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니스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로니스족은 수백 개의 소행성으로 이루어진 소행성군으로, 가장 큰 구성원으로는 코로니스, 우르다, 라크리모사 등이 있다. 이 소행성들은 2.855AU에서 2.900AU 사이의 궤도 긴반지름을 가지며, 다양한 궤도 경사 및 이심률을 보인다. 특히, 243 이다는 최초로 위성인 다크틸을 발견한 소행성으로, 소행성에도 위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로니스족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 코로니스족 - 158 코로니스
죄송합니다. 페이지의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158 코로니스의 핵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없습니다. - 소행성군·소행성족 - 아텐 소행성군
궤도 긴반지름이 1AU보다 작고 근일점이 0.983AU 이상인 아텐 소행성군은 지구 궤도를 횡단하는 지구 횡단 소행성으로, 지구에서 관측이 어려워 궤도가 심하게 찌그러진 천체가 주로 발견되며, 아티라 소행성군을 하위 분류로 두고 NASA, ESA, JAXA 등 주요 기관에서 탐사 및 연구를 진행한다. - 소행성군·소행성족 - 플로라족
플로라족은 소행성대 내에 위치하며, 8 플로라를 포함해 4,000~5,000개의 소행성으로 구성되어 소행성대의 약 4~5%를 차지하고, L 콘드라이트 운석의 근원으로 추정된다.
코로니스족 | |
---|---|
코로니스족 | |
발견 | 1918년 |
발견자 | 막스 볼프 |
명칭 유래 | 158 코로니스 |
위치 |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 |
궤도 긴반지름 | 2.86 AU |
궤도 경사 | 1~3° |
궤도 이심률 | 0.09 |
구성원 수 | 약 5,914개 이상 |
가장 큰 구성원 | 243 이다 |
특징 | |
종류 | S형 소행성 |
스펙트럼 | K형 |
크기 | 다양한 크기 분포 (대략 41 km) |
회전 | 빠른 자전 속도 |
기원 | 충돌 파괴 (약 20억 년 전) |
연관 소행성족 | 158 코로니스 243 이다 605 유니타스 610 발렌티나 621 버지니아 |
설명 | 태양계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소행성족. 158 코로니스를 중심으로 뭉쳐 있으며, 약 20억 년 전의 충돌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됨. S형 소행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빠른 자전 속도를 가짐. |
2. 주요 구성원
코로니스족은 수백 개의 소행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로니스, 우르다, 라크리모사, 이다 등 비교적 크기가 큰 소행성들이 있다. 이 소행성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상세 정보
소행성 번호 | 이름 | 평균 지름 | 궤도 긴반지름 | 궤도 경사각 | 궤도 이심률 | 발견 년도 |
---|---|---|---|---|---|---|
158 | 코로니스 | 35.4km | 2.867AU | 1.00° | 0.057 | 1876년 |
167 | 우르다 | 39.9km | 2.855AU | 2.21° | 0.035 | 1876년 |
208 | 라크리모사 | 41km | 2.895AU | 1.751° | 0.015 | 1879년 |
243 | 이다 | 31.3km | 2.861AU | 1.138° | 0.046 | 1884년 |
263 | 드레스다 | 23km | 2.886AU | 1.314° | 0.079 | 1886년 |
277 | 엘비라 | 27km | 2.887AU | 1.156° | 0.089 | 1888년 |
311 | 클라우디아 | 24km | 2.897AU | 3.225° | 0.008 | 1891년 |
321 | 플로렌티나 | 27km | 2.886AU | 2.594° | 0.043 | 1891년 |
534 | 나소비아 | 33.12km | 2.884AU | 3.277° | 0.057 | 1904년 |
720 | 보흐리니아 | 33.73km | 2.888AU | 2.359° | 0.014 | 1911년 |
1223 | 네카어 | ? | 2.869AU | 2.551º | 0.061 | 1931년 |
9908 | 아우에 | ? | 2.68° | 0.0355 | 1971년 |
2. 2. 주목할 만한 소행성
코로니스족에 속하는 몇몇 소행성들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코로니스와 이다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번호 | 이름 | 평균 지름 | 궤도 긴반지름 | 궤도 경사각 | 이심률 | 발견 연도 |
---|---|---|---|---|---|---|
167 | 울다 | 39.9km | 2.855 AU | 2.21° | 0.035 | 1876년 |
208 | 라크리모사 | 41km | 2.895 AU | 1.751° | 0.015 | 1879년 |
263 | 드레스다 | 23km | 2.886 AU | 1.314° | 0.079 | 1886년 |
277 | 엘비라 | 27km | 2.887 AU | 1.156° | 0.089 | 1888년 |
311 | 클라우디아 | 24km | 2.897 AU | 3.225° | 0.008 | 1891년 |
321 | 플로렌티나 | 27km | 2.886 AU | 2.594° | 0.043 | 1891년 |
534 | 나소비아 | 33.12km | 2.884 AU | 3.277° | 0.057 | 1904년 |
720 | 보리니아 | 33.73km | 2.888 AU | 2.359° | 0.014 | 1911년 |
1223 | Neckar | ? | 2.869 AU | 2.551º | 0.061 | 1931년 |
2. 2. 1. 243 이다
이다는 위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최초의 소행성이다. 1884년에 발견되었으며, 평균 지름은 31.3km이다. 궤도 긴반지름은 2.861 AU, 궤도 경사는 1.138°, 궤도 이심률은 0.046이다. 이다의 위성 다크틸은 지름이 약 1.4km이며, 이다 주위를 공전한다. 이는 소행성도 위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는다.[1]소행성 번호 | 이름 | 평균 지름 | 궤도 긴반지름 | 궤도 경사각 | 이심률 | 발견 연도 |
---|---|---|---|---|---|---|
243 | 이다 | 31.3km | 2.861AU | 1.138° | 0.046 | 1884 |
2. 2. 2. 158 코로니스
코로니스는 소행성 번호 158번으로, 코로니스족에서 가장 큰 소행성이다. 1876년에 발견되었으며, 지름은 약 35.4km이다. 궤도 긴반지름은 2.867 AU, 궤도 경사는 1.00°, 궤도 이심률은 0.057이다.
참조
[1]
웹인용
Spins on Koronis asteroids
http://solarsystem.n[...]
2010-07-16
[2]
웹인용
Fresh Spin on Solar Powered Asteroids
http://www.space.com[...]
2003-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