우루스속''(''Sundasciurus'')
  • * ''순다스키우루스속''(''Sundasciurus'') sp. FPF-2017[2]

3. 13. 아시아줄무늬다람쥐속 (Tamiops)

아시아줄무늬다람쥐속(''Tamiops'')은 칼로스키우루스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이다.[2] 해양줄무늬다람쥐(''Tamiops maritimus''), 히말라야줄무늬다람쥐(''Tamiops mcclellandii'') 등을 포함하여 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2]

  • ''타미옵스 마리티무스''(해양줄무늬다람쥐)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히말라야줄무늬다람쥐)
  •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 바르베이''(''Tamiops mcclellandii barbei'')
  •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 콜리누스''(''Tamiops mcclellandii collinus'')
  •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 콘겐시스''(''Tamiops mcclellandii kongensis'')
  •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 레우코티스''(''Tamiops mcclellandii leucotis'')
  • * ''타미옵스 맥클렐란디이 맥클렐란디이''(''Tamiops mcclellandii mcclellandii'')
  • ''타미옵스 민샤니카''(''Tamiops minshanica'')
  • ''타미옵스 로돌피이''(캄보디아줄무늬다람쥐)
  • ''타미옵스 스윈호에이''(스윈호줄무늬다람쥐)

4. 생태

5. 인간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Callosciurini http://taxondiversit[...] 2012-01-24
[2]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Callosciurini https://www.ncbi.nlm[...] 2023-06-18
[3] 서적 Family Sciurida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