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지 리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리지 리턴은 원래 타자기에서 캐리지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지칭하는 용어였다. 컴퓨터에서는 ASCII, 유니코드 등에 포함된 제어 문자로, 프린터나 표시 장치에서 커서를 같은 행의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줄 바꿈 문자와 함께 사용되어 개행을 나타내며, CRLF로 표현된다. 캐리지 리턴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 등으로 표현되며, 윈도우, macOS 등 GUI 운영체제에서는 엔터 키를 누르는 기능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캐리지 리턴 | |
---|---|
캐리지 리턴 | |
종류 | 제어 문자 |
약칭 | CR |
값 | 13 (십진수) |
ASCII | 13 |
유니코드 | U+000D |
용도 | 커서를 현재 줄의 시작 위치로 이동 |
역사 | |
유래 | 타자기의 캐리지 리턴 동작 |
관련 문자 | 개행 문자 |
사용 예 | 아스키 유니코드 |
기술적 세부 사항 | |
설명 |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CR, ↵ 또는 )은 타자기에서 비롯된 용어로, 인쇄 헤드 또는 커서를 현재 줄의 시작 위치로 되돌리는 제어 문자임. |
동작 방식 | 원래 타자기에서는 활자를 들고 있는 장치(캐리지)를 오른쪽으로 밀어 다음 글자를 인쇄할 위치로 이동시켰음. 줄의 끝에 도달하면 캐리지를 다시 왼쪽으로 밀어 다음 줄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리턴" 레버를 사용했음. 동시에 용지를 한 줄 위로 올리는 "라인 피드(line feed)" 동작도 수행되었음. |
컴퓨터에서의 사용 | 컴퓨터와 통신의 초기 시대에는 텔레프린터가 타자기를 대신하여 사용되었으며, 캐리지 리턴 문자는 텍스트를 다음 줄의 시작 부분으로 되돌리는 데 사용되었음. 그러나 운영체제마다 줄바꿈을 처리하는 방식이 달랐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했음. |
줄바꿈 방식의 변천 | 초기 컴퓨터 시스템: 캐리지 리턴(CR)과 라인 피드(LF)를 함께 사용하여 줄바꿈을 표현했음 (CRLF). macOS: 라인 피드(LF)만 사용. 유닉스 및 리눅스: 캐리지 리턴(CR)만 사용. |
문제점 | 텍스트 파일의 줄바꿈 형식이 다른 시스템 간에 파일을 전송할 때 텍스트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 작성된 텍스트 파일을 유닉스 시스템에서 열면 모든 텍스트가 한 줄로 표시될 수 있음. |
2. 타자기에서의 캐리지 리턴
원래 "캐리지 리턴"이라는 용어는 타자기의 메커니즘 또는 레버를 지칭했다. 활자 요소가 고정되어 있고 종이가 움직이는 '캐리지'에 담겨 있는 기계의 경우, 이 레버는 움직이는 캐리지에 부착되어 왼쪽에 있었고, 한 줄의 텍스트를 입력한 후 작동하여 캐리지가 오른쪽 끝으로 돌아가 활자 요소가 종이의 왼쪽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했다. 이 레버는 또한 일반적으로 종이를 '이송'하여 다음 줄로 넘어가게 했다.[5]
컴퓨팅에서 캐리지 리턴은 ASCII 코드, 유니코드, EBCDIC 등에서 사용되는 제어 문자 중 하나이다. 이 문자는 컴퓨터 프린터나 시스템 콘솔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장치에게 커서의 위치를 같은 줄의 첫 번째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주로 줄 바꿈(LF)과 함께 사용되어 새 줄을 시작하는 CRLF 시퀀스를 형성한다.[1]
IBM Electric 또는 언더우드 Electric과 같은 많은 전기 타자기는 캐리지 리턴을 레버 대신 키보드의 다른 키로 만들었다. 이 키는 일반적으로 "캐리지 리턴", "리턴" 또는 "파워 리턴"이라고 표시되었다. Selectric과 같은 타자기에서는 활자 요소가 타이핑 시 움직이고 종이는 고정되어 있었는데, 이 키는 활자 요소를 왼쪽 끝으로 되돌렸고 이 기능에는 "'''캐리어 리턴'''"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5]
비영어 사용자를 위해 키보드를 개선하기 위해 기호 ↵(U+21B5, HTML 엔티티 ↵
)가 도입되어 캐리지 리턴과 라인 피드의 결합된 동작을 전달했다.[5]
3. 컴퓨터에서의 캐리지 리턴
캐리지 리턴과 줄 바꿈 기능은 초기 기계식 프린터의 속도 문제로 인해 분리되었다. 캐리지 리턴 자체만으로도 새로운 텍스트로 줄을 덮어쓸 수 있었기 때문에, 굵은 글꼴, 밑줄, 취소선 텍스트 등 특수 문자를 표현하는 데 활용되었다. 1901년부터 보도 코드에는 별도의 캐리지 리턴 및 줄 바꿈 문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많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캐리지 리턴 문자는 텍스트 줄의 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HTML 등 일부 표준에서는 공백 문자로 처리된다. ASCII와 유니코드에서 캐리지 리턴은 코드 포인트 13(16진수 0D)을 가진다. C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서는 `\r`로 표현된다.
3. 1.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표현
PHP, Python, Bash, C/C++C#, Java, 자바스크립트, Perl, Ruby에서는 `\r`로 캐리지 리턴을 나타낸다.[5] Visual Basic (VB), VBA, VB.NET에서는 `vbCr` 또는 `Chr$(13)`을 사용한다. CFML에서는 `Chr(13)`을, XML (HTML, XSLT)에서는 `
`를 사용한다.
4.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엔터 키)
윈도우, Mac 및 기타 GUI 운영 체제에서는 리턴 키를 누르면 대화 상자의 기본 옵션(일반적으로 'OK' 또는 'Yes')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된다.
macOS에서는 리턴 키와 엔터 키에 차이가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차이가 없다. 현재는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키보드에 리턴 키와 엔터 키가 있는 경우 실제로는 다른 스캔 코드를 보내므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5. 한국어 자판에서의 캐리지 리턴 (엔터 키)
한국어 자판에서 엔터 키는 캐리지 리턴 및 줄 바꿈 기능을 수행하며, 텍스트 입력 및 명령 실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윈도우에서는 엔터 키를 누르면 대화 상자의 기본 옵션(일반적으로 'OK' 또는 'Yes')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된다.
macOS에서는 리턴 키와 엔터 키에 차이가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차이가 없다. 현재는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키보드에 리턴 키와 엔터 키가 있는 경우 실제로는 다른 스캔 코드를 보내므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6. Microsoft Office 및 OpenOffice.org에서의 캐리지 리턴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 Enter는 줄 바꿈(소프트 리턴)을, Enter는 문단 나누기(하드 리턴)를 나타낸다. '찾기 및 바꾸기' 기능에서 정규 표현식으로 캐리지 리턴을 표현할 수 있는데, `^p`는 문단 나누기(하드 리턴), `^l`은 줄 바꿈(소프트 리턴)을 나타낸다. `^013`도 캐리지 리턴을 나타내는 대체 표현이다.[2][3][4]
오픈오피스 Writer에서도 '찾기 및 바꾸기'에서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캐리지 리턴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 기호를 사용한다.[2][3][4]
참조
[1]
웹사이트
CRLF
https://developer.mo[...]
2024-03-04
[2]
웹사이트
Regular expression syntax reference
https://www.jetbrain[...]
JetBrains
2024-03-04
[3]
웹사이트
Regular Expressions Quick Start
https://www.regular-[...]
2024-03-04
[4]
서적
The Art and Science of C
Addison-Wesley
1995
[5]
서적
The Art and Science of C
Addison-Wesley
1995
[6]
서적
The Art and Science of C
Addison-Wesley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