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뮤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캔뮤직은 화면 아래의 판정선으로 내려오는 노트에 맞춰 키를 누르는 방식의 리듬 게임이다. MIDI 포맷을 기반으로 하여 유저가 직접 노트 패턴을 제작할 수 있으며, 유저 제작 콘텐츠를 공유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게임 모드로는 스타배틀, 래더배틀, 나만의 연주, 와글와글 등이 있었으며, 캔뮤직과 뉴 캔뮤직에서 계급 제도가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게임 - Tokyo 7th 시스터즈
Tokyo 7th 시스터즈는 2034년을 배경으로 아이돌 유닛을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돌 시대를 개척하는 여정을 그리는, 모기 신타로 기획 및 Donuts 개발의 리듬 게임 및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음악 게임 - CHUNITHM
CHUNITHM은 세가가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으로, 화면 상단에서 내려오는 노트를 터치, 슬라이드, 공간 센서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며, 다양한 노트와 6단계 난이도, 랭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와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한다. - 온라인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온라인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 캔뮤직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장르 | 음악 게임 |
| 모드 | 1인용 |
| 개발 정보 | |
| 개발사 | 한슬소프트 |
| 배급사 | 한게임 레몬볼 |
| 출시 정보 | |
| 출시일 | 1999년 |
2. 게임 방법
캔뮤직은 화면 아래의 판정선으로 내려오는 노트에 맞춰 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용하는 키는 VOS와 동일하게 7개(S, D, F, Space, J, K, L)이다. 다른 리듬게임에서는 판정이 최소 3단계 이상으로 나뉘고 판정마다 이름이 있지만, 캔뮤직은 맞추는 경우와 맞추지 못하는 경우 두 가지로만 판정이 나뉘며 별도의 판정 이름은 없다. 초기 버전에는 노트를 틀릴수록 화면이 가려지는 '꼬르륵' 시스템이 있었으나, 이후 버전에서는 제거되어 아무리 많이 틀려도 게임 오버되지 않는다.
다른 리듬 게임과 다르게 캔뮤직은 유일하게 MIDI 포맷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가 직접 노트 패턴을 제작하고 싱글 플레이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VOS Creator for Canmusic', 'MiniVOS')도 함께 배포했다.
3. 게임 특징
사용자는 직접 만든 노트 패턴을 일반 자료실에 올릴 수 있다. 7일 안에 찬성표 10표 이상을 받으면 '굿 자료실'로 이동한다. 굿 자료실에서는 운영자가 선정한 사용자 평가단이 심사하여 3명 이상이 평가하고, 10점 만점 기준 평균 7점 이상을 받은 곡은 게임에 정식으로 등록된다.
이러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 시스템 덕분에 2004년 뉴 캔뮤직 서비스 시작 당시에는 곡 수가 5000곡을 돌파했고, 현재 패션보스에서는 약 8000곡에 달한다. 그러나 초기에는 업로드 과정이 허술하여 질 낮은 노트 배치의 곡이 많았고, 곡은 같지만 배치가 약간 다른 곡도 일부 있었다.
MIDI 포맷을 사용하기 때문에 용량이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지만, MIDI 음원에 따라 음질 편차가 크다는 단점도 있다. 기본적으로 사운드 카드에 내장된 MIDI 음원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음질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별도의 MIDI 음원을 구매하지 않고 기본 제공되는 MIDI 음원을 사용했다.
다른 온라인 리듬 게임이 6~8명의 네트워크 플레이를 지원하는 것과 달리, 캔뮤직은 1대 1 배틀만 가능했다. 뉴 캔뮤직에서는 3명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방장과 도전자의 1대 1 배틀에서 이긴 사람이 대기자 중 1순위와 대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게임 모드
뉴 캔뮤직에서는 스타배틀, 래더배틀, 캔뮤직 팅이 사라지고 배틀로 단일화되었다.
5. 계급 제도
캔뮤직의 계급 제도는 게임 플레이 방식과 버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뮤직앤플레이 캔뮤직에서는 오디션 레벨(초보자, 매니아, 울트라 매니아)을 기본으로, 오디션을 통해 고수, 초고수, 괴수, 명인 칭호를 추가로 얻을 수 있었다. 래더배틀 모드에서는 래더 포인트에 따라 debut(데뷔), rookie(루키), amateur(아마추어) 등의 계급이 주어졌고, 스타배틀에서는 경험치로 레벨(1~200)을 올리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뉴 캔뮤직에서는 오디션 레벨이 12단계로 세분화되었고, 배틀 레벨이 추가되었다. 각 레벨에는 고유한 명칭이 부여되었다.
5. 1. 뮤직앤플레이 캔뮤직
처음에 가입할 때는 초보자로 시작하여 이후에 오디션을 통해 특정 곡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득점하면 계급을 올리는 방식이다. 초보자, 매니아, 울트라 매니아의 3단계로 구성된다. 알투비트의 별, 달, 해 라이센스 레벨과 유사한 시스템이다.울트라 매니아 이후에도 오디션을 통해 고수, 초고수, 괴수, 명인 칭호를 순서대로 획득할 수 있었다. 형식상으로는 계급이 울트라 매니아로 동일하고 칭호만 추가되는 방식이었지만, 유저들에게는 사실상 울트라 매니아의 상위 레벨로 인정되었다. 원래는 총 8개의 오디션 칭호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명인까지 구현된 상태에서 레몬볼로 이전되었다.
래더배틀은 게임 모드 중 하나로, 래더 포인트에 따라 계급이 결정되었다.
- ~1100: debut(데뷔)
- 1100~1200: rookie(루키)
- 1200~1300: amateur(아마추어)
semi pro, professional, virtuoso, conductor, maestro 등의 계급도 있었으나, 현재 포인트별 정확한 계급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스타배틀에서는 레벨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레벨은 1부터 200까지 존재하며, 플레이를 통해 경험치를 얻어 레벨을 올리는 방식은 다른 MMORPG나 이후 출시된 온라인 리듬 게임과 동일하다. 그러나 매달 초기화된다는 점과 레벨마다 마크가 있었다는 점이 캔뮤직 스타배틀 레벨 시스템의 특징이다.
5. 2. 뉴 캔뮤직
뉴 캔뮤직에서는 기존 오디션 레벨 외에 배틀을 통해 경험치를 얻어 진급하는 배틀 레벨이 추가되었다. 오디션 레벨 또한 3단계에서 12단계로 세분화되었으며, 오디션 곡과 기준도 모두 변경되었다. 각 레벨마다 명칭이 부여된 것도 특징이다.| 오디션 레벨 |
|---|
| 시작하는 |
| 어설픈 |
| 그럭저럭 |
| 노력하는-초보자 |
| 재능있는 |
| 인정받는 |
| 고뇌하는- 매니아 |
| 뛰어난 |
| 사랑받는 |
| 세계적인 |
| 시대를 초월한 |
| 역사에 길이 남을-울트라 매니아 |
| 배틀 레벨 |
|---|
| 데뷔 |
| 루키 |
| 아마추어 |
| 세미프로 |
| 프로페셔널 |
| 베테랑 |
| 뮤지션 |
| 아티스트 |
| 프리마돈나 |
| 마에스트로 |
| 황제 |
| 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